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warded from 습관이 부자를 만든다. 🧘
삼성전자, 170억 달러 규모 美 테일러 반도체 공장 '2026년 가동' 일정 변동 없어
https://www.g-enews.com/ko-kr/news/article/news_all/202504200721509906fbbec65dfb_1/article.html
https://www.g-enews.com/ko-kr/news/article/news_all/202504200721509906fbbec65dfb_1/article.html
글로벌이코노믹
삼성전자, 170억 달러 규모 美 테일러 반도체 공장 '2026년 가동' 일정 변동 없어
삼성전자가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에 건설 중인 170억 달러(약 24조2000억 원) 규모의 반도체 공장이 2026년 가동 목표를 그대로 유지한다고 밝혔다. 삼성 측은 일부 언론에서 제기된 일정 지연설을 공식적으로 부인했다.테일러 프레스는 지난 19일 "삼성 오스틴 세미컨덕터의 모회사인
Forwarded from ablbio_official
치료 타깃에 따른 무한한 확장성을 가진 Grabody-B(IGF1R 기반 뇌혈관장벽 투과도 개선 플랫폼)가
항체뿐만 아니라 siRNA와 같은 모달리티(Modality)의 확장도 가능하다는 내용을 다룬 기사를 공유드립니다.
[주요 내용]
1. siRNA는 아밀로이드 베타(Amyloid beta) 등 퇴행성 뇌질환을 일으키는 단백질 생산에 관여해 플라크(응집체) 형성을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현재 siRNA를 활용한 CNS 질환 초기 신약 개발도 이뤄지고 있음
2. 하지만, CNS 질환에 siRNA를 활용하려면 BBB 투과를 시키는 동시에 뇌보다는 간이나 신장으로 전달되는 오프타깃(off target) 문제를 해결해야 함
3. Grabody-B를 통해 siRNA의 BBB 투과도를 높여 뇌를 집중적으로 타깃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이러한 잠재력과 더불어 현재
GSK는 에이비엘바이오의 Grabody-B를 자신들의 신규(Novel) 타깃 및 siRNA 등의 모달리티에 접목시켜 새로운 파이프라인 개발에 착수하였으며,
에이비엘바이오 역시 4개 이상의 승인된 RNA 기반 치료제를 보유하고 있는 나스닥 상장사 아이오니스와의 공동 연구를 통해
뇌질환 치료 분야에서 siRNA와 Grabody-B의 시너지에 관한 논문을 준비중에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기사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기사 링크 : https://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27808
항체뿐만 아니라 siRNA와 같은 모달리티(Modality)의 확장도 가능하다는 내용을 다룬 기사를 공유드립니다.
[주요 내용]
1. siRNA는 아밀로이드 베타(Amyloid beta) 등 퇴행성 뇌질환을 일으키는 단백질 생산에 관여해 플라크(응집체) 형성을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현재 siRNA를 활용한 CNS 질환 초기 신약 개발도 이뤄지고 있음
2. 하지만, CNS 질환에 siRNA를 활용하려면 BBB 투과를 시키는 동시에 뇌보다는 간이나 신장으로 전달되는 오프타깃(off target) 문제를 해결해야 함
3. Grabody-B를 통해 siRNA의 BBB 투과도를 높여 뇌를 집중적으로 타깃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이러한 잠재력과 더불어 현재
GSK는 에이비엘바이오의 Grabody-B를 자신들의 신규(Novel) 타깃 및 siRNA 등의 모달리티에 접목시켜 새로운 파이프라인 개발에 착수하였으며,
에이비엘바이오 역시 4개 이상의 승인된 RNA 기반 치료제를 보유하고 있는 나스닥 상장사 아이오니스와의 공동 연구를 통해
뇌질환 치료 분야에서 siRNA와 Grabody-B의 시너지에 관한 논문을 준비중에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기사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기사 링크 : https://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27808
청년의사
에이비엘바이오의 siRNA 신약개발 전략 '그랩바디-B'
이중항체 연구에 주력해 온 에이비엘바이오가 자체 플랫폼 기술 '그랩바디-B'를 기반으로 항체약물접합체(ADC)에 이어 siRNA로 신약개발 영역을 확장한다. 그간 항암제에 집중했던 회사는 사노피 빅딜을 시작으로...
