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치투자클럽
62.1K subscribers
10K photos
16 videos
139 files
25.7K links
공표된 증권사 자료와 전자공시, 뉴스를 올려드리는 채널입니다. 기업분석 역시 확정 공시된 재무제표를 기반으로 올려드릴 뿐 추정과 전망은 배제되어 있으며 주식매수매도에 대한 추천이 아닙니다. 투자판단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가치투자클럽의 리서치 자료를 받아보시려면 텔레그램 또는 카톡으로 요청해주세요
텔레그램 ID @orbisasset 카카오톡ID orbisasset
카페 https://cafe.naver.com/orbisasset
Download Telegram
[신한투자증권 혁신성장]

혁신성장 - 3Q25 Preview: 명암 속 기회

▶️ 신한생각: 명암이 갈리는 중소형주 3분기 실적시즌
- 대미관세 15%로 상향; 3분기 실적에 명암이 갈릴 전망
- 마진 압박이 확인된 일부 수출업체 존재해 관세 무풍에 집중할 필요
- AI, 전력 인프라, 자동화는 실적으로 증명될 것

▶️ 3Q25 Preview: 관세 무풍지대와 구조적 성장주 중심의 선전
- 대미 관세
1) 전력 인프라: 전력 빅사이클에 따른 관세 무풍
- 산일전기: 신재생, ESS용 특수변압기 관세 고객사 부담
- 일진전기: 공급자 우위 시장, 고객사 80% 이상 관세 부담
2) OEM, ODM: 단기적 관세 부담 불가피; 이미 악재 반영
- 제이에스코퍼레이션; 영업이익률 1.2%pt 하락 예상
- 토비스: 관세 변수, 영업이익 11% 감소 전망
- 티앤엘: 관세 절반 부담으로 인한 실적 모멘텀 제한

- 희소한 실적주
- 제이브이엠: 3분기 비수기 및 4분기 성수기 성장 전망
- 슈프리마: 통합보안시스템의 구조적 수요 증가
- 노머스: 플랫폼, 공연 및 26년 중국 매출 본격화

▶️ 명암은 있지만, 방향은 위로
- 신기록을 달성한 코스피에 비해 코스닥은 언더퍼폼 중
- 선별 투자가 중요해지는 시점; 관세 무풍지대, 구조적 성장주에 집중
- 로보틱스, 자동화 AI 수혜주는 실적과 무관한 테마 성장주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40673
위 내용은 2025년 10월 16일 8시 30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7
[다올 의료기기 박종현] - 2025.09월 의료관광 소비 금액 현황

전체 의료관광 1,994억원
(YoY +72%, MoM +30%)

피부과 1,150억원
(YoY +81%, MoM +27%)
7
🔷 고영, 美 CNS서 뇌 수술용 의료 로봇 발표

https://www.mhj21.com/169923

📌 핵심 내용
① 고영테크놀러지가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린 2025 미국신경외과학회(CNS)에서 뇌 수술용 의료 로봇 ‘지니언트 크래니얼’을 공개

② CNS는 전 세계 3000명 이상이 참석하는 신경외과 분야 최고 권위 학회

③ ‘이노베이션 심포지엄’에서 기술 혁신 사례로 주목받으며 로봇 기반 수술 패러다임 전환 기대

④ 샌디에이고 래디 어린이병원 신경외과장이 기존 네비게이션 대비 정확도·워크플로우 개선 효과 발표

⑤ 현지 의료진들의 관심과 문의 이어지며
미국 시장 확대 기대감 상승

🍀 독립리서치 ARIS
https://t.me/aris1031
10
Forwarded from main news
[매일경제] 단독 한미 관세협상 최종문구 조율 수순…내일 백악관行
http://www.mk.co.kr/news/economy/11442769
3
선박엔진 2Q
5
STX엔진 수주잔고 추이
15
Forwarded from main news
[프레시안] 부동산 다음 카드는 보유세? 국토부 "윤석열 때 워낙 보유세 기능이 낮아졌다"
http://m.pressian.comhttp://m.pressian.com/m/pages/articles/2025101609510213136
🔥36👍8👏2
『제약바이오(비중확대); 과도한 우려는 항상 기회였다』
기업분석부 엄민용 02-3772-1546


