DS투자증권 반도체 이수림, 김진형
SK하이닉스 Q&A (3)
9) 1분기 매출 감소에도 수익성 제고된 배경이 어떤 것인지? 제품별 구체적인 수익성은?
DRAM의 영업이익률 소폭 개선되었고 DRAM 매출비중이 80% 이상으로 확대되면서 전사 영업이익률도 전분기 대비 개선. 제품별 수익성은 컨벤셔널 제품 하락에도 수익성 높은 제품 확대로 수익성 전분기 대비 개선. NAND는 매출이 줄었지만 흑자 기조는 유지하였음
10) 작년 eSSD가 NAND 시장 견인, 올해 eSSD 판매 계획은 어떤지?
QLC 리더십 기반 수요 적극 대응하며 지난해 300% 이상 매출 성장. 글로벌 기업의 AI향 투자는 지속되며 eSSD 수요는 다른 응용처 대비 견조할 것. 특히 추론 AI 서비스, 높은 품질의 서비스 요구가 증가하면서 추가적인 메모리와 검색, 지식 저장소를 위한 인프라 필요. 그에 따라 HBM 뿐 아니라 고성능 TLC eSSD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기대. QLC도 61TB에서 122TB로 수요의 무게중심이 이동
SK하이닉스 Q&A (3)
9) 1분기 매출 감소에도 수익성 제고된 배경이 어떤 것인지? 제품별 구체적인 수익성은?
DRAM의 영업이익률 소폭 개선되었고 DRAM 매출비중이 80% 이상으로 확대되면서 전사 영업이익률도 전분기 대비 개선. 제품별 수익성은 컨벤셔널 제품 하락에도 수익성 높은 제품 확대로 수익성 전분기 대비 개선. NAND는 매출이 줄었지만 흑자 기조는 유지하였음
10) 작년 eSSD가 NAND 시장 견인, 올해 eSSD 판매 계획은 어떤지?
QLC 리더십 기반 수요 적극 대응하며 지난해 300% 이상 매출 성장. 글로벌 기업의 AI향 투자는 지속되며 eSSD 수요는 다른 응용처 대비 견조할 것. 특히 추론 AI 서비스, 높은 품질의 서비스 요구가 증가하면서 추가적인 메모리와 검색, 지식 저장소를 위한 인프라 필요. 그에 따라 HBM 뿐 아니라 고성능 TLC eSSD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기대. QLC도 61TB에서 122TB로 수요의 무게중심이 이동
DS투자증권 반도체 Analyst 이수림, 연구원 김진형
Alphabet 1Q25 실적발표
URL : https://bit.ly/4iAHV6W
*위 내용은 공개 실적발표 내용으로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제공됩니다.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DS투자증권 반도체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semicon
Alphabet 1Q25 실적발표
URL : https://bit.ly/4iAHV6W
*위 내용은 공개 실적발표 내용으로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제공됩니다.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DS투자증권 반도체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semicon
SK하이닉스_기업리포트_250425.pdf
1.1 MB
DS투자증권 반도체 Analyst 이수림, 연구원 김진형
[반도체] SK하이닉스 - 1Q25 Re: 역시 전교 1등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290,000원(유지)
현재주가 : 178,300원(04/24)
Upside : 62.6%
1. 1Q25 Review: DRAM의 예상보다 빠른 회복이 호실적에 기여
- DRAM B/G -8%, ASP flat
- NAND B/G -19%, ASP -21% 감소로 추정
- 계절적 비수기 불구하고 이구환신 보조금으로 인한 세트 수요 증가와 일부 재고 축적 수요가 맞물리며 DRAM 시황 예상보다 빨리 개선
- 1분기 HBM 매출액은 전분기 대비 5% 증가한 6.6조원 수준으로 추정
2. 2Q25 Preview: 호실적 지속 예상
- 2Q25 매출액 20.1조원(+14% QoQ), 영업이익 8.9조원(+19% QoQ) 전망
- AI 서버 수요는 여전히 견조하고 2분기에도 일부 관세를 대비한 고객사들의 Pull-in 수요가 이어질 것
- 아직까지 관세로 인한 실질적인 고객 수요 변화는 제한적
- 2분기부터 HBM3E 출하량의 50% 이상을 12단이 차지하면서 믹스 개선 효과 기대
3. 업종 내 Top-pick 추천
