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hil's view of data & information
9.67K subscribers
1.35K photos
17 files
538 links
Download Telegram
※ 중국 희토류 및 희토류영구자석 월간 수출량 (자료인용 : Sinolink Secruities)
LiPF6합작회사 with DFD H2_AN202403051625514032_1.pdf
228.4 KB
● 솔브레인홀딩스와 DFD의 LiPF6 JV설립

지난 2024년 3월 5일 중국, LiPF6 생산업체인 DFD(다불다)와 한국 솔브레인홀딩스는 50대50 지분으로 LiPF6생산을 위한 JV인 S6F NEW ENERGY를 설립하기로 하였습니다.

S6F NEW ENERGY의 총 투자금액은 1,300억원(7.01억 위안)이며, 최초 납입자본은 300억원입니다.
S6F의 LiPF6 생산시설은 1만톤 규모로 충청남도 공주에 위치할 예정이며, 생산된 LiPF6는 솔브레인홀딩스의 국내외 전해액 생산시설에서 사용됩니다.

계약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계약 당사자는 다른 당사자의 서면 동의를 얻은 경우에만 합작회사의 주식 전부 혹은 일부를 제 3자에 판매, 양도할 수 있으며, 본 계약을 위반 시 모든 양도는 무효로 간주 됨.

2) 이사회는 5명으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그 중 3명은 DFD측(HFR)이 2명은 솔브레인홀딩스가 임명함.

3) 협의와 관련된 분쟁은 싱가폴 국제중재센터에서 중재되며, 중재지는 싱가폴이어야 함. 중재 언어는 영어여야 함.

주요 계약 내용을 보면 아무래도 계약의 무게추가 DFD에 좀 더 쏠려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솔브레인홀딩스 LiPF6 생산 합작회사 설립의 의미와 한계

이번 솔브레인홀딩스와 DFD의 LiPF6 생산을 위한 합작회사 설립은 전해액의 가장 중요한 원재료인 LiPF6의 내재화 기틀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나, 지분구조가 5대5로 미국 IRA FEOC 조항에 부합하지 못한다는 한계도 지니고 있습니다.

솔브레인홀딩스는 DFD와의 협력을 통해 LiPF6 생산을 위한 기술과 운영노하우를 습득하고 이후 자체 혹은 지분율 조정(DFD 지분 25% 이하)을 통한 새로운 생산시설을 통해 북미향 전해액용 LiPF6를 생산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즉, 이번 1만톤 공장에서 생산된 LiPF6는 한국(솔브레인)이나 유럽(솔브레인홀딩스)의 전해액 공장에서 사용하고, 이를 통해 생산 및 운영노하우를 익힌 이후 북미에서 판매되는 전해액용 LiPF6는 자체공장(혹은 지분율 조정된 신규공장)을 새로 만드는 방안을 모색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 탈중국 LiPF 공급망 확보의 중요성

전해액 업체들에게 LiPF6의 내재화는 향후 북미시장 진출의 핵심 고려사항이 될 수밖에 없는데, 내재화 등을 통한 탈중국 LiPF6 확보가 되어 있지 않은 업체는 아무리 북미에 전해액 공장이 있다 해도 메인 배터리/OEM업체들의 선택을 받기가 어렵습니다.

특히 2025년부터 북미 시장에서는 탈 중국 LiPF6 쇼티지가 예상되기 때문에 이에 대해 준비가 되어 있는 업체와 그렇지 못한 업체들 간의 차이는 더욱 더 확대될 수밖에 없습니다. (이미 확대되어 있습니다.)

