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래 본 딜 중 가장 신기한 딜 Baxus
Multicoin Capital이 리드했고, 안셈이 해당 글 리트윗해서 발견한 주류 마켓플레이스. 주요 주종은 위스키로 보입니다.
Solana Ventures가 투자한 것을 보니 페이먼트가 추가되려나 싶네요. 참고로 들어가서 구매 전까지 살펴보니 Coinflow라는 크립토 페이먼트가 붙어있는 상태입니다.
최근 솔라나는 페이먼트 쪽에 계속 뭔가 하고 싶어하는 모습인데 어떤 식으로 크립토 페이먼트 시장이 커질지 궁금하네요.
참고로 한국에서 술 해외직구하면 세금 폭탄 맞을 수 있으니 참고
Multicoin Capital이 리드했고, 안셈이 해당 글 리트윗해서 발견한 주류 마켓플레이스. 주요 주종은 위스키로 보입니다.
Solana Ventures가 투자한 것을 보니 페이먼트가 추가되려나 싶네요. 참고로 들어가서 구매 전까지 살펴보니 Coinflow라는 크립토 페이먼트가 붙어있는 상태입니다.
최근 솔라나는 페이먼트 쪽에 계속 뭔가 하고 싶어하는 모습인데 어떤 식으로 크립토 페이먼트 시장이 커질지 궁금하네요.
참고로 한국에서 술 해외직구하면 세금 폭탄 맞을 수 있으니 참고
Forwarded from Steve’s Catallaxy
: : 오늘은 포필러스가 만들어진지 만으로 1년이 되는 날입니다. 물론 그 전부터 회사에 대한 구상과 준비는 하고 있었지만, 저희가 법적으로 사업자 등록을 한 시기가 2023년 5월 2일이니 공식적으로는 오늘 만으로 1년이 된 셈이죠.
이 사진은, 저희 포필러스가 만들어지기도 전, 사무실도 없고 아무것도 없던 시절에 제 오피스텔 라운지 공간에서 회의를 하다가 옆에 딱 네 기둥이 있길래 찍었던 사진입니다. "오 우리가 회의하는데 옆에 딱 네 기둥이 있는걸 보면 잘 되려나?!" 하면서 긍정적인 시작을 알렸던 장소입니다.
1년을 회고하니 정말로 여러가지 일들이 많았네요. 물론 시작했을 당시에 당연히 잘 될거라고 생각했던 것들은 다 실패했고, 1년전에 생각했던 1년후의 모습과 지금의 모습이 상당히 다르다는 것도 저로 하여금 여러가지를 생각하게 합니다. 더 겸손하게 만들기도 하구요.
힘든 일들도 많았고, 놀라운 성취들도 이루었습니다. 회사를 같이 만든 사람들이 오프보딩 하는 것을 또 경험하고, 구독 모델이 안되는 것을 보면서 구독 중단을 선언하고, 한동안 방향성 없이 방황하던 시기들도 있었습니다. 그럼에도 지금은 어느덧 회사의 인지도도 성장하여 다양한 사람들이 알아주고 찾아주는 리서치 회사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아직도 갈팡질팡 모르는 것들 투성이지만 그래도 하루하루 점차 나아지고 있음에 희망이 있습니다.
포필러스를 하면서 느끼는 것은 결국 "사람"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제 동업자 제이를 비롯해서, 우리회사의 멋진 비주얼을 만들어주는 케이트를 만난 것도, 이제는 사실상 공동창업자라고 봐도 무방한 희창님을 만난 것도, 주웅님 성준님 수빈님 그리고 그 외에 수많은 사람들을 만난 것도 다 행운이고 복이라고 생각합니다.
