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warded from AWAKE - 실시간 주식 공시 정리채널
2023.06.09 17:52:55
기업명: 엔켐(시가총액: 1조 1,679억)
보고서명: 주식등의대량보유상황보고서(약식)
보고자 : 이 현 지
관계 : 주주
* 보유주식
직전 보고서 : 7.55%
이번 보고서 : 6.74%
* 계약체결 주식
직전 보고서 : 0
이번 보고서 : 0
변동방법 : 장내매도
변동사유 : 단순처분
-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609000580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348370
기업명: 엔켐(시가총액: 1조 1,679억)
보고서명: 주식등의대량보유상황보고서(약식)
보고자 : 이 현 지
관계 : 주주
* 보유주식
직전 보고서 : 7.55%
이번 보고서 : 6.74%
* 계약체결 주식
직전 보고서 : 0
이번 보고서 : 0
변동방법 : 장내매도
변동사유 : 단순처분
-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609000580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348370
Naver
엔켐 - 네이버페이 증권 : 네이버페이 증권
관심종목의 실시간 주가를 가장 빠르게 확인하는 곳
❤8👍1
Forwarded from 폐쇄 채널
[P의 거짓 미디어 쇼케이스 정리(디스이즈게임)]
(다운로드 판매 구성)
- 스탠다드 에디션 64,800원, 디럭스 에디션 74,800원
- 디럭스 버전은 3일 먼저 게임 플레이 가능
- 사전 구매 보상은 개구쟁이 의상 세트
(실물 패키지 판매 구성)
- 공식 패키지는 일반판과 한정판으로 나뉨
- 일반 패키지(64,800원)를 예약 구매할 경우 개구쟁이 세트 의상에 더불어 아크릴 키링 제공
- 한정판은 전용 특전 의상, 스틸북, OST를 담은 LP판, 금속 뱃지 등으로 구성. 한정판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8월에 공개
(최적화)
- PC 플랫폼 '스팀'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그래픽카드로 집계된 GTX 1060 그래픽카드에서도 1080p 해상도 기준 60프레임을 지원
- 3070Ti에서도 4K 60프레임이 가능하며 DLSS를 사용할 경우에는 100프레임 이상도 가능
(주요 Q&A - 모든 Q&A는 기사 참고)
Q. 마케팅비 소비가 적잖을 듯한데, 이익을 낼 수 있는 목표 판매량은 어느 정도인가?
A. 박성준 스튜디오장: 본격적인 싱글플레이 콘솔 게임을 내는 것은 처음이라, 저희도 쉽게 예측하기 어렵다. 숫자로 말씀드리기는 적절하지 않은 것 같다. 파트너사들이 다양한 의견을 주고 계신다. 일단, 최대한 열심히 개발해 결과를 내는 것이 최선이라 생각한다.
Q. 게임패스에 입점하는데, 패키지 판매량에 영향을 미친다는 이야기가 있다.
A. 박성준: 이미 많이 받고 있는 질문이다. 싱글플레이 게임을 처음 론칭하는 개발사로서 조금 더 많은 이용자들과 접점을 가져가기 위해서 게임패스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그리고 PS의 소니와 스팀의 밸브와도 협력을 많이 하고 있다. 다른 플랫폼 이용자들에게도 최고의 경험을 주고자 노력하고 있다.
Q. 신세계아이앤씨를 파트너사로 선정한 이유는?
A. 박성준: 잘 아시겠지만 신세계아이앤씨는 국내 최고의 온, 오프라인 유통망을 가지고 있어 <P의 거짓> 패키지판을 유통하는 데 큰 도움이 되리라 생각했다. 새로운 비즈니스를 전개하는 데 있어서도 많은 매력적인 제안을 주셔서 발전적인 파트너십을 할 수 있었다고 판단하고 있다. 지금도 탁월한 선택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Q. 신세계아이앤씨가 아시아를 담당하면, 북미나 유럽 시장 패키지 유통은 어떤 파트너사가 맡고 있는가?