엔켐이 가장 빠르게 북미시장에서 사업을 확대하는 이유도 탈중국 LiPF6 내재화가 근간이 되며, 솔브레인홀딩스도 탈중국 LiPF6확보를 위한 준비를 해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개인적인 견해이지만, 북미 시장은 결국 LiPF6 내재화가 되어 있는 업체에 의해 주도될 것이고, 장기적으로는 엔켐과 솔브레인홀딩스 두 업체만이 북미에서 제대로 된 사업을 영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

다불다(DFD)는 2024년 3월 5일, 자회사인 “HFR NEW ENERGY PTE. LTD”와 한국 솔브레인홀딩스와의 합작회사인 “S6F NEW ENERGY CO., Ltd.”를 설립하기로 하기로 심의, 의결하였음.

多氟多新材料股份有限公司(以下简称“多氟多”或“公司”)于 2024 年 3月 5 日召开第七届董事会第十五次会议,审议通过了《关于子公司对外投资设立中外合资公司的议案》,同意公司子公司 HFR NEW ENERGY PTE.LTD(以下简称“HNE”)与 Soulbrain Holdings Co., Ltd.(以下简称“SBH”)签订《合资协议》,共同投资设立合资公司에스식스에프뉴에너지 주식회사(英文名称为 S6F NEW ENERGY Co., Ltd.,暂定名,最终名称以监管部门核定为准,以下简称“合资公司”)。
本次投资事项属于公司董事会审批权限,无需提交股东大会审议。
※ 전기차의 방향성을 제시한 현대 GV90 네오룬 (eM 플랫폼)

● GV90 네오룬 스펙


배터리 : 용량 113Kwh / 하이니켈 구반반 롱셀 적용 예상
충전속도 : 10 – 80% 구간 15분이내
주행거리 : 환경부기준 600km (WLTP기준 약 800km, 중국 CLTC기준 약 900km)
주요 특징 : B필러제거, 스윙도어, CNT면 발열체 활용, 1열시트 회전, 슬라이딩시트, 가변 스티어링 휠, AI기반 실시간 차량/배터리 안전진단, 5가지 모듈식 모터시스템 등


● 전기차와 공간혁명

개인적으로 2차전지를 투자하고 집중적으로 공부하는 이유는 전기차에 대한 확신이 있기 때문입니다.

스마트폰이 전화기를 넘어 디바이스의 통합(+컴퓨터+TV+오디오+카메라+게임기 등)을 통해 인류의 삶을 바꾸는 혁신을 이루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전기차도 운송수단을 넘어 생활공간(휴식+엔터테이먼트+업무 등)의 통합으로 이어져 스마트폰 이상으로 인류 삶의 패턴을 바꿀 수 있는 잠재력을 지녔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전기차의 게임체인저로 자율주행을 많이들 생각하고 있지만, 공간혁명이야 말로 전기차의 진정한 가치가 될 것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이동시간 외(자동차가 움직이지 않는 시간)의 시간을 전기차 안에서 사용함으로써 전기차의 가치는 극대화 될 것입니다.

하이브리드(HEV/PHEV)나 수소차 등이 미래차로서 전기차의 대안이 될 수 없다고 생각하는 이유도 운송에 특화된 내연기관의 엔진과 트랜스미션 베이스의 자동차는 공간의 확장으로 이어지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1) 내부 공간활용이 극대화되어야 함. (B필러리스, 시트의 자유로운 이동, 더 넓은 공간 활용 등)

2) 운행하지 않는 시간에도 자동차의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함.
내연차는 내부기기를 활용하기 위해서 공회전을 해야 하고, 이는 배기가스 배출과 같은 환경적 문제 뿐 아니라 엔진의 진동 등으로 인한 불편함 등이 발생합니다.