Forwarded from 습관이 부자를 만든다. 🧘
"올해 매출 5조원 넘길 것" 삼성바이오, 초일류 도약
https://m.blog.naver.com/cy2863/223841815772
https://m.blog.naver.com/cy2863/223841815772
NAVER
"올해 매출 5조원 넘길 것" 삼성바이오, 초일류 도약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올해 창립 14주년을 맞아 생산능력·포트폴리오·글로벌 거점을 중심으로 한 3대 축 확장...
Forwarded from 습관이 부자를 만든다. 🧘
상속세만 2.3조…‘정의선 웨이’로 정면 돌파한다
-너무 높은 韓 상속세율 문제지만, 로봇·자율주행 신사업 성공시켜 주주가치 훼손 없이 정정당당 해결
https://m.fntimes.com/html/view.php?ud=202504190620556443dd55077bc2_18
-너무 높은 韓 상속세율 문제지만, 로봇·자율주행 신사업 성공시켜 주주가치 훼손 없이 정정당당 해결
https://m.fntimes.com/html/view.php?ud=202504190620556443dd55077bc2_18
Forwarded from 서초동 투자머신
#알테오젠
사노피 듀피젠트의 7번째 적응증 FDA 승인의 의미.
2023년 기준 15조원 매출의 약물이 20조원 약물로 커간다는 얘기임. 항히스타민제 복용해본 사람들은 알죠. 이거 없으면 어쩔뻔.
근데 그게 않듣는 CSU 는 무조건 듀피젠트 써야함. 적응중 추가, 고용량 개발 그리고 투약간격 늘리기 = 환자 편의성 증가 = 시장 확장!
SC 전환 누가 하게 될지 부럽네. 뭘 해도 되는집.
[출처] 듀피젠트 7번째 적응증 승인의 의미 (ft. 고용량 투약, 투약간격 그리고 히알루로니다제)|작성자 The Rainmaker
사노피 듀피젠트의 7번째 적응증 FDA 승인의 의미.
2023년 기준 15조원 매출의 약물이 20조원 약물로 커간다는 얘기임. 항히스타민제 복용해본 사람들은 알죠. 이거 없으면 어쩔뻔.
근데 그게 않듣는 CSU 는 무조건 듀피젠트 써야함. 적응중 추가, 고용량 개발 그리고 투약간격 늘리기 = 환자 편의성 증가 = 시장 확장!
SC 전환 누가 하게 될지 부럽네. 뭘 해도 되는집.
[출처] 듀피젠트 7번째 적응증 승인의 의미 (ft. 고용량 투약, 투약간격 그리고 히알루로니다제)|작성자 The Rainmaker
NAVER
듀피젠트 7번째 적응증 승인의 의미 (ft. 고용량 투약, 투약간격 그리고 히알루로니다제)
사노피 듀피젠트의 7번째 적응증 FDA 승인의 의미.
Forwarded from BRILLER
[쥬베룩볼륨 시술 후 발생한 BRAO(분지 망망 동맥 폐색) 관련 단상]
by BRILLER(t.me/BRILLER_Research)
먼저 글을 쓰기전 쥬베룩 볼륨 시술을 받고 BRAO(분지 망막 동맥 폐색)으로 인해 실명이 된 환자분의 빠를 쾌유를 빕니다.
저의 경우 지인 의사분들을 통해 지난 토요일 점심쯤에 해당 사례가 발생했음을 처음 알게되었습니다.
글로벌로 쥬베룩을 가장 많이 시술했고 저역시도 몇년전부터 쥬베룩과 쥬베룩 볼륨 시술을 해주신 피부과 원장님께서도 토요일 저녁에 저에게 해당 내용을 먼저 보내주셨습니다.
