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vel Up Together
3.63K subscribers
15.2K photos
362 videos
956 files
34.1K links
뭐라도 해야
뭐라도 된다
Download Telegram
"다음주에 우리 투탑이 가잖아요. 미국 다 대기하고 있잖아요. 베센트, 상무부장관, USTR대표 다 와서 대기하고 있는 거예요. 우선협상하고 싶은 다섯나라 중에 하나가 한국이니까. 그럼 한국에 방위비도 뜯어내고 하겠죠. 하지만 더 중요한 건 한국와 딜을 성사시켜야 되는 상황이예요. 그럼 한국은 미국의 가스를 좀 더 많이 수입해주고 그럼 가스 관련된 업종들이 좋겠죠. LNG 가져오는 것도 있고 가스를 돌려야 되는 터빈업체도 좋아질 것 같고 조선도 미국이 원하는 군함도 만들어주고 대신 중국은 싫어하겠죠. 중국은 한국의 조선을 약간 태클을 걸겠죠.

그런데 중요한 건 우리는 미국 때문에 많이 다칠꺼라고 말했던 바이오 CDMO도 해당되고 자동차도 해당되고 온갖 그런 기업들은 오히려 만나고 난 뒤에 나아지지 않을까요? 우리는 관세전쟁 때문에 관세전쟁을 피할 수 있는 종목만 봐야 된다고 생각하고 있지만 제 생각에는 오히려 관세전쟁의 피해가 극단적으로 반영되고 있는 것들중에 상대적으로 밸류가 싼 것들을 지금 바라보면 시장을 하루하루 너무 매크로에 매몰되지 않고 투자자다운 하루하루를 보낼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 윤센

https://youtu.be/oHgxijLd1Ds?si=0F2J-jdjwn_VT5Hc
Forwarded from 전자공시생 X 29PER (범송공자)
[속보] IMF, 올해 한국 성장률 전망 2.0→1.0% ‘반토막’
https://www.mk.co.kr/news/economy/11298729
Forwarded from 기업지평 넓히기
SK하이닉스, 1분기 영업이익 7조 돌파…HBM3E 효과에 삼성도 앞질러

핵심 요약
- 2025년 1분기 매출 17조 원 이상, 영업이익 7조 초반 예상
- HBM3E 수요 폭발로 영업이익 사상 최대…삼성전자 전사 실적도 초과
- 10나노 5세대(1b) D램 생산능력 40% 증설…HBM4 대비도 본격화
- 반면 6세대(1c) D램 투자는 내년으로 일부 지연

세부 내용

1분기 실적
- 매출: 17조 원 이상
- 영업이익: 7조 초반 (전년 동기 대비 +140%)
- 어닝 서프라이즈: 금융정보업체 컨센서스(6.6조 원)를 상회
- 2018년 1분기 영업이익 기록(4.4조 원) 돌파, 역대 최대 분기 이익 달성

삼성과의 비교
- 삼성전자 1분기 잠정 영업이익: 6.6조 원
- 삼성 DS 부문 메모리사업부 영업이익 추정: 약 3.5조 원
- SK하이닉스, 메모리 단일 사업 기준으로 삼성 추월

성장 배경 – HBM3E
- HBM(고대역폭메모리): 인공지능 연산에 최적화된 고성능 메모리
- SK하이닉스는 HBM3E를 세계 최초 양산하며 엔비디아와 강력한 파트너십
- HBM3E는 5세대(1b) D램 기반으로 제작
- 대중국 수출 규제에도 불구하고 HBM 수요 및 생산라인 풀가동 유지

시설 투자 확대
- 1b D램 생산능력 증설 계획:
- 기존: 월 11만 장 → 수정: 월 15~16만 장
- 기존 보유량: 월 9만 장 → 내년 1분기까지 총 25만 장 확보 예상
- 주요 생산라인: 이천 M16, 청주 M15X
- SK하이닉스 전체 D램 생산량 50만 장 중 절반이 1b D램으로 재편 예정

6세대 D램(1c) 투자 조정
- 내부 인증은 2025년 2월 완료
- 당초 3분기 이천 캠퍼스 시작 예정 → 내년 1분기로 연기 가능성
- 이유: 1b D램 기반 HBM3E·HBM4 수요가 급증하고 있어 1c 투자 우선순위 하향

#SK하이닉스 #HBM3E #1bD램 #HBM4 #삼성전자 #반도체투자 #엔비디아 #HBM #어닝서프라이즈 #D램생산확대
닉스 >> 삼성
Forwarded from 글반장
지금 우리에게 결핍되어 있는 것은 침묵이다.
자신감이 넘치는 사람과 강인한 사람은 침묵을 통해 휴식한다.
-라이언 홀리데이, <에고라는 적>-
삼성바이오로직스는 1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486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9.9% 증가했다고 공시했습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조2983억원으로 37.1% 늘었고, 순이익은 3756억원으로 109.4% 증가했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이번 호실적에 대해 4공장의 매출 기여 증대와 바이오시밀러의 판매 호조, 우호적 환율 효과 등을 주요 요인으로 꼽았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45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