A. 박성준: 또 다른 글로벌 파트너사가 있다. 적절한 시기가 되면 공개하겠다.
Q. 추세가 조금 바뀌긴 하지만, 대형 게임은 보통 체험판을 잘 공개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체험판을 공개한 이유가 있는가? 완성도에 대한 자신감이라 봐도 좋을까?
A. 최지원: 커뮤니티에서 게임에 대한 우려를 하는 글들을 봤다. 이걸 조금이라도 해소시키고, 저희가 정말 열심히 만들고 있다는 것을 알리고 싶었다. 작년에 지스타가 있긴 했지만, 아무래도 거리도 있고 제한도 있었다. 많은 분들이 게임을 하기 위해 긴 시간 대기하는 모습을 보며 가슴이 아팠다. 최대한 많은 분들이 <P의 거짓>을 체험했으면 하는 마음에서 체험판 공개를 결정했다.
Q. PVP 콘텐츠가 있나?
A. 최지원: 고려하지 않고 있다. 이전 인터뷰에서도 계속 언급 했다시피 처음 하는 도전이다 보니 싱글플레이를 밀도 있게 잘 설계하는 것이 먼저라고 생각했다.
Q. 소울라이크는 고통받는 것이 재미인 장르다 보니 인플루언서가 많이 하는 장르인데, 혹시 인플루언서와의 콜라보레이션이 준비 중인 것이 있는지.
A. 박성준: 게임을 개발하며 많이 고려했다. 조만간 소식이 나올 것이다.
Q. 현재 개발 인력은 어느 정도인가? 그리고 크런치가 있었나?
A. 박성준: 미공개 프로토타입도 있기에 전원이 <P의 거짓>을 개발하는 것은 아니지만, 160명 정도의 개발 인력이 있다. 네오위즈 차원에서도 개발에 참여하시는 분들이 있기에 실제로 참여하시는 분들은 더 많다.
크런치는 꽤 예전부터 문제가 되어 왔다. 공식적인 기간을 정한 강제적인 크런치는 안 하려 했다. 처음 시도하는 장르다 보니 어려움이 있었던 것은 사실이고, 고생을 많이 했던 것 같다.
Q. 북미 마케팅에 대한 계획이 있나?
A. 박성준: 경험 많은 파트너사와 함께하고 있다고 말씀드렸다. 아직 공개는 하지 못하지만, 저희와 협력하는 파트너사분이 굉장히 역사가 깊은 곳이라 협력하면서 많이 배우고 있다. 그런 업체들의 도움을 받으면서 좋은 결과를 내고자 노력하고 있다.
https://www.thisisgame.com/webzine/news/nboard/4/?n=171174
(다운로드 판매 구성)
- 스탠다드 에디션 64,800원, 디럭스 에디션 74,800원
- 디럭스 버전은 3일 먼저 게임 플레이 가능
- 사전 구매 보상은 개구쟁이 의상 세트
(실물 패키지 판매 구성)
- 공식 패키지는 일반판과 한정판으로 나뉨
- 일반 패키지(64,800원)를 예약 구매할 경우 개구쟁이 세트 의상에 더불어 아크릴 키링 제공
- 한정판은 전용 특전 의상, 스틸북, OST를 담은 LP판, 금속 뱃지 등으로 구성. 한정판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8월에 공개
(최적화)
- PC 플랫폼 '스팀'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그래픽카드로 집계된 GTX 1060 그래픽카드에서도 1080p 해상도 기준 60프레임을 지원
- 3070Ti에서도 4K 60프레임이 가능하며 DLSS를 사용할 경우에는 100프레임 이상도 가능
(주요 Q&A - 모든 Q&A는 기사 참고)
Q. 마케팅비 소비가 적잖을 듯한데, 이익을 낼 수 있는 목표 판매량은 어느 정도인가?
A. 박성준 스튜디오장: 본격적인 싱글플레이 콘솔 게임을 내는 것은 처음이라, 저희도 쉽게 예측하기 어렵다. 숫자로 말씀드리기는 적절하지 않은 것 같다. 파트너사들이 다양한 의견을 주고 계신다. 일단, 최대한 열심히 개발해 결과를 내는 것이 최선이라 생각한다.
