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laristimes
3.17K subscribers
26.5K photos
7 videos
78 files
11K links
※ 공지
본 채널은 각종 경제 및 지정학적 뉴스를 토대로, 향후 시대 흐름을 예측하여 투자에 응용하는 필자 자신에 대한 기록을 남기기 위한 채널입니다.
항상 최대한의 성실과 정확성을 추구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다만, 본인이 본 채널에서 밝혔던 / 밝히는 견해는 업데이트된 분석, 뉴스 및 향후 전개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이 때 별도의 공지 의무를 지지 않습니다.
투자는 전적으로 투자자 본인의 판단이며 그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귀속됩니다.
Download Telegram
#인도 #전력 수요 전망치 재차 상향

#석탄 의 최대 호재
#에너지
발틱 케이프운임지수(BCI) 항로 별 운임 현황
- #호주 -> #중국 행 운임(황색)이 아주 가파르게 급등 중

말인 즉슨, 현재 #벌크 랠리의 동인은 호주 산 #철광석 / #석탄 등이라는 이야기가 됩니다.
#중국 YTD 기준 무역 데이터 상세

- 국가 별 교역량 기준, 전년 비
아세안 +8.1% / #유럽 -1.3%, #미국 +3.7%, #한국 +2.9% 증가
<아세안 교역규모가 유럽 및 미국과의 교역 규모 상회>

- 수출 품목 별 기준, 전년 비
#정유 제품 -30.6%, 비료 -16.4%, 희토류 +18.7%, 휴대폰 +12%, #자동차 +22%, #반도체 +5.6%
<전통적인 #석유 #화학 제품 수출량은 줄어들고 그 자리를 #전기차 가 대체하고 있음>
(물론 이는 글로벌 제조업 경기 둔화 속 화학업계 사이클 둔화도 고려해봐야 함)

- 수입 품목 별 기준, 전년 비
#철광석 +7.86%, #구리 +0.43%, #석탄 +22.87%, #원유 +5.04%, #천가 +23.26%
< #원자재 전반에 대한 수입량 증가, 특히 #전력 발전 원료 #에너지 수입량 급증>
2월 기준 #한국#석탄 수입 인포그래픽

- 좌상단 수입량을 보면 계절성을 따라 둔화되고 있으나 지난 4년 래 최고치를 지속적으로 경신하고 있는 모습.
- 수입국은 #인도네시아, #러시아, #호주
- #열탄 수입 비중이 73%에 달함

가까운 나라들에서 저렴하게 수입을 늘리는 것은 칭찬해 마땅할 일입니다.
지난 8년 사이, 발전 방식 별 #중국, #미국, #유럽, #인도 의 발전 용량 규모 그래프

특히 #석탄 발전에 있어 인도와 중국 모두 8년 사이 +40% 가까운 석탄 발전량 증가를 보여줬으며, 인도가 중국을 따라잡으려면 앞으로 어마어마한 석탄 수요 증가가 필요합니다.

저는 여전히 3대 #에너지(석탄, #석유, #천가) 중 중장기적으로 석탄이 가장 유망한 투자처라고 생각합니다.
글로벌 #석탄 발전소 발전 용량 증가 규모, 중국 이외(황색) vs #중국(회색)

중국은 석탄의 이점을 톡톡히 누리고 있는데 왜? 도대체 왜 쓰면 안 되는 거죠?
#에너지 #ES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