- 2025년 영업이익 추정치를 기존 36.4조원에서 37.3조원으로 상향 조정
- 올해는 1b DRAM 전환과 M15X 신규투자, 내년은 1c DRAM의 유의미한 양산이 시작될 전망
- 최근 AI 모멘텀 부재와 NVIDIA 설계 변경 이슈 대두되나 동사 펀더멘탈과 실적 가시성은 변함없음
- 밸류에이션까지 고려할 때 업종 내 Top-pick으로 추천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DS투자증권 반도체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semicon
[반도체] SK하이닉스 - 1Q25 Re: 역시 전교 1등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290,000원(유지)
현재주가 : 178,300원(04/24)
Upside : 62.6%
1. 1Q25 Review: DRAM의 예상보다 빠른 회복이 호실적에 기여
- DRAM B/G -8%, ASP flat
- NAND B/G -19%, ASP -21% 감소로 추정
- 계절적 비수기 불구하고 이구환신 보조금으로 인한 세트 수요 증가와 일부 재고 축적 수요가 맞물리며 DRAM 시황 예상보다 빨리 개선
- 1분기 HBM 매출액은 전분기 대비 5% 증가한 6.6조원 수준으로 추정
2. 2Q25 Preview: 호실적 지속 예상
- 2Q25 매출액 20.1조원(+14% QoQ), 영업이익 8.9조원(+19% QoQ) 전망
- AI 서버 수요는 여전히 견조하고 2분기에도 일부 관세를 대비한 고객사들의 Pull-in 수요가 이어질 것
- 아직까지 관세로 인한 실질적인 고객 수요 변화는 제한적
- 2분기부터 HBM3E 출하량의 50% 이상을 12단이 차지하면서 믹스 개선 효과 기대
3. 업종 내 Top-pick 추천
- 2025년 영업이익 추정치를 기존 36.4조원에서 37.3조원으로 상향 조정
- 올해는 1b DRAM 전환과 M15X 신규투자, 내년은 1c DRAM의 유의미한 양산이 시작될 전망
- 최근 AI 모멘텀 부재와 NVIDIA 설계 변경 이슈 대두되나 동사 펀더멘탈과 실적 가시성은 변함없음
- 밸류에이션까지 고려할 때 업종 내 Top-pick으로 추천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DS투자증권 반도체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semicon
Amazon과 Nvidia, AI 데이터 센터 수요 둔화 없다고 공식 언급
- Amazon 부사장: “앞으로도 수요는 계속 증가할 것”, 일시적 프로젝트 조정은 과도한 해석
- Nvidia도 “AI로 인한 컴퓨트 및 에너지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강조
- DeepSeek의 등장으로 전력 수요 우려가 있었으나, Nvidia는 “과잉 반응”이라며 확대 해석 경계
- Anthropic: 2027년까지 50GW 전력 수요 증가 예상, 이는 50개 원전 규모에 해당
- 업계는 AI로 인한 전력 수요 급증에 대응하기 위해 천연가스 활용 필요성에 공감
https://www.cnbc.com/2025/04/24/amazon-and-nvidia-say-ai-data-center-demand-is-not-slowing-down-.html
- Amazon 부사장: “앞으로도 수요는 계속 증가할 것”, 일시적 프로젝트 조정은 과도한 해석
- Nvidia도 “AI로 인한 컴퓨트 및 에너지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강조
- DeepSeek의 등장으로 전력 수요 우려가 있었으나, Nvidia는 “과잉 반응”이라며 확대 해석 경계
- Anthropic: 2027년까지 50GW 전력 수요 증가 예상, 이는 50개 원전 규모에 해당
- 업계는 AI로 인한 전력 수요 급증에 대응하기 위해 천연가스 활용 필요성에 공감
https://www.cnbc.com/2025/04/24/amazon-and-nvidia-say-ai-data-center-demand-is-not-slowing-down-.html
CNBC
Amazon and Nvidia say AI data center demand is not slowing down
Recession fears and the advent of China's DeepSeek have investors questioning whether U.S. tech companies will pull back on their data center plans.