▶️ 신한생각: 주가 하락 선행 후 이유를 찾다보니 여러 추측 난무
코스닥 바이오들의 전반적인 하락세는 3가지 이유로 추측됨. 1) 타 섹터로의 수급 이동이 가장 큰 원인 2) 그러나 최근 부재했던 L/O이 지연된 것이 아닌가에 대한 추측성 우려로 확대 3) 지난해 11월 대주주 양도세 이슈로 큰 폭 하락했던 학습 효과로 작년보다 빠른 추석 전 시점부터 하락 시작

▶️ 작년 대주주 양도세와 올해 공매도 재개, 돌이켜보면 모두 기회였다
매년 4분기 펀더멘탈과 무관한 섹터 조정이 이루졌으나 남은 기간 주요 기업들의 L/O 체결이 공시되며 해소될 것으로 예상. 각 기업 목표는 유지 중. 다시 저점 기회 구간이 되었다는 점 또한 매년 반복. 코스닥150 헬스케어 지수는 3년째 매년 신고가 경신 중

지금까지 코스닥150 헬스케어 지수는 두 번의 수급적인 요인으로 하락 후 큰 폭 회복. 첫번째는 ‘24년 11월 11일 4,815p에서 대주주 양도세 이슈로 12월 9일 3,885p까지 -19.9% 하락. 그러나 즉각적으로 3주만에 수급이 회복되며 다시 2025년 3월 5일 5,001p까지 +29.7% 상승. 연말 양도세 이슈로 인한 하락은 섹터의 기회 구간임을 말하는 현재 시점과 유사 사례 존재

두번째는 올해 4월 재개된 공매도 우려로 3월 5일부터 하락하기 시작하여 4월 7일 4,195p까지 -16% 하락했지만, 에이비엘바이오/GSK 4.1조 L/O 체결 후 최근 10월 10일 5,982p까지 무려 +42.6% 지속 상승. 펀더멘탈과 상관없는 수급적 요인에 의한 하락은 기회 구간임이 확인. 대주주 양도세로 인한 여러 근거없는 우려들은 결국 펀더멘탈과 무관하여 상승 기회로 작용

▶️ FDA 승인 및 M&A 성과에도 과도한 조정. 단기간 내 회복 전망
국내 제약/바이오 섹터는 지난 10년간 이뤄내지 못했었던 FDA 승인 (‘24년 8월 유한양행/오스코텍, ‘25년 9월 알테오젠), 디앤디파마텍의 파이프라인 보유한 멧세라의 화이자 M&A 결정과 같은 지난 10년간 없었던 실질적 성과들로 큰 폭 상승. 매년 FDA 승인을 기대할 수 있는 주요 산업될 것

‘26년 에이비엘바이오 ABL001 담도암 치료제 FDA 가속 승인 신청 목표, ‘27년 보로노이 VRN11 C797S 변이 비소세포폐암 FDA 가속 승인 목표. ‘28년 한올바이오파마/이뮤노반트 IMVT-1402 그레이브스병 FDA 승인 등 혁신 신약 부분 큰 성장 예견되나 매번 단기적 수급 우려로 조정 국면

펩트론과 지속형 개발을 위한 릴리 기술검토 단계로 착공 및 본계약 기대. 리가켐바이오, 에이비엘바이오 등 L/O 목표했던 기업들 또한 목표 변동없이 유지. 미국 바이오는 금리 인하 기대감으로 코로나19 이후 역대 최대 상승 중이나 국내는 수급 이슈로 조정 국면. 제약/바이오 비중확대 의견 유지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40704

위 내용은 2025년 10월 17일 07시 40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17
Forwarded from 한화 Tech
[한화투자증권 2차전지/에너지/화학 이용욱]