카카오 벤처스, 해시드, 베이스 같은 너무나 훌륭한 투자사들을 만난 것 역시나 복이고요. 회사가 만들어지고 지금까지 아낌없이 도와주는 제 지인들(신지훈, 심석현, 이천, 이영인 누나(미스텐랩스), 안수빈님, 준킴님, 언디파인드 랩스의 성리형, 현익이형, 기혁이형, 정현이형(frank), 김지윤 대표님, 데이빗(라디우스), 송지영님....) 이 없었다면 정말로 훨씬 더 어려운 여정이 되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아직 제로투원을 했다고 하기엔 부족한 것들이 많기 때문에 제로투원은 못했고 제로투 포인트 원(0.5)까지는 했다고 생각합니다. 안주하지 않고 더 열심히 정진하도록 하겠습니다. 작년 이맘때쯤 1년후의 포필러스를 예상했던 것이 보기좋게 틀렸던 만큼, 내년 이맘때쯤의 포필러스가 어떻게 되어있을지 감히 상상하기는 어렵습니다만, 부디 더 잘 성장해서 더 큰 영향력을 좋게 행사할 수 있는 회사가 되어있기를 바라고, 앞으로도 포필러스에 대한 다양한 관심 부탁드리겠습니다(비판, 응원, 격려, 조언 다 좋습니다!).
내년에는 더 성숙하고 완성된 모습으로 "제로투원 했다!" 할 수 있기를.
이 사진은, 저희 포필러스가 만들어지기도 전, 사무실도 없고 아무것도 없던 시절에 제 오피스텔 라운지 공간에서 회의를 하다가 옆에 딱 네 기둥이 있길래 찍었던 사진입니다. "오 우리가 회의하는데 옆에 딱 네 기둥이 있는걸 보면 잘 되려나?!" 하면서 긍정적인 시작을 알렸던 장소입니다.
1년을 회고하니 정말로 여러가지 일들이 많았네요. 물론 시작했을 당시에 당연히 잘 될거라고 생각했던 것들은 다 실패했고, 1년전에 생각했던 1년후의 모습과 지금의 모습이 상당히 다르다는 것도 저로 하여금 여러가지를 생각하게 합니다. 더 겸손하게 만들기도 하구요.
힘든 일들도 많았고, 놀라운 성취들도 이루었습니다. 회사를 같이 만든 사람들이 오프보딩 하는 것을 또 경험하고, 구독 모델이 안되는 것을 보면서 구독 중단을 선언하고, 한동안 방향성 없이 방황하던 시기들도 있었습니다. 그럼에도 지금은 어느덧 회사의 인지도도 성장하여 다양한 사람들이 알아주고 찾아주는 리서치 회사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아직도 갈팡질팡 모르는 것들 투성이지만 그래도 하루하루 점차 나아지고 있음에 희망이 있습니다.
포필러스를 하면서 느끼는 것은 결국 "사람"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제 동업자 제이를 비롯해서, 우리회사의 멋진 비주얼을 만들어주는 케이트를 만난 것도, 이제는 사실상 공동창업자라고 봐도 무방한 희창님을 만난 것도, 주웅님 성준님 수빈님 그리고 그 외에 수많은 사람들을 만난 것도 다 행운이고 복이라고 생각합니다.
카카오 벤처스, 해시드, 베이스 같은 너무나 훌륭한 투자사들을 만난 것 역시나 복이고요. 회사가 만들어지고 지금까지 아낌없이 도와주는 제 지인들(신지훈, 심석현, 이천, 이영인 누나(미스텐랩스), 안수빈님, 준킴님, 언디파인드 랩스의 성리형, 현익이형, 기혁이형, 정현이형(frank), 김지윤 대표님, 데이빗(라디우스), 송지영님....) 이 없었다면 정말로 훨씬 더 어려운 여정이 되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아직 제로투원을 했다고 하기엔 부족한 것들이 많기 때문에 제로투원은 못했고 제로투 포인트 원(0.5)까지는 했다고 생각합니다. 안주하지 않고 더 열심히 정진하도록 하겠습니다. 작년 이맘때쯤 1년후의 포필러스를 예상했던 것이 보기좋게 틀렸던 만큼, 내년 이맘때쯤의 포필러스가 어떻게 되어있을지 감히 상상하기는 어렵습니다만, 부디 더 잘 성장해서 더 큰 영향력을 좋게 행사할 수 있는 회사가 되어있기를 바라고, 앞으로도 포필러스에 대한 다양한 관심 부탁드리겠습니다(비판, 응원, 격려, 조언 다 좋습니다!).