3) 자유로운 전자기기의 이용과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충분한 전력 (V2L, 대용량 배터리 등)


전기차 만의 높은 공간활용성, 안락함과 정숙성, 전기사용의 편리함이 공간혁명을 가능하게 해줄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의 전기차는 환경문제 대처, 연료비 및 운영유지비용 감소, 좀 더 높은 퍼포먼스(제로백, 높은 출력 등)의 장점을 지니고 있었지만 혁명이라고 부르기는 아직까지 애매한 감이 있었습니다. 가스레인지가 전기인덕션으로 변화한 정도


● 전기차의 방향성을 제시한 현대 GV90 네오룬 (eM 플랫폼)

현대차와 기아가 차세대 플랫폼인 eM과 eS를 적용한 네오룬과 PBV라인업(PV5, PV7, PV1)은 향후 전기차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해줬다고 보고 있는데, 특히 이번에 발표된 GV90 네오룬은 전기차가 공간혁명으로 연결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해주고 있다고 보여집니다.

네오룬은 B필러를 제거하고, 1열시트 회전, 유연한 의자 레이아웃(슬라이딩시트), 가변가능한 스티어링 휠 등을 통해 실내공간 활용 및 개방감을 높였고, 온돌개념을 채용한 CNT발열체의 복사열을 사용하여 전기차의 바닥부터 시트까지 온도를 조절하고 습도 및 조도까지 조절할 수 있게 해주었습니다.

네오룬은 전기차가 운송수단을 넘어 거주공간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담긴 차이며, 이는 앞으로 자동차 이용의 패턴이 바뀌는 혁신적인 시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네오룬이 처음에는 옴니아와 같은 모습을 보여줄 수 도 있지만, 삼성이 옴니아를 발판으로 갤럭시를 통해 애플과 함께 스마트폰 혁명을 이끌었던 것 처럼 네오룬도 전기차 혁명을 위한 발판이 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현대의 E-GMP, 폭스바겐의 MEB, GM의 얼티엄 플랫폼 등과 같은 현재까지의 과도기적인 1세대 전기차 플랫폼은 앞으로 현대/기아차의 eM/eS와 같은 2세대 전기차 플랫폼으로 진화하면서 전기차의 성능 및 활용도가 급변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흐름을 이끌어가는 업체와 그렇지 못한 업체들의 미래는 과거 스마트폰 시장이 태동하였을 때 애플/삼성과 노키아/LG전자/모토로라의 길과 비슷할 것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uE0-hJW4OgE&t=64s

https://www.genesis.com/kr/ko/genesis/concept-car/genesis-neolun-concept.html

https://blog.naver.com/nihil76/223269019022
※ 2023년 글로벌 및 중국 전해액 시장 점유율

● 2023년 글로벌 전해액 시장 점유율


1) Tinci : 31.2%
2) BYD : 12.9%
3) Capchem : 10.8%
4) 엔켐 (+Kunlun) : 7.9%
5) Guotai : 7.4%
6) Mitsubishi : 4.4%
▷ BYD는 자체 물량


● 2023년 중국 전해액 시장 점유율

1) Tinci : 36.4%
2) BYD : 15.1%
3) Capchem : 12.6%
4) Guotai : 8.7%
5) Kunlun (엔켐 중국자회사) : 5.1%
6) Saiwei : 4.1%
▷ BYD는 자체 물량

자료인용 : Donghai Securities 발간 “Tinci 보고서” (2024. 04. 02)
※ 주요 LiPF6생산방법 비교 (유기용매법 & 불화수소용매법)

● 유기용매법


1) 생산방법 : 리튬(Li) 및 PF5(5불화인산)를 유기용매에 용해시켜 연속반응을 일이켜 LiPF6를 생산

2) 장점 : 작업환경이 좋아 수율이 높으며 대규모 양산시 생산비용이 낮음. HF(불화수소)용매 방법에 비해 부식성 물질 사용이 적어 장비운용 효율이 높음.

3) 단점 : PF5는 용매와의 부반응이 일어나기 쉽고, 제품의 불순물 제거가 어려워 액상 LiPF6리튬 제조에 적합

4) 주요 기업 : Tinci, 후성, 센트럴글라스


● 불화수소(HF)용매법

1) 생산방법 : LiF(불화리튬)을 무수불화수소에 녹여 균질화된 LiF용액을 제조한 이후, PF5(5불화인산) 가스를 LiF용액에 주입하여 LiPF6를 생산

2) 장점 : 공정이 간단하고 결정화 후 불순물 함량이 적으며 순도가 높음

3) 단점 : HF의 강한 부식성으로 인해 장비 및 파이프라인에 대한 요구사항이 까다롭고, 에너지비용이 높아 생산비용이 높음.