DS Tech 이수림, 김진형
DS투자증권 반도체 Analyst 이수림, 연구원 김진형 Alphabet 1Q25 실적발표 URL : https://bit.ly/4iAHV6W *위 내용은 공개 실적발표 내용으로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제공됩니다.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DS투자증권 반도체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semicon
Alphabet, 2025년 Capex 750억 달러 유지할 것을 강조
- 클라우드 공급은 수요 대비 여전히 빠듯한 상황
- 25년 말에 가까워질수록 상대적으로 더 많은 용량이 배치될 것
- 25년 Capex 가이던스는 750억 달러 유지
- Capex는 납품과 건설 일정 변화로 분기별 변동성 있을 수 있으나 AI 투자는 강하게 유지될 것
- 클라우드 공급은 수요 대비 여전히 빠듯한 상황
- 25년 말에 가까워질수록 상대적으로 더 많은 용량이 배치될 것
- 25년 Capex 가이던스는 750억 달러 유지
- Capex는 납품과 건설 일정 변화로 분기별 변동성 있을 수 있으나 AI 투자는 강하게 유지될 것
금주 주요 빅테크 실적발표 일정 (컨퍼런스 콜 한국시간 기준)
05/01(목) 06:00 META
06:30 Microsoft
05/02(금) 06:00 Amazon, Apple
*News Release는 5시 전후 예상
05/01(목) 06:00 META
06:30 Microsoft
05/02(금) 06:00 Amazon, Apple
*News Release는 5시 전후 예상
DS투자증권 반도체 Analyst 이수림, 연구원 김진형
04/29 테크 주요 뉴스
◆ NVIDIA, 5월부터 B300 생산 준비에 착수, TSMC의 5nm 및 CoWoS-L 수요를 끌어올릴 전망
https://bit.ly/42CNX2o
◆ 화웨이, 이르면 5월부터 새로운 Ascend 910D AI 칩 테스트에 나설 예정
https://bit.ly/3RGzSum
◆ 중국, 200개의 칩 제조 도구 회사를 10개로 합병하는 것을 목표로 반도체 통합 가속화
https://bit.ly/4jTQvPl
◆ 1나노 반도체 경쟁시대 개막…TSMC, 1.4나노 2028년 양산
https://bit.ly/437B4xa
◆ Google, 삼성의 HBM3e 공정 포기한 것으로 전해졌으며, 이는 Nvidia의 퀄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했기 때문, 마이크론으로 전환 루머
https://bit.ly/4izlzTd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DS투자증권 반도체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semicon
04/29 테크 주요 뉴스
◆ NVIDIA, 5월부터 B300 생산 준비에 착수, TSMC의 5nm 및 CoWoS-L 수요를 끌어올릴 전망
https://bit.ly/42CNX2o
◆ 화웨이, 이르면 5월부터 새로운 Ascend 910D AI 칩 테스트에 나설 예정
https://bit.ly/3RGzSum
◆ 중국, 200개의 칩 제조 도구 회사를 10개로 합병하는 것을 목표로 반도체 통합 가속화
https://bit.ly/4jTQvPl
◆ 1나노 반도체 경쟁시대 개막…TSMC, 1.4나노 2028년 양산
https://bit.ly/437B4xa
◆ Google, 삼성의 HBM3e 공정 포기한 것으로 전해졌으며, 이는 Nvidia의 퀄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했기 때문, 마이크론으로 전환 루머
https://bit.ly/4izlzTd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DS투자증권 반도체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semicon
[News] NVIDIA Reportedly Kicks off B300 Production Preparation in May, Boosting TSMC’s 5nm and CoWoS-L | TrendForce News
At TSMC’s North America Technology Symposium, the foundry giant rolled out an ambitious roadmap for its CoWoS technology. Meanwhile, major customer NV...