제가 몇년전부터 쥬베룩과 쥬베룩 볼륨 시술을 받고 있었고 관련 리스크도 얘기해주셨는데 이번에 그런 사례가 생겼으니 저에게 이런 사례가 실제로 일어났다고 알려주시기 위해서 공유해주신거 같았고 제 입장에서는 오히려 그런 리스크를 공유해주셔서 감사했습니다.
토요일 저녁에도 채널에 간단하게 쥬베룩 시술후 BRAO 가 발생한 사실만 언급을 했었고 관련글도 자기직전까지 작성해놓은 상태였으나 피부미용 시술중 주사제 시술이 가지고 있는 리스크 측면을 언급하는게 의사가 아닌 제가 언급하는게 조심스럽기도 하고 무겁기도 해서 내용을 좀 더 갈무리하고 정리해서 오늘에서야 올립니다.
해당사례는 주말동안 레딧, 인스타, 스레드 까지 핫하게 달구었습니다.
그도 그럴것이 시술 부작용이 "실명"이라서 엄청난 공포를 불러 일으키는 상황입니다.
해당 인스타의 좋아요는 이미 9.5만개가 되었습니다.
⭕️ 현재 상황은 쥬베룩 볼륨이 실명을 일으키는 굉장히 위험한 물질로 인식되어버린 단계인데 시술로 인한 실명케이스는 쥬베룩 볼륨만의 리스크는 절대 아닙니다.
가장 흔한 사례가 필러 시술에서 HA성분이 혈관을 막아 실명이 일어나는 케이스입니다.
PLA성분의 대표 오리지날 제품인 스컬트라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쥬베룩볼륨의 성분은 위에 언급한 필러와 PLA제품이 믹싱된 PDLLA와 HA 성분이며 현재 어떤 성분이 혈관을 막아 실명이 됬는지는 정확하게 파악되지는 않고 있습니다.
지방이식또한 지방색전증으로 인해 혈관을 막아 실명이 일어나는 케이스가 많습니다.
⭕️ 중요한건 어떤 물질이냐가 아니라 어떤 부위에 어떤 방식으로 시술을 했냐입니다.
⭕️ 실명이 발생할 리스크가 매우 높은 시술부위는 코와 눈가 주변이며 해당부위 시술을 하다가 혈관에 해당 물질이 들어가서 막으면서 실명이 일어나게 됩니다.
⭕️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 어떤 물질이 무조건 더 위험한게 아니라 HA든 PLA든 지방이든 입자가 있는 모든 주사제 시술들은 코와 눈가주변에 시술을 할 때 혈관을 건드리게 되면 실명 위험이 있습니다.
(물론 입자가 큰 것들이 입자가 작은것보다는 더 위험합니다.)
⭕️ 때문에 쥬베룩 볼륨으로 실명이 생겼기 때문에 다른 경쟁사 제품들(스컬트라, 올리디아, 가나필, 퓨어필, 에버클, 에스테필 등등)은 안전하고 반사수혜가 올 것이다라고 보는 이분법적인 사고방식과 투자 수혜주 찾기는 맞지 않습니다.
(물론 소비자 입장에서는 성분이 어떻게 시술형태가 어떻고 그런거 상관없이 일단 어떤 이슈가 터지면 위험한 물질로 인식해서 회사나 엔드유저들이 관련해서 상세하게 설명해주지 않는다면 해당 제품을 기피하는 성향은 강해질 수 밖에 없습니다.)
입자를 가지고 있는 주사제 제품들은 코와 눈가 시술시 실명 확률의 차이일뿐 모두가 가지고 있는 리스크입니다.
작년 6월 강의에서 주사제와 스킨부스터 강의를 할 때 주사 시술 vs 캐뉼라 시술의 차이점에 대해서 언급을 했었습니다.
주사 시술의 경우 세밀하고 정확한 시술이 가능하나 끝이 뾰족하기에 멍과 붓기가 생기고 시술시 혈관을 잘 못 건드린 경우 혈관에 입자를 주입하는 최악의 케이스가 발생하게 됩니다.