4) 주요 기업 : DFD

자료인용 : Donghai Securities 발간 “Tinci 보고서” (2024. 04. 02)
※ 글로벌 LiFSI 시장동향

● LiFSI


LiFSI의 가격은 2022년 7월 41.5만위안/톤까지 상승하였다가 2024년 4월 1일 현재 시장가격은 12.25만위안/톤임.
LiFSI는 LFP배터리에서 좀 더 빠르게 사용량이 늘어나고 있으며, 급속충전과 4680배터리가 양산되면 좀 더 빠르게 사용량이 증가할 것임.

2023년기준 글로벌 LiFSI 생산량은 1.27만톤이었으며, Tinci가 전체 글로벌 시장의 55%를 차지하고 있음.


● 2023년 글로벌 LiFSI 점유율

1) Tinci : 55%
2) CATL-SICONG (CATL 자회사) : 16%
3) RoleChem : 12%
4) Chemspec : 6%
5) Capchem : 6%
6) Nippon Shokubai : 2%
7) Yongtai : 2%
8) DFD : 1%

자료인용 : Donghai Securities 발간 “Tinci 보고서” (2024. 04. 02)
※ 4월 중국 배터리 산업 전망

국내에서 얘기되는 여러 노이즈에도 불구하고 중국 전기차/배터리 산업은 4월에도 높은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됩니다. (MoM 10% 이상 성장)


이에 따라 리튬가격과 2차전지 소재가격도 점차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는데, 아직까지 중국 시장이 글로벌 2차전지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아 중국 2차전지 밸류체인의 호조는 국내업체들에게도 호재(판가 상승, 계약 본격화 등)로 작용합니다.

또한 중국 전기차/배터리 산업의 호조로 2차전지 소재가격이 반등하게 되면, 지금까지 미뤄왔던 배터리/소재 계약들이 본격화될 수 있습니다.
2023년 처럼 소재가격이 급격히 하락하는 시기에는 고객사들이 가격이 충분히 하락할 때 까지 장기계약을 미루려고 하는 경향이 강해지지만, 소재가격이 반등할 조짐이 보이면 고객사 입장에서는 하루라도 빨리 계약을 해야 하기 때문에 그동안 미뤄왔던 계약을 진행
합니다.

예를 들면, 이번 작년에 나왔어야 했던 엘앤에프의 양극재 계약(SK온, Our Next Energy 등)이 지금 시점에서 체결되었습니다.
앞으로 중국 경기호조로 원자재(리튬, 니켈, 구리 등) 및 2차전지 소재 가격이 반등한다면 장기간 미뤄졌던 배터리/소재 장기계약들이 본격화 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
전기차 업체들의 3월 판매량은 전월대비 증가하였고, 4월에도 생산량이 증가하여 전기차/배터리 섹터의 호조세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

4월 리튬배터리 산업체인의 생산량은 전월대비 10%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탄산리튬가격은 중장기 공급과잉 우려가 있으나 수요 호조 및 낮은 가격으로 리튬가격은 하락하지는 않을 전망.

현재 리튬배터리 산업체인은 재고가 낮은 상태로, 실적기대감 및 산업 경기가 호조를 보이고 있음.