내년에는 더 성숙하고 완성된 모습으로 "제로투원 했다!" 할 수 있기를.
SB Crypto
Autonomous World, fully onchain game의 명가 Lattice의 신규체인 Redstone이 메인넷 런칭했습니다! 하고 싶은 말이 정말 많은데 조만간 다시 정리해서 글 쓸 예정. 일단 커뮤니티 및 기술력에 대해 제 센티멘트는 bullish🔥 링크
Redstone Chain은 Optimism Superchain에 합류한 신규 L2 체인입니다. 메인넷 런칭 하루만에 약 4000명 정도의 유저와 150ETH가 모였네요.
AW, Automous World라는 내러티브는 작년부터 꽤나 주목받는 생태계입니다. 기존 블록체인 게임이라고 했을 때 구현 방식은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
1. 아이템 및 게임 내 화폐 등의 재화를 블록체인에 올리는 방식
2. 게임에서 특정 시점의 상태를 NFT 등으로 민팅하는 방식
3. 모든 내용을 온체인에 올리는 방식
1/2의 경우는 매번 "왜 블록체인이어야 하는가"에 대해 공격 받고는 했습니다. 또한 모든 것이 온체인에 올라가야 그게 진정한 블록체인 게임이다 라는 논리로 fully onchain game를 주장하는 이들은 꽤나 초기부터 있었죠.
다만 fully onchain game을 만든다는 것은 쉬운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전략 게임, 대전 게임 등 상대방의 전략을 미리 알거나, 또는 동시에 동작하는 것을 방해하거나 등 게임 외 프로토콜 차원에서 공격하는 것은 게임 내 경험을 낮추는 일이기 때문입니다. 심지어 블록체인 내에서 이 동작을 모두 하기 위해 확장성 까지 챙긴다는 것은 속도나 비용 측면에서 매우 어려운 일이죠.
그래서 Lattice팀은 이를 위해 MUD라는 오픈소스 프레임워크를 만들었습니다. fully onchain game을 위한 규격을 만들어둔 것이죠. 이렇게 밑바닥부터 하나씩 만든 팀에서 AW를 위한 체인을 만들었다는 것은 개발자 입장에서 매우 설레네요.
이런 규격 하에 앞으로 5월 동안 나올 게임은 상당히 많습니다. 자세한 게임에 대한 내용은 다음 블로그를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참고로 제네시스 NFT 민팅 중이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근데 유틸리티가 있을까요 과연..?)
오랜만에 대시보드도 만들었습니다. 브릿지 대시보드가 규격이 고만고만해서 크게 재밌지는 않지만,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https://dune.com/hashed_official/redstone-chain
AW, Automous World라는 내러티브는 작년부터 꽤나 주목받는 생태계입니다. 기존 블록체인 게임이라고 했을 때 구현 방식은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
1. 아이템 및 게임 내 화폐 등의 재화를 블록체인에 올리는 방식
2. 게임에서 특정 시점의 상태를 NFT 등으로 민팅하는 방식
3. 모든 내용을 온체인에 올리는 방식
1/2의 경우는 매번 "왜 블록체인이어야 하는가"에 대해 공격 받고는 했습니다. 또한 모든 것이 온체인에 올라가야 그게 진정한 블록체인 게임이다 라는 논리로 fully onchain game를 주장하는 이들은 꽤나 초기부터 있었죠.
다만 fully onchain game을 만든다는 것은 쉬운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전략 게임, 대전 게임 등 상대방의 전략을 미리 알거나, 또는 동시에 동작하는 것을 방해하거나 등 게임 외 프로토콜 차원에서 공격하는 것은 게임 내 경험을 낮추는 일이기 때문입니다. 심지어 블록체인 내에서 이 동작을 모두 하기 위해 확장성 까지 챙긴다는 것은 속도나 비용 측면에서 매우 어려운 일이죠.
