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S투자증권 반도체 Analyst 이수림, 연구원 김진형
4월 1~20일 반도체 수출액 잠정치
DRAM 13.2억달러
(+3% MoM, +10% QoQ, +30% YoY)
DRAM 모듈 4.9억달러
(-36% MoM, -14% QoQ, +41% YoY)
NAND 2.5억달러
(+16% MoM, +23% QoQ, -30% YoY)
MCP 11.6억달러
(-33% MoM, +10% QoQ, +1% YoY)
SSD 2.1억달러
(-46% MoM, -20% QoQ, -44% YoY)
(각 증감률은 모두 1~20일 기준)
(수출단가의 경우 당월분만 1~20일 기준)
4월 1~20일 반도체 수출액 잠정치
DRAM 13.2억달러
(+3% MoM, +10% QoQ, +30% YoY)
DRAM 모듈 4.9억달러
(-36% MoM, -14% QoQ, +41% YoY)
NAND 2.5억달러
(+16% MoM, +23% QoQ, -30% YoY)
MCP 11.6억달러
(-33% MoM, +10% QoQ, +1% YoY)
SSD 2.1억달러
(-46% MoM, -20% QoQ, -44% YoY)
(각 증감률은 모두 1~20일 기준)
(수출단가의 경우 당월분만 1~20일 기준)
Amazon, 일부 데이터 센터 임대 계약을 보류 중 (Wells Fargo)
-Amazon이 일부 해외 데이터 센터 임대 논의를 보류 중이라는 Wells Fargo 보고서 언급. 이는 Microsoft가 데이터 센터 투자를 지연한 것과 유사한 흐름이라고 코멘트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클라우드 기업들의 투자 심리가 위축되는 분위기
-다만, 기존 계약은 취소되지 않았으며, Amazon은 공식적으로 “계획에 변화는 없다”는 입장
-Amazon과 Microsoft는 다음 주 실적 발표를 앞두고 있으며, 현재 각각 25%, 15%의 주가 하락을 기록 중
https://www.cnbc.com/2025/04/21/amazon-has-paused-some-data-center-lease-commitments-wells-fargo.html
-Amazon이 일부 해외 데이터 센터 임대 논의를 보류 중이라는 Wells Fargo 보고서 언급. 이는 Microsoft가 데이터 센터 투자를 지연한 것과 유사한 흐름이라고 코멘트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클라우드 기업들의 투자 심리가 위축되는 분위기
-다만, 기존 계약은 취소되지 않았으며, Amazon은 공식적으로 “계획에 변화는 없다”는 입장
-Amazon과 Microsoft는 다음 주 실적 발표를 앞두고 있으며, 현재 각각 25%, 15%의 주가 하락을 기록 중
https://www.cnbc.com/2025/04/21/amazon-has-paused-some-data-center-lease-commitments-wells-fargo.html
CNBC
Amazon has paused some data center lease commitments, Wells Fargo says
Amazon and Microsoft both appear to be slowing down or holding off on early data center projects.
DS투자증권 반도체 Analyst 이수림, 연구원 김진형
04/22 테크 주요 뉴스
◆ JEDEC, HBM4 표준 확정으로 하이브리드 본딩 채택에 대한 압박 완화 가능성 확보
https://bit.ly/4jLcGah
◆ 삼성전자, 최근 HBM 로직의 테스트 생산 수율이 40% 상회
https://bit.ly/4jNF5wx
◆ 화웨이의 어센드 920, 2H25로 예정, SMIC의 역량과 HBM 접근에 대한 우려 증가
https://bit.ly/43XWRsd
◆ CXMT, 2025년 CAPA 크게 확대하여 이전 예상 훨씬 뛰어넘을 것으로 예상
https://bit.ly/44BOxyt
◆ Intel, 18A 성능 공개, TSMC의 N2의 SRAM 밀도와 동일, NVIDIA와 Broadcom은 Intel의 18A를 테스트
https://bit.ly/3Ez6qDF
◆ TSMC의 미국 팹은 143억 대만달러의 손실을 기록, 반면 중국 사업은 꾸준한 이익을 내는 중
https://bit.ly/4jMsqdh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DS투자증권 반도체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semicon
04/22 테크 주요 뉴스
◆ JEDEC, HBM4 표준 확정으로 하이브리드 본딩 채택에 대한 압박 완화 가능성 확보
https://bit.ly/4jLcGah
◆ 삼성전자, 최근 HBM 로직의 테스트 생산 수율이 40% 상회
https://bit.ly/4jNF5wx
◆ 화웨이의 어센드 920, 2H25로 예정, SMIC의 역량과 HBM 접근에 대한 우려 증가
https://bit.ly/43XWRsd
◆ CXMT, 2025년 CAPA 크게 확대하여 이전 예상 훨씬 뛰어넘을 것으로 예상
https://bit.ly/44BOxyt
◆ Intel, 18A 성능 공개, TSMC의 N2의 SRAM 밀도와 동일, NVIDIA와 Broadcom은 Intel의 18A를 테스트
https://bit.ly/3Ez6qDF
◆ TSMC의 미국 팹은 143억 대만달러의 손실을 기록, 반면 중국 사업은 꾸준한 이익을 내는 중
https://bit.ly/4jMsqdh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DS투자증권 반도체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semicon
[News] JEDEC Finalizes HBM4 Standard, Potentially Easing Pressure on Hybrid Bonding Adoption | TrendForce News
As leading memory giants ramp up preparations for the next-generation high bandwidth memory (HBM) battle, JEDEC—the standards-setting body for the mic...