企销量同环比增长,4 月排产提升,板块景气度有望持续。3 月各车企销量同环比增长,4 月锂电产业链排产显著提升,环比+10%以上,板块景气度有望持续。本周碳酸锂震荡,中长期供给过剩,短期需求好转及挺价情绪或支撑锂价。
目前锂电产业链持仓低位,业绩预期收敛及行业景气潜在上行或可带动估值修复,建议优先关注高壁垒的电池和高镍环节。

자료인용 : Huaan Securities 발간 “리븀배터리 산업체인 전망” (2024. 04. 07)
※ 2024년 3월 중국 전기차 판매량

승련회(CPCA)에 따르면 2024년 3월 중국 전기차 도매 판매량은 82만대로 전년동기대비 33%, 전월대비 84% 증가하였음.

완성차 업체들의 제품가격 및 판촉을 통해 전기차 시장이 안정화되며 판매량 증가를 이끌었음.
특히 춘절 영향과 BYD의 가격인하기대 심리로 2월 전기차시장이 주춤했으나 3월부터 시장이 점차적으로 회복되고 있음.

BYD의 3월 전기차 판매량은 30만대로 전년동기대비 46%, 전월대비 150% 증가하였음.

https://baijiahao.baidu.com/s?id=1795779050852076475
※ 중국 탄산리튬 수요 및 공급

중국 탄산리튬 시장은 계절적 영향으로 4분기와 1분기에 공급이 수요보다 많으며, 전기차 시장의 성수기를 준비하는 2분기부터 탄산리튬의 수요가 공급보다 많아지는 경향성을 보여줍니다.

2022년은 중국 전기차/2차전지 시장 과열시기로 계절적 영향에도 불구하고 연말연초 수요가 공급을 상회하면서 당시 리튬가격 폭등을 이끌었습니다.

2023년 12월 중국은 탄산리튬 공급 과잉으로 탄산리튬가격이 톤당 9만위안 이하까지도 하락하였으나 이후 수요와 공급의 괴리가 줄어들면서 점차적으로 안정화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3월까지 공급이 수요보다 많은 상황으로 아직까지는 탄산리튬 가격이 빠르게 올라가지는 못하고 있지만, 향후 중국 배터리의 계절적 성수기인 3분기가 다가올수록 공급보다 수요가 많아지면서 탄산리튬가격 상승 폭도 좀 더 빨라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자료인용 : Minmetals Securities 발간 “월간 신재생에너지 산업 보고서” (2024. 04. 08)
※ 중국 리튬염(탄산리튬/수산화리튬) 생산량

2024년 3월 중국의 탄산리튬(배터리급, 산업용) 및 수산화리튬의 생산량은 전기차시장 호조에 따라 빠르게 회복 중에 있습니다.

자료인용 : Minmetals Securities 발간 “월간 신재생에너지 산업 보고서” (2024. 04. 08)
※ 지역별/분류별 리튬 생산원가

▷ 남미 및 칭하이 염호 : 약 20,000 – 30,000 위안/톤 (USD 2,800 – 4,200)
▷ 호주 리튬정광(SC6) : 약 40,000 – 60,000 위안/톤 (USD 5,600 – 8,500)
▷ 아프리카 및 중국 운모(레피도라이트) : 약 70,000 – 100,000 위안 (USD 10,000 – 14,000)

리튬의 생산원가는 지역에 따라 종류(염호, 스포듀민, 레피도라이트 등)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적으로 톤당 80,000만위안을 생산원가의 마지노선으로 보고 있습니다.

전통적으로 리튬은 남미 염호 및 호주 광산에서 많이 채굴되어져 왔으나, 2021년 이후 리튬가격이 폭등하면서 아프리카와 중국 내륙(장시성, 칭하이성 중심) 리튬광산의 개발이 본격화되었는데 대부분의 아프리카와 중국 리튬광산(주로 레피도라이트)의 생산원가가 톤당 80,000위안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즉, 리튬 가격이 80,000만위안/톤 아래로 하락하게 되면 이들 2021년 이후 개발된 광산들의 경제성이 훼손되며 빠르게 폐광되기 때문에 리튬가격은 매우 특별한 이슈가 아니라면 현실적으로 8만위안/톤 아래로 하락하기는 어렵습니다.

