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rum Research - 투자 정보 공유
2.84K subscribers
76 photos
993 links
Download Telegram
Aurum Research - 투자 정보 공유
* 23년 3월 14일(목요일), 글로벌 헤드라인 경제뉴스 정리 - 작성 : Aurum Research - 텔레그램 주소 : https://t.me/AurumResearch 0. 가상자산 마이크로스트래티지, 비트코인 추가구매용 전환사채 또 발행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563794 마이클 세일러 “비트코인 사서 100년간 보유해라” 회사 주가 11%↑ - https://n.news.n…
오늘의 뉴스 요약 ✍️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비트코인 추가 구매를 목적으로 6600억 원 규모의 전환사채를 발행했습니다. 현재 140억 달러 이상의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번 전환사채 발행을 통해 추가적인 비트코인 매입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마이클 세일러 CEO는 비트코인을 장기간 보유할 것을 권장하면서, 자신은 죽을 때까지 비트코인을 팔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러한 발언은 회사의 주가를 11% 가까이 상승시키는 등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엘살바도르는 비트코인을 법정통화로 채택한 후, 68%의 수익률을 달성하며 1100억 원 규모의 대박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국가 차원에서 비트코인 투자를 진행한 첫 사례로, 비트코인 가격의 상승 랠리가 이익으로 이어진 결과입니다.

옐런 장관은 켄터키주 엘리자베스타운 방문 중 인터뷰를 통해, 최근 경제 지표들을 근거로 들어 지난 1년 전 저금리 시대 도래 가능성을 시사한 자신의 이전 발언에서 변화된 견해를 표명. 미국의 금리가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상황으로 돌아가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을 제시함. 백악관이 제시한 향후 수년간의 금리 전망이 민간 부문의 예측과 일치한다고 언급하며, 금리가 대유행 이전처럼 낮게 돌아갈 것 같지 않다고 언급. 인플레이션 진정세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스태그플레이션 우려에 대해서는 반박함.

미국 하원이 틱톡의 미국 내 사용을 제한하는 '틱톡 금지법'을 찬성 325표, 반대 65표로 가결. 이 법안은 틱톡의 중국 모회사 바이트댄스가 틱톡의 미국 사업을 매각하지 않는 한, 틱톡의 미국 앱스토어 유통을 금지하는 내용을 담고 있음. 미국 사용자의 데이터가 중국 정부로 넘어갈 수 있다는 우려가 법안 통과의 배경. 법안이 최종적으로 발효되기 위해서는 상원 표결 절차가 남아 있음.

전기차 시장의 선두주자인 테슬라에 대해 웰스파고를 포함한 9개 증권사가 매도 의견을 내놓음. 이는 테슬라의 실적 전망에 대한 시장의 비관적인 시각을 반영. 특히 웰스파고는 테슬라를 "성장 없는 성장 기업"으로 평가하며 올해와 내년 실적 전망을 낮춤. 테슬라 주가는 이 같은 분석과 의견에 따라 하락세를 보임.

전기차 배터리의 핵심 원료인 리튬 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중국의 리튬 광산업체들이 경제적 위기에 직면함. 특히, 리튬 추출에 비용이 많이 드는 레피도라이트 채굴 산업이 타격을 받고 있음

리창 총리가 양회 이후 첫 외부 일정으로 베이징의 IT 및 반도체 관련 기업들을 방문하며, 인공지능 기술 개발과 적용 확대의 중요성을 강조함. 이는 '인공지능+ 이니셔티브'에 대한 중국 정부의 의지를 보여줌. 리 총리는 AI 기술의 발전이 새로운 생산력을 창출하는 중요한 엔진이 될 것이라고 언급함.

경기 둔화에 직면한 중국은 경제성장을 확보하기 위해 단순한 경기부양책보다 구조개혁에 더 큰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지적됨. 중국인민은행의 류스진 금융정책위원은 현재의 거시경제 정책 완화가 문제가 아니라 구조개혁의 추진이 소홀히 되는 경향에 대해 우려를 표명함. 이는 거시정책과 구조개혁 간의 균형이 중요함을 강조함.

인도 정부는 반도체 산업의 국산화 및 육성을 목표로, 구자라트주와 아삼주에 총 3개의 반도체 공장 설립 계획을 승인하고, 1조2500억 루피(약 20조 원)를 투자한 이 공장들의 기공식을 개최
* 23년 3월 15일(금요일), 글로벌 헤드라인 경제뉴스 정리

- 작성 : Aurum Research
- 텔레그램 주소 : https://t.me/AurumResearch

0. 가상자산
"7% 급락한 비트코인 5만8000달러까지 밀릴 수도"-코인데스크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7413903

1. 북미/남미/유럽 뉴스
'끈질긴 인플레'에 Fed 금리 인하 멀어지나…2월 도매물가도 상승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392422
옐런 美재무 "인플레 '일시적'일 것이란 발언 후회"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2429541
월급 안 깎고 “4일만 일해도 괜찮아”…美 의원 발의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4/0000087999
"리튬 확보하라" 美, 네바다주 개발에 3조원 대출 승인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4960397
상업용 부동산 침체에 美 도시 재정도 휘청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692817
"미국, 삼성에 8조 푼다"…TSMC보다 보조금 더 받아낸 전략은(상보)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5012295
'금리인하 신중론'에 힘 실리는 미 지표들…PPI도 예상 웃돌아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565376
고금리에 소비둔화까지…S&P "디폴트 비율 2009년 후 최대치"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4960284
美 헤지펀드 거물 "대공황 이후 최악의 증시 붕괴 우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15/0001152987
[뉴욕유가] IEA 수요 전망치 상향에 80달러 돌파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564883
스페이스X, 달·화성 우주선 3번째 시험비행 '절반의 성공'(종합)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692490
"이탈리아가 독일을 압도했다"…국채 스프레드 2년만 최저폭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4960275
러 위협 커지자… 덴마크도 ‘여성 징병제’ 도입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2/0003914232

2. 아시아/오세아니아 뉴스
[올댓차이나] 인민은행, MLF 금리 2.5%로 7개월째 동결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2428641
[올댓차이나] "인민은행, 시장서 유동성 대량 흡수할 생각 없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2429750
[올댓차이나] 中, 상장기업·증권사 규제 강화…"증시 리스크 방지"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2429887
"中, 자국 전기차업체들에 국산반도체 많이 써달라 주문"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566863
‘외부 세력 결탁하면 종신형’…더 세진 홍콩보안법 통과 눈앞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2/0003284841
중국서 유령 아파트 이어 유령 자동차 공장 속출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7413752
1인 미디어 특별단속 나선 中…생성형 AI 통제도 강화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2429770
[올댓차이나] 2월 中 신축주택 가격 0.3%↓…8개월 연속 하락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2429010
中왕이 7년만에 호주 방문…전문가 "양국 무역관계 정상화 기대"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7413652
美 특수부대 대만에 상주 개시…"대만군 훈련 지도·연합훈련"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2428479
日임금인상률 5.28%, 33년래 최고…BOJ 정책변경 가능성↑(종합)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693265

3. 중동/아프리카
초콜릿 값도 들썩… 아프리카 이상기후에 카카오 생산 급감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0/0003553344
'원유 종말론'서 말바꾼 IEA…"친환경 전환 때도 석유안보 중요"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4960570
“네타냐후는 평화의 장애물”…이스라엘 압박 수위 높이는 美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313876
"예멘 반군, 극초음속 미사일 시험 발사 성공"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564799

#경제뉴스 #세계뉴스
Aurum Research - 투자 정보 공유
* 23년 3월 15일(금요일), 글로벌 헤드라인 경제뉴스 정리 - 작성 : Aurum Research - 텔레그램 주소 : https://t.me/AurumResearch 0. 가상자산 "7% 급락한 비트코인 5만8000달러까지 밀릴 수도"-코인데스크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7413903 1. 북미/남미/유럽 뉴스 '끈질긴 인플레'에 Fed 금리 인하 멀어지나…2월 도매물가도 상승 …
오늘의 뉴스 요약 ✍️

비트코인의 가격이 7% 이상 급락한 가운데, 전문가들은 비트코인이 5만8000달러까지 떨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디지털 자산 분석 업체 '스위스블록'의 보고서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지난 1월 이후 지속적인 상승세를 이어왔으나, 현재는 조정기에 접어들었다고 분석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조정기 이후에도 비트코인은 다시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며, 특히 반감기와 같은 호재가 기대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매트릭스포트도 "비트코인의 상승 동력이 고갈되고 있으며, 당분간 횡보세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고 코인데스크가 보도했습니다.