DS투자증권 반도체 Analyst 이수림, 연구원 김진형
04/23 테크 주요 뉴스
◆ 아마존 CEO, 데이터 센터 건설을 축소하지 않을 것으로 입장 표명
확장 계획에는 최근 근본적인 변화가 없음
공급망 전반에 걸쳐 AWS의 주문 모멘텀에는 큰 변화가 없었으며
이는 회사가 AI ASIC 배포를 확장하기 위해 계속 노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https://bit.ly/42JEIMD
◆ 삼성전자, 중국 기업과의 경쟁 치열해짐에 따라 4월에 DDR4 생산 중단 루머
https://bit.ly/3YJaPdT
◆ AMD, 미국 AI 서버 조립 공장 매각 루머
https://bit.ly/4lG0Ik0
◆ 화웨이의 AI 칩 Ascend 910C, 미국의 엔비디아 규제 속에서 5월 대량 출하 준비
https://bit.ly/4lG4euz
◆ 인텔, 차세대 그래픽카드에 GDDR7 탑재 전망
https://bit.ly/3S7BgWV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DS투자증권 반도체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semicon
04/23 테크 주요 뉴스
◆ 아마존 CEO, 데이터 센터 건설을 축소하지 않을 것으로 입장 표명
확장 계획에는 최근 근본적인 변화가 없음
공급망 전반에 걸쳐 AWS의 주문 모멘텀에는 큰 변화가 없었으며
이는 회사가 AI ASIC 배포를 확장하기 위해 계속 노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https://bit.ly/42JEIMD
◆ 삼성전자, 중국 기업과의 경쟁 치열해짐에 따라 4월에 DDR4 생산 중단 루머
https://bit.ly/3YJaPdT
◆ AMD, 미국 AI 서버 조립 공장 매각 루머
https://bit.ly/4lG0Ik0
◆ 화웨이의 AI 칩 Ascend 910C, 미국의 엔비디아 규제 속에서 5월 대량 출하 준비
https://bit.ly/4lG4euz
◆ 인텔, 차세대 그래픽카드에 GDDR7 탑재 전망
https://bit.ly/3S7BgWV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DS투자증권 반도체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semicon
[News] Amazon Taps the Brakes on Data Center Leasing? TrendForce Sees Strategy Shift, Warns of Capex Caution | TrendForce News
Are uncertainties surrounding Trump’s tariffs prompting tech companies to scale back their spending? According to a CNBC report, Amazon has reportedly...