또한 앞으로 개발되는 리튬광산들의 생산원가는 계속 높아지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리튬생산원가는 계속해서 올라갈 가능성이 높습니다. 리튬 또한 광산업이기 때문에 초기에 가장 고품질의 채굴난이도가 낮은 자원이 우선 개발되며, 이후 계속해서 채굴난이도와 품질이 저하되면서 채굴비용이 상승하게 됩니다.

자료인용 : Minmetals Securities 발간 “위험속의 기회 – 리튬가격을 너무 비관하는 것 아닌가” (2024. 04. 08)
※ 연도별 칠레 구리광산 평균품위 추이

과거 20년간 칠레 구리광산의 평균 품위는 1999년 1.41%에서 2016년 0.65%로 0.76% 하락하였음.

자료인용 : Minmetals Securities 발간 “위험속의 기회 – 리튬가격을 너무 비관하는 것 아닌가” (2024. 04. 08)
※ 리튬가격과 기업/광산의 의사결정 (Capex, Opex)

예) 리튬가격과 기업(브라질 Sigma)의 의사결정
1) 탄산리튬가격 1만위안/톤 이하 : 자본지출을 최대한 억제하며 마켓이 살아나기를 기다림.
2) 탄산리튬가격 1-2만위안/톤 : Capex 지출을 연기하며, Opex를 감소
3) 탄산리튬가격 2 - 3만위안/톤 : 공급물량 확대 시작, but 숙련공 부족, 시설/장비 부족
4) 탄산리튬가격 3만위안/톤 이상 : 최대한 생산

▷ 현재구간은 2) “탄산리튬가격 1-2만위안/톤 : Capex 지출을 연기하며, Opex를 감소 구간”임.

향후 2년간 리튬광산의 투자속도가 크게 둔화될 것으로 예상.

기업의 의사결정과 광산 투자 및 중단 결정은 중장기적 관점에서 결정되기 때문에 단기적 탄산리튬가격의 등락과는 다른 프로세스를 지니고 있음.
기업/광산의 의사결정은 후행적임.

리튬가격은 2023년부터 크게 하락하였으나 기업/광산이 실질적으로 자본지출을 줄이는 시기는 2024년 1분기와 2분기가 될 것임.

자료인용 : Minmetals Securities 발간 “위험속의 기회 – 리튬가격을 너무 비관하는 것 아닌가” (2024. 04. 08)
고마츠 굴착기 가동시간지표(KOMTRAX)는 글로벌 주요 국가 및 지역의 경기상황을 직접적으로 알 수 있게 해주는 지표입니다.

중국의 3월 고마츠 굴착기 가동시간은 93시간으로 전월대비 228.6% 급증하였는데, 이는 1월과 2월 춘절에 따른 기저효과가 반영된 수치이나 3월 이후 중국의 경기 빠르게 호전되고 있음을 나타내주고 있습니다.

중국 전기차 판매도 연초 시장의 예상보다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데, 3월 중국의 전기차 판매량(도매기준) 82만대로 전년동기대비 33%, 전월대비 84% 증가하였습니다.
또한 4월에도 중국 전기차 시장은 전월대비 약 10% 정도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는데, 실제로 4월 1일부터 6일까지의 판매량이 전월동기대비 5% 증가하였습니다.

전반적으로 중국의 경기회복이 가시화되어가고 있는 것으로 보여지며, 최근 유가 및 원자재가격 상승의 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
※ 2024년 3월 중국 고마츠 굴착기 가동시간

일본 건설기계장비 업체인 고마츠의 굴착기 가동시간 데이터에 따르면, 2024년 3월 중국 고마츠 굴착기 대당 평균 가동시간이 93시간으로 전월대비 228.6% 증가
하였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10.8% 감소하였음.