미국의 도매물가인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예상을 상회하면서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연방준비제도(Fed)가 다가오는 회의에서 금리 인하에 신중을 기할 것이라는 전망이 무게를 얻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에 이어 PPI 또한 상승하면서 인플레이션과의 싸움이 쉽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10년물 국채 금리가 상승하고 증시가 하락함에 따라, 경제 전반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미국 재무장관 재닛 옐런이 과거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일 것이라는 발언에 대해 후회한다고 밝혔습니다. 옐런 장관은 인플레이션의 지속 기간이 예상보다 길어지면서 자신의 초기 예측이 틀렸음을 인정했습니다. 또한, 인플레이션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주거비의 하락을 통해 물가 안정에 대한 기대감을 표현했지만, CPI에 반영되기까지는 시간이 더 걸릴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리튬 채굴 기업인 '리튬 아메리카스'에 22억6000만 달러의 대출을 승인했습니다. 이 대출은 네바다주 태커패스에 위치한 탄산리튬 가공 공장 건설에 사용될 예정입니다. 리튬 아메리카스는 이 공장에서 연간 4만톤의 리튬을 채굴할 계획이며, 이는 전기차 연간 80만 대에 필요한 배터리를 만들 수 있는 양입니다. 이번 대출 승인은 미국 정부가 리튬 공급망을 확대하고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조치로 평가됩니다.

고금리와 인플레이션 악재로 인해 글로벌 기업들의 디폴트 비율이 2009년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차입 비용의 상승과 소비 둔화로 인해 수익성이 악화되면서 기업들의 부도 위기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국제에너지기구(IEA)가 전 세계 원유 수요 전망치를 상향 조정하면서, 뉴욕유가가 지난해 11월 이후 처음으로 배럴당 80달러를 돌파했습니다. IEA는 석유수출국기구(OPEC) 및 비OPEC 산유국들의 감산 지속과 함께 수요 전망의 개선으로 유가 상승세가 나타났습니다. 이에 따라 전 세계 원유 총수요가 하루 평균 1억320만 배럴에 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탈리아와 독일의 국채 금리 차이가 2년여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좁혀졌습니다. 이는 이탈리아 정부의 안정적인 경제 정책 실행과 독일의 경기 침체 우려가 반영된 결과입니다. 이탈리아의 재정 건전성 강화 노력이 시장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되면서 이탈리아 국채의 가치가 상승한 것으로 보입니다.

중국인민은행은 시중은행에 1년간 단기자금을 융통하는 중기 유동성 지원창구(MLF) 금리를 2.50%로 7개월째 동결했습니다.

중국인민은행은 시장에서 자금을 대량으로 흡수할 의도가 없음을 명확히 했습니다. 최근 MLF를 통한 자금 순흡수와 역레포 거래로 인해 시장에서는 인민은행이 유동성 축소를 시도하고 있다는 관측이 제기되었으나, 인민은행은 시장의 유동성을 충분히 충족시키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

일본 노동계가 올해 봄 임금협상(춘투)에서 평균 5.28%의 임금 인상률을 달성했으며, 이는 33년 만에 최고치로, 지난해보다 1.48%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이로 인해 일본은행(BOJ)의 마이너스 금리 해제 가능성이 높아졌다. 대기업들이 노조의 요구를 수용한 결과로, 평균 임금 인상률이 5%를 넘어서는 것으로 예상된다.

서아프리카의 이상기후와 전염병으로 인해 카카오 열매의 수확량이 급감하면서 코코아 가공품의 가격이 크게 오를 전망이다. 카카오 열매 가격이 급등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글로벌 초콜릿 위기'가 발생할 수 있다. 코트디부아르와 가나에서 카카오 생산량이 최근 1년간 약 30% 급감했고, 가격이 두 배 이상 올랐다.
* 국가별 주식 ETF, 채권 ATH(최근고점) 대비 현재 하락률(2024년 3월 14일(목요일) 종가 기준)

- 작성 : Aurum Research
- 텔레그램 주소 : https://t.me/AurumResearch

0. 국가별 주식 인덱스 ETF
Nigeria -85.6%
Russia -79.8%
Egypt -65.8%
China -56.0%
Chile -52.7%
Vietnam -41.1%
Turkey -38.4%
Hong Kong -35.4%
Greece -35.1%
Malaysia -33.9%
New Zealand -32.0%
Brazil -31.1%
South Africa -30.9%
Thailand -30.4%
Philippines -28.9%
Finland -26.8%
South Korea -26.1%
Qatar -24.2%
Indonesia -23.1%
UAE -20.2%
Israel -19.7%
Norway -19.1%
Frontier 100 -18.1%
Belgium -15.1%
Austria -14.2%
Kuwait -11.5%
Saudi Arabia -9.04%
Sweden -8.66%
Germany -7.27%
Netherlands -6.15%
Taiwan -5.03%
Switzerland -4.95%
Spain -3.17%
Canada -2.81%

1. 채권
Extended Duration Treasury -52.0%
20+ Year Treasury Bond -41.0%
Barclays Short Term International Treasury Bond -27.2%
Barclays International Treasury Bond -25.8%
Bloomberg Barclays International Corporate Bond -20.6%
7-10 Year Treasury Bond -18.7%
Emerging Bond -18.7%
Investment Grade Corporate Bond -13.6%
U.S. Aggregate Bond -11.8%
Mortgage-Backed Securities -10.2%
US TIPS -10.0%
Global Bond ex US -8.09%
AT1 Capital Bond -7.37%
High Yield Corporate Bond -0.836%
1-3 Year Treasury Bond -0.675%

지난글
* ATH(최근고점) 대비 현재 하락률(2024년 3월 15일(금요일) 종가 기준)

- 작성 : Aurum Research
- 텔레그램 주소 : https://t.me/AurumResearch

0. Crypto
ETH -22.60%
BNB -3.75%
SOL -27.10%
XRP -62.90%
ADA -75.60%
DOGE -77.10%
AVAX -57.90%
SHIB -60.30%
DOT -79.90%
LINK -60.70%
MATIC -59.70%
TRX -22.00%
BCH -71.50%
UNI -69.90%
NEAR -63.30%
LTC -76.20%
APT -19.40%
ICP -96.80%
FIL -95.70%
ATOM -70.70%
ETC -75.50%
IMX -25.20%
RNDR -7.52%
HBAR -77.10%
XLM -81.80%
GRT -84.30%
PEPE -10.60%
VET -81.50%
RUNE -53.70%
THETA -78.00%
WIF -10.40%
LDO -22.40%
TIA -25.50%
MKR -51.30%
FLOKI -3.78%
ARB -20.00%
FTM -73.50%
ALGO -86.70%

1. Bitcoin Mining, Chipset Company, Crypto Exchange and Big Tech
Apple -12.8%
Amazon -6.51%
Argo Blockchain -92.0%
Alibaba -76.5%
Baidu -69.4%
Bitfarms -74.5%
BITQ -63.3%
BKCH -69.3%

Bit Digital -92.4%
Canaan -96.3%
CleanSpark -56.8%
Coinbase -32.2%
Core Scientific -15.3%
Coupang -64.1%
Disney -44.4%
Galaxy Digital -68.7%
Google -8.03%
Hut 8 Mining -90.5%
Iris Energy -81.5%
Marathon Digital -74.6%
Meta -5.48%
Mawson -98.6%
Riot Blockchain -85.1%
Tencent -61.0%
Tesla -60.1%
TeraWulf -95.1%