그래서 Lattice팀은 이를 위해 MUD라는 오픈소스 프레임워크를 만들었습니다. fully onchain game을 위한 규격을 만들어둔 것이죠. 이렇게 밑바닥부터 하나씩 만든 팀에서 AW를 위한 체인을 만들었다는 것은 개발자 입장에서 매우 설레네요.
이런 규격 하에 앞으로 5월 동안 나올 게임은 상당히 많습니다. 자세한 게임에 대한 내용은 다음 블로그를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참고로 제네시스 NFT 민팅 중이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근데 유틸리티가 있을까요 과연..?)
오랜만에 대시보드도 만들었습니다. 브릿지 대시보드가 규격이 고만고만해서 크게 재밌지는 않지만,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https://dune.com/hashed_official/redstone-chain
blast 위의 fantasy.top 카드 마켓 보니 아직까진 초기 단계라 더 핫해질 것 같은데 어떻게 벌 수 있을지 모르겠네요. 큰 돈 넣어서 레어 카드 사는 게 차라리 더 답인 것 같기도 하고...
근데 왜 한국은 글로벌하게 유명한 KOL이 거의 없을까요? 텔방은 이렇게나 많은게🤔
신규 팩 민팅은 본전은 찾는 거 같아서 안해본 분들이라면 꼭 해보는 것 추천하지만, 근데 저같이 시드 다 녹아서 보낼 이더 거의 없는 CCT라면 좋아요🥲
레퍼럴코드: subinium
근데 왜 한국은 글로벌하게 유명한 KOL이 거의 없을까요? 텔방은 이렇게나 많은게🤔
신규 팩 민팅은 본전은 찾는 거 같아서 안해본 분들이라면 꼭 해보는 것 추천하지만, 근데 저같이 시드 다 녹아서 보낼 이더 거의 없는 CCT라면 좋아요🥲
레퍼럴코드: subinium
X (formerly Twitter)
fantasy.top (@fantasy_top_) on X
Bet on your favorite 𝕏 influencers: https://t.co/20Ni1V23f6
SB Crypto
blast 위의 fantasy.top 카드 마켓 보니 아직까진 초기 단계라 더 핫해질 것 같은데 어떻게 벌 수 있을지 모르겠네요. 큰 돈 넣어서 레어 카드 사는 게 차라리 더 답인 것 같기도 하고... 근데 왜 한국은 글로벌하게 유명한 KOL이 거의 없을까요? 텔방은 이렇게나 많은게🤔 신규 팩 민팅은 본전은 찾는 거 같아서 안해본 분들이라면 꼭 해보는 것 추천하지만, 근데 저같이 시드 다 녹아서 보낼 이더 거의 없는 CCT라면 좋아요🥲 레퍼럴코드:…
엄청난 수치를 기록하고 있는 fantasy.top
1. 트레저리 1500ETH+ (한화 약 60억)
2. 민팅된 NFT 200K => 한포에 5개니 약 40,000팩 판매
3. 총 유입 유저(주소) 약 20k
아마 신규 유저 혜택으로 인한 다계정이 많을 것이라 예상되는데, 그럼에도 수치는 엄청나네요🚀
과연 이 개업빨 하잎을 어떻게 유지할지 기대되는 팀이네요.
데이터 원본은 다음 링크에 있습니다. 이것도 좋아요와 많관부!
https://flipsidecrypto.xyz/hashed_official/fantasy.top-sAv7VH
1. 트레저리 1500ETH+ (한화 약 60억)
2. 민팅된 NFT 200K => 한포에 5개니 약 40,000팩 판매
3. 총 유입 유저(주소) 약 20k
아마 신규 유저 혜택으로 인한 다계정이 많을 것이라 예상되는데, 그럼에도 수치는 엄청나네요🚀
과연 이 개업빨 하잎을 어떻게 유지할지 기대되는 팀이네요.