캐뉼라의 경우 끝이 뭉뚝하고 주사제가 옆구리부분을 통해 흘러나오는 방식이라 주사 시술 대비 멍과 붓기가 최소화 되며 주사 처럼 끝이 날카롭지 않기 떄문에 혈관을 잘 못 건드리더라도 혈관에 입자를 주입하는 케이스를 줄여 줄 수 있습니다.
때문에 입자가 혈관을 막아 색전이나 폐색을 일으킬 수 있는 코나 눈가 등 위험한 부위의 HA필러나 스컬트라, 쥬베룩 볼륨 시술은 주로 캐뉼라를 통해서 시술을 진행합니다.
하지만 캐뉼라 역시도 금속성분이고 아무리 뭉뚝하다고 하여도 시술자가 혈관에 있는 부위를 인지하지 못하고 강하게 삽입하면(사람 손의 힘으로 뭉뚝한 금속을 혈관에 밀어넣는다고 생각하시면 혈관이 이걸 버틸수가 없음) 마찬가지로 주사 시술과 동일한 케이스가 생길 수 있습니다.
쥬베룩 볼륨 눈가 시술 후 안타깝게도 BRAO로 인해 실명이 발생하신 분의 경우 어떠한 이유로 발생하였는지는 시술 당사자와 추후 명확한 이유가 나와야 확실하게 알겠지만
1. 쥬베룩 볼륨을 캐뉼라가 아닌 일반 주사로 시술을 하였다가 혈관을 잘 못 건드렸을 가능성
2. 쥬베룩 볼륨을 캐뉼라로 시술 하였음에도 위에서 얘기 드린거처럼 손의 힘으로 강하게 삽입하였다가 혈관을 잘 못 건드렸을 가능성
3. 가루제품은 수화(가루제품에 식염수를 섞어서 균등하게 희석시키는 과정)과정이 매우매우 중요한데 이 수화 과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고 뭉친 입자들이 있었을 가능성
4. 기타 알 수 없는 이유로 혈관에 PDLLA성분이나 HA성분이 들어갔을 가능성
상기 4가지 사례중 한가지가 아닐까 싶습니다.
여기서 1번과 2번 케이스는 혈관이 있을 부위로 예상되는 부위를 피해서 시술자가 조심히 시술하였어도 해부학적 변이가 매우 다양하기때문에 피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바임은 이번 1차, 2차 공개매수를 통해서 엔드유저분들 또한 지분이 강제로 정리당하게 됨으로써 서로 이해관계가 없어지고 감정이 마냥 좋은 상황은 아니게 되어버렸습니다.
현재 주식매수청구건 가격 협의와 관련해서도 회사측과 주주측이 얘기하는 가격이 괴리가 있어 협의중인 상황인데 묘하게도 공개매수가 마감되고 난뒤에 리젠바이오텍이 바임 상대로 특허소송을 승소하고 이번에 입자가 있는 주사제들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리스크가 터져버렸습니다.
작년에 쥬베룩 결절 이슈가 생겼을때(PDLLA성분도 PLLA성분보다 확률이 낮을뿐 PLA성분 특성상 결절이 생깁니다.) 바임과 프리미어파트너스쪽의 대응이 올바르지 못했고 이로 인해 엔드유저분들의 불만이 한차례 쌓였었는데 이번에는 바임과 프리미어파트너스쪽이 올바른 방향으로 대응하고 해결책을 세웠줬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by BRILLER(t.me/BRILLER_Research)
먼저 글을 쓰기전 쥬베룩 볼륨 시술을 받고 BRAO(분지 망막 동맥 폐색)으로 인해 실명이 된 환자분의 빠를 쾌유를 빕니다.
저의 경우 지인 의사분들을 통해 지난 토요일 점심쯤에 해당 사례가 발생했음을 처음 알게되었습니다.
글로벌로 쥬베룩을 가장 많이 시술했고 저역시도 몇년전부터 쥬베룩과 쥬베룩 볼륨 시술을 해주신 피부과 원장님께서도 토요일 저녁에 저에게 해당 내용을 먼저 보내주셨습니다.