Q. 게임패스에 입점하는데, 패키지 판매량에 영향을 미친다는 이야기가 있다.
A. 박성준: 이미 많이 받고 있는 질문이다. 싱글플레이 게임을 처음 론칭하는 개발사로서 조금 더 많은 이용자들과 접점을 가져가기 위해서 게임패스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그리고 PS의 소니와 스팀의 밸브와도 협력을 많이 하고 있다. 다른 플랫폼 이용자들에게도 최고의 경험을 주고자 노력하고 있다.
Q. 신세계아이앤씨를 파트너사로 선정한 이유는?
A. 박성준: 잘 아시겠지만 신세계아이앤씨는 국내 최고의 온, 오프라인 유통망을 가지고 있어 <P의 거짓> 패키지판을 유통하는 데 큰 도움이 되리라 생각했다. 새로운 비즈니스를 전개하는 데 있어서도 많은 매력적인 제안을 주셔서 발전적인 파트너십을 할 수 있었다고 판단하고 있다. 지금도 탁월한 선택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Q. 신세계아이앤씨가 아시아를 담당하면, 북미나 유럽 시장 패키지 유통은 어떤 파트너사가 맡고 있는가?
A. 박성준: 또 다른 글로벌 파트너사가 있다. 적절한 시기가 되면 공개하겠다.
Q. 추세가 조금 바뀌긴 하지만, 대형 게임은 보통 체험판을 잘 공개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체험판을 공개한 이유가 있는가? 완성도에 대한 자신감이라 봐도 좋을까?
A. 최지원: 커뮤니티에서 게임에 대한 우려를 하는 글들을 봤다. 이걸 조금이라도 해소시키고, 저희가 정말 열심히 만들고 있다는 것을 알리고 싶었다. 작년에 지스타가 있긴 했지만, 아무래도 거리도 있고 제한도 있었다. 많은 분들이 게임을 하기 위해 긴 시간 대기하는 모습을 보며 가슴이 아팠다. 최대한 많은 분들이 <P의 거짓>을 체험했으면 하는 마음에서 체험판 공개를 결정했다.
Q. PVP 콘텐츠가 있나?
A. 최지원: 고려하지 않고 있다. 이전 인터뷰에서도 계속 언급 했다시피 처음 하는 도전이다 보니 싱글플레이를 밀도 있게 잘 설계하는 것이 먼저라고 생각했다.
Q. 소울라이크는 고통받는 것이 재미인 장르다 보니 인플루언서가 많이 하는 장르인데, 혹시 인플루언서와의 콜라보레이션이 준비 중인 것이 있는지.
A. 박성준: 게임을 개발하며 많이 고려했다. 조만간 소식이 나올 것이다.
Q. 현재 개발 인력은 어느 정도인가? 그리고 크런치가 있었나?
A. 박성준: 미공개 프로토타입도 있기에 전원이 <P의 거짓>을 개발하는 것은 아니지만, 160명 정도의 개발 인력이 있다. 네오위즈 차원에서도 개발에 참여하시는 분들이 있기에 실제로 참여하시는 분들은 더 많다.
크런치는 꽤 예전부터 문제가 되어 왔다. 공식적인 기간을 정한 강제적인 크런치는 안 하려 했다. 처음 시도하는 장르다 보니 어려움이 있었던 것은 사실이고, 고생을 많이 했던 것 같다.
Q. 북미 마케팅에 대한 계획이 있나?
A. 박성준: 경험 많은 파트너사와 함께하고 있다고 말씀드렸다. 아직 공개는 하지 못하지만, 저희와 협력하는 파트너사분이 굉장히 역사가 깊은 곳이라 협력하면서 많이 배우고 있다. 그런 업체들의 도움을 받으면서 좋은 결과를 내고자 노력하고 있다.