메모리 스팟 가격 업데이트: DRAM 공급업체들, 관세 대비 재고 확보 움직임 속에 가격 8~10% 인상 (Trendforce)
- DRAM
OEM들은 관세 불확실성 대비 위해 재고 확보에 나섬
DRAM 공급사들, 이에 맞춰 스팟 가격 8~10% 인상
DDR4 1Gx8 3200MT/s 가격 2.81% 상승
- NAND
관세 유예로 인해 단기 수요 위축 우려 지속
최종 수요자들, 발주 속도 조절 중
512Gb TLC 웨이퍼 가격 0.04% 하락
https://www.trendforce.com/news/2025/04/23/insights-memory-spot-price-update-dram-suppliers-raise-prices-by-8-10-amid-stockpiling-ahead-of-tariffs/
- DRAM
OEM들은 관세 불확실성 대비 위해 재고 확보에 나섬
DRAM 공급사들, 이에 맞춰 스팟 가격 8~10% 인상
DDR4 1Gx8 3200MT/s 가격 2.81% 상승
- NAND
관세 유예로 인해 단기 수요 위축 우려 지속
최종 수요자들, 발주 속도 조절 중
512Gb TLC 웨이퍼 가격 0.04% 하락
https://www.trendforce.com/news/2025/04/23/insights-memory-spot-price-update-dram-suppliers-raise-prices-by-8-10-amid-stockpiling-ahead-of-tariffs/
[Insights] Memory Spot Price Update: DRAM Suppliers Raise Prices by 8-10% amid Stockpiling ahead of Tariffs | TrendForce News
According to TrendForce's latest memory spot price trend report, regarding DRAM, OEMs are gradually increasing inventory levels to ensure they have sa...
트럼프 행정부,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 대폭 인하하는 방안 고려 중
https://www.wsj.com/politics/policy/white-house-considers-slashing-china-tariffs-to-de-escalate-trade-war-6f875d69?mod=hp_lead_pos1
https://www.wsj.com/politics/policy/white-house-considers-slashing-china-tariffs-to-de-escalate-trade-war-6f875d69?mod=hp_lead_pos1
WSJ
Exclusive | White House Considers Slashing China Tariffs to De-Escalate Trade War
Levies could be cut by more than half in some cases although President Trump hasn’t yet made a final decision.
DS투자증권 반도체 Analyst 이수림, 연구원 김진형
Lam Research 1Q25 실적발표
URL : https://bit.ly/3Rx60kc
*위 내용은 공개 실적발표 내용으로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제공됩니다.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DS투자증권 반도체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semicon
Lam Research 1Q25 실적발표
URL : https://bit.ly/3Rx60kc
*위 내용은 공개 실적발표 내용으로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제공됩니다.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DS투자증권 반도체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semicon
DS투자증권 반도체 Analyst 이수림, 연구원 김진형
04/24 테크 주요 뉴스
◆ 中 빅테크, 美 제재 전 엔비디아 AI 칩 '사재기'… 수십억 달러 규모
https://bit.ly/4cKNJJL
◆ SK하이닉스, 'CXL 2.0' D램 고객 인증 완료…데이터센터 시장 공략
https://bit.ly/4jRHlTz
◆ 마이크론, 삼성에 이어 DDR4 생산 축소… 대만 공급업체 수혜 예상
https://bit.ly/42LwCmI
◆ 삼성전자 테일러 팹, 완공 임박하지만 비용 증가와 수요 불확실성으로 지연 우려
https://bit.ly/4jHcCsJ