제가 몇년전부터 쥬베룩과 쥬베룩 볼륨 시술을 받고 있었고 관련 리스크도 얘기해주셨는데 이번에 그런 사례가 생겼으니 저에게 이런 사례가 실제로 일어났다고 알려주시기 위해서 공유해주신거 같았고 제 입장에서는 오히려 그런 리스크를 공유해주셔서 감사했습니다.
토요일 저녁에도 채널에 간단하게 쥬베룩 시술후 BRAO 가 발생한 사실만 언급을 했었고 관련글도 자기직전까지 작성해놓은 상태였으나 피부미용 시술중 주사제 시술이 가지고 있는 리스크 측면을 언급하는게 의사가 아닌 제가 언급하는게 조심스럽기도 하고 무겁기도 해서 내용을 좀 더 갈무리하고 정리해서 오늘에서야 올립니다.
해당사례는 주말동안 레딧, 인스타, 스레드 까지 핫하게 달구었습니다.
그도 그럴것이 시술 부작용이 "실명"이라서 엄청난 공포를 불러 일으키는 상황입니다.
해당 인스타의 좋아요는 이미 9.5만개가 되었습니다.
⭕️ 현재 상황은 쥬베룩 볼륨이 실명을 일으키는 굉장히 위험한 물질로 인식되어버린 단계인데 시술로 인한 실명케이스는 쥬베룩 볼륨만의 리스크는 절대 아닙니다.
가장 흔한 사례가 필러 시술에서 HA성분이 혈관을 막아 실명이 일어나는 케이스입니다.
PLA성분의 대표 오리지날 제품인 스컬트라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쥬베룩볼륨의 성분은 위에 언급한 필러와 PLA제품이 믹싱된 PDLLA와 HA 성분이며 현재 어떤 성분이 혈관을 막아 실명이 됬는지는 정확하게 파악되지는 않고 있습니다.
지방이식또한 지방색전증으로 인해 혈관을 막아 실명이 일어나는 케이스가 많습니다.
⭕️ 중요한건 어떤 물질이냐가 아니라 어떤 부위에 어떤 방식으로 시술을 했냐입니다.
⭕️ 실명이 발생할 리스크가 매우 높은 시술부위는 코와 눈가 주변이며 해당부위 시술을 하다가 혈관에 해당 물질이 들어가서 막으면서 실명이 일어나게 됩니다.
⭕️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 어떤 물질이 무조건 더 위험한게 아니라 HA든 PLA든 지방이든 입자가 있는 모든 주사제 시술들은 코와 눈가주변에 시술을 할 때 혈관을 건드리게 되면 실명 위험이 있습니다.
(물론 입자가 큰 것들이 입자가 작은것보다는 더 위험합니다.)
⭕️ 때문에 쥬베룩 볼륨으로 실명이 생겼기 때문에 다른 경쟁사 제품들(스컬트라, 올리디아, 가나필, 퓨어필, 에버클, 에스테필 등등)은 안전하고 반사수혜가 올 것이다라고 보는 이분법적인 사고방식과 투자 수혜주 찾기는 맞지 않습니다.
(물론 소비자 입장에서는 성분이 어떻게 시술형태가 어떻고 그런거 상관없이 일단 어떤 이슈가 터지면 위험한 물질로 인식해서 회사나 엔드유저들이 관련해서 상세하게 설명해주지 않는다면 해당 제품을 기피하는 성향은 강해질 수 밖에 없습니다.)
입자를 가지고 있는 주사제 제품들은 코와 눈가 시술시 실명 확률의 차이일뿐 모두가 가지고 있는 리스크입니다.
작년 6월 강의에서 주사제와 스킨부스터 강의를 할 때 주사 시술 vs 캐뉼라 시술의 차이점에 대해서 언급을 했었습니다.
주사 시술의 경우 세밀하고 정확한 시술이 가능하나 끝이 뾰족하기에 멍과 붓기가 생기고 시술시 혈관을 잘 못 건드린 경우 혈관에 입자를 주입하는 최악의 케이스가 발생하게 됩니다.