Forwarded from AWAKE - 실시간 주식 공시 정리채널
2025.04.29 09:23:45
기업명: 넥스틴(시가총액: 5,731억)
보고서명: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자율공시)
계약상대 : SK하이닉스
계약내용 : Wafer Inspection System KROKY 공급계약
공급지역 : 국내
계약금액 : 64억
계약시작 : 2025-04-28
계약종료 : 2025-06-19
계약기간 : 1개월
매출대비 : 5.61%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9900124
최근계약 : https://www.awakeplus.co.kr/board/contract/348210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348210
기업명: 넥스틴(시가총액: 5,731억)
보고서명: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자율공시)
계약상대 : SK하이닉스
계약내용 : Wafer Inspection System KROKY 공급계약
공급지역 : 국내
계약금액 : 64억
계약시작 : 2025-04-28
계약종료 : 2025-06-19
계약기간 : 1개월
매출대비 : 5.61%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9900124
최근계약 : https://www.awakeplus.co.kr/board/contract/348210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348210
DS투자증권 반도체 Analyst 이수림, 연구원 김진형
04/30 테크 주요 뉴스
◆ 트럼프, 바이든 'AI칩 수출 규제' 뜯어 고친다…"협상 지렛대 활용 노려"
https://bit.ly/3GyxlQA
◆ 화웨이의 DeepSeek 올인원 머신 디코딩: 매력적인 가격으로 NVIDIA H100 성능의 60-70%
https://bit.ly/4jycLi1
◆ TSMC, A14에 대해 High-NA EUV 채택 대신 0.33-NA EUV 사용 유지 예상
https://bit.ly/42CQw4t
◆ Seagate, 대용량 스토리지에 대한 꾸준한 수요로 4분기 견조한 전망
https://bit.ly/3YlT7gD
◆ 삼성전자, SK하이닉스와 중국 경쟁사와의 경쟁 심화에 3D DRAM으로 주력 전환, 3년 내 양산 계획
https://bit.ly/4jrJNQE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DS투자증권 반도체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semicon
04/30 테크 주요 뉴스
◆ 트럼프, 바이든 'AI칩 수출 규제' 뜯어 고친다…"협상 지렛대 활용 노려"
https://bit.ly/3GyxlQA
◆ 화웨이의 DeepSeek 올인원 머신 디코딩: 매력적인 가격으로 NVIDIA H100 성능의 60-70%
https://bit.ly/4jycLi1
◆ TSMC, A14에 대해 High-NA EUV 채택 대신 0.33-NA EUV 사용 유지 예상
https://bit.ly/42CQw4t
◆ Seagate, 대용량 스토리지에 대한 꾸준한 수요로 4분기 견조한 전망
https://bit.ly/3YlT7gD
◆ 삼성전자, SK하이닉스와 중국 경쟁사와의 경쟁 심화에 3D DRAM으로 주력 전환, 3년 내 양산 계획
https://bit.ly/4jrJNQE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DS투자증권 반도체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semicon
조세일보
트럼프, 바이든 'AI칩 수출 규제' 뜯어 고친다…"협상 지렛대 활용 노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행정부가 인공지능(AI) 반도체의 수출을 국가별 등급제로 제한하는 조 바이든 전 행정부의 규칙을 변경 및 폐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
Forwarded from AWAKE - 실시간 주식 공시 정리채널
2025.04.30 09:05:06
기업명: 삼성전자(시가총액: 329조 1,319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791,405억(예상치 : 779,930억+/ 1%)
영업익 : 66,853억(예상치 : 51,659억/ +29%)
순이익 : 80,284억(예상치 : 56,770억+/ 41%)
**최근 실적 추이**
2025.1Q 791,405억/ 66,853억/ 80,284억
2024.4Q 757,883억/ 64,927억/ 77,544억
2024.3Q 790,987억/ 91,834억/ 101,009억
2024.2Q 740,683억/ 104,439억/ 98,413억
2024.1Q 719,156억/ 66,060억/ 67,547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30800069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05930
기업명: 삼성전자(시가총액: 329조 1,319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791,405억(예상치 : 779,930억+/ 1%)
영업익 : 66,853억(예상치 : 51,659억/ +29%)
순이익 : 80,284억(예상치 : 56,770억+/ 41%)
**최근 실적 추이**
2025.1Q 791,405억/ 66,853억/ 80,284억
2024.4Q 757,883억/ 64,927억/ 77,544억
2024.3Q 790,987억/ 91,834억/ 101,009억
2024.2Q 740,683억/ 104,439억/ 98,413억
2024.1Q 719,156억/ 66,060억/ 67,547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30800069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05930
[DS증권 이수림] 삼성전자 1Q25 Conference call Q/A (1)
1. 관세 관련 업계 불확실성 커지고 있는데 공급망 관리 등 경영계획?