◆ "AI 에이전트 구축 속도↑"…엔비디아, '니모 마이크로서비스' 출시
https://bit.ly/449lmms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DS투자증권 반도체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semicon
04/24 테크 주요 뉴스
◆ 中 빅테크, 美 제재 전 엔비디아 AI 칩 '사재기'… 수십억 달러 규모
https://bit.ly/4cKNJJL
◆ SK하이닉스, 'CXL 2.0' D램 고객 인증 완료…데이터센터 시장 공략
https://bit.ly/4jRHlTz
◆ 마이크론, 삼성에 이어 DDR4 생산 축소… 대만 공급업체 수혜 예상
https://bit.ly/42LwCmI
◆ 삼성전자 테일러 팹, 완공 임박하지만 비용 증가와 수요 불확실성으로 지연 우려
https://bit.ly/4jHcCsJ
◆ "AI 에이전트 구축 속도↑"…엔비디아, '니모 마이크로서비스' 출시
https://bit.ly/449lmms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DS투자증권 반도체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semicon
MSN
中 빅테크, 美 제재 전 엔비디아 AI 칩 '사재기'… 수십억 달러 규모
미국의 추가 제재를 예상한 중국의 거대 인터넷 기업들이 엔비디아의 인공지능(AI) 칩을 대규모로 비축한 것으로 알려졌다. 23일(현지시각) 닛케이 아시아의 보도에 따르면, 미국 정부가 엔비디아의 H20 AI 칩의 중국 수출을 제한하기 직전인 지난 4월, 바이트댄스, 알리바바, 텐센트 등 중국 주요 기술 기업들이 수십억 달러에 달하는 엔비디아의 H20 AI 칩을 대거 확보한 것으로 드러났다.소식통에 따르면, 미국의 수출 통제 규정을 준수하기 위해 특별히…
Forwarded from AWAKE - 실시간 주식 공시 정리채널
2025.04.24 07:43:04
기업명: SK하이닉스(시가총액: 131조 7,684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176,391억(예상치 : 173,839억+/ 1%)
영업익 : 74,405억(예상치 : 66,324억/ +12%)
순이익 : 81,071억(예상치 : 53,761억+/ 51%)
**최근 실적 추이**
2025.1Q 176,391억/ 74,405억/ 81,071억
2024.4Q 197,670억/ 80,828억/ 80,065억
2024.3Q 175,731억/ 70,300억/ 57,534억
2024.2Q 164,233억/ 54,685억/ 41,200억
2024.1Q 124,296억/ 28,860억/ 19,170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4800003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00660
기업명: SK하이닉스(시가총액: 131조 7,684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176,391억(예상치 : 173,839억+/ 1%)
영업익 : 74,405억(예상치 : 66,324억/ +12%)
순이익 : 81,071억(예상치 : 53,761억+/ 51%)
**최근 실적 추이**
2025.1Q 176,391억/ 74,405억/ 81,071억
2024.4Q 197,670억/ 80,828억/ 80,065억
2024.3Q 175,731억/ 70,300억/ 57,534억
2024.2Q 164,233억/ 54,685억/ 41,200억
2024.1Q 124,296억/ 28,860억/ 19,170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4800003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00660
DS Tech 이수림, 김진형
2025.04.24 07:43:04 기업명: SK하이닉스(시가총액: 131조 7,684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176,391억(예상치 : 173,839억+/ 1%) 영업익 : 74,405억(예상치 : 66,324억/ +12%) 순이익 : 81,071억(예상치 : 53,761억+/ 51%) **최근 실적 추이** 2025.1Q 176,391억/ 74,405억/ 81,071억 2024.4Q 197,670억/ 80…
컨센서스 6.6조, 당사 추정치 6.9조를 크게 상회하는 7.4조네요! 😀 최근 높아진 시장 눈높이도 상회한 것 같습니다.
SK하이닉스 1Q25 Quick Brief
-1분기 리뷰