캐뉼라의 경우 끝이 뭉뚝하고 주사제가 옆구리부분을 통해 흘러나오는 방식이라 주사 시술 대비 멍과 붓기가 최소화 되며 주사 처럼 끝이 날카롭지 않기 떄문에 혈관을 잘 못 건드리더라도 혈관에 입자를 주입하는 케이스를 줄여 줄 수 있습니다.
때문에 입자가 혈관을 막아 색전이나 폐색을 일으킬 수 있는 코나 눈가 등 위험한 부위의 HA필러나 스컬트라, 쥬베룩 볼륨 시술은 주로 캐뉼라를 통해서 시술을 진행합니다.
하지만 캐뉼라 역시도 금속성분이고 아무리 뭉뚝하다고 하여도 시술자가 혈관에 있는 부위를 인지하지 못하고 강하게 삽입하면(사람 손의 힘으로 뭉뚝한 금속을 혈관에 밀어넣는다고 생각하시면 혈관이 이걸 버틸수가 없음) 마찬가지로 주사 시술과 동일한 케이스가 생길 수 있습니다.
쥬베룩 볼륨 눈가 시술 후 안타깝게도 BRAO로 인해 실명이 발생하신 분의 경우 어떠한 이유로 발생하였는지는 시술 당사자와 추후 명확한 이유가 나와야 확실하게 알겠지만
1. 쥬베룩 볼륨을 캐뉼라가 아닌 일반 주사로 시술을 하였다가 혈관을 잘 못 건드렸을 가능성
2. 쥬베룩 볼륨을 캐뉼라로 시술 하였음에도 위에서 얘기 드린거처럼 손의 힘으로 강하게 삽입하였다가 혈관을 잘 못 건드렸을 가능성
3. 가루제품은 수화(가루제품에 식염수를 섞어서 균등하게 희석시키는 과정)과정이 매우매우 중요한데 이 수화 과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고 뭉친 입자들이 있었을 가능성
4. 기타 알 수 없는 이유로 혈관에 PDLLA성분이나 HA성분이 들어갔을 가능성
상기 4가지 사례중 한가지가 아닐까 싶습니다.
여기서 1번과 2번 케이스는 혈관이 있을 부위로 예상되는 부위를 피해서 시술자가 조심히 시술하였어도 해부학적 변이가 매우 다양하기때문에 피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바임은 이번 1차, 2차 공개매수를 통해서 엔드유저분들 또한 지분이 강제로 정리당하게 됨으로써 서로 이해관계가 없어지고 감정이 마냥 좋은 상황은 아니게 되어버렸습니다.
현재 주식매수청구건 가격 협의와 관련해서도 회사측과 주주측이 얘기하는 가격이 괴리가 있어 협의중인 상황인데 묘하게도 공개매수가 마감되고 난뒤에 리젠바이오텍이 바임 상대로 특허소송을 승소하고 이번에 입자가 있는 주사제들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리스크가 터져버렸습니다.
작년에 쥬베룩 결절 이슈가 생겼을때(PDLLA성분도 PLLA성분보다 확률이 낮을뿐 PLA성분 특성상 결절이 생깁니다.) 바임과 프리미어파트너스쪽의 대응이 올바르지 못했고 이로 인해 엔드유저분들의 불만이 한차례 쌓였었는데 이번에는 바임과 프리미어파트너스쪽이 올바른 방향으로 대응하고 해결책을 세웠줬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Telegram
BRILLER
"나는 날마다 모든 면에서 점점 더 좋아지고 있다!"
Forwarded from YM리서치
Level Up Together
[쥬베룩볼륨 시술 후 발생한 BRAO(분지 망망 동맥 폐색) 관련 단상] by BRILLER(t.me/BRILLER_Research) 먼저 글을 쓰기전 쥬베룩 볼륨 시술을 받고 BRAO(분지 망막 동맥 폐색)으로 인해 실명이 된 환자분의 빠를 쾌유를 빕니다. 저의 경우 지인 의사분들을 통해 지난 토요일 점심쯤에 해당 사례가 발생했음을 처음 알게되었습니다. 글로벌로 쥬베룩을 가장 많이 시술했고 저역시도 몇년전부터 쥬베룩과 쥬베룩 볼륨 시술을 해주신…
ㄴ 미용의 아버지 브릴러님께서 해당 이슈에 대해 명확하게 설명해주셨습니다.