3. S&P Regional Banking
First Foundation Inc. -74.9%
HomeStreet Inc. -71.7%
New York Community Bancorp Inc. -70.7%
Metropolitan Bank Holding Corp. -66.7%
Eagle Bancorp Inc. -60.8%
Live Oak Bancshares Inc. -60.5%
Columbia Banking System Inc. -58.4%
Bank of Marin Bancorp -57.1%
Sandy Spring Bancorp Inc. -55.0%
Veritex Holdings Inc. -54.0%
Washington Trust Bancorp Inc. -53.2%
Kearny Financial Corp. -52.3%
Western Alliance Bancorp -49.9%
Capitol Federal Financial Inc. -48.8%
Dime Community Bancshares Inc. -48.6%

지난글
* Market Dividend Yield & MDD(2024년 3월 15일(금요일) 종가 기준)

- 작성 : Aurum Research
- 컨텐츠 설명 : https://t.me/AurumResearch/719

0. 채권
Blackstone Senior Loan 8.7%(-10.3%)
Invesco Senior Loan 8.68%(-7.38%)
Short Term High Yield Bond 7.32%(-8.96%)
Short Duration High Yield Corp Bond 6.84%(-26.3%)
High Yield Bond 6.48%(-14.4%)
EM Local Currency Bond 6.14%(-27.2%)
BB Rated Corporate Bond 6.04%(-13.2%)
iBoxx High Yield Corporate Bond 5.77%(-12.8%)
0-3 Month Treasury Bond 5.05%(-0.208%)
Long-Term Corporate Bond 4.9%(-31.7%)
USD Emerging Markets Bond 4.85%(-24.5%)
Global Bond ex US 4.57%(-16.9%)
Investment Grade Corporate Bond 4.16%(-22.5%)
Virtus Newfleet ABS/MBS 4.04%(-4.65%)
Extended Duration Treasury 3.85%(-58.1%)
20+ Year Treasury Bond 3.68%(-45.8%)
Mortgage-Backed Securities 3.51%(-17.3%)
U.S. Aggregate Bond 3.3%(-18.8%)
Short-Term Corporate Bond ETF 3.27%(-7.54%)
1-3 Year Treasury Bond 3.22%(-6.12%)
7-10 Year Treasury Bond 3.08%(-23.9%)
TIPS ETF 3.06%(-19.2%)
National Muni Bond 2.72%(-8.72%)
International Corporate Bond 2.3%(-23.3%)
ESG Aware US Aggregate Bond 1.98%(-22.1%)
Short Term International Treasury Bond 1.84%(-19.6%)
Short-Term National Muni Bond 1.79%(-3.34%)
International Treasury Bond 1.74%(-28.9%)

1. 원자재
Brazil 6.16%(-11.9%)
MSCI Global Metals & Mining Producers 4.46%(-14.6%)
Energy Select Sector 3.25%(-0.255%)
VanEck Agribusiness 3.06%(-28.9%)
MSCI Agriculture Producers 2.61%(-22.8%)
Emerging Markets 2.6%(-24.6%)
S&P Oil & Gas Exploration & Production 2.42%(-7.82%)
Gold Miners 1.67%(-29.0%)
Oil Services 1.31%(-9.54%)
S&P Metals & Mining 1.06%(-11.8%)
Global X Silver Miners 0.64%(-46.7%)

2. 주식(섹터)
Real Estate 4.1%(-20.5%)
Utilities 3.47%(-14.5%)
Energy 3.07%(-0.704%)
Consumer Staples 2.51%(-0.848%)
Financials 1.94%(-0.861%)
Health Care 1.28%(-1.7%)
Communication Services 0.95%(-13.2%)
Consumer Discretionary 0.83%(-12.0%)
Technology 0.61%(-2.75%)

3. 주식(산업)
MSCI Global Metals & Mining Producers 4.46%(-14.6%)
Real Estate 4.1%(-20.5%)
Global ex-US Real Estate 3.9%(-25.2%)
Utilities Select Sector 3.38%(-14.8%)
S&P Regional Banking 3.28%(-35.6%)
International Developed Real Estate 1.93%(-28.9%)
Global Timber & Forestry 1.78%(-12.8%)
Basic Materials 1.7%(-3.09%)
S&P Kensho Clean Power 1.37%(-56.9%)
S&P Retail 1.34%(-23.9%)
Pharmaceuticals 1.28%(-3.65%)
Defiance Hotel Airline and Cruise 1.1%(-11.2%)
S&P Metals & Mining 1.06%(-11.8%)
Genomics Immunology and Healthcare 1.0%(-55.8%)
Communication Services 0.95%(-13.2%)
Oil Equipment & Services 0.93%(-9.88%)
Robotic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0.89%(-31.1%)
Healthcare Providers 0.78%(-1.23%)
S&P Transportation 0.76%(-17.1%)
Communication Services Select Sector 0.75%(-5.75%)
Consumer Discretionary 0.65%(-7.37%)
S&P Oil & Gas Equipment & Services 0.62%(-9.96%)
Information Technology 0.61%(-2.75%)
S&P Aerospace & Defense 0.54%(-3.01%)
Leisure and Entertainment 0.5%(-17.5%)
VanEck Semiconductor 0.48%(-6.97%)
Home Construction 0.45%(-2.44%)
Electric Vehicles and Future Transportation 0.29%(-52.7%)
S&P Health Care Services 0.22%(-21.4%)
Cybersecurity and Tech 0.13%(-5.56%)
S&P Health Care Equipment 0.03%(-37.6%)
S&P Biotech 0.02%(-45.5%)
Travel Tech 0.0%(-42.8%)
Global Jets 0.0%(-38.6%)

지난글
2024년 3월 17일(일요일) Crypto Valuation

- 작성 : Aurum Research
- 텔레그램 : https://t.me/AurumResearch

[Crypto]
- Market Sentiment : 79(Extreme Greed) (18년 Bear Market 11, 21년 Bull Market 95)
- BTC Google Trends : 38(18년 Bear Market 9, 21년 Bull Market 67)
- BTC Dominance : 52.0%(18년 Bear Market 70%, 21년 Bull Market 39%)
- 업비트 거래량 / 바이낸스 거래량 : 23.2%(19 Bear Market 6%, 21년도 Bull Market 38%)
- 바이낸스 거래량 MDD : -70.7% (거래량 : $27,632,037,740)
- 업비트 거래량 MDD : -81.9% (거래량 : ₩8,345,531,424,993)
- BTC Asset Rank : 9등
- ETH Asset Rank : 25등
- BTC / Gold 시가총액 : 3.03%
- ETH / Silver 시가총액 : 0.3%
지난주 구글 트렌드 51에서 38로 감소함

[Crypto ETF]
- 비트코인 ETF 거래량 : $119,881,100
- Binance BTC 거래량 : $3,647,972,171
- Upbit BTC 거래량 : ₩754,239,161,969
- ETF 거래량 / CEX 거래량 : 2.84%
- 비트코인 ETF AUM : $60,470M
- IBIT 거래량 : $68,627,600, AUM : $16,353M, 0.42%
- GBTC 거래량 : $21,554,800, AUM : $28,209M, 0.08%
- FBTC 거래량 : $19,648,000, AUM : $9,192M, 0.21%
- BITB 거래량 : $4,130,100, AUM : $2,118M, 0.19%
- ARKB 거래량 : $3,185,500, AUM : $2,905M, 0.11%
- BTCO 거래량 : $907,900, AUM : $379M, 0.24%
- BRRR 거래량 : $605,600, AUM : $452M, 0.13%
- HODL 거래량 : $559,900, AUM : $543M, 0.1%
- EZBC 거래량 : $397,400, AUM : $235M, 0.17%
- BTCW 거래량 : $264,300, AUM : $78M, 0.34%
비트코인 ETF AUM 지난주 $53,112M 에서 $60,470M 으로 상승함(13%)

[Crypto Onchain]
- BTC MVRV 비율 : 2.4408(1 이하인 경우 저평가)
- BTC 미실현 순수익 (NUPL) : 0.005(0 이하일 때 손실 구간에 있는 코인이 더 많음)
- BTC 단기 보유자 SOPR : 1.0067(1 이하일 때 155일 미만 투자자에 대해 손실 구간에 있는 코인의 비율이 높음)
- BTC 장기 보유자 SOPR : 2.5441(1 이하일 때 155일 이상 투자자에 대해 손실 구간에 있는 코인의 비율이 높음)
- BTC 마이너의 수입 중 트랜잭션 비용 비율 : 4%(2018년 Bear Market 0.99%, 2021년 Bull Market 14.49%)

[Crypto Offchain]
- BTC Margin Lending Ratio : 35.7%
- BTC Perpetual Funding Rate : 0.034%
- BTC Basis : 0.024%(Contango)
- Put/Call Option Open Interest Ratio : 1.116
→ 선물/옵션 시장 모두 강세인데 1) 상승장에는 자연스러운 현상 2) 다소 과열되어서 조정이 임박했다 3) 상승장에는 단기적으로 과열된 국면을 해소(조정)하면서 올라간다와 같이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고 투자자의 철학에 맞게 해석하면 됩니다.