- 반도체 스마트폰 태블릿 등 당사 주력제품들의 상호관세 제외된 대신 품목별 추가관세 조사가 진행중. 확정된 상황이 없으나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 당사의 강점인 글로벌 생산기지를 유연하게 활용할 것
- MX 사업은 반도체 등 파생부품 관세 부과 시 가격 상승할 수 있어 예의 주시할 것. VD/DA는 프리미엄 제품 확대를 추진하고 일부 물량의 생산지 이전도 고려. DS는 미국의 반도체 관세 정책의 향배를 면밀히 주시하며 대응안 지속 검토
2. 1분기 메모리 실적 관련 상세한 공유 부탁
- AI 서버향 수요 견조세 이어지고 PC와 모바일에서도 가격 저점에 대한 인식으로 주문 발생. 관세 영향으로 Pull-in 수요도 발생. 다만 HBM은 개선제품 출시에 따른 수요 이연과 AI향 반도체 수출 통제 영향으로 수요 공백 현상이 실제로 발생. 전분기 대비 판매 감소
- 서버 DRAM B/G 전분기대비 10% 확대, 이에 따라 컨벤셔널 DRAM B/G 한자릿수 후반 증가. DRAM ASP는 한자릿수 중반 하락
- NAND는 B/G 10% 감소. 서버향 SSD 제품의 가격 하락이 타제품대비 상대적으로 큼. 당사는 서버향 SSD 제품 비중 높아 1분기 ASP는 10% 중반 수준 하락
3. 자사주 매입과 보유현금 활용 계획
- 3조원 중 임직원 주식보상 제외한 2.5조원은 1차 자사주 매입과 동일하게 소각 진행할 것. 잔여재원 4조원 관련해서는 여러 활용방안 추후 이사회에서 논의 후 결정. 보유현금 활용 관련하여 불확실성 크지만 주주환원정책 충실히 이행할 것
4. MX의 호실적 배경 궁금, 개선된 원가구조가 2분기 하반기에도 지속 가능한지?
- 플래그십 모델의 전체적 판매가 증가. 제품 믹스 개선. 또한 판매비용을 포함한 개발제조물류 등 프로세스 전반에 걸친 최적화, 효율화를 통해 손익이 개선. 또한 원가경쟁력을 추가 확보. 전년대비 메모리 디스플레이 가격 하락, 부품 표준화로 인한 절감 노력. 관세정책의 불확실성, 주요 부품 단가 상승 전망. S25 엣지 출시를 통해 프리미엄 제품 비중 높일 것
1. 관세 관련 업계 불확실성 커지고 있는데 공급망 관리 등 경영계획?
- 반도체 스마트폰 태블릿 등 당사 주력제품들의 상호관세 제외된 대신 품목별 추가관세 조사가 진행중. 확정된 상황이 없으나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 당사의 강점인 글로벌 생산기지를 유연하게 활용할 것
- MX 사업은 반도체 등 파생부품 관세 부과 시 가격 상승할 수 있어 예의 주시할 것. VD/DA는 프리미엄 제품 확대를 추진하고 일부 물량의 생산지 이전도 고려. DS는 미국의 반도체 관세 정책의 향배를 면밀히 주시하며 대응안 지속 검토
2. 1분기 메모리 실적 관련 상세한 공유 부탁
- AI 서버향 수요 견조세 이어지고 PC와 모바일에서도 가격 저점에 대한 인식으로 주문 발생. 관세 영향으로 Pull-in 수요도 발생. 다만 HBM은 개선제품 출시에 따른 수요 이연과 AI향 반도체 수출 통제 영향으로 수요 공백 현상이 실제로 발생. 전분기 대비 판매 감소
- 서버 DRAM B/G 전분기대비 10% 확대, 이에 따라 컨벤셔널 DRAM B/G 한자릿수 후반 증가. DRAM ASP는 한자릿수 중반 하락
- NAND는 B/G 10% 감소. 서버향 SSD 제품의 가격 하락이 타제품대비 상대적으로 큼. 당사는 서버향 SSD 제품 비중 높아 1분기 ASP는 10% 중반 수준 하락
3. 자사주 매입과 보유현금 활용 계획
- 3조원 중 임직원 주식보상 제외한 2.5조원은 1차 자사주 매입과 동일하게 소각 진행할 것. 잔여재원 4조원 관련해서는 여러 활용방안 추후 이사회에서 논의 후 결정. 보유현금 활용 관련하여 불확실성 크지만 주주환원정책 충실히 이행할 것