https://www.thisisgame.com/webzine/news/nboard/4/?n=171174
디스이즈게임
P의 거짓 발매 연기 이유? "완성도에 대한 사명감 때문"
P의 거짓 미디어 쇼케이스
👍16❤8
Forwarded from Yeouido Lab_여의도 톺아보기
정부부처일정 아이디어 : 메타버스 / 원전 / UAE+사우디
Yeoido Lab_여의도 톺아보기 https://t.me/Yeouido_Lab
기재부 - 14일 1차관 메타버스 엑스포 수출상담회 방문
산업부 - 11일 원전생태계 복원 및 에너지산업 성장동력화 실현 추진 / 12일 신한울 3-4호기 전원개발사업 실시계획 / 14일 - 탄소중립 현장방문 / 15일 한-카타르 고위급 전략회의
중기부 - 12일 장관 국외출장(UAE-사우디-프랑스)
정부 부처 주간 일정 및 보도계획(12~16일)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3061109055960867&type=1
Yeoido Lab_여의도 톺아보기 https://t.me/Yeouido_Lab
기재부 - 14일 1차관 메타버스 엑스포 수출상담회 방문
산업부 - 11일 원전생태계 복원 및 에너지산업 성장동력화 실현 추진 / 12일 신한울 3-4호기 전원개발사업 실시계획 / 14일 - 탄소중립 현장방문 / 15일 한-카타르 고위급 전략회의
중기부 - 12일 장관 국외출장(UAE-사우디-프랑스)
정부 부처 주간 일정 및 보도계획(12~16일)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3061109055960867&type=1
Telegram
Yeouido Lab_여의도 톺아보기
前 헤지펀드 매니저와 前 애널리스트의 여의도 톺아보기.
기관투자자의 깊이있는 인사이트로 수많은 투자 정보 속에서 해자를 선별합니다.
해당 채널의 게시물은 단순 의견 및 기록용도이고 매수-매도 등 투자권유를 의미하지 않습니다.
해당 게시물의 내용은 부정확할 수 있으며 매매에 따른 손실은 거래 당사자의 책임입니다.
해당 게시물의 내용은 어떤 경우에도 법적 근거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기관투자자의 깊이있는 인사이트로 수많은 투자 정보 속에서 해자를 선별합니다.
해당 채널의 게시물은 단순 의견 및 기록용도이고 매수-매도 등 투자권유를 의미하지 않습니다.
해당 게시물의 내용은 부정확할 수 있으며 매매에 따른 손실은 거래 당사자의 책임입니다.
해당 게시물의 내용은 어떤 경우에도 법적 근거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5❤1👏1
Forwarded from Buff
비만치료제 하면?? 한미약품 분석
작성: 버프 텔레그램 https://t.me/bufkr
ㅁ 투자포인트
1) 글로벌 비만치료제 테마에 듀얼 애거니스트 파이프라인으로 탑승
2) 최근에 한미약품의 CMO 사업부에서 글로벌 빅파마의 비만치료제 위탁생산을 수주할거라는 루머가 잇었음.
=> 현재까지는 확인된 바 없는 루머라는 것이 중론. 하지만 또 주가가 오르면 이거까지 끌어와서 흥분해주는게 주식시장
ㅁ 기전 및 상황 정리
- 위고비는 GLP-1효능제, 마운자로는 GLP-1/GIP 이중작용제
- GLP-1 효능제는 펩타이드 의약품으로, 화학의약품 대비 크고 구조가 복잡. 반면 항체의약품 대비 작고 구조가 간단
- 펩타이드 의약품은 글로벌 시장의 1% 수준의 니치마켓
- 삼성바이오로직스 등 글로벌 CMO는 대부분 항체의약품 대상
=> 펩타이드 의약품 생산시설이 GLP-1 효능제 수요를 감당하지 못하는 상황
이러한 상황에서 한미가 GLP-1 신약개발을 위해 생산시설을 지어놨으니,
=> 수주가 가능하지 않을까? 하는 기대가 생긴듯
ㅁ 리스크
- 2번 투자포인트인 CMO 수주설때문에 당시에 흥분해서 산 여의도 기관자금이 꽤 많았던 것. 실제 4월 초반 한미약품 최초 급등시를 보면, 기관순매수가 미친듯이 찍혀잇음
=> 확인 안된 루머로 기관들도 일단 흥분해서 사고 본 것
- 시총 4조짜리 라지캡으로 단순 테마로 움직이기 쉬운 종목은 아님
=> 실제 투자포인트가 숫자/지표로 확인되는 것을 보여줄 수 있을지에 대한 의구심
ㅁ 참고 자료
비만약 시장 '삭센다' 독주 장기화...히트제품 출격 변수
http://www.dailypharm.com/Users/News/NewsView.html?ID=300939
삭센다 GLP-1 유사체? 기전 및 원리
https://www.esthermall.co.kr/board/?db=gallery_10&no=1002465&mari_mode=view@view
작성: 버프 텔레그램 https://t.me/bufkr
ㅁ 투자포인트
1) 글로벌 비만치료제 테마에 듀얼 애거니스트 파이프라인으로 탑승
2) 최근에 한미약품의 CMO 사업부에서 글로벌 빅파마의 비만치료제 위탁생산을 수주할거라는 루머가 잇었음.
