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란의힘과.윤건희🖕
1.21K subscribers
3.08K photos
59 videos
204 files
11.1K links
김건희 여사, 윤석열 전 대통령, 그리고 국민의힘 관계자들이 일으키는 사건과 사고를 모은 채널입니다.

* 프로필 사진 출처: 2023 순천만 국제정원박람회 관람 중인 김건희, 용궁

* 제보: https://open.kakao.com/o/slgEB1jh
Download Telegram
Forwarded from 찌라시發
총리 후보군으로는 6선인 주호영 국회부의장, 5선인 국민의힘 권영세 의원, 호남 출신인 이정현 전 의원, 조태용 국가정보원장 등이 거론된다.

임기 초반부터 재직한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이주호 교육부 장관,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 등 '장수 장관'의 교체 가능성도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장기간 공석인 여성가족부 장관과 정부조직법 개정 이후 신설될 부총리급 인구전략기획부 장관 인선 작업도 진행 중이다.

대통령실 인적 개편도 이어질 전망이다. 이른바, '한남동 7인회'로 지칭된 참모 라인에 대한 인사가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음주운전으로 징계받고 복귀해 논란이 됐던 강기훈 국정기획비서관실 선임행정관에 대한 인사 조처가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된다.

https://m.yna.co.kr/view/AKR20241121060300001?input=1195t
Forwarded from 찌라시發
■ 대통령실 등록기자단 입장문

대통령실의 비뚤어진 언론관에 참담함을 금할 수 없습니다. 지난 19일 국회 운영위원회에 출석한 홍철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의 발언이 그 이유입니다. 대통령의 기자회견에서 박석호 부산일보 기자가 던진 질문은 언론인으로서 국민의 알권리를 충족시키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이에 대통령실 출입 등록기자단(이하 등록기자단) 41개 매체는 홍 수석의 발언에 대해 다음과 같은 입장을 밝힙니다.


1. 홍철호 수석은 21일 해당 사안과 관련해 대변인실 명의로 입장을 냈다. 하지만 진정성을 엿볼 수 없는바 등록기자단은 지난 19일 홍철호 수석이 국회 운영위에서 밝힌 발언에 유감을 표한다.

2. 홍철호 수석이 박석호 기자의 질문을 '무례'라고 깎아내린 것은 대통령실의 '무례한 인식'을 고스란히 드러낸 것이다. 민주주의 사회에서 언론은 정부를 감시하고, 견제하는 일을 본분으로 한다. 이런 언론의 비판 정신을 폄훼하는 대통령실의 언론관을 규탄한다.

3. 기자회견장의 기자들은 윤석열 대통령과 대통령실에 대한 철저한 성찰과 쇄신을 바라는 국민들을 대신해 질문했다. 박석호 기자의 질문을 두고 "태도를 시정해야 한다"는 홍철호 정무수석의 인식에 놀라움을 감출 수 없다. 대통령실과 홍철호 수석은 더는 언론인에게 족쇄를 채우고,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듯한 행태를 보이지 않도록 유의할 것을 촉구한다.


위 입장은 2024년 11월 21일 대통령실 등록기자단의 의견을 모아 결정한 것입니다.
내란의힘과.윤건희🖕
241107 담화.hwp
수석실에 “자화자찬 말라”… 쇄신 착수한 尹

대통령실은 이날 윤 대통령 귀국 후 정진석 대통령 비서실장 주재로 이와 관련한 회의를 연 것으로 알려졌다. 우선 지난 10일 임기 반환점(2년 반)을 돈 윤 정부는 소득·교육 양극화 해소를 내걸고 관련 세부 정책 방안 마련에 집중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대통령 수석·비서관실과 정부 각 부처에 “임기 전반기 2년 반 성과를 자화자찬하지 말라”는 지침이 내려간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윤 대통령 취임 후 탈원전으로 인해 파괴된 원전 생태계 복원, 재정 건전성 확보와 민간 주도 성장 등 각종 국정 부조리를 바로잡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고 일정 정도 성과를 냈지만 지금은 더 낮은 자세로 대한민국이 마주한 양극화 문제 등을 타개하는 데 힘을 모아야 한다는 쪽으로 기조를 정했다”고 전했다.