DRAM B/G 하이싱글% 감소, ASP 플랫
NAND B/G 하이틴% 감소, ASP 20% 감소
- 2분기 전망
DRAM B/G 10% 초반 증가
NAND B/G 20% 이상 증가
- Capex
M15X 올해 4분기 fab 오픈
용인 1기 fab은 올해 1분기 착공, 계획대로 ‘27년 2분기 준공
NAND는 신중한 투자 기조 유지
- HBM
올해 수요 변함없이 전년 대비 2배 성장 유지
2분기 HBM3E 출하량 절반 이상이 12단
HBM4 샘플 3월 NVDA 향으로 최초 제공
HBM4 12단 올해 내 양산 준비 마무리 계획
-1분기 리뷰
DRAM B/G 하이싱글% 감소, ASP 플랫
NAND B/G 하이틴% 감소, ASP 20% 감소
- 2분기 전망
DRAM B/G 10% 초반 증가
NAND B/G 20% 이상 증가
- Capex
M15X 올해 4분기 fab 오픈
용인 1기 fab은 올해 1분기 착공, 계획대로 ‘27년 2분기 준공
NAND는 신중한 투자 기조 유지
- HBM
올해 수요 변함없이 전년 대비 2배 성장 유지
2분기 HBM3E 출하량 절반 이상이 12단
HBM4 샘플 3월 NVDA 향으로 최초 제공
HBM4 12단 올해 내 양산 준비 마무리 계획
DS투자증권 반도체 이수림, 김진형
SK하이닉스 Conference Call (1)
-1분기 리뷰
중국 컨슈머 제품에 대한 보조금 효과, 일부 재고 축적 수요 맞물리며 예상보다 시황 빨리 개선됨
계절적 비수기 임에도 불구하고 전년동기대비 42% 증가한 매출 기록
기존 계획보다 PC와 모바일 향 수요도 견조
HBM은 HBM3E 12단 제품 확대하여 매출 지속적으로 증가
NAND는 현물 시장 중심으로 가격 오르기도 했으나 DRAM 대비 시장 수요가 좋지 않았음. ASP는 고객의 재고축적 효과와 단품 판매 증가로 일부 방어
- 시장 전망
올해 하반기로 가며 메모리 시황 개선 예상했으나 관세 정책 등 대외 불확실성 높아져 하반기 수요 전망에도 변동성 커짐. HBM은 1년전 고객과 공급물량을 협의하는 특성상 올해 수요 변화 없을 것
PC: 윈도우 10 종료로 인한 교체수요와 AI PC 본격화
스마트폰: LPDDR5X, LPDDRT 등 고성능 메모리 수요는 지속, 신규 스마트폰의 AI 성능 개선이 교체수요를 촉진할 것으로 예상. 1분기 고객 재고 축소 지속, 중국 보조금 지급으로 수요 증가. 선구매 수요 일부 발생
서버: 빅테크 기업들의 경쟁으로 AI 서버의 빠른 성장이 지속. 새로운 AI 모델과 AI 에이전트 지속 공개하여 시장 불확실성에 따른 수요 변동성 제한적일 것. 특히 오픈소스 AI 모델 등장으로 AI 생태계 활성화, AI 서버 수요를 더욱 촉진시킬 것
NAND 시장은 올 한해 수요보다는 공급단에서의 조절이 중요할 것. 감산에 따른 영향 올해 지속될 것
- 기타 재무상황
솔리다임 1분기 잔여 인수대금 20억 불 지급
현금성자산 14.3조원(전분기대비 0.2조원 증가)
차입금 23.3조원(전분기대비 0.6조원 증가)
SK하이닉스 Conference Call (1)
-1분기 리뷰
중국 컨슈머 제품에 대한 보조금 효과, 일부 재고 축적 수요 맞물리며 예상보다 시황 빨리 개선됨
계절적 비수기 임에도 불구하고 전년동기대비 42% 증가한 매출 기록
기존 계획보다 PC와 모바일 향 수요도 견조
HBM은 HBM3E 12단 제품 확대하여 매출 지속적으로 증가
NAND는 현물 시장 중심으로 가격 오르기도 했으나 DRAM 대비 시장 수요가 좋지 않았음. ASP는 고객의 재고축적 효과와 단품 판매 증가로 일부 방어
- 시장 전망
올해 하반기로 가며 메모리 시황 개선 예상했으나 관세 정책 등 대외 불확실성 높아져 하반기 수요 전망에도 변동성 커짐. HBM은 1년전 고객과 공급물량을 협의하는 특성상 올해 수요 변화 없을 것
PC: 윈도우 10 종료로 인한 교체수요와 AI PC 본격화
스마트폰: LPDDR5X, LPDDRT 등 고성능 메모리 수요는 지속, 신규 스마트폰의 AI 성능 개선이 교체수요를 촉진할 것으로 예상. 1분기 고객 재고 축소 지속, 중국 보조금 지급으로 수요 증가. 선구매 수요 일부 발생
서버: 빅테크 기업들의 경쟁으로 AI 서버의 빠른 성장이 지속. 새로운 AI 모델과 AI 에이전트 지속 공개하여 시장 불확실성에 따른 수요 변동성 제한적일 것. 특히 오픈소스 AI 모델 등장으로 AI 생태계 활성화, AI 서버 수요를 더욱 촉진시킬 것
NAND 시장은 올 한해 수요보다는 공급단에서의 조절이 중요할 것. 감산에 따른 영향 올해 지속될 것
- 기타 재무상황
솔리다임 1분기 잔여 인수대금 20억 불 지급
현금성자산 14.3조원(전분기대비 0.2조원 증가)
차입금 23.3조원(전분기대비 0.6조원 증가)
DS투자증권 반도체 이수림, 김진형
SK하이닉스 Q&A (1)
1) 관세 영향에 따라 회사 측에서 올해 메모리 수요와 시황 어떻게 변할 것으로 보고 있는가?