=> 현재까지는 확인된 바 없는 루머라는 것이 중론. 하지만 또 주가가 오르면 이거까지 끌어와서 흥분해주는게 주식시장
ㅁ 기전 및 상황 정리
- 위고비는 GLP-1효능제, 마운자로는 GLP-1/GIP 이중작용제
- GLP-1 효능제는 펩타이드 의약품으로, 화학의약품 대비 크고 구조가 복잡. 반면 항체의약품 대비 작고 구조가 간단
- 펩타이드 의약품은 글로벌 시장의 1% 수준의 니치마켓
- 삼성바이오로직스 등 글로벌 CMO는 대부분 항체의약품 대상
=> 펩타이드 의약품 생산시설이 GLP-1 효능제 수요를 감당하지 못하는 상황
이러한 상황에서 한미가 GLP-1 신약개발을 위해 생산시설을 지어놨으니,
=> 수주가 가능하지 않을까? 하는 기대가 생긴듯
ㅁ 리스크
- 2번 투자포인트인 CMO 수주설때문에 당시에 흥분해서 산 여의도 기관자금이 꽤 많았던 것. 실제 4월 초반 한미약품 최초 급등시를 보면, 기관순매수가 미친듯이 찍혀잇음
=> 확인 안된 루머로 기관들도 일단 흥분해서 사고 본 것
- 시총 4조짜리 라지캡으로 단순 테마로 움직이기 쉬운 종목은 아님
=> 실제 투자포인트가 숫자/지표로 확인되는 것을 보여줄 수 있을지에 대한 의구심
ㅁ 참고 자료
비만약 시장 '삭센다' 독주 장기화...히트제품 출격 변수
http://www.dailypharm.com/Users/News/NewsView.html?ID=300939
삭센다 GLP-1 유사체? 기전 및 원리
https://www.esthermall.co.kr/board/?db=gallery_10&no=1002465&mari_mode=view@view
Telegram
Buff
버프받고 투자하자
- 내용은 투자 판단의 근거로 활용할 수 없음
- 내용이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단순한 의견도 있음
- 언급된 종목을 보유하고 있을 수 있으며, 언제든 매도할 수 있음
문의: jelly@buf.kr
- 내용은 투자 판단의 근거로 활용할 수 없음
- 내용이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단순한 의견도 있음
- 언급된 종목을 보유하고 있을 수 있으며, 언제든 매도할 수 있음
문의: jelly@buf.kr
👍8❤4
Forwarded from Buff
비만, 당뇨 수혜주 지도 - 23년 6월 버전
작성: 버프 텔레그램 https://t.me/bufkr
ㅁ 한미약품
- 포인트: 1) 자체 비만치료 신약 파이프라인, 2) GLP-1 CMO 설비확보로 수주 기대감 가능
- 리스크: 1) CMO 루머로 한바탕 이미 랠리, 2) 상대적으로 무거운 시총
- 자세한 글: https://t.me/bufkr/9909
ㅁ 케어젠
- 포인트: 1) 혈당조절 건기식 프로지스테롤 매출 급증, 2) 프로지스테롤 '체중감소' 기능 관련 FDA 클레임 획득, 3) 액면분할로 부족한 거래량 개선
- 리스크: 여전히 시총 대비 너무나 부족한 거래량=높은 주가변동성
ㅁ 아이센스
- 포인트: 1) 연말까지 출시되는 연속혈당측정기 CGM 신제품 기대감, 2) 카카오헬스케어와 협업 기대감
- 리스크: 기존 사업 성장세 둔화 + 비용증가로 이익 역성장 중
ㅁ 콜마비앤에이치
- 포인트: 1) 혈당소비 촉진, 체지방 축적 억제하는 여주추출물 매출 본격화 가능성, 2) 애터미의 해외진출과 함께 증가하는 수출
- 리스크: 1) 기존 애터미향 비중이 너무 커서 여주 제품군 매출이 급증하지 않으면 비중이 낮은 점, 2) 전방 소비 부진으로 지난 2년간 실적 부진 트렌드
작성: 버프 텔레그램 https://t.me/bufkr
ㅁ 한미약품