4. MX의 호실적 배경 궁금, 개선된 원가구조가 2분기 하반기에도 지속 가능한지?
- 플래그십 모델의 전체적 판매가 증가. 제품 믹스 개선. 또한 판매비용을 포함한 개발제조물류 등 프로세스 전반에 걸친 최적화, 효율화를 통해 손익이 개선. 또한 원가경쟁력을 추가 확보. 전년대비 메모리 디스플레이 가격 하락, 부품 표준화로 인한 절감 노력. 관세정책의 불확실성, 주요 부품 단가 상승 전망. S25 엣지 출시를 통해 프리미엄 제품 비중 높일 것
[DS증권 이수림] 삼성전자 1Q25 Conference call Q/A (2)
5. HBM 2분기 이후 사업전망
- 하반기 매출 개선폭에 다소 변동은 있을 수 있으나 HBM 판매량은 1분기 저점을 찍고 매분기 계단식으로 회복될 것으로 전망. HBM4는 하반기 양산 목표로 개발 진행. 커스텀 HBM 또한 HBM4 및 4E 기반 복수의 고객들과 협의 진행. 26년부터 판매에 기여할 것
6. TV 시장 점유율 하락중인데 올해는 점유율 반등 가능한지?
- TV 시장은 QLED 75인치 이상 대형 제품 수요 증가하나 각 세그먼트에서 중저가 제품 위주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 TV 본연의 경쟁력 극대화 및 소비자의 니즈와 취향 파악한 실질적인 AI 기능을 고도화한 AI TV 라인업 확대할 것
7. 최근 파운드리 적자폭, 수익성 악화된 이유가 뭔지. 하반기 개선될 수 있을지?
- 단기적으로는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 지속되고 모바일 PC 시장 수요 침체 지속. 주요 고객사의 수요 부진으로 인한 가동률 하락이 고정비 부담으로 이어짐
- 하반기는 거시경제 환경의 불확실성이 존재하나 점진적으로 적자폭 축소를 기대. 선단노드에서는 안정적인 양산성 확보하고 신규수주 확대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 성숙 공정에서는 원가 경쟁력 극대화 및 시장확대 추구
8. 메모리 시장 전망
- 2분기는 고객사 부품재고 정상화, AI 수요 지속되면서 메모리 시장 펀더멘탈 견조하게 유지될 것. 관세 및 수출통제로 인한 하반기 수요의 불확실성 증가중. 2분기는 관세 유예 영향으로 Pull-in 공급 요청이 증가하고 있고, 이는 하반기 수요에 부정적인 영향 미칠 수도 있음을 고려하고 있음
- 2분기 DRAM은 모바일과 PC응용에서부터 가격 회복이 예상. NAND는 가격 하락폭 둔화, 일부 제품은 플랫 또는 소폭 상승 수준으로도 가격 전망. 당사 관점에서 DRAM은 매출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
- DRAM 2분기 B/G 전분기대비 10% 초반 상승. NAND는 재고 리빌드를 위한 고객들의 구매요청 예상. NAND 10% 중반 B/G 상승
9. 최근 딥시크가 화두, 서버 외에도 PC나 모바일 시장에서 AI 관련 수요와 제품 요구사항 변화가 있는지
- 정확도가 높은 sLLM 기반 AI 추론 모델 확산에 대한 기대 증가하면서 엣지 디바이스에서도 AI 기능 활용을 위한 다양한 시도 있을 것
- 워크스테이션 급 AI PC는 시스템당 최소 128GB DRAM을 채용하는 고사양 제품 등장, 이의 수요 급격하게 증가. 컨벤셔널 PC는 현재 하드웨어로는 충분하지 않아 AI 컨텐츠를 개발하기에는 시간이 좀 걸릴 것으로 보이나 추가적인 하드웨어 스펙 상향에 따른 메모리 성능 및 용량 증가에 대한 요구 지속될 것으로 보임
- 실제로 올해 플래그십에서 AI 경쟁 심화되면서 LPDDR5X 제품의 고용량화가 더욱 가시화되고 있음. 2026년 이후 LPDDR6와 함께 LPW, LPCAMM등 다양한 제품에 대한 논의 활발
5. HBM 2분기 이후 사업전망
- 하반기 매출 개선폭에 다소 변동은 있을 수 있으나 HBM 판매량은 1분기 저점을 찍고 매분기 계단식으로 회복될 것으로 전망. HBM4는 하반기 양산 목표로 개발 진행. 커스텀 HBM 또한 HBM4 및 4E 기반 복수의 고객들과 협의 진행. 26년부터 판매에 기여할 것
6. TV 시장 점유율 하락중인데 올해는 점유율 반등 가능한지?
- TV 시장은 QLED 75인치 이상 대형 제품 수요 증가하나 각 세그먼트에서 중저가 제품 위주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 TV 본연의 경쟁력 극대화 및 소비자의 니즈와 취향 파악한 실질적인 AI 기능을 고도화한 AI TV 라인업 확대할 것
7. 최근 파운드리 적자폭, 수익성 악화된 이유가 뭔지. 하반기 개선될 수 있을지?
