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게임즈는 어제 조금 남아있는것 다 정리하면서 든 생각은.
에버소울이 어느정도 흥행성이 있으니..
일본 제외 글로벌 출시 했는데
오딘 OR 에버소울 일본 사전예약 할때 반드시 봐야 하는점.(개인적으로 라이온하트 상장 후에 오딘 일본 사전예약 나오면 볼 필요 없습니다. )
내년에 나올 아키에이지2(모바일로 나오는 아키에이지 워 하고는 다릅니다.) 때 기대해볼만하지 않을까 싶네요.
개인적으로 시총 4천억 이상 중소형 게임주는
상반기에는 네오위즈(P의 거짓), 데브시스터즈(쿠키런 오븐스매쉬)
하반기에는 웹젠(뮤 IP 기반 언리얼엔진5로 제작하는 MMORPG)
이렇게 봅니다.
그외 시총 작은 주식으로는 DNC미디어 정도.
에버소울이 어느정도 흥행성이 있으니..
일본 제외 글로벌 출시 했는데
오딘 OR 에버소울 일본 사전예약 할때 반드시 봐야 하는점.(개인적으로 라이온하트 상장 후에 오딘 일본 사전예약 나오면 볼 필요 없습니다. )
내년에 나올 아키에이지2(모바일로 나오는 아키에이지 워 하고는 다릅니다.) 때 기대해볼만하지 않을까 싶네요.
개인적으로 시총 4천억 이상 중소형 게임주는
상반기에는 네오위즈(P의 거짓), 데브시스터즈(쿠키런 오븐스매쉬)
하반기에는 웹젠(뮤 IP 기반 언리얼엔진5로 제작하는 MMORPG)
이렇게 봅니다.
그외 시총 작은 주식으로는 DNC미디어 정도.
챗GPT는 제가 생각을 잘못했네요.
그냥 마이크로소프트 테마인줄알았는데...
구글도 바로 한다고 기사 나올줄이야.
이런식이면..
좀 있다 페이스북 이야기 나올거고
아마존에도 쓴다고 이야기 나오겠네요.
중국에서는 텐센트, 알리바바도 이야기 나올겁니다.
마지막으로 카카오, 네이버도 이야기 나오겠죠.
나올때마다 들썩 들썩 거리겠네요.
이제 마소 구글 나왔음.
메타버스처럼 거대한 테마가 될수 있어 보입니다.
그냥 마이크로소프트 테마인줄알았는데...
구글도 바로 한다고 기사 나올줄이야.
이런식이면..
좀 있다 페이스북 이야기 나올거고
아마존에도 쓴다고 이야기 나오겠네요.
중국에서는 텐센트, 알리바바도 이야기 나올겁니다.
마지막으로 카카오, 네이버도 이야기 나오겠죠.
나올때마다 들썩 들썩 거리겠네요.
이제 마소 구글 나왔음.
메타버스처럼 거대한 테마가 될수 있어 보입니다.
https://blog.naver.com/dolcheblog/222979249568
루닛 돌체님 글
https://blog.naver.com/minki1101/222959733982
https://blog.naver.com/minki1101/222969233478
루닛 김찰저님 글
https://blog.naver.com/silver2284/222950202522
루닛 세콰이어님 글
https://blog.naver.com/dkanchup/222972730277
루닛 간첩님 글
https://blog.naver.com/ldk27/222897419356
루닛 디케이님 글 그리고 레포트 및 유투브 영상 공유
루닛 돌체님 글
https://blog.naver.com/minki1101/222959733982
https://blog.naver.com/minki1101/222969233478
루닛 김찰저님 글
https://blog.naver.com/silver2284/222950202522
루닛 세콰이어님 글
https://blog.naver.com/dkanchup/222972730277
루닛 간첩님 글
https://blog.naver.com/ldk27/222897419356
루닛 디케이님 글 그리고 레포트 및 유투브 영상 공유
NAVER
루닛 - Ai 암 진단과 암 치료에 대한 고찰
6년동안 매년 나오는 신규 탄생섹터
17년 : 바이오(CMO & 바이오시밀러) 관련
18년 : 연초 코인 대버블 , 중하반기 대북섹터
19년 : 상반기 5G 하반기 반도체 소부장
20년 : 무수히 많지만 대표적으로 코로나 관련섹터
21년 : 밧데리와 메타버스
22년 : 방산, 네옴시티. 로봇
23년 : 챗 GPT 그외 추가할것 있으면 작성할게요.