현시점에서는 관세 불확실성이 상존해 구체적인 답변은 어려움. 글로벌 고객들은 당사와 협의중이던 메모리 수요와 주문 계획을 유지하고 있음. 일부 고객들은 수요를 앞당기는 움직임도 존재. PC와 스마트폰 등 IT 소비재들은 관세 적용이 당분간 유예되면서 AI 기능 탑재된 신제품 출시효과 기대중. 최종 소비자 입장에서도 가격 인상 전에 구매를 서두를 가능성도 있다고 판단하여 오히려 구매 촉진 가능성도 기대. AI 서버는 상대적으로 관세로 인한 수요 변화가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
2) 올해 HBM 수요와 공급계획에 대한 변화가 있는지? 주요 고객의 제품 출시와 로드맵 변경에 대한 노이즈 계속되고 일부 제품 중국 수출 제재에 따른 HBM 영향 계속 제기되고 있는 상황
고객과 계속 협의중이며 올해 공급 계획은 기존 수요 예측과 변화 없음. 당사는HBM3E 12단 제품을 포함한 HBM 전제품 라인업을 공급중이며 고객 수요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CAPA를 보유하고 있음. 올해 당사 HBM 매출 전년대비 2배 이상 성장한다는 기존 계획 유지, 2분기 역시 HBM3E 12단이 HBM 매출 절반 이상 차지할 것
3) 딥시크 이후 고용량 서버 수요에 대한 시장의 우려가 있었는데 오히려 96GB 같은 고용량 서버 수요가 늘어나고 있음. 그 이유와 향후 전망?
딥시크는 동일 성능의 AI를 더 적은 하드웨어 자원으로 구현할 수 있게 함. 이는 AI 시장의 진입장벽을 크게 낮추었다는 판단. 개발 비용이 저렴해지면서 AI 개발 시도가 급격하게 증가. 이 과정에서 HBM 뿐 아니라 고용량 서버 DIMM 수요 역시 확대되고 있는 상황. 1분기 동안 당사도 DDR5 기반 96GB 모듈 수요 증가를 경험했고 올해 고용량 DIMM 수요는 지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 오픈AI o3나 딥시크 R1은 더욱 정교한 결과를 위해 추론 과정을 길게 채택하는 방식, 이는 더 많은 메모리를 요구. AI 중심이 모델 훈련에서 추론으로 확장. 이 역시 추가적인 고용량 메모리 수요를 창출하는 원인 중 하나
4) 당사의 미국 직접 수출 비중? 현재 기준으로 관세로 사업에 미치는 영향이 어느 정도인지? 향후 대응 전략?
높은 AI향 매출을 감안, 미국 매출 비중은 감사보고서 법인소재지 기준으로 약 60%. 관세 부과 기준은 미국으로 선적되는 물량을 기준으로 부과. 다만 미국 고객이라도 메모리 제품의 선적은 미국 외 지역으로 가는 경우가 많아 미국으로 직접 가는 비중은 그렇게 높지 않음. 복잡한 글로벌 반도체 서플라이체인 특성상 현재로서는 정확한 영향을 산출하기에 제약이 있음. 향후 관세 발효 시점에 고객과 협의해서 고객 공급 안정성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도록 대응할 것
SK하이닉스 Q&A (1)
1) 관세 영향에 따라 회사 측에서 올해 메모리 수요와 시황 어떻게 변할 것으로 보고 있는가?
현시점에서는 관세 불확실성이 상존해 구체적인 답변은 어려움. 글로벌 고객들은 당사와 협의중이던 메모리 수요와 주문 계획을 유지하고 있음. 일부 고객들은 수요를 앞당기는 움직임도 존재. PC와 스마트폰 등 IT 소비재들은 관세 적용이 당분간 유예되면서 AI 기능 탑재된 신제품 출시효과 기대중. 최종 소비자 입장에서도 가격 인상 전에 구매를 서두를 가능성도 있다고 판단하여 오히려 구매 촉진 가능성도 기대. AI 서버는 상대적으로 관세로 인한 수요 변화가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
2) 올해 HBM 수요와 공급계획에 대한 변화가 있는지? 주요 고객의 제품 출시와 로드맵 변경에 대한 노이즈 계속되고 일부 제품 중국 수출 제재에 따른 HBM 영향 계속 제기되고 있는 상황
고객과 계속 협의중이며 올해 공급 계획은 기존 수요 예측과 변화 없음. 당사는HBM3E 12단 제품을 포함한 HBM 전제품 라인업을 공급중이며 고객 수요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CAPA를 보유하고 있음. 올해 당사 HBM 매출 전년대비 2배 이상 성장한다는 기존 계획 유지, 2분기 역시 HBM3E 12단이 HBM 매출 절반 이상 차지할 것
3) 딥시크 이후 고용량 서버 수요에 대한 시장의 우려가 있었는데 오히려 96GB 같은 고용량 서버 수요가 늘어나고 있음. 그 이유와 향후 전망?