#크립토지표
2024년 3월 17일(일요일) Market Valuation(미국 이외)

- 작성 : Aurum Research
- 텔레그램 : https://t.me/AurumResearch

[EU]
- 기준 금리 : 4.50%
- M3 : 0.1%
- CPI : 2.6%
- Core CPI : 3.1%
- PMI : 46.5
- NMI : 50.2
- 소매 판매 : -1.0%
- 실업률 : 6.4%
- 외환보유고 : 1,156.11B
- 경상수지 : 32.0B
- 무역수지 : 16.8B
- 독일 공장 주문(M) : -11.3%
24년 1월부터 M3 양수로 전환함
서비스 PMI 48.4에서 50.2로 전환

[China]
- 기준 금리 : 3.45%
- M2 : 8.7%
- 경기선행지수 : 101.6
- CPI : 0.7%
- PPI : -2.7%
- PMI : 49.1
- NMI : 51.4
- 소비자신뢰지수 : 71.14(60 이하인 경우 펜데믹)
- 소매 판매 : 7.4%
- 산업 생산 : -8.30%

- 수출액 : 7.1%
- 주택가격지수 : -1.4%
- 실업률 : 5.1%
- 외환보유고 : 3.226T
- 무역수지 : 125.16B
- CDS : 0.68%
믿을 수 있는 수치는 아니지만 CPI가 2월 -0.8%에 비해서 0.7%로 전환함

[Japan]
- 기준 금리 : -0.10%
- 일본 YCC(10년물 국채 금리) : 0.772%(현재 금리 상단 1.0%)
- M2 : 2.5%
- 경기선행지수 : 100.0
- CPI : 2.2%
- Core CPI : 2.0%

- PPI : 0.6%
- PMI : 47.2
- NMI : 52.9
- 소비자 신뢰지수 : 39.1(28 이하인 경우 금융위기, 펜데믹)
- 소매 판매 : 2.3%
- 실업률 : 2.4%
- 외환보유고 : 1,281.5B
- 경상수지 : 0.438T
- 무역수지 : -1,758.3B
- CDS : 0.18%

[Korea]
- 기준 금리 : 3.50%
- M2 : 4.30%
- 경기선행지수 : 100.0
- CPI : 3.1%
- PPI : 1.3%
- PMI : 50.7
- 소비자신뢰지수 : 101.9(84 이하인 경우 금융위기, 펜데믹)
- 소매 판매(M) : 0.8%
- 산업 생산 : 12.9%
- 실업률 : 2.6%
- 외환보유고 : 415.73B
- 경상수지 : 3.05B
- 무역수지 : 4.30B
- CDS : 0.34%
- 출산률 : 0.65명

#경제지표 #매크로지표
2024년 3월 17일(일요일) Market Valuation

- 작성 : Aurum Research
- 텔레그램 : https://t.me/AurumResearch

[US 통화]
- 기준금리 : 5.50%
- Overnight Reverse Repurchase Agreements Award Rate(RRP) : 5.3%
- Secured Overnight Financing Rate(SOFR) : 5.31%
- Effective Federal Funds Rate(EFFR) : 5.33%
- Interest Rate on Reserve Balances(IORB) : 5.4%
- 1개월 국채 : 5.52%
- 3개월 국채 : 5.48%
- 6개월 국채 : 5.38%
- 1년 국채 : 5.04%
- 2년 국채 : 4.68%
- 10년 국채 : 4.29%
- 30년 고정 모기지 : 6.74%
- 투자적격 등급 회사채 : 5.64%
- 하이일드 채권 : 7.57%
- 10년 - 3개월 국채 : -1.19%
- 10년 - 2년 국채 : -0.39%
- 2년 - 3개월 국채 : -0.56%
- 투자적격 등급 회사채 - 10년 국채 : 1.35%(3% 이상이었던 경우 닷컴버블, 금융위기, 펜데믹)
- 하이일드 채권 - 10년 국채 : 3.28%(8.6% 이상이었던 경우 닷컴버블, 금융위기, 펜데믹)
- M2 : -0.0%
- M2 통화 속도 : 1.35
- 통화승수 : 3.56

[US Fed]
- 연준 자산 : $7,541,969B(-1.2%)
- 연준 자산(국채) : $4,423,024B(-1.3%)
- 연준 자산(MBS) : $2,403,235B(-0.6%)
- 유통 통화 : $2,328B(-0.4%)
- 은행 지급준비금 : $3,507B(0.4%)
- 역레포 : $413B(-16.1%)
- TGA : $768B(-8.3%)
- 연준 유동성 : $2,334B(9.7%)
- FIMA : $332,940M(0.8%)
- Primary Credit : $1,825M(-24.6%)
- 상업 은행 총 자산 : $23,301B(-0.0%)
- 상업 은행 보유 증권 : $5,148B(1.2%)
- 상업 은행 대출 : $12,318B(0.4%)
- FOMC Projections
- 2024년 : 4.6%
- 2025년 : 3.6%
- 2026년 : 2.9%
- CME FedWatch Tool
- 3/20/2024 : 525-550(98.0%)
- 5/1/2024 : 525-550(93.6%)
- 6/12/2024 : 500-525(55.2%)
- 7/31/2024 : 500-525(48.8%)
- 9/18/2024 : 475-500(42.3%)
- 11/7/2024 : 475-500(36.4%)
- 12/18/2024 : 450-475(34.3%)
- 1/29/2025 : 450-475(29.7%)
- 3/19/2025 : 425-450(29.3%)
Primary Credit : $1,882M에서 $1,825M으로 감소했습니다. 연준의 기본 대출 시설 이용 감소는 은행들의 단기 자금 조달 요구가 다소 줄어들었음을 의미합니다.
FedWatch : 지난주는 첫금리 인하 기대를 6월에 57%, 이번주는 55%, 두번째 금리 인하를 지난주는 6월 이번주는 9월. 인플레이션 데이터에 따라서 금리 인하에 대한 확신이 줄어들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자산 가격에 변동이 있음

[US]
- 경기선행지수 : 99.7(98.5 이하였던 경우 1960대 이후 모든 리세션)
- Soft Landing Google Trends : 81(2008년 5월 100을 찍고 4개월 이후 S&P 500 급락)
- 달러 인덱스 : 103.4
- Gold : $2,159.40
- 실질금리 : 2.3%
- 구리/금 비율(미국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의 선행 지표) : 0.191(0.16 이하인 경우 금융위기, 펜데믹)
- WTI : $81.0
- GDP 대비 가계부채 : 75.2%
- GDP 대비 비금융 기업 부채 : 48.8%
- GDP 대비 정부 부채 : 121.7%
- GDP 대비 연준자산 : 27.0%
- 미국 국채 해외 보유량 : $8,056B(10.5%)
- 기업 실적(Q) : 3.7%
- 비금융회사 부채비율 : 21.6%
- 경상수지 : -200.3B
- 무역수지 : -67.40B
- 순수출 : -11.2%
- 수출 : 1.6%
- 수입 : -1.3%
- 저축률 : 3.8%
- 신용카드 연체율 : 3.1%
- S&P 500 PE Ratio : 27.77
- S&P 500 Price to Book Value : 4.75
- VIX 지수 : 14.41
- VIX 1 Day 지수 : 11.88
- CDS 5 Year : 0.35%
Soft Landing Google Trends: 72에서 81로 증가하며 노랜딩 혹은 소프트렌딩에 대한 낙관적 심리 증가