- 포인트: 1) 자체 비만치료 신약 파이프라인, 2) GLP-1 CMO 설비확보로 수주 기대감 가능
- 리스크: 1) CMO 루머로 한바탕 이미 랠리, 2) 상대적으로 무거운 시총
- 자세한 글: https://t.me/bufkr/9909
ㅁ 케어젠
- 포인트: 1) 혈당조절 건기식 프로지스테롤 매출 급증, 2) 프로지스테롤 '체중감소' 기능 관련 FDA 클레임 획득, 3) 액면분할로 부족한 거래량 개선
- 리스크: 여전히 시총 대비 너무나 부족한 거래량=높은 주가변동성
ㅁ 아이센스
- 포인트: 1) 연말까지 출시되는 연속혈당측정기 CGM 신제품 기대감, 2) 카카오헬스케어와 협업 기대감
- 리스크: 기존 사업 성장세 둔화 + 비용증가로 이익 역성장 중
ㅁ 콜마비앤에이치
- 포인트: 1) 혈당소비 촉진, 체지방 축적 억제하는 여주추출물 매출 본격화 가능성, 2) 애터미의 해외진출과 함께 증가하는 수출
- 리스크: 1) 기존 애터미향 비중이 너무 커서 여주 제품군 매출이 급증하지 않으면 비중이 낮은 점, 2) 전방 소비 부진으로 지난 2년간 실적 부진 트렌드
Telegram
Buff
버프받고 투자하자
- 내용은 투자 판단의 근거로 활용할 수 없음
- 내용이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단순한 의견도 있음
- 언급된 종목을 보유하고 있을 수 있으며, 언제든 매도할 수 있음
문의: jelly@buf.kr
- 내용은 투자 판단의 근거로 활용할 수 없음
- 내용이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단순한 의견도 있음
- 언급된 종목을 보유하고 있을 수 있으며, 언제든 매도할 수 있음
문의: jelly@buf.kr
👍28
23.06.11 (일)
『업데이트 콘텐츠』
[범송공자의 업종테마]
▶️ 시장의 원투펀치, 반도체와 2차전지 동반 강세
https://naver.me/xZO0PzFy
[가치투자클럽 수급탐구]
▶️ POST-IPO 전략
https://naver.me/F6xKDQ1e
[범송공자의 선별종목]
▶️ 기관 집중 매수 종목 리스트
https://naver.me/FfWh7Fa5
[오르비스투자자문 퀀트북]
▶️ 이번주 주도주와 신용잔고 감소/공매도 상위 종목 필터링
https://naver.me/xnnLJBJ0
『업데이트 콘텐츠』
[범송공자의 업종테마]
▶️ 시장의 원투펀치, 반도체와 2차전지 동반 강세
https://naver.me/xZO0PzFy
[가치투자클럽 수급탐구]
▶️ POST-IPO 전략
https://naver.me/F6xKDQ1e
[범송공자의 선별종목]
▶️ 기관 집중 매수 종목 리스트
https://naver.me/FfWh7Fa5
[오르비스투자자문 퀀트북]
▶️ 이번주 주도주와 신용잔고 감소/공매도 상위 종목 필터링
https://naver.me/xnnLJBJ0
Naver
[업종테마] 23.06.09 (금) 코스피 52주 신고가, 코스닥도 양매수에 강세
코스피는 기관/외인의 양매수에 +1.16% 올랐습니다. 어느덧 52주 신고가를 기록했네요. 환율이 1,300원 밑으로 내려가면서 외인도 4일 만에 강한 순매수를 보였습니다. 기관은 5일 연속 순매수였고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대한 외인의 순매수가 2,920억원,
👍8👏3❤1
Forwarded from 하나 미래산업팀(스몰캡)
* 하나증권 미래산업팀(스몰캡)
★ 에코앤드림(101360.KQ): 새만금 전구체 증설 본격화, 2차전지 매출 기대 ★
원문링크: https://bit.ly/3N0pJpp
1. 2차전지 메카 새만금 산단 토지 취득 발표