새로운 섹터는 매년 나오는듯.
17년 : 바이오(CMO & 바이오시밀러) 관련
18년 : 연초 코인 대버블 , 중하반기 대북섹터
19년 : 상반기 5G 하반기 반도체 소부장
20년 : 무수히 많지만 대표적으로 코로나 관련섹터
21년 : 밧데리와 메타버스
22년 : 방산, 네옴시티. 로봇
23년 : 챗 GPT 그외 추가할것 있으면 작성할게요.
새로운 섹터는 매년 나오는듯.
https://www.hankyung.com/international/article/202301181008i
전쟁의 장기화.
이렇게 되면 폴란드 체코 슬로바키아 북유럽 3국과 발트 3국 코카서스 3국도 군강화 더 하겠군요.
오후 늦게 우크라이나 내무장관 사망.. 안타깝네요
https://www.khan.co.kr/world/world-general/article/202301181753001
전쟁의 장기화.
이렇게 되면 폴란드 체코 슬로바키아 북유럽 3국과 발트 3국 코카서스 3국도 군강화 더 하겠군요.
오후 늦게 우크라이나 내무장관 사망.. 안타깝네요
https://www.khan.co.kr/world/world-general/article/202301181753001
한국경제
러시아, 군 병력 150만명으로 늘린다…푸틴 "군수업체 24시간 가동 중"
러시아, 군 병력 150만명으로 늘린다…푸틴 "군수업체 24시간 가동 중",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방장관 "2026년까지 군 병력 늘린다"
오늘 현대건설 실적 보니...
현대엔지니어링 IPO는 이제 안하겠군요.
지금 현대엔지니어링 1조 규모로 IPO하면 딱 좋은데...^^
현대엔지니어링 IPO는 이제 안하겠군요.
지금 현대엔지니어링 1조 규모로 IPO하면 딱 좋은데...^^
금주
리오프닝
로봇
챗GPT
콘텐츠
초강세군요.
지금 느낌은 2월에도 애들끼리 순환매 할수 있어도 보입니다.(물론 항상 제예상은 틀린적이 더 많았..ㅠ 막상 은행섹터가 저렇게 갈줄은 몰랐.. ㅠㅠ)
아 그리고 개별주는 알아서 오를 가능성 높으니 참고하세요.
전 섹터 개념으로 이야기 드렸습니다.
리오프닝
로봇
챗GPT
콘텐츠
초강세군요.
지금 느낌은 2월에도 애들끼리 순환매 할수 있어도 보입니다.(물론 항상 제예상은 틀린적이 더 많았..ㅠ 막상 은행섹터가 저렇게 갈줄은 몰랐.. ㅠㅠ)
아 그리고 개별주는 알아서 오를 가능성 높으니 참고하세요.
전 섹터 개념으로 이야기 드렸습니다.
개인적으로 메디톡스는 4분기 실적 잘나올 가능성이 아주 높아졌다고 봅니다. 에볼루스 실적 때문에요.