딥시크는 동일 성능의 AI를 더 적은 하드웨어 자원으로 구현할 수 있게 함. 이는 AI 시장의 진입장벽을 크게 낮추었다는 판단. 개발 비용이 저렴해지면서 AI 개발 시도가 급격하게 증가. 이 과정에서 HBM 뿐 아니라 고용량 서버 DIMM 수요 역시 확대되고 있는 상황. 1분기 동안 당사도 DDR5 기반 96GB 모듈 수요 증가를 경험했고 올해 고용량 DIMM 수요는 지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 오픈AI o3나 딥시크 R1은 더욱 정교한 결과를 위해 추론 과정을 길게 채택하는 방식, 이는 더 많은 메모리를 요구. AI 중심이 모델 훈련에서 추론으로 확장. 이 역시 추가적인 고용량 메모리 수요를 창출하는 원인 중 하나
4) 당사의 미국 직접 수출 비중? 현재 기준으로 관세로 사업에 미치는 영향이 어느 정도인지? 향후 대응 전략?
높은 AI향 매출을 감안, 미국 매출 비중은 감사보고서 법인소재지 기준으로 약 60%. 관세 부과 기준은 미국으로 선적되는 물량을 기준으로 부과. 다만 미국 고객이라도 메모리 제품의 선적은 미국 외 지역으로 가는 경우가 많아 미국으로 직접 가는 비중은 그렇게 높지 않음. 복잡한 글로벌 반도체 서플라이체인 특성상 현재로서는 정확한 영향을 산출하기에 제약이 있음. 향후 관세 발효 시점에 고객과 협의해서 고객 공급 안정성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도록 대응할 것
DS투자증권 반도체 이수림, 김진형
SK하이닉스 Q&A (2)
5) 좋았던 1분기 실적과 견조한 2분기 가이던스에 Pull-in 수요 영향 어느정도? 하반기 고객 재고조정 리스크는 없을지?
관세가 확정되지 않아 1분기 일부 고객의 Pull-in 수요 포함되긴 했지만 그리 크지 않았음. 당사 1분기 DRAM 출하량이 기존 계획을 상회한 수준이 그렇게 크지 않고 모바일과 PC 등에 국한. 고객들의 재고 수준도 유의미한 변화는 없는 것으로 파악. 2분기에도 관세 세부 내용이 정해지지 않았고 Pull-in 수요의 규모가 재고조정 리스크를 야기할 것으로 보기는 어려울 것. 공급업체들 역시 시장의 불확실성을 반영하여 공급 계획을 조절하여 팬데믹 때와 같은 변동성은 없을 것
6) M15X 스케줄을 당기는 계획과 함께 2025년 2026년 Capex 규모를 확대한다는 결정이 사실인지? 2025년 총 설비투자 규모와 내년 방향?
수익성이 확보된 제품에 한해서 우선적 투자 집행 기조 유지. 현재는 그 어느때보다 향후 시장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 기존 팹의 제품 믹스 최적화, 저수익 제품과 관련한 자원의 재분배 등 투자효율성 제고 및 재무건전성 강화 기조 유지할 것
7) 최근 NAND 현물가 반등하고 있으나 일각에서는 이것이 고객의 일시적인 재고 축적 때문이라는 의견도 제기. NAND 가격 상승이 지속될 것으로 보는지?
1분기 NAND 시장은 전형적인 계절적 비수기로 주요 어플리케이션 수요 저조했으나 일부 채널향이나 단품 위주로는 재고 감소와 관세 정책을 고려한 선구매 움직임 나타남. 공급 업체의 감산 기조가 겹쳐서 현물 시장 중심으로 가격 상승세 나타남. 2분기에는 관세 정책이 발표됨에 따라서 불확실성 증가. 단품 수요나 주요 어플리케이션 수요에 대한 불확실성 공히 증가. 다만 NAND 공급사들은 작년 하반기부터 보수적인 생산 기조 유지하고 있어서 가격 하락의 압력은 상대적으로 줄어든 상황. NAND의 가격 회복 단기적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높다고 판단. 세트 수요 회복세는 최근 매크로 불확실성 해소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중장기적으로는 eSSD의 고용량화 추세가 이어지며 NAND 수요 성장세는 긍정적으로 보고 있음
8) 2026년 HBM 수요, 추론 모델이 증가하면서 전반적인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는 견해와 내년 HBM4 채용량의 Contents Growth가 예상보다 많이 올라가지 않아 수요성장이 둔화된다는 견해도 있는데 당사 의견은 어떤지?