- 에코앤드림은 지난 9일 2차전지 전구체 생산을 위한 생산시설 확보를 목적으로 새만금 산업단지 4만평 규모의 토지 취득을 공시
- 새만금 산단은 세액공제 혜택(법인, 소득세 3년간 전액 면제)에 따라 LG화학, SK온, 에코프로그룹 등 2차전지 기업의 투자 유치가 지속
- 향후 새만금 중심의 2차전지 전구체 증설이 폭증할 전망이며 이에 따른 동사의 수혜는 분명
- CRMA 법안 시행에 따라 중국 의존도(80% 이상)가 높았던 양극재 전구체의 공급망 재편이 진행 중이며 전구체 CAPA는 턱없이 부족한 상황
- 국내 기업들의 전구체 내재화 장기 목표는 포스코퓨처엠 70%, 에코프로그룹 33%이지만, 현재 내재화율은 포스코퓨처엠 0%, 에코프로그룹 15% 수준으로 미미
- 이 가운데, 에코앤드림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5㎛ 이하 소입경 전구체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유럽 양극재 업체 U사를 고객사로 확보하여 CRMA법안과 전구체 수급 미스매치에 따른 수혜가 집중될 것으로 전망
2. 2025년 전구체 CAPA 2.5만톤, 매출 5,000억원 기대
- 에코앤드림의 현재 전구체 CAPA는 5천톤 규모이며, 금번 부지 취득을 통해 2025년 2.5만톤으로 확대될 전망
- 5천톤 CAPA가 2천평 면적의 청주공장에서 생산된다는 점을 고려해보면, 금번 4만평 면적의 새만금 부지에서는 최대 10만톤 이상의 전구체 생산이 가능
- 고객사와의 논의에 따라 증설 속도는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금번 새만금 산단 부지를 통해 고객사 요구 물량에 본격 대응이 가능하다는 점에 주목해야함
- 또한 유럽 양극재 업체 U사가 전사 기준 양극재 CAPA를 22년 65GW→30년 560GWh로 공격적인 증설계획을 계획하는 상황에서, CRMA법안에 따른 중국산 전구체 의존도는 줄어들 수 밖에 없기에 동사 전구체에 대한 수요는 향후에도 지속될 전망
- 현재 전구체 판가는 약 2만원/kg 수준으로 2025년 연 환산 매출액은 5,000억원 수준으로 급성장할 것으로 기대
3. 2023년 매출액 1,351억원, 영업이익 108억원 전망
- 에코앤드림의 2023년 실적은 매출액 1,351억원(+123.3%, YoY), 영업이익 108억원(+201.2%, YoY)으로 예상
- 기존 촉매 사업은 전년과 동일하게 견조한 Cash Cow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이며, 2차전지 수주 모멘텀이 현실화된다면 추가적인 실적 Level-Up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
- 국내 업체들의 전구체 내재화가 본격화되는 상황 속에서 전구체 CAPA 증설을 진행 중인 동사에 주목이 필요한 시점
하나증권 미래산업팀(스몰캡) 텔레그램 주소: https://t.me/hanasmallcap
하나증권 미래산업팀(스몰캡) 드림
* 위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하였음
★ 에코앤드림(101360.KQ): 새만금 전구체 증설 본격화, 2차전지 매출 기대 ★
원문링크: https://bit.ly/3N0pJpp
1. 2차전지 메카 새만금 산단 토지 취득 발표
- 에코앤드림은 지난 9일 2차전지 전구체 생산을 위한 생산시설 확보를 목적으로 새만금 산업단지 4만평 규모의 토지 취득을 공시
- 새만금 산단은 세액공제 혜택(법인, 소득세 3년간 전액 면제)에 따라 LG화학, SK온, 에코프로그룹 등 2차전지 기업의 투자 유치가 지속