[US 물가]
- 소비자 물가지수(CPI) : 3.2%
- 근원 소비자 물가지수(Core CPI) : 3.8%
-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PCE) : 2.4%
- 근원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Core PCE) : 2.4%
- 생산자물가지수(PPI) : 1.6%
- 5년물 기대 인플레이션 : 2.39%
- 10년물 기대 인플레이션 : 2.32%
- GDP 디플레이터 : 2.65%
생산자물가지수(PPI): 0.9%에서 1.6%로 크게 증가, 기대 인플레이션 증가로 금리 인하에 부정적인 데이터가 나옴

[US 고용]
- 비농업 고용지수 : 275K
- 노동부 구인/이직 보고서 : 8,863M(-15.0%)
- ADP 고용 레포트 : 140K
- 주간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 209,000(-9.1%)
- 실업률 : 3.9%
- 자발적 퇴사 비율 : 2.1%
- 임시직 고용 변화 : -7.0%
- 구인수/구직수 : 1.4
- 경제활동 참가율 : 62.5%
- 평균 주당 근무시간 : 34.3
- 평균 시간당 임금 : 4.3%

[US 소비]
- 컨퍼런스보드 소비자신뢰지수 : 106.7(91 이하인 경우 닷컴버블, 금융위기, 펜데믹)
- 미시간 소비자심리지수 : 76.5
- 소비자 지출(M) : 0.2%
- 소비자 소득(M) : 1.0%
- 소매 판매(Y) : 1.50%
- 소매 판매(M) : 0.6%(-2.0% 이하로 빠질 경우 드문 경우)
소매 판매(Y): 0.65%에서 1.50%로 증가

[US 산업생산]
- GDP : 3.2%
- 제조업 PMI : 47.8(닷컴버블 40.8, 금융위기 35.6, 펜데믹 41.5)
- 제조업 신규주문지수 : 49.2
- 서비스업 PMI : 52.6
- 산업설비 가동률 : 78.3%(74% 이하인 경우 닷컴버블, 금융위기, 펜데믹)
- 산업 생산 : -0.23%
- 기업 재고(M) : 0.0%
- 항공기 제외 비군수용 자본재주문(M) : 0.1%
산업 생산: 지난주 0.03%의 소폭 증가에서 이번주 -0.23%로 전환되어 감소

[US 주택 및 건설]
- 건축승인건수 : 1,489(10.0%)
- 주택착공건수 : 1,331(-0.7%)
- 신규주택 판매 : 661(1.8%)
- NAHB 주택시장지수 : 48
- 케이스 실러 주택가격지수 : 310
- MBA 구매지수 : 147.7
- MBA 재융자지수 : 480.3
MBA 구매지수, 재융자지수 증가

#경제지표 #매크로지표
Aurum Research - 투자 정보 공유
2024년 3월 17일(일요일) Market Valuation - 작성 : Aurum Research - 텔레그램 : https://t.me/AurumResearch [US 통화] - 기준금리 : 5.50% - Overnight Reverse Repurchase Agreements Award Rate(RRP) : 5.3% - Secured Overnight Financing Rate(SOFR) : 5.31% - Effective Federal Funds…
2024년 3월 17일(일요일) Market Valuation 요약 ✍️

Crypto
- 구글 트렌드가 51에서 38로 감소하였으나 비트코인 ETF AUM 지난주 $53,112M 에서 $60,470M 으로 상승함(+13%)

US 🇺🇸
- CME FedWatch : 지난주는 첫금리 인하 기대를 6월에 57%, 이번주는 55%, 두번째 금리 인하를 지난주는 6월 이번주는 9월. 인플레이션 데이터에 따라서 금리 인하에 대한 확신이 줄어들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자산 가격에 변동이 있음
- 생산자물가지수(PPI): 0.9%에서 1.6%로 크게 증가, 기대 인플레이션 증가로 금리 인하에 부정적인 데이터가 나옴
- Soft Landing Google Trends: 72에서 81로 증가하며 노랜딩 혹은 소프트렌딩에 대한 낙관적 심리 증가
- 소매 판매(Y): 0.65%에서 1.50%로 증가
- 연준 유동성 : $2334B(9.7%) 부분을 추가 하였으며 "지급준비금 - 역레포 - TGA" 로 계산하였음
* 23년 3월 18일(월요일), 글로벌 헤드라인 경제뉴스 정리

- 작성 : Aurum Research
- 텔레그램 주소 : https://t.me/AurumResearch

0. 가상자산
엘살바도르 당초 알려진 것보다 비트코인 6000개 더 보유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7417146

1. 북미/남미/유럽 뉴스
"美 Fed의 첫 금리 인하는 7월과 9월 사이"…FT 조사 결과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4961093
다음 美연준 의장은 누구?…감세 주장 '래퍼 곡선' 경제학자 물망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5013454
"아이폰에 AI 제미나이 넣을까" 애플, 구글과 협의 중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7418896
"레딧 IPO에 최대 5배 초과 청약…기업가치 8.6조원 가능성 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571027
기술주라도 돈 못벌면 주가 급락…미 증시 버블 논란 '무색'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570102
美 부동산 거물 "주택시장 수급 불균형 심각...30년 지속 가능성"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15/0001153311
브라질 중국산 범람하자 반덤핑 관세 검토, 브릭스 균열?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7417284
트럼프 "중국기업이 멕시코에서 생산한 자동차에 관세100%" 엄포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7417185
"美대선 누가 이기든 보호주의·IRA 지속…공급망 대응책 필요"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570617
"왜 항상 화내고 질투하나"…101살 전 CEO가 말하는 장수비결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393497

2. 아시아/오세아니아 뉴스
中 1∼2월 산업생산 7%↑·소매판매 5.5%↑…"예상치 상회"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570312
中 제조업·투자 회복 불구 부동산·고용 분야 여전히 경제 압박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2434509
中의 ‘전기차 굴기’...충전소 1년 새 65% 급증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274068
징둥이 5000억원 이상 투입…중국 소비재 교체 본격화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694526
"TSMC, 日에 대만서만 쓰는 첨단패키징 공정 도입 검토 중"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4961227
"일본 투자자들, 금리 올려도 해외자산 대량 매도 안할 듯"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569680
일본 경제 그리 호황이라는데...90% “실감 안나”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274043
왜 '스트롱맨' 푸틴을 또 택했나…"러시아, 더 강해야 한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4961321

3. 중동/아프리카
홍해 불안속 글로벌 기업들 인터넷 트래픽 경로 변경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571771
"10조弗 금융거래망 마비될라"…'후티'에 찢어진 해저케이블 비상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274195
美 '교체 압박'에 네타냐후 "완전 부적절" 반박…관계 악화일로(종합)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569205
오픈 AI, UAE와도 AI칩 투자 논의...자체 생산망 모색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274065

#경제뉴스 #세계뉴스
Aurum Research - 투자 정보 공유
* 23년 3월 18일(월요일), 글로벌 헤드라인 경제뉴스 정리 - 작성 : Aurum Research - 텔레그램 주소 : https://t.me/AurumResearch 0. 가상자산 엘살바도르 당초 알려진 것보다 비트코인 6000개 더 보유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7417146 1. 북미/남미/유럽 뉴스 "美 Fed의 첫 금리 인하는 7월과 9월 사이"…FT 조사 결과 - ht…
오늘의 뉴스 요약 ✍️

파이낸셜 타임스(FT)와 시카고 부스가 실시한 최근 설문조사에 따르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첫 금리 인하가 오는 7월과 9월 사이에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현재의 고금리 환경이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는 시장의 예상과 맞물려 있습니다.

애플이 구글의 생성형 인공지능(AI) '제미나이'를 아이폰 소프트웨어에 탑재할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습니다. 이는 양사 간의 기술 협력을 통해 AI 산업에 새로운 지평을 열 수 있는 중대한 발표로, 애플은 이를 통해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고 AI 기술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려는 전략으로 보입니다.

최근 미국 증시에서는 일부 기술주의 주가가 급등하며 버블 우려가 제기되었으나, 실제로는 수익을 창출하지 못하는 기술주의 주가가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습니다. 이는 증시가 인공지능(AI) 기술 혁신과 견조한 실적에 기반한 합리적인 투자로 인해 강세를 보이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수익성 있는 기술 기업은 시장에서 높은 평가를 받으며 성장을 지속할 수 있는 반면, 수익을 내지 못하는 기업들은 시장에서 소외되고 있습니다.