에볼루스 4분기 실적관련 로얄티
에볼루스 2대주주
그리고 23년부터 계속 로얄티 받을 가능성.!! 참고하세요
https://m.blog.naver.com/pokara61/222252024339
포카라님 에볼루스 2대주주 등극 관련 분쟁합의 종료 관련
‐---------------------------
[키움 허혜민] 에볼루스 실적 서프라이즈 발표로 주가 +18% 상승
4Q22 $43.6mn(YoY +26%) 기록
4Q22 실적이 평균 가격보다 소폭 더 높은 단가와 (점유율 상승에 따른)높은 수량 덕분
2023년 매출액 $180~$190mn. (YoY +21%~28%)
2028년까지 $500mn CAGR 22% 성장 전망
올해 유럽, 호주 출시로 해외 확장 계획
에볼루스 CEO는 미국에서보다 2~3배 빠르게 해외 지역 확대해 매출 $180~$190mn 이를 것으로 기대
https://bit.ly/3GJcs1y
#대웅제약, #나보타
----------------------
메디톡스가 에볼루스한테 받는 로얄티 관련 내용 기사
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2210264050i
에볼루스 4분기 실적관련 로얄티
에볼루스 2대주주
그리고 23년부터 계속 로얄티 받을 가능성.!! 참고하세요
https://m.blog.naver.com/pokara61/222252024339
포카라님 에볼루스 2대주주 등극 관련 분쟁합의 종료 관련
‐---------------------------
[키움 허혜민] 에볼루스 실적 서프라이즈 발표로 주가 +18% 상승
4Q22 $43.6mn(YoY +26%) 기록
4Q22 실적이 평균 가격보다 소폭 더 높은 단가와 (점유율 상승에 따른)높은 수량 덕분
2023년 매출액 $180~$190mn. (YoY +21%~28%)
2028년까지 $500mn CAGR 22% 성장 전망
올해 유럽, 호주 출시로 해외 확장 계획
에볼루스 CEO는 미국에서보다 2~3배 빠르게 해외 지역 확대해 매출 $180~$190mn 이를 것으로 기대
https://bit.ly/3GJcs1y
#대웅제약, #나보타
----------------------
메디톡스가 에볼루스한테 받는 로얄티 관련 내용 기사
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2210264050i
NAVER
메디톡스 - 분쟁합의, 에볼루스 2대주주 등극
메디톡스가 에볼루스 2대 주주로 올라섰다. 합의금과 추후 판매에 따른 로열티를 챙긴다. 그리고 대웅제약...
2월 말 부터 3월 말까진.. 5천억 이하 소형주 투자 항상 조심하면서 하세요.
나도 모르게 환기 또는 거래정지 쳐맞을수 있음.
솔직히 오스템임플란트는 정말 예외에 속했고..
진짜 22년 이럴줄 몰랐던 종목이
뉴파워플라즈마
포인트모바일 이었음
특히 포인트모바일은 상장한지 2년도 안되서 거래정지 쳐맞음.
왠만하면 1조 이상 중대형주 투자하시길 추천합니다,
근데 금년 환기종목 걸리면 그 걸린 종목은 내년에 실적 잘나오는거 체크 잘하고 환기 해체 모멘텀 이용하세요.
나도 모르게 환기 또는 거래정지 쳐맞을수 있음.
솔직히 오스템임플란트는 정말 예외에 속했고..
진짜 22년 이럴줄 몰랐던 종목이
뉴파워플라즈마
포인트모바일 이었음
특히 포인트모바일은 상장한지 2년도 안되서 거래정지 쳐맞음.
왠만하면 1조 이상 중대형주 투자하시길 추천합니다,
근데 금년 환기종목 걸리면 그 걸린 종목은 내년에 실적 잘나오는거 체크 잘하고 환기 해체 모멘텀 이용하세요.
아 그리고 혹시나 오스템임플란트 처럼 시총 1조 이상 종목이 거래정지 된다.
그러면 인버스 생각도 나쁘지 않아보입니다.
특히 코스닥 인버스.
22년 1월에 증시 급락 이유가 총 3개 였는데..
1. 시총 1조 이상 하는 기업도 회계장부 못믿는다. 횡령이 넘쳐난다.
그래서 한국은 ESG는 멍멍이판이다.
2. 믿도 끝도 없는 물적분할 후 Ipo 이슈, (특히 엘지엔솔)
3. 나스닥 증시 급락에 따른 코스피 코스닥 급락.
3개 였습니다.
전 그중에서 1번이 제일 컷다 봅니다.
혹시나 1조 이상 기업이 거래정지 먹으면.
또 외인들이
역시나 한국증시 ESG는 멍멍이판이다라고 봐서 급락시킬 겁니다.
그러면 인버스 생각도 나쁘지 않아보입니다.
특히 코스닥 인버스.
22년 1월에 증시 급락 이유가 총 3개 였는데..
1. 시총 1조 이상 하는 기업도 회계장부 못믿는다. 횡령이 넘쳐난다.
그래서 한국은 ESG는 멍멍이판이다.
2. 믿도 끝도 없는 물적분할 후 Ipo 이슈, (특히 엘지엔솔)
3. 나스닥 증시 급락에 따른 코스피 코스닥 급락.
3개 였습니다.
전 그중에서 1번이 제일 컷다 봅니다.
혹시나 1조 이상 기업이 거래정지 먹으면.
또 외인들이
역시나 한국증시 ESG는 멍멍이판이다라고 봐서 급락시킬 겁니다.