- 향후 새만금 중심의 2차전지 전구체 증설이 폭증할 전망이며 이에 따른 동사의 수혜는 분명
- CRMA 법안 시행에 따라 중국 의존도(80% 이상)가 높았던 양극재 전구체의 공급망 재편이 진행 중이며 전구체 CAPA는 턱없이 부족한 상황
- 국내 기업들의 전구체 내재화 장기 목표는 포스코퓨처엠 70%, 에코프로그룹 33%이지만, 현재 내재화율은 포스코퓨처엠 0%, 에코프로그룹 15% 수준으로 미미
- 이 가운데, 에코앤드림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5㎛ 이하 소입경 전구체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유럽 양극재 업체 U사를 고객사로 확보하여 CRMA법안과 전구체 수급 미스매치에 따른 수혜가 집중될 것으로 전망
2. 2025년 전구체 CAPA 2.5만톤, 매출 5,000억원 기대
- 에코앤드림의 현재 전구체 CAPA는 5천톤 규모이며, 금번 부지 취득을 통해 2025년 2.5만톤으로 확대될 전망
- 5천톤 CAPA가 2천평 면적의 청주공장에서 생산된다는 점을 고려해보면, 금번 4만평 면적의 새만금 부지에서는 최대 10만톤 이상의 전구체 생산이 가능
- 고객사와의 논의에 따라 증설 속도는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금번 새만금 산단 부지를 통해 고객사 요구 물량에 본격 대응이 가능하다는 점에 주목해야함
- 또한 유럽 양극재 업체 U사가 전사 기준 양극재 CAPA를 22년 65GW→30년 560GWh로 공격적인 증설계획을 계획하는 상황에서, CRMA법안에 따른 중국산 전구체 의존도는 줄어들 수 밖에 없기에 동사 전구체에 대한 수요는 향후에도 지속될 전망
- 현재 전구체 판가는 약 2만원/kg 수준으로 2025년 연 환산 매출액은 5,000억원 수준으로 급성장할 것으로 기대
3. 2023년 매출액 1,351억원, 영업이익 108억원 전망
- 에코앤드림의 2023년 실적은 매출액 1,351억원(+123.3%, YoY), 영업이익 108억원(+201.2%, YoY)으로 예상
- 기존 촉매 사업은 전년과 동일하게 견조한 Cash Cow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이며, 2차전지 수주 모멘텀이 현실화된다면 추가적인 실적 Level-Up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
- 국내 업체들의 전구체 내재화가 본격화되는 상황 속에서 전구체 CAPA 증설을 진행 중인 동사에 주목이 필요한 시점
하나증권 미래산업팀(스몰캡) 텔레그램 주소: https://t.me/hanasmallcap
하나증권 미래산업팀(스몰캡) 드림
* 위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하였음
👍16❤3
Forwarded from 한국투자 중국/신흥국 정정영
* BDI 5거래일 (6/5~6/9) 연속 상승. 업계 관계자는 중국 상품 재고 확보 기대를 BDI 반등의 주요인으로 평가. 재고조정 압력 줄어든 가운데, 상품가격 반등 기대
6月5日-9日,BDI指数连续5个交易日上涨,业内人士认为,国内大宗商品阶段性补库预期是BDI反弹的主要原因。由于主动去库存压力减轻,大宗商品价格有望出现阶段性反弹。
6月5日-9日,BDI指数连续5个交易日上涨,业内人士认为,国内大宗商品阶段性补库预期是BDI反弹的主要原因。由于主动去库存压力减轻,大宗商品价格有望出现阶段性反弹。
❤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