미국의 부동산 시장에서는 수급 불균형 현상이 심화되고 있으며, 이는 향후 30년간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문가들은 경고하고 있습니다. 고금리 정책의 여파로 인해 주택 시장의 공급 부족 현상이 가중되고 있으며, 이는 주택 가격 상승과 구매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주택 시장의 안정을 위해서는 공급량 증가와 함께 금리 인하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브라질이 중국산 수입품의 범람에 대응하기 위해 반덤핑 관세 부과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이는 브라질과 중국 간의 밀월 관계에 금이 가는 것은 물론, 브릭스 국가들 사이의 경제 협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대한 조치로 평가됩니다.

중국의 경제가 제조업과 투자 분야에서 회복세를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부동산 시장의 약세와 고용 문제가 여전히 경제 성장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최근 발표된 통계에 따르면, 중국의 산업 생산과 소매판매는 예상치를 상회하는 성장률을 기록했으나, 부동산 투자의 감소와 청년 실업률의 상승이 경제에 부담을 주고 있습니다.

대만 TSMC가 AI 반도체 수요 증가에 따라 일본에 첨단 패키징 공정인 CoWoS를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 일본 구마모토현에 반도체 공장을 세운 TSMC는 이번 계획을 통해 일본의 반도체 산업 부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엔비디아의 H100 가속기도 이 공정으로 생산될 정도로 고정밀 기술이며, TSMC는 CoWoS 생산량을 늘릴 계획입니다. 이 공정은 현재 대만에서만 수행되고 있으며, 일본 내 CoWoS 패키징 수요가 불확실함에도 불구하고 이번 투자는 일본에 결정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일본 중앙은행의 정책금리 인상이 예상되지만, 금리 인상 후에도 일본인들이 해외 자산을 대량 매각해 자금을 본국으로 회수할 가능성은 낮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일본은 거액의 해외 자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금리정책 변화가 글로벌 시장에 미칠 영향이 주목되고 있습니다. 일본 투자자들은 더 높은 수익을 추구해 해외 채권과 주식에 대한 투자를 지속할 것으로 보입니다.

101세의 미국 전 CEO가 장수 비결로 긍정적인 태도를 유지하는 것을 꼽았습니다. 가난한 환경에서 태어나 어려움 속에서도 끊임없이 도전하고 성공한 경험, 가족과의 소통, 지속적인 운동 및 건강한 식습관을 장수의 비결로 소개했습니다. 그는 현재도 매일 아침 침대에서 다리 운동을 하며, 지중해 식단을 따르는 등 활발한 생활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생에서 중요하지 않은 일에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 긍정적인 마인드를 갖는 것이 장수의 중요한 요소라고 강조했습니다.
Aurum Research - 투자 정보 공유
23년 6월에 작성한 글인데 종료한 포지션들이 있어서 공유합니다. ✍️ 시나리오 2의(경기침체경기 침체 / 디플레이션) 상황을 기대해서 장기채의 비중이 높았지만 현실은 시나리오 3(경기 활황 / 물가 안정) 의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 종료한 포지션 : 인도 주식 : 19.95%, 미국 주식 : 17.29%, 일본 주식 : 11.68%, 사우디 주식 : 7.71%, 금 : 8.38% - 진행중인 포지션 : 중국 주식 : -9.14%, BTC : 144.37%…
FOMC 를 앞두고 포지션 변화

미국 국채의 경우 손실 구간에 접어 들어서 -0.4% 로 모두 매도하였고, 10년물 금리 4.5% 부터 추가 매수를 할 계획에 있습니다.
얼마전까지 평가이익 구간이라서 신경을 안쓰고 있었는데 어느덧 음전했네요 🥲
이전 글에서 보험적 성격으로 국채를 보유하고 있다고 했는데 금리가 다시 오르는 상황에서
굳이 손실을 키울 필요는 없는 것 같아서 정리했습니다.
10년물 4.5% 금리면 매수를 시작하기 좋은 것 같아서 금리가 오르면 매수해보려고 하고
FOMC 를 앞두고 방향성에 기반한 베팅은 아닙니다.

비트코인과 중국 주식은 그대로 보유하고 있습니다.
* 23년 3월 19일(화요일), 글로벌 헤드라인 경제뉴스 정리

- 작성 : Aurum Research
- 텔레그램 주소 : https://t.me/AurumResearch

0. 가상자산
GBTC서 자금 최대 유출, 비트코인 6% 급락…6.4만달러 붕괴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7421938
비트코인,장기보유자 이익실현에 하루 8% 하락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4962020

1. 북미/남미/유럽 뉴스
연준, 더딘 물가 회복에 발목… 금리인하 속도조절 신호줄까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5158660
와타나베부인, 美국채 파나…日 금리인상에 美 금융시장 긴장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695860
1200조원 엔캐리 청산땐 급변동 우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274888
“오를만큼 올랐어” 부자들은 엔비디아 팔고 있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7420642
모간스탠리 "달러 가치 하락시 美 증시 급락"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15/0001153495
"매파 파월을 조심하라"...강세론자 야데니, 증시 급락 경고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15/0001153484
3월 미국 주택시장 지수 51·3P↑…"8개월 만에 고수준"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2434741
석유·금속·곡물 인플레에 상품중개업체들 160조원 돈방석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5158026
1월 유로존 무역수지 16.5조원 흑자…"화학·자동차 견인"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2434731
美의회, 쟁점예산안 협상 타결…22일까지 처리해야 셧다운 면해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2436900
"존슨앤존슨, 엔비디아와 수술용 AI 애플리케이션 개발 중"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394164

2. 아시아/오세아니아 뉴스
글로벌펀드 2곳, 中주식 매수 전환…CSI300 올해 5% 상승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573964
세계 최대 태양광업체 中룽지 5% 감원…"탈중국 생산 가속"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574010
‘홍콩판 국가보안법’ 만장일치 통과…반역죄 최고 종신형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43/0000057539
'외자유치' 팔 걷은 中 "공정한 기회 보장"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15/0001153627
中, 금융권 해외자본 참여 늘린다…외자 유치 확대 방안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574649
美 블링컨, 마르코스 필리핀 대통령 예방…'中견제' 논의할 듯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573189
TSMC, 대만 서남부 자이에도 첨단 패키징 공장 2곳 설립 확정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573131
"인도, 중국처럼 10% 성장률까진 못간다"-모건스탠리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7420548
美고위당국자 "가까운 시기 北공격 징후·증거 보지 못해"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7419621
"일본은행, 마이너스 금리·장단기 금리조작·ETF 매입 중단"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7419659
일본은행 17년 만에 첫 금리 인상…수익률곡선 통제 포기(상보)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7420898
'마이너스 금리 끝’...日시중은행, 예ㆍ적금 금리 인상 검토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695704

3. 중동/아프리카
'스웨덴 테러 모의' 아프간인 2명 독일서 체포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574675
블링컨, 사우디, 이집트 방문…6차 순방이나 이스라엘 안 가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2437279
국제유가 4개월여 만에 최고…WTI 2.1% 오른 83달러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572071

#경제뉴스 #세계뉴스
Aurum Research - 투자 정보 공유
* 23년 3월 19일(화요일), 글로벌 헤드라인 경제뉴스 정리 - 작성 : Aurum Research - 텔레그램 주소 : https://t.me/AurumResearch 0. 가상자산 GBTC서 자금 최대 유출, 비트코인 6% 급락…6.4만달러 붕괴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7421938 비트코인,장기보유자 이익실현에 하루 8% 하락 - https://n.news.naver.com/…
오늘의 뉴스 요약 ✍️

비트코인 가격이 장기 보유자들의 이익 실현으로 하루 만에 8% 하락하였습니다. 주요 암호화폐 거래소와 관련 주식들도 큰 폭으로 하락하며 시장 전반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연방준비제도(Fed)가 느린 물가 회복 속도를 고려하여 금리 인하 속도를 조절할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시장은 연준이 금리 인하 예상 횟수를 줄일 것으로 전망합니다.

