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란의힘과.윤건희🖕
1.2K subscribers
3K photos
59 videos
203 files
10.9K links
김건희 여사, 윤석열 전 대통령, 그리고 국민의힘 관계자들이 일으키는 사건과 사고를 모은 채널입니다.

* 프로필 사진 출처: 2023 순천만 국제정원박람회 관람 중인 김건희, 용궁

* 제보: https://open.kakao.com/o/slgEB1jh
Download Telegram
Forwarded from 찌라시發
👏1
Forwarded from [정치 모니터링]
[12월 2주 조간신문 키워드]
- 12/9(월) : 尹대통령·내란·피의자·입건 / 한동훈·한덕수·2인체제·2차내란
- 12/10(화) : 尹대통령·피의자·출국금지 / 내란·후유증·경제·붕괴
- 12/11(수) : 尹대통령·끌어내라·지시 / 2~3월·하야·여당·지연·작전 / 야당·예산안·단독처리
- 12/12(목) : 尹대통령·내란·수괴·사실상하야거부·법적대응·시사 / 국민의힘·기류·변화·탄핵·찬성
- 12/13(금) : 尹대통령·담화·궤변·망상 / 조국·3심·징역·2년·의원직·상실
Forwarded from [정치 모니터링]
[241213 계엄 사태 관련 일반특검·상설특검·국정조사 관련]
- 일반특검 : 계엄사태 관련 일체 의혹 수사
· 24.12.9. 민주당, 내란특검법 발의
· 24.12.10. 야당 주도 법사위 법안심사 1소위 통과
· 24.12.11. 법사위 전체회의 통과
· 24.12.12. 국회 본회의 통과
※ 내란특검법 : 윤석열 정부의 위헌적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행위의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 임명 등에 관한 법률안

- 상설특검 : 윤석열·한덕수·김용현·박민수·여인형·국무회의참석국무위원·추경호 등
· 24.12.5. 민주당, 상설특검 수사요구안 국회 제출
· 24.12..9. 야당 주도 법사위 법안심사 1소위·전체회의 통과
· 24.12.10. 국회 본회의 통과
※ 상설특검 수사요구안 : 윤석열 대통령과 국무위원 등의 내란죄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의 수사요구안

- 국정조사 : 비상계엄 진상 규명
· 24.12.5. 개혁신당, 원내 정당 국조 참여 촉구
· 24.12.9. 민주당, 국정조사 추진 예고
· 24.12.11. 우원식 국회의장, 직권 국정조사권 발동 / 여야 국정조사특위 구성 요구
👍2
Forwarded from 찌라시發
@ 법원행정처

법원행정처장은 지난 6일 국회 법사위에서, 비상계엄 선포 당시 체포 대상에 전임 대법원장과 전 대법관이 포함되었다는 것에 대하여 만약 사실이라면 도저히 납득이 가지 않는 부적절한 조치임을 명확히 밝혔습니다.
오늘 언론을 통해 비상계엄 선포 당시, 야당 대표에 대한 특정 재판에서 무죄를 선고한 현직 판사도 체포하려 하였다는 보도가 있었습니다. 만약 이러한 내용이 사실이라면 이는 사법권에 대한 직접적이고 중대한 침해로서 심각한 우려를 금할 수 없습니다. 이는 법치국가에서 절대 발생하여서는 안 될 일로서, 이에 대한 신속한 사실규명과 엄정한 법적 책임이 따라야 할 사안임을 밝힙니다.
Forwarded from [정치 모니터링]
[12월 2주 한국갤럽 여론조사(자체조사)]
- 조사기간 : 12/10-12/5(화-목)
- 조사방법 : 전화면접(유선 5%, 무선 95% / RDD)

(대통령 직무 수행평가)

- 긍정평가 11%(5%p▼), 부정평가 85%(10%p▲)
· 긍정평가 이유 : 외교 22%(10%p▼), 비상계엄 선포 10%(10%p▲) 등의 順
· 부정평가 이유 : 비상계엄 사태 49%(33%p▲), 경제/민생/물가 8%(11%p▼) 등의 順
▶️ 계엄 이후 한 주간의 민심이 고스란히 반영된 결과, 타 여론조사상 추세와도 일치(지지율 10%대 초반)
▶️ 부정선거론 믿는 극우세력(국민의힘 지지)이 5~10% 정도 되는 것으로 추정
▶️ 10:85의 구도, 어제 尹대통령 담화는 10%와 함께 버티겠다는 선언

(정당 지지도)

- 더불어민주당 40%(3%p▲), 국민의힘 24%(3%p▼), 조국혁신당 8%(1%p▲), 개혁신당 4%(2%p▲) 등의 順
▶️ 정당 지지도 역시 타 여론조사상 추세와도 일치(민주당 지지율 40%대, 국민의힘 지지율 20%대 초반)
▶️ 대안 세력에 대한 지지율 상승은 탄핵 정국의 특징

(尹대통령 탄핵)

- 찬성 75%, 반대 21%, 모름/무응답 4%
▶️ 탄핵 찬성 75% 전후로 여론이 굳어짐
▶️ '대통령 부정평가 응답률'과 '탄핵 찬성 응답률'의 10%p 격차, 두 문항 조사결과 교차분석해보면 분석 가능
▶️ '尹-李 모두 싫다는 비토층', '대통령은 반대하지만 탄핵 외 다른 절차 찬성층', '내란 비인정층'일 가능성

(12·3 비상계엄 사태)

- 내란임 71%, 내란아님 23%, 모름/무응답 6%

(조기 퇴진 전제 총리·여당 국정운영안 : 2인 체제)

- 찬성 23%, 반대 68%, 모름/무응답 9%

(정계 요직 인물 개별 신뢰 여부 ① : 우원식)

- 신뢰 56%, 비신뢰 26%

(정계 요직 인물 개별 신뢰 여부 ② : 한덕수)

- 신뢰 21%, 비신뢰 68%

(정계 요직 인물 개별 신뢰 여부 ③ : 이재명)
- 신뢰 41%, 비신뢰 51%
· 민주당 지지층 : 신뢰 76%, 비신뢰 19%
· 중도층 : 신뢰 42%, 비신뢰 49%

※ [참고] 이재명 대표 역할 수행 평가(10월 5주)
- 긍정평가 41%(6%p▲), 부정평가 51%(8%p▼), 어느쪽도아니다 1%, 모름/무응답 7%
· 민주당 지지층 : 긍정평가 73%(4%p▲), 부정평가 20%(6%p▲)
▶️ 이재명 대표, 계엄 전후 평가 변동 無 / 반사이익 누린다는 지적은 사실이 아님
▶️ 총선과 전대를 거치며 증가한 긍정평가/신뢰 응답, 사법리스크에도 불구하고 리더십 공고화

(정계 요직 인물 개별 신뢰 여부 ④ : 한동훈)
- 신뢰 15%, 비신뢰 77%
· 국민의힘 지지층 : 신뢰 13%, 비신뢰 79%

※ [참고] 한동훈 대표 역할 수행 평가(10월 5주)
- 긍정평가 40%, 부정평가 49%
· 국민의힘 지지층 : 긍정평가 68%(21%p▼), 부정평가 24%(15%p▲)
▶️ 한동훈 대표, 2인 체제로 야욕을 드러낸 이후 정치적으로 폐인이 됨
▶️ 불과 한 달 전까지만 해도 국민으로부터 40%의 긍정평가를 받고 있었음
▶️ 당시 용산과 각 세우며 당근과 채찍 전략이 작용한 결과
▶️ 계엄 직후 포지션으로 일관했으면 활약 가능성 있었으나, 이제는 퇴장만 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