- 단기적으로는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 지속되고 모바일 PC 시장 수요 침체 지속. 주요 고객사의 수요 부진으로 인한 가동률 하락이 고정비 부담으로 이어짐
- 하반기는 거시경제 환경의 불확실성이 존재하나 점진적으로 적자폭 축소를 기대. 선단노드에서는 안정적인 양산성 확보하고 신규수주 확대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 성숙 공정에서는 원가 경쟁력 극대화 및 시장확대 추구
8. 메모리 시장 전망
- 2분기는 고객사 부품재고 정상화, AI 수요 지속되면서 메모리 시장 펀더멘탈 견조하게 유지될 것. 관세 및 수출통제로 인한 하반기 수요의 불확실성 증가중. 2분기는 관세 유예 영향으로 Pull-in 공급 요청이 증가하고 있고, 이는 하반기 수요에 부정적인 영향 미칠 수도 있음을 고려하고 있음
- 2분기 DRAM은 모바일과 PC응용에서부터 가격 회복이 예상. NAND는 가격 하락폭 둔화, 일부 제품은 플랫 또는 소폭 상승 수준으로도 가격 전망. 당사 관점에서 DRAM은 매출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
- DRAM 2분기 B/G 전분기대비 10% 초반 상승. NAND는 재고 리빌드를 위한 고객들의 구매요청 예상. NAND 10% 중반 B/G 상승
9. 최근 딥시크가 화두, 서버 외에도 PC나 모바일 시장에서 AI 관련 수요와 제품 요구사항 변화가 있는지
- 정확도가 높은 sLLM 기반 AI 추론 모델 확산에 대한 기대 증가하면서 엣지 디바이스에서도 AI 기능 활용을 위한 다양한 시도 있을 것
- 워크스테이션 급 AI PC는 시스템당 최소 128GB DRAM을 채용하는 고사양 제품 등장, 이의 수요 급격하게 증가. 컨벤셔널 PC는 현재 하드웨어로는 충분하지 않아 AI 컨텐츠를 개발하기에는 시간이 좀 걸릴 것으로 보이나 추가적인 하드웨어 스펙 상향에 따른 메모리 성능 및 용량 증가에 대한 요구 지속될 것으로 보임
- 실제로 올해 플래그십에서 AI 경쟁 심화되면서 LPDDR5X 제품의 고용량화가 더욱 가시화되고 있음. 2026년 이후 LPDDR6와 함께 LPW, LPCAMM등 다양한 제품에 대한 논의 활발
삼성전자 1분기 메모리 Key Data
- DRAM B/G 한자릿수 초반 증가
ASP -20% 감소
- NAND B/G 10% 감소
ASP -10% 중반 감소
- DRAM B/G 한자릿수 초반 증가
ASP -20% 감소
- NAND B/G 10% 감소
ASP -10% 중반 감소
TSMC's AI chip plans remain on track; CoWoS capacity to double in 2025
TSMC 2025년 말까지 CoWoS CAPA 2배 증설 기조를 유지
https://www.digitimes.com/news/a20250430PD220.html
TSMC 2025년 말까지 CoWoS CAPA 2배 증설 기조를 유지
https://www.digitimes.com/news/a20250430PD220.html
DIGITIMES
TSMC's AI chip plans remain on track; CoWoS capacity to double in 2025
TSMC's advanced packaging capacity for artificial intelligence (AI) chips remains within forecast ranges for 2025, contrary to recent market speculation about order reductions from key customers like Nvidia, according to industry supply chain sources.
Forwarded from DS투자증권 리서치
두산 전자 BG 빅 서프네요
두산 전자 BG 1분기 실적 (잠정치)
1분기 매출 4,029억원 (+116% yoy)
영업이익 1,170억원 (+588% yoy)
OP마진 30% 내외로 보입니다
두산 전자 BG 1분기 실적 (잠정치)
1분기 매출 4,029억원 (+116% yoy)
영업이익 1,170억원 (+588% yoy)
OP마진 30% 내외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