* 대통령의 자화자찬은 되고 참모들의 자화자찬은 안됨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871918?sid=100
🤣3
내란의힘과.윤건희🖕
수석실에 “자화자찬 말라”… 쇄신 착수한 尹 대통령실은 이날 윤 대통령 귀국 후 정진석 대통령 비서실장 주재로 이와 관련한 회의를 연 것으로 알려졌다. 우선 지난 10일 임기 반환점(2년 반)을 돈 윤 정부는 소득·교육 양극화 해소를 내걸고 관련 세부 정책 방안 마련에 집중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대통령 수석·비서관실과 정부 각 부처에 “임기 전반기 2년 반 성과를 자화자찬하지 말라”는 지침이 내려간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윤 대통령 취임…
* 15일(7일 대국민 담화 및 기자회견)만에 쿨타임 돌아온 자화자찬

윤 대통령 "취임 땐 정말 어려웠는데, 이제 우리 경제 활력"

제56회 국가조찬기도회 참석... "새로운 중산층시대 위해 4대 개혁에 박차"

윤 대통령은 얼마전 임기반환점을 지난 것을 회상하며, "처음 대통령에 취임했을 때에는 정말 여러 가지로 어려웠다"며 "팬데믹의 여파가 계속되는 가운데 우크라이나 전쟁까지 발발했고, 원유와 원자재 가격이 치솟으면서 물가상승률이 6%대를 넘어 국가 재정은 부채가 심각했고 기업도 활력을 잃고 있어 하루하루가 벼랑 끝 같은 상황이었다"고 말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47/0002453283?sid=100
Audio
<명태균 씨 관련 녹취를 추가 공개합니다 - 명태균은 창원지검장도 주물렀다? “창원지검장 나 때문에 왔다” “창원지검장 만나 △△이 문제 한방에 해결했다”>

- 명태균, 창원지검 등 수사기관 영향력 행사 정황 드러나
- 2022년 9월, 지인의 선거법 위반 사건에 대해 “지검장 만나 한방에 해결”
- 2023년 11월, 검찰 수사 직전에는 “창원지검장, 나 때문에 왔다” (김영선이 자신을 욕하고 다닌다며)
- 2023년 12월 초, 검찰 수사 무렵에는 “검경, 내가 김영선한테 충성맹세 시켰다”“선관위에서 (사건) 넘어와도 경찰에서 없애버린다” (역시 김영선에 대한 불만을 토로하는 상황...“한달도 안 됐다”며 실제 그런 사실이 있어다고 강조)
- 2023년 5월 선관위 조사 초기, 김영선도 강혜경에게 허위진술 지시하며 ‘선관위 영향력 행사’(안심하라는 취지인 듯) 사실 털어놔
- 2022년 6월 중순, 명태균이 김영선의 법조 인맥과 재판 영향력 행사 능력에 대해 설명하는 녹취도 공개

# 첨부 녹취

- 김영선_선수 : 2022년 6월 중순 명태균-지인 대화 “김영선은 선수, 대법관 등 자신의 선후배 첨부(수임)해 판사들 압박...판사 분석해 영향 미치는 맞춤형 섭외”
- 유착1 : 2022년 9월 16일 명태균-지인 대화 “창원지검장 만나 △△이 문제 한방에 해결”
- 유착2 : 2023년 5월 16일 김영선-강혜경 통화 “경남도 선관위원장한테 얘기 들어갔다”
- 유착3 : 2023년 11월 25일 명태균-강혜경 통화 “창원지검장 나 때문에 왔다”
- 유착4 : 2023년 12월 9일 “경찰청장, 검찰 내가 다 김영선한테 충성맹세 시켜...선관위에서 넘어와도 경찰에서 없애버려”

<끝>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