일본은행(BOJ)은 금융정책결정회의를 통해 단기금리를 -0.1%에서 0~0.1%로 인상하고, 장기 국채 금리 상한 조작과 ETF 등 위험자산 매입 중단을 발표했다. 이번 금리 인상 결정은 일본 경제가 장기간 지속해온 디플레이션에서 벗어났다는 판단 하에 이루어졌으며, 올해 물가 상승률과 임금 인상률이 BOJ의 목표치를 상회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엔화 가치 상승이 예상되면서 미국 국채에서 일본 국채로의 자금 이동 가속화가 관측된다.

모간스탠리는 달러 약세가 미국 증시에 급락을 가져올 수 있다고 경고했다. 달러 가치와 미국 증시 사이의 연관성을 지적하며, 달러 강세가 지금까지 주식 시장을 지지해왔음을 언급했다. 중국과의 관계 악화, 일본의 수익률곡선통제(YCC) 종료, 비트코인과 원자재 가격 상승이 달러 강세의 종말을 예고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해외 주식 시장에서의 수익 기회를 모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에드 야데니, 야데니 리서치 대표는 미국 증시가 급락할 가능성을 경고했다. 엔비디아의 AI 개발자 콘퍼런스(GTC)와 AI 열풍에 힘입은 단기 상승 랠리 이후, 3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가 시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매파적 발언이 나올 경우 증시에 두려움이 확산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증시에 신중했던 글로벌 펀드 두 곳이 최근 매수세로 돌아서며, 해외 투자자들의 중국 증시에 대한 신뢰가 회복되고 있다. 노르웨이와 미국의 투자회사는 밸류에이션 저렴함, 금융 및 규제 리스크 반영, 실적 개선 등을 이유로 중국 본토와 홍콩 증시에 대한 비중을 확대했다. 이러한 긍정적인 분위기는 중국 본토 대표 주가지수 CSI300의 올해 5% 상승으로 이어졌다.

중국은 경제 부진을 타개하기 위해 금융 분야에 해외 자본의 참여를 확대하는 새로운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이를 통해 금융 분야뿐만 아니라 기술 혁신 분야에서도 외국 자본의 진입을 용이하게 할 예정입니다. 중국 정부는 외국인 투자를 제한하는 '네거티브 리스트'를 축소하고, 기업인을 위한 상용비자의 유효기간을 2년으로 연장하는 방안을 추진합니다. 이외에도 지식재산권 보호 강화와 국경 간 데이터 흐름 규제 개선 등이 포함됩니다.
* 23년 3월 20일(수요일), 글로벌 헤드라인 경제뉴스 정리

- 작성 : Aurum Research
- 텔레그램 주소 : https://t.me/AurumResearch

0. 가상자산
"달러 대신 비트코인"…경제난 아르헨 주민들도 투자 가세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574733
"이더리움 ETF, 5월 승인 가능성 낮아… SEC-발행자 교류 없어"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138/0002169402
JP모간 "마이크로스트레티지의 빚투에 비트코인 거품 심화" → 콜라노비치는 모멘텀 트레이더들이 지난 2월부터 금과 비트코인 선물을 크게 사들이고 있다고 함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15/0001153702
마이크로스태리티지 전체 비트코인 1% 소유에도 주가 6%↓…왜? → 지난주 6억2300만달러를 투입, 9245개를 추가로 매입해서 지분 가치가 희석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7422401

1. 북미/남미/유럽 뉴스
21일 새벽 3시 FOMC 결과 발표, 핵심은 점도표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7424428
라가르드 ECB 총재, 6월 첫 금리인하 시사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4962499
영 2월 인플레 3.4%로 떨어져…4.0%에서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2439955
"증시 계속 간다"…월가 낙관론, 2년 내 최고치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394560
대출 연체율 4배 껑충…美 상업부동산 부실뇌관 되나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316101
"美, 화웨이 협력사 무더기 제재 검토…7나노 생산에 관여"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7424723
"5년 내 인간 수준의 AI 등장한다" 엔비디아 젠슨 황 전망(종합)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7423270

2. 아시아/오세아니아 뉴스
중국, 1년 만기 LPR 3.45% 동결…5년 만기 3.95%도 유지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575211
중국, 2월 청년실업률 15.3%…1월보다 취업난 심화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577155
‘반역죄 최고 종신형까지 가능해져’…‘홍콩판 국가보안법’ 만장일치 통과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315618
'국가 GDP 3% 횡령'…베트남 금융사기 재벌에 사형 구형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394935
"日기시다, 직접 '탈 디플레 선언' 검토…9월 자민 총재選 염두"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2438213
"美·유럽은 금리 내리는데…日, 마이너스 금리 해제 '졸속 정상화' 리스크"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2438154

3. 중동/아프리카
'AI 큰손'은 사우디…54조원 투자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15/0001153678
"유가, OPEC+ 감산 연장 안 해도 3분기 85∼90달러"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575558
네타냐후 "라파 지상 작전 바이든에게 설명했다"[이-팔 전쟁]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2437418

#경제뉴스 #세계뉴스
* 23년 3월 21일(목요일), 글로벌 헤드라인 경제뉴스 정리

- 작성 : Aurum Research
- 텔레그램 주소 : https://t.me/AurumResearch

1. 북미/남미/유럽 뉴스
3월 FOMC, ‘비둘기’였다…파월 “인플레이션 진전 계속 돼”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316251
11월 대선 신경 쓰이는 파월…금리 인하 6월 가능성에 힘 실어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7426748
미 주간 실업수당 신청 21만명으로 2천명 감소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2443300
美 최대 D램업체 마이크론 실적 예상 상회, 시간외서 18%↑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7426980
젠슨 황 "인간형 로봇이 산업용로봇 조종하게 될 것"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15/0001153885
'와튼의 마법사' 시겔 "파월 예상 뒤집고 비둘기파 행보"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15/0001153866
美 법무부 이번주 독점금지법 위반으로 애플 고소 예정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7425525
美, 인텔에 26조원 선물 보따리…"美 반도체 사상 최대투자"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696944
美하원, 미국인 개인정보 적대국 제공 금지 법안 통과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316688
'IPO 대어' 레딧, 공모가 '상단' 34달러 책정…기업가치 8.5조원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2441189
"2032년 신차 중 56% 전기차로"…美, 배기가스 기준 최종 확정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7425352
MS, 딥마인드 공동창업자 술레이만 AI 부문 최고책임자로 영입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5/0001682552
ECB 라가르드, 6월 금리 인하 시사…"이후 경로는 약속 못해"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395024

2. 아시아/오세아니아 뉴스
중국산 EV, 보조금 조사 압박 속에 대EU 수출 감소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5159690
"中, 애플 공급망서 가장 중요"…팀쿡 또 구애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276302
쪼그라든 중국 부자...4년 만에 첫 감소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15/0001153951
자산 1억위안 中가구 4년만에 ↓…"코로나 충격·지정학적 영향"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580304
'저가 공세' 테무 모회사 핀둬둬, 매출 2배 '껑충'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578914
2월 호주 실업률 3.7%로 0.4%P 개선…"예상밖 취업자 급증"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2442584
日기업, 엔비디아 협력 움직임 활발…"AI 고성능 반도체 쟁탈 배경"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2440997
"일본은행, 10월 혹은 7월 추가 금리인상 가능성"-니케이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7425354
3월 인도 종합 PMI 61.3·0.7P↑…"제조업 생산 호조"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2443084
유엔 "北, 해킹 통해 4조원 벌어…핵개발 비용 40% 충당"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119/0002811892

3. 중동/아프리카
"예멘 반군, 중국·러시아 배는 홍해서 공격 않기로"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581100
美 민주당 손절에 네타냐후, 공화 상대로 "라파 공격 진행" 재차 밝혀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7426551

#경제뉴스 #세계뉴스
* 23년 3월 22일(금요일), 글로벌 헤드라인 경제뉴스 정리

- 작성 : Aurum Research
- 텔레그램 주소 : https://t.me/AurumResearch

0. 가상자산
부활한 시장 투자심리..."비트코인 올해 9만달러 돌파"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15/0001154020
이더리움 가격, '美당국 조사' 악재에도 반등세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581721