시총 조단위 급 거래정지로 인해서 댓글에 거하게 이야기해주셔서
자세히 이야기 드려면..
참고로 저도 주식을 제대로 한지는 7년 밖에 안되었지만..
1. 대우조선해양 회계부정으로 인한 거래정지로 인해서 증시 한번 거하게 출렁였고..
2. 박근혜 탄핵 사태때 CJ 및 몇몇 대기업 연관 사태로 크게 증시가 한번 출렁였고..
3. 19년에 신라젠 코오롱 티슈진 거래정지로 인해서 바이오 사태로 증시가 크게 한번 출렁였고..
4. 셀트리온 회계이슈로 인해서 작게작게 코스닥 증시가 출렁였고..(다행히 거래정지는 안당해서..^^)
5. 오스템임플란트 22년 1월 횡령이슈로 인한 거래정지로 인해서..1월 급락 원인 중 하나였습니다.
전 이 모든게 ESG라고 봅니다.
뭐 저도 주식을 제대로 한지 7년 밖에 안되서..
그전에 1조 이상급 회사가 거래정지 당했는데 그래서 증시 괜찮은 상황 있었다 하면 할말 없기는 합니다.
근데 제가 주식하면서 저런일이 있으면 증시가 크게 출렁이더라구요. 경험적으로....
참 이렇게 작성하니.. 한국증시는 참 다이나믹 하네요.
자세히 이야기 드려면..
참고로 저도 주식을 제대로 한지는 7년 밖에 안되었지만..
1. 대우조선해양 회계부정으로 인한 거래정지로 인해서 증시 한번 거하게 출렁였고..
2. 박근혜 탄핵 사태때 CJ 및 몇몇 대기업 연관 사태로 크게 증시가 한번 출렁였고..
3. 19년에 신라젠 코오롱 티슈진 거래정지로 인해서 바이오 사태로 증시가 크게 한번 출렁였고..
4. 셀트리온 회계이슈로 인해서 작게작게 코스닥 증시가 출렁였고..(다행히 거래정지는 안당해서..^^)
5. 오스템임플란트 22년 1월 횡령이슈로 인한 거래정지로 인해서..1월 급락 원인 중 하나였습니다.
전 이 모든게 ESG라고 봅니다.
뭐 저도 주식을 제대로 한지 7년 밖에 안되서..
그전에 1조 이상급 회사가 거래정지 당했는데 그래서 증시 괜찮은 상황 있었다 하면 할말 없기는 합니다.
근데 제가 주식하면서 저런일이 있으면 증시가 크게 출렁이더라구요. 경험적으로....
참 이렇게 작성하니.. 한국증시는 참 다이나믹 하네요.
트렌드 세터(trend setter)
시총 조단위 급 거래정지로 인해서 댓글에 거하게 이야기해주셔서 자세히 이야기 드려면.. 참고로 저도 주식을 제대로 한지는 7년 밖에 안되었지만.. 1. 대우조선해양 회계부정으로 인한 거래정지로 인해서 증시 한번 거하게 출렁였고.. 2. 박근혜 탄핵 사태때 CJ 및 몇몇 대기업 연관 사태로 크게 증시가 한번 출렁였고.. 3. 19년에 신라젠 코오롱 티슈진 거래정지로 인해서 바이오 사태로 증시가 크게 한번 출렁였고.. 4. 셀트리온 회계이슈로 인해서…
단 이 모든 일은 매년 일어나는 일은 아니니 너무 걱정은 안하셔도 됩니다,
단 리스크는 기억해놔야 할 걸로 봅니다.
이런일로 증시 맞으면 참 너무 아프더라구요, (해외증시는 그나마 버티는데 한국증시만 급락이어서요..)
미리 잘 빼놔서 현금이 아주 많거나 헷지용 아니면 아예 숏으로 해놨다고 증시가 완전 저점일때까지 내려간후 이걸 저점매수로 보는 분은 기회였지만요.
단 리스크는 기억해놔야 할 걸로 봅니다.
이런일로 증시 맞으면 참 너무 아프더라구요, (해외증시는 그나마 버티는데 한국증시만 급락이어서요..)
미리 잘 빼놔서 현금이 아주 많거나 헷지용 아니면 아예 숏으로 해놨다고 증시가 완전 저점일때까지 내려간후 이걸 저점매수로 보는 분은 기회였지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