데이터 원본은 다음 링크에 있습니다. 이것도 좋아요와 많관부!
https://flipsidecrypto.xyz/hashed_official/fantasy.top-sAv7VH
restaking으로 리브랜딩한 Karak 대시보드 수정 완료하여 다시 public으로 변경
- EigenLayer 발표 이후, 예치량 증가
- 근데 이더리움 가격의 하락으로 전례 없는 USDC 예치량 증가 (약 6m)
- 예치는 해야겠고, 이더 롱 포지션은 무서운 예치러라 예상.
참고로 L2beat, Defillama 등 모두 현재 이더리움 TVL만 측정 중이며 모두 비슷한 수치. Karak에서는 이에 7배 정도 되는 500m을 tvl이라고 주장 중.
https://dune.com/hashed_official/karak
- EigenLayer 발표 이후, 예치량 증가
- 근데 이더리움 가격의 하락으로 전례 없는 USDC 예치량 증가 (약 6m)
- 예치는 해야겠고, 이더 롱 포지션은 무서운 예치러라 예상.
참고로 L2beat, Defillama 등 모두 현재 이더리움 TVL만 측정 중이며 모두 비슷한 수치. Karak에서는 이에 7배 정도 되는 500m을 tvl이라고 주장 중.
https://dune.com/hashed_official/karak
SB Crypto
엄청난 수치를 기록하고 있는 fantasy.top 1. 트레저리 1500ETH+ (한화 약 60억) 2. 민팅된 NFT 200K => 한포에 5개니 약 40,000팩 판매 3. 총 유입 유저(주소) 약 20k 아마 신규 유저 혜택으로 인한 다계정이 많을 것이라 예상되는데, 그럼에도 수치는 엄청나네요🚀 과연 이 개업빨 하잎을 어떻게 유지할지 기대되는 팀이네요. 데이터 원본은 다음 링크에 있습니다. 이것도 좋아요와 많관부! https://flips…
한 30% 정도의 느낌인데 트위터 좋아요 계정들을 보아하니 아직 공개되지 않은 라운드에 DragonFly가 들어간 것 같네요.
느낌적인 느낌으로 DragonFly도 요새 살짝 더 테키한 디젠 스타일로 바뀌는 중.
느낌적인 느낌으로 DragonFly도 요새 살짝 더 테키한 디젠 스타일로 바뀌는 중.
Forwarded from COINNESS News Feed (코인니스)
[ENS "언스토퍼블도메인, ENS 기술 도용 특허 취득.. 특허청에 이의 제기"]
이더리움네임서비스(ENS)가 X를 통해 "언스토퍼블도메인은 지난해 ENS 랩스가 오픈 소스로 개발한 기술에 대해 특허를 출원했다. 따라서 우리는 오늘 미국 특허청(USPTO)에 해당 특허 유효성에 대한 이의를 제기했다. 우리는 언스토퍼블에 이미 논쟁을 피할 수 있는 기회를 여러번 줬다. 그러나 언스토퍼블은 특허 공개를 거부하고, 특허 사용 관련 약속 역시 거부했다"고 강조했다.
https://coinnesslive.page.link/JYfDZH8BxmSftYwPA
코인니스 활동 보상 '펄'출시!
앱 다운로드 후 활동 보상부터 중요 속보 알림까지 받아보세요!!
이더리움네임서비스(ENS)가 X를 통해 "언스토퍼블도메인은 지난해 ENS 랩스가 오픈 소스로 개발한 기술에 대해 특허를 출원했다. 따라서 우리는 오늘 미국 특허청(USPTO)에 해당 특허 유효성에 대한 이의를 제기했다. 우리는 언스토퍼블에 이미 논쟁을 피할 수 있는 기회를 여러번 줬다. 그러나 언스토퍼블은 특허 공개를 거부하고, 특허 사용 관련 약속 역시 거부했다"고 강조했다.
https://coinnesslive.page.link/JYfDZH8BxmSftYwPA
코인니스 활동 보상 '펄'출시!
앱 다운로드 후 활동 보상부터 중요 속보 알림까지 받아보세요!!
coinnesslive.page.link
ENS "언스토퍼블도메인, ENS 기술 도용 특허 취득.. 특허청에 이의 제기"
이더리움네임서비스(ENS)가 X를 통해 "언스토퍼블도메인은 지난해 ENS 랩스가 오픈 소스로 개발한 기술에 대해 특허...