★ 양극재 9월 수출액 코멘트

-link: https://buly.kr/AllNMP4

대구를 제외하면 여전히 부진한 출하량

2025년 9월 국내 양극재 수출액은 4.2억 달러(MoM -19.0%), 수출량은 1.6만 톤(MoM +10.8%)을 기록했다. 이에 따른 양극재 수출 가격은 23.2 달러/kg 로 MoM 유사한 수준을 보였다. 3Q25 기준으로 양극재 수출량은 5.5만 톤(QoQ -3%), 수출 가격은 23.2달러/kg(QoQ -3%)를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대구만 유일하게 수출량이 증가(QoQ +25%)했으며, 4개 분기 연속 상승하여 3Q23 이후 분기 최대치를 회복했다. 반면 기타 지역 수출량은 모두 QoQ 하락했다. 특히, NCA 양극재 수출량은 1.0만 톤(QoQ 27%)으로 크게 줄었다. 삼성SDI의 수요 부진 영향이 컸다. 이에 따라 엘앤에프를 제외한 주요 양극재 업체들의 3분기 출하량은 기대치 및 가이던스를 하회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EV 보조금 폐지를 앞두고 배터리/OEM 업체들이 선제적으로 재조를 조정한 영향이다.

한편, 2차전지 업종 주가는 우려보다 기대감을 더 크게 반영하고 있다. 그동안 미국 EV 보조금 축소 이후 국내 2차전지 업종의 실적 하향 조정 우려가 주가를 눌러왔으나, 최근 들어 ESS에 대한 기대감이 다시 커지는 추세다. 국내 배터리 3사는 2025년 미국 시장에서 총 50GWh(EV용 42GWh, ESS용 8GWh)의 배터리를 출하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6년에는 EV용 30~40GWh, ESS용 30~40GWh로 전망되어, ESS 판매 확대가 EV 배터리 출하 감소분을 충분히 상쇄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더불어 1) 유럽 시장의 견조한 전기차 수요와 2) 중국의 배터리 소재·기술에 대한 수출 통제도 국내 2차전지 산업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국내 양극재 업체들은 유럽 저가형 EV 판매 확대로 미드니켈 양극재 수요가 점차 회복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포스코그룹의 전구체·흑연 수직계열화 전략은 미·중 갈등이 심화될수록 경쟁력이 부각되고 있다.

다만 ESS 성장 기대에 비해 양극재 업체들의 직접적인 수혜 강도는 다소 제한적이다. 2026년 미국 ESS 시장은 LGES의 LFP 기반 ESS 중심으로 확대될 것으로 보이나, 국내 양극재 업체들은 아직 NCM 계열 양극재만 생산하고 있다. 다만 2026년 하반기부터 LFP 양극재 양산을 계획 중인 엘앤에프에 대한 기대감은 여전히 유효하다.


- 채널 : https://t.me/hanwhatech
상기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함
16
📮[메리츠증권 방위산업/로봇 이지호]

2025.10.17(금)

현대로템(064350): 더 높은 곳을 향하는 전차

URL) https://tinyurl.com/4wzkp57w

[주요 내용]
- 3Q25 매출액 1.46조원(YoY +34.8%), 컨센서스 부합 전망
- 3Q25 영업이익 2,883억원(YoY +109.8%/OPM 19.6%), 컨센서스 +9% 상회 전망

- 방산수출 수익성 QoQ 상승세 지속 전망: 1Q 36% > 2Q 41% > 3QE 43% 추정
- 수익성 향상 주요 원인: 폴란드 1차 종료 시점 도래 및 부정적 환율 해소
- 2차 GF물량 반영 본격화되는 4Q에는 추가적인 이익률 성장 또한 기대 가능

- 폴란드향 K2 잔여수량 640대 / 3차 수출 계약 2027년 체결 목표 가이던스
- 이라크향 K2 총 규모 약 9조원 추정, 연내 체결 가능성 높다고 판단
- 루마니아향 K2 총 규모 약 3~5조원 추정, 내년 하반기 중 업체 선정 가능성 높으며 동사의 수주를 기대

- 투자의견 Buy, 적정주가 29만원으로 상향

감사합니다.
이지호 드림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13
2025.10.17 13:56:17
기업명: 파두(시가총액: 1조 879억)
보고서명: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

계약상대 : Macnica Galaxy Inc.
계약내용 : SSD 공급계약 체결
공급지역 : 대만
계약금액 : 69억

계약시작 : 2025-10-16
계약종료 : 2026-06-15
계약기간 : 8개월
매출대비 : 15.80%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1017900200
최근계약 : https://www.awakeplus.co.kr/board/contract/440110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440110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