참고로 리쥬란을 MTS 롤러를 사용해 도포하다가 실명할 수도 있다는 얘기는 집에서 세안하고 리들샷 바르다가 실명할 수도 있다는 수준의 말과 같습니다.
참고로 리쥬란을 MTS 롤러를 사용해 도포하다가 실명할 수도 있다는 얘기는 집에서 세안하고 리들샷 바르다가 실명할 수도 있다는 수준의 말과 같습니다.
SMJ-57-438.pdf
776.7 KB
Prevention and treatment of filler induced vision loss
현재까지 필러에 의한 실명은 전세계적으로 170케이스 정도로 밝혀졌으며 혈관에 HA필러가 들어가며
혈액 공급을 차단하며 실명하게 됩니다.
혈액 공급을 차단하며 실명하게 됩니다.
Forwarded from 전종현의 인사이트
"찰리는 왕 추안푸(BYD 창업자)가 회사를 세우기 전, 돈도 없고 무언가를 시작하려 애쓰던 아주 초기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 연구했습니다."
https://blog.naver.com/thingschange_/223840942928
https://blog.naver.com/thingschange_/223840942928
NAVER
[모니시 파브라이] 찰리멍거의 합리적인 BYD 분석
Forwarded from 1년에 1랩업
YouTube
글로벌 바이오 최대 행사 열린다. 유한양행 반등할까? | AACR 2025 - 핵심 기업 분석
[5년후 10배 오를 바이오 기업에 투자하라] 신청하기 : https://us-all.kr/bjLZI49
*10배 상승이 기대되는 바이오기업을 담은 도서+강의 8강이 3만원 특가로 제공됩니다.
안녕하세요, 바이오투자학교 구독자 여러분! 이해진입니다. 오늘은 전 세계 바이오 업계가 주목하는 초대형 이벤트 AACR 2025 속 ‘주목할 기업’에 대해 다뤄보았습니다. AACR은 차세대 항암 기술, 혁신적 초기 연구결과, 기술이전 및 협력 기회까지 바이오…
*10배 상승이 기대되는 바이오기업을 담은 도서+강의 8강이 3만원 특가로 제공됩니다.
안녕하세요, 바이오투자학교 구독자 여러분! 이해진입니다. 오늘은 전 세계 바이오 업계가 주목하는 초대형 이벤트 AACR 2025 속 ‘주목할 기업’에 대해 다뤄보았습니다. AACR은 차세대 항암 기술, 혁신적 초기 연구결과, 기술이전 및 협력 기회까지 바이오…
Forwarded from Pluto Research_발간자료
얼마전 상법개정 토론회에서 이재명 대표가 아래 발언을 하며 화제가 되었습니다.
"회사 주가순자산비율(PBR=시가총액÷순자산)이 0.3배라고요?
그 기업은 적대적 인수합병(M&A) 당해야죠."
그렇다면 우리는 이재명식 밸류업에 대해 가늠해 볼 수 있을텐데요. 이재명식 밸류업에 투자하는 아이디어를 소개해보고자 합니다.
https://naver.me/IFgqMGAI
"회사 주가순자산비율(PBR=시가총액÷순자산)이 0.3배라고요?
그 기업은 적대적 인수합병(M&A) 당해야죠."
그렇다면 우리는 이재명식 밸류업에 대해 가늠해 볼 수 있을텐데요. 이재명식 밸류업에 투자하는 아이디어를 소개해보고자 합니다.
https://naver.me/IFgqMGAI
Naver
이재명식 밸류업에 투자하는 법
* 본 자료는 분석자료로서 투자의 매수/매도 추천이 아님을 밝힙니다. * 또한 작성자는 현재 관련 기업의 포지션을 보유하지 않고 있습니다. * 투자는 본인의 책임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어떠한 이유로서도 본 자료를 투자결과에 따른 당사의 책임소재 입증 근거로 사용할 수 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