Forwarded from 30대에 은퇴번복한 머피
에드작은 이렇게 하는겁니다.
일평같이 자기 추종자들 돈빨아서 부자되고 이러면 사람들한테 욕만 쳐먹음
심지어 지가 덤핑해서 먹은 돈 해봐야 10억밖에안됨ㅋㅋ
일평같이 자기 추종자들 돈빨아서 부자되고 이러면 사람들한테 욕만 쳐먹음
심지어 지가 덤핑해서 먹은 돈 해봐야 10억밖에안됨ㅋㅋ
AI x Blockchain에 대한 김승주 교수님의 인터뷰🤣
Worldcoin을 옹호하는 것은 아니지만 정보가 공개된 게 없다고 하는 건 너무 DB가 오래되신 것은 아니신지👀
https://youtu.be/7jaQHtbUDlk?si=QJjkb7VJNw7yFLWx
Worldcoin을 옹호하는 것은 아니지만 정보가 공개된 게 없다고 하는 건 너무 DB가 오래되신 것은 아니신지👀
https://youtu.be/7jaQHtbUDlk?si=QJjkb7VJNw7yFLWx
YouTube
AI 열풍에 블록체인도 ‘들썩’? 조심해야하는 이유 (김승주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 | 경제ON 크립토ON 240503
💁🏻♂️출연: 김승주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
💁🏻♂️진행: 이민재
저작권자(c) 연합뉴스경제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박세익의 '고수들의 투자 철학' 구매하기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02010374
📚김준송의 '투자의 기술' 구매하기
👉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01058874
📚변정규의 '슈퍼달러…
💁🏻♂️진행: 이민재
저작권자(c) 연합뉴스경제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박세익의 '고수들의 투자 철학' 구매하기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02010374
📚김준송의 '투자의 기술' 구매하기
👉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01058874
📚변정규의 '슈퍼달러…
SB Crypto
AI x Blockchain에 대한 김승주 교수님의 인터뷰🤣 Worldcoin을 옹호하는 것은 아니지만 정보가 공개된 게 없다고 하는 건 너무 DB가 오래되신 것은 아니신지👀 https://youtu.be/7jaQHtbUDlk?si=QJjkb7VJNw7yFLWx
요새 이런거 보면서 거울치료 되는 게
“직감적으로 별로긴 한데, 구체적으로 문제되는 부분이 무엇인지 논리적으로 명확하게 말하지 못하는 것.“
2분기에는 더 많은 리서치로 지식을 조금 더 탄탄하게 쌓고, 올해 3분기 쯤에는 활발하게 다른 트위터리안들과 키배 예정😎
“직감적으로 별로긴 한데, 구체적으로 문제되는 부분이 무엇인지 논리적으로 명확하게 말하지 못하는 것.“
2분기에는 더 많은 리서치로 지식을 조금 더 탄탄하게 쌓고, 올해 3분기 쯤에는 활발하게 다른 트위터리안들과 키배 예정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이제야 세그윗을 70% 정도 이해한 것 같습니다. 앞으로 나올 글은 다음과 같습니다. (순서상관 없어지면 관심가는대로 쓸 예정) 지금 주말에 짬짬히 계속 리서치하고 있는데 2분기에 다 쓸 수 있겠죠?
- 비트코인 세그윗 구현 specification
- 비트코인 taproot & tapscript
- 비트코인 Ordinals & Runes
- 비트코인 OP_CAT
- 비트코인 멀티시그와 L2
지금 시장에서는 비주류 아티클이긴 하지만 뉴비 리서처 유입을 위해 계속 써볼 예정.
https://ansubin.com/bitcoin-segwit-2/
- 비트코인 세그윗 구현 specification
- 비트코인 taproot & tapscript
- 비트코인 Ordinals & Runes
- 비트코인 OP_CAT
- 비트코인 멀티시그와 L2
지금 시장에서는 비주류 아티클이긴 하지만 뉴비 리서처 유입을 위해 계속 써볼 예정.
https://ansubin.com/bitcoin-segwit-2/
안수빈의 블로그
비트코인 세그윗: BIP-141
이전 글에 이어 세그윗 업그레이드 제안 BIP-141: Segregated Witness (Consensus layer)에서 기술되는 구체적인 장점에 대해서 다뤄보려고 합니다.