향후 불확실성은 있겠으나 지금까지 글로벌 AI 인프라 투자 기조가 유지. 기업뿐 아니라 국가별 AI 생태계 구축도 지속되고 있어 AI 수요의 장기 성장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음. 수요 가시성을 기반으로 당사는 24~28년 CAGR 50%의 HBM 성장을 전망. 특히 내년은 HBM4가 주력 제품이 될 것. HBM4는 기존 제품 대비 I/O 수가 2배, Bandwidth를 크게 높여주어 지속적인 수요 증가 예상. 주요 고객향 2026년 연간 공급 물량을 상반기 내 가시성 확보하고 이후 다른 고객과 협의도 마무리 할 것
SK하이닉스 Q&A (2)
5) 좋았던 1분기 실적과 견조한 2분기 가이던스에 Pull-in 수요 영향 어느정도? 하반기 고객 재고조정 리스크는 없을지?
관세가 확정되지 않아 1분기 일부 고객의 Pull-in 수요 포함되긴 했지만 그리 크지 않았음. 당사 1분기 DRAM 출하량이 기존 계획을 상회한 수준이 그렇게 크지 않고 모바일과 PC 등에 국한. 고객들의 재고 수준도 유의미한 변화는 없는 것으로 파악. 2분기에도 관세 세부 내용이 정해지지 않았고 Pull-in 수요의 규모가 재고조정 리스크를 야기할 것으로 보기는 어려울 것. 공급업체들 역시 시장의 불확실성을 반영하여 공급 계획을 조절하여 팬데믹 때와 같은 변동성은 없을 것
6) M15X 스케줄을 당기는 계획과 함께 2025년 2026년 Capex 규모를 확대한다는 결정이 사실인지? 2025년 총 설비투자 규모와 내년 방향?
수익성이 확보된 제품에 한해서 우선적 투자 집행 기조 유지. 현재는 그 어느때보다 향후 시장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 기존 팹의 제품 믹스 최적화, 저수익 제품과 관련한 자원의 재분배 등 투자효율성 제고 및 재무건전성 강화 기조 유지할 것
7) 최근 NAND 현물가 반등하고 있으나 일각에서는 이것이 고객의 일시적인 재고 축적 때문이라는 의견도 제기. NAND 가격 상승이 지속될 것으로 보는지?
1분기 NAND 시장은 전형적인 계절적 비수기로 주요 어플리케이션 수요 저조했으나 일부 채널향이나 단품 위주로는 재고 감소와 관세 정책을 고려한 선구매 움직임 나타남. 공급 업체의 감산 기조가 겹쳐서 현물 시장 중심으로 가격 상승세 나타남. 2분기에는 관세 정책이 발표됨에 따라서 불확실성 증가. 단품 수요나 주요 어플리케이션 수요에 대한 불확실성 공히 증가. 다만 NAND 공급사들은 작년 하반기부터 보수적인 생산 기조 유지하고 있어서 가격 하락의 압력은 상대적으로 줄어든 상황. NAND의 가격 회복 단기적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높다고 판단. 세트 수요 회복세는 최근 매크로 불확실성 해소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중장기적으로는 eSSD의 고용량화 추세가 이어지며 NAND 수요 성장세는 긍정적으로 보고 있음
8) 2026년 HBM 수요, 추론 모델이 증가하면서 전반적인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는 견해와 내년 HBM4 채용량의 Contents Growth가 예상보다 많이 올라가지 않아 수요성장이 둔화된다는 견해도 있는데 당사 의견은 어떤지?
향후 불확실성은 있겠으나 지금까지 글로벌 AI 인프라 투자 기조가 유지. 기업뿐 아니라 국가별 AI 생태계 구축도 지속되고 있어 AI 수요의 장기 성장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음. 수요 가시성을 기반으로 당사는 24~28년 CAGR 50%의 HBM 성장을 전망. 특히 내년은 HBM4가 주력 제품이 될 것. HBM4는 기존 제품 대비 I/O 수가 2배, Bandwidth를 크게 높여주어 지속적인 수요 증가 예상. 주요 고객향 2026년 연간 공급 물량을 상반기 내 가시성 확보하고 이후 다른 고객과 협의도 마무리 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