1. 북미/남미/유럽 뉴스
각국 중앙은행 '피벗' 도미노…2년간 인플레와의 전쟁 끝나나 [글로벌 핫이슈]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4963557
BOE 총재, 금리인하 기대에 "비합리적 아냐"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15/0001154152
“미국보다 먼저 금리 내리자”...스위스 이어 영국·호주도 시동 걸었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276926
“하루만에 시총 150조원 순삭”...16년만에 최대 위기 맞은 애플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276914
뱅가드 "연준, 올해 기준금리 인하 안 할 것"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2445221
EU-빅테크 전쟁 불붙나…"애플·구글 디지털시장법 위반 조사"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697795
'버티던' 멕시코 금리 인하 가세…3년 만에 0.25%p 내린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581797
"반독점법 위반" 美 법무부도 애플 정조준…애플 주가 4%대 급락(상보)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395599
EU, 러 곡물에 50% '관세 폭탄' 예고…사실상 수입금지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583284

2. 아시아/오세아니아 뉴스
中 인민은행 또 지준율 인하 시사, 추가 유동성 공급 임박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698077
"시진핑, 내주 베이징서 美기업 CEO들과 회동" WSJ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2443542
'中 2인자' 리창, 중국발전포럼 참석…해외 CEO들 접촉은 불투명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583346
中 대형 부동산업체 룽후 순익 반토막…"시장 침체 단면"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583423
“AI가 성장동력” 텐센트·넷이즈 등 中 인터넷기업 실적 훨훨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698139
"中 로봇센터, 휴머노이드 로봇 출시 앞둬"…기술 자립 가속화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317011
中철강수출 8년 만에 최대치…'밀어내기'에 업계 한숨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316837
中 네티즌 11억명…인터넷 보급률 80% 육박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396084
"팀쿡 왔다"…상하이 애플 매장 개장식 장사진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2444578
日닛케이지수, 종가 4만888…나흘 연속 상승·역대 최고치 경신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2445127
"일본은행, 10월까지 단기 금리 추가로 올릴 전망"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582885
"북한 삼중수소 생산 집중"-하이노넨 전 IAEA 사무총장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2443639
홍콩 새 보안법에 긴장한 외국 기업들…"법 이상해 싱가포르 갈래"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7430242

3. 중동/아프리카
"예멘 후티반군, 중국·러시아 선박은 공격 안 하기로"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2444849
이스라엘에 강경해진 EU…"보복할 권리까진 없어"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581290

#경제뉴스 #세계뉴스
Aurum Research - 투자 정보 공유
* 23년 3월 22일(금요일), 글로벌 헤드라인 경제뉴스 정리 - 작성 : Aurum Research - 텔레그램 주소 : https://t.me/AurumResearch 0. 가상자산 부활한 시장 투자심리..."비트코인 올해 9만달러 돌파"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15/0001154020 이더리움 가격, '美당국 조사' 악재에도 반등세 - https://n.news.naver.com/mnew…
오늘의 뉴스 요약 ✍️

최근 비트코인 가격이 반감기를 앞두고 높은 변동성을 보이는 가운데, 글로벌 투자은행 번스타인은 암호화폐 시장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을 제시했습니다. 올해 비트코인 가격이 기존 8만 달러에서 9만 달러로 상향 조정됨에 따라, 암호화폐 시장에 대한 투자심리가 강화되고 있습니다. 비트코인 현물 ETF를 통한 신규 자금 유입과 3월 FOMC 회의 이후 미국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감 등이 비트코인 가격 상승의 주요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투자심리의 회복은 비트코인뿐만 아니라 관련 채굴 주식들의 목표가 상향 조정으로도 이어지고 있으며, 암호화폐 시장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이더리움 가격이 최근 랠리를 이어가다가 미국 증권 당국의 조사 소식에도 불구하고 반등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과거 가상화폐 가격이 당국의 조사 소식에 하락하는 경우가 많았던 것과 대비되는 현상입니다. 이더리움 가격의 반등은 글로벌 가상화폐 시장의 탄력성을 보여주며, 특히 SEC의 조사 결과 이더리움의 증권성이 인정될 경우 다른 가상화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세계 각국의 중앙은행이 통화정책 전환을 예고하며, 인플레이션과의 전쟁이 종식될 것이란 관측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스위스, 영국, 유럽 중앙은행 등이 금리 인하를 시사하거나 단행함으로써, 지난 2년간 이어진 인플레이션과의 싸움이 효과적이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습니다.

중국 인민은행이 지급준비율 인하를 시사하며 추가적인 경제 부양책을 예고한 것은 중국 경제의 안정적인 성장을 위한 의지를 반영합니다. 시진핑 주석과 미국 주요 기업 CEO들 간의 예정된 회동은 미중 경제 관계의 긍정적인 발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중국 인터넷 기업들이 크게 개선된 실적을 보이며, 미국의 압박 속에서도 R&D 강화와 기술력 강화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텐센트는 지난해 매출이 약 10% 증가했으며, 넷이즈의 순이익도 7.3% 증가했다.

베이징 휴머노이드로봇혁신센터가 휴머노이드 로봇 프로토타입을 곧 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센터는 중국과학원, 샤오미, UB로봇테크 등이 참여하여 설립되었으며,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다. 중국 정부는 2027년까지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을 경제 성장의 새로운 엔진으로 전환할 계획이며, 이는 중국의 기술 자립과 자체 혁신을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중국의 철강 수출이 2016년 이후 8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하며, 저가 철강제품의 '밀어내기'로 인해 글로벌 철강업계의 걱정이 커지고 있다. 중국의 철강 수출이 2016년 이후 8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하며, 저가 철강제품의 '밀어내기'로 인해 글로벌 철강업계의 걱정이 커지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시장에서는 일본은행(BOJ)이 10월까지 단기 정책금리를 추가로 인상할 것으로 보는 견해가 우세하다. 47명의 이코노미스트 중 61.7%가 올해 10월까지 단기 금리가 추가 인상될 것으로 예상했다.

올리 하이노넨 전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은 북한이 핵탄두 소형화에 필수적인 삼중수소를 생산하는 정황이 포착됐다고 밝혔다. 이는 북한이 핵탄두의 기하급수적 증가를 공언한 행보를 뒷받침하는 것으로, 전술핵탄두의 소형화와 플루토늄 사용을 크게 줄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멘의 친이란 후티반군이 중국과 러시아 선박에 대해서는 적대행위를 하지 않기로 약속했다고 외신이 보도했다. 이는 오만에서 이루어진 합의의 일환으로, 대가로 중국과 러시아는 후티반군에게 정치적 지원을 제공하기로 했다.
* 국가별 주식 ETF, 채권 ATH(최근고점) 대비 현재 하락률(2024년 3월 21일(목요일) 종가 기준)

- 작성 : Aurum Research
- 텔레그램 주소 : https://t.me/AurumResearch

0. 국가별 주식 인덱스 ETF
Egypt -92.2%
Nigeria -85.6%
Russia -79.8%
China -56.0%
Chile -53.9%
Vietnam -40.7%
Hong Kong -37.0%
Turkey -36.1%
Greece -34.3%
Malaysia -34.0%
New Zealand -32.5%
Thailand -31.6%
South Africa -31.0%
Brazil -30.8%
Philippines -29.6%
Finland -26.1%
South Korea -25.6%
Qatar -23.7%
Indonesia -23.4%
Norway -18.5%
UAE -18.2%
Frontier 100 -16.9%
Israel -16.0%
Belgium -14.3%
Austria -12.3%
Kuwait -11.5%
Sweden -8.37%
Saudi Arabia -8.14%
Germany -6.8%
Switzerland -6.46%
Taiwan -4.62%
Netherlands -4.39%
Canada -1.7%

1. 채권
Extended Duration Treasury -52.0%
20+ Year Treasury Bond -41.0%
Barclays Short Term International Treasury Bond -27.8%
Barclays International Treasury Bond -26.1%
Bloomberg Barclays International Corporate Bond -20.8%
Emerging Bond -19.2%
7-10 Year Treasury Bond -18.5%
Investment Grade Corporate Bond -13.2%
U.S. Aggregate Bond -11.4%
Mortgage-Backed Securities -9.75%
US TIPS -9.55%
Global Bond ex US -7.79%
AT1 Capital Bond -6.87%
1-3 Year Treasury Bond -0.48%

지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