Motivation
세그윗을 제안하게 된 가장 큰 Motivation은 다음과 같이 기술되어 있습니다.
The entirety of the transaction's effects are determined by output consumption (spends) and new…
Motivation
세그윗을 제안하게 된 가장 큰 Motivation은 다음과 같이 기술되어 있습니다.
The entirety of the transaction's effects are determined by output consumption (spends) and new…
프렌텍 타이밍 놓치고 팔로우업도 못하다가 이제 가입해봤습니다. 근데 여기 파밍말고 보통 뭐하나요? 유의미하게 활용하는 KOL이 있나요?
이런거 안해도 무료로 열심히 컨텐츠 쓰고 있는데🤔
https://friend.tech/subinium
이런거 안해도 무료로 열심히 컨텐츠 쓰고 있는데🤔
https://friend.tech/subinium
그래도 키를 사주는 분들이 있기에 friend tech은 다음과 같이 종종 쓸려고 합니다.
- 러프하게 살펴보고 있는 프로젝트 대강대강 올릴 예정
- 팀 검증도 안되어 있고, 가능한지 불가능한지 몰라도 관심가면 올릴 예정
- 최대한 토큰 없는 애들 위주로 올릴 예정
- 즉, 투본선. 책임제로로 맘 편하게 메모장으로 쓸 예정.
https://friend.tech/subinium
- 러프하게 살펴보고 있는 프로젝트 대강대강 올릴 예정
- 팀 검증도 안되어 있고, 가능한지 불가능한지 몰라도 관심가면 올릴 예정
- 최대한 토큰 없는 애들 위주로 올릴 예정
- 즉, 투본선. 책임제로로 맘 편하게 메모장으로 쓸 예정.
https://friend.tech/subinium
SB Crypto
최근 생각과 생각의 변화들 - 뒤늦게 들어온 사람들은 비트코인 반감기에 대한 극적인 변화가 없기에 비트코인 인프라를 비롯한 많은 토큰은 가격이 빠질 수도 있지 않을까 예상. 하지만 비트코인에 돈이 많은 건 사실. 결국 또 서브 사이클은 온다. - 룬의 기술 자체는 오디널스급 엄청난 파장은 아닐거라 예상. 기술적인 차이가 있긴하나 (ERC-721, ERC-1155) 정도의 차이. 그럼에도 오디널스와 룬, brc20 등 장기적으로는 계속 커질 것 같음 -…
지금도 큰 틀에서는 비슷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내러티브 만들기 좋은 표현들이 반등장에서는 시장을 리드할 것 같네요.
ai depin fhe zk btc socialfi(ponzi) restaking yield universal/omni
참고로 섞으면 뭐가 많습니다.
- restaked btc for yield boosting
- universal zk coprocessor
- fhe x ai
- depin x ai
ai depin fhe zk btc socialfi(ponzi) restaking yield universal/omni
참고로 섞으면 뭐가 많습니다.
- restaked btc for yield boosting
- universal zk coprocessor
- fhe x ai
- depin x ai
SB Crypto
이제야 세그윗을 70% 정도 이해한 것 같습니다. 앞으로 나올 글은 다음과 같습니다. (순서상관 없어지면 관심가는대로 쓸 예정) 지금 주말에 짬짬히 계속 리서치하고 있는데 2분기에 다 쓸 수 있겠죠? - 비트코인 세그윗 구현 specification - 비트코인 taproot & tapscript - 비트코인 Ordinals & Runes - 비트코인 OP_CAT - 비트코인 멀티시그와 L2 지금 시장에서는 비주류 아티클이긴 하지만 뉴비 리서처 유입을…
[비트코인 세그윗 마지막]
이 짧은 글이 뭐라고 연휴에 시간을 이렇게 많이 쓴건지.. 근데 뭐 핵심만 가져가면...
- 세그윗으로 실제 블록 용량이 늘어난 것은 아니다. 실제 바이트 수는 같고, 여기서 내부를 측정하는 방식이 변하여 더 많은 트랜잭션을 담을 수 있게 된 것이다. 거래 데이터 1MB / 서명데이터 3MB 같은 설명은 잘못된 설명
- 계산해보면 약 70% 정도 더 많이 담을 수 있음. 어쨌든 다양한 이득이 있음
- 세그윗 하면서 서명 추가도 쉬워졌고, 이게 BIP-340에서 제안된 슈노르 서명으로 가고, 이 때 OP_CAT도 제안됨. 결국 OP_CAT의 큰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 밑바닥부터 따라가는 중.
- Pieter Wuille은 신이다. (HD 지갑, 서명 검증, 슈노르 서명, 세그윗, 탭루트 등 코어 기여자)
- 세그윗 2x라고 용량 늘리는 제안도 있었는데 이건 결국 합의를 못이루고 퇴물행
비트코인 공부하다보면 비트맥시들이 왜 이렇게 비트 좋아하는지 알 것 같기도 합니다. 초기 논의의 퀄리티를 보면 "지적유희에 대한 만족감"이 상당히 크네요. 저도 비트코인을 개발 레벨에서 일찍 접했다면 빠져들었을 것 같네요.
https://ansubin.com/bitcoin-segwit-3/
이 짧은 글이 뭐라고 연휴에 시간을 이렇게 많이 쓴건지.. 근데 뭐 핵심만 가져가면...
- 세그윗으로 실제 블록 용량이 늘어난 것은 아니다. 실제 바이트 수는 같고, 여기서 내부를 측정하는 방식이 변하여 더 많은 트랜잭션을 담을 수 있게 된 것이다. 거래 데이터 1MB / 서명데이터 3MB 같은 설명은 잘못된 설명
- 계산해보면 약 70% 정도 더 많이 담을 수 있음. 어쨌든 다양한 이득이 있음
- 세그윗 하면서 서명 추가도 쉬워졌고, 이게 BIP-340에서 제안된 슈노르 서명으로 가고, 이 때 OP_CAT도 제안됨. 결국 OP_CAT의 큰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 밑바닥부터 따라가는 중.
- Pieter Wuille은 신이다. (HD 지갑, 서명 검증, 슈노르 서명, 세그윗, 탭루트 등 코어 기여자)
- 세그윗 2x라고 용량 늘리는 제안도 있었는데 이건 결국 합의를 못이루고 퇴물행
비트코인 공부하다보면 비트맥시들이 왜 이렇게 비트 좋아하는지 알 것 같기도 합니다. 초기 논의의 퀄리티를 보면 "지적유희에 대한 만족감"이 상당히 크네요. 저도 비트코인을 개발 레벨에서 일찍 접했다면 빠져들었을 것 같네요.
https://ansubin.com/bitcoin-segwit-3/
안수빈의 블로그
비트코인 세그윗: BIP-141 상세
비트코인 BIP-141에서 이뤄진 논의를 통해 실제 구현 상황에서 변화는 다음과 같습니다.
Specification
Transaction ID
기존의 txid 는 [nVersion][txins][txouts][nLockTime] 형태의 트랜잭션 데이터를 SHA256 함수를 두 번 실행한 값으로 계산되었습니다. 이는 유지하면서 wtxid 라는 새로운 형태의 id를 사용합니다. 이는 [nVersion][marker][flag][txins][txo…
Specification
Transaction ID
기존의 txid 는 [nVersion][txins][txouts][nLockTime] 형태의 트랜잭션 데이터를 SHA256 함수를 두 번 실행한 값으로 계산되었습니다. 이는 유지하면서 wtxid 라는 새로운 형태의 id를 사용합니다. 이는 [nVersion][marker][flag][txins][tx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