https://baijiahao.baidu.com/s?id=1796003393801436328

※ 중국 4월 1일부터 6일까지 전기차 판매량

CPCA에 따르면, 2024년 4월 1일부터 6일까지의 전기차 판매량이 전월동기간 대비 5% 증가하였음.
현재까지 중국의 2024년 전기차 판매량(승용차기준)은 1,869,000대로 전년동기대비 35% 높은 수치임.

https://cnevpost.com/2024/04/11/china-nev-retail-97000-in-apr-1-6-2024/
※ 주간 중국 리튬시장 동향 (2024. 04. 08 – 2024. 04. 12)

● 리튬광석


시장에서의 실거래가 적은 편이며, 유통업자들이 물량을 내놓지 않고 있음.
제련업체들도 리튬광석을 낮은 가격에 구매하기를 원하고 있는 가운데, 리튬광석의 가격이 전반적으로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음.

지난 주 중국 리튬광석 현물가격(품위 4%)은 1,300위안/톤이었으며, 호주산 리튬정광(SC6)의 가격은 톤당 15달러 오른 1,135달러/톤이었음.

중국내 광산에 대한 환경보호 강화조치로 인한 영향이 점차 감소하면서 장시지역 리튬염 공장의 가동률도 상승하고 있으며 리튬운모(레피도라이트)의 출하도 점차적으로 확대되고 있음.
리튬휘석(스포듀민)은 아직까지 유통업자들이 대량출하를 원하지 않고, 탄산리튬 가공위탁업체에게 위탁가공을 맡기면서 마진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있음.


● 리튬염 (탄산리튬/수산화리튬)

시장에서 현물 유통이 타이트해지면서 리튬가격도 변동성을 보여주었음.

리튬염 생산업체들의 가격인상으로 인해 다운스트림 업체들은 생산업체 외에 유통업자들과의 접촉을 늘리고 있으며 리튬염 현물의 유통이 타이트한 상황임.
단기적으로 리튬염 가격은 소폭 변동할 것
으로 보임.

지난 주 탄산리튬 가격은 배터리급은 0.9% 상승한 11.15만위안/톤이었으며, 산업용은 0.46%상승한 10.85만위안이었음.
수산화리튬 가격은 -2.43% 하락하여 10.05만위안/톤이었음.

탄산리튬의 수요가 회복세에 있으며, 2024년 4월 중국 삼원계 양극재의 생산량은 5.54만톤으로 3월대비 2.61%증가하고, 리튬인산철의 4월 생산량도 19.95만톤으로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 리튬광석 재고

4월 12일 기준, 중국 항구와 내륙 창고의 리튬광석 재고는 11.2만톤으로 전주대비 2,000톤 증가하였음.
리튬광석을 보유한 유통업체들은 시장판매가격의 마진이 좋지 못해 리튬광석 매입을 서두르지 않고 있음.

아프리카 현지에서 고품질 리튬광석 공급이 부족하여 당분간 중국으로 들어오는 대규모의 물량은 없을 것임.
현재 현물 재고 중 품위 4%이상이 46%를 차지하고 있음.

https://baijiahao.baidu.com/s?id=1796115672280639820
※ 중국 4월 전기차 판매량 예상치 상회 전망

중국의 2024년 4월 전기차 판매량과 생산량은 3월대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전기차 시장의 호황이 지속될 전망.

중국의 전기차 시장 회복세가 현저하며, 4월 전기차 판매량이 시장의 예상을 뛰어넘을 가능성이 있음.

중국 자동차협회에 따르면, 지난 3월 중국 전기차의 생산과 판매량은 각각 86.3만대와 88.3만대로 전년동기대비 28%, 35% 증가하였고, 전월대비로는 86%와 85% 증가하였음.
1월부터 3월까지의 누적 전기차 생산량과 판매량은 각각 211.5만대와 209만대로 전년동기대비 28.2%, 31.8% 증가하였음.

지난 주 탄산리튬가격은 소폭 인상되었으며, 중장기적으로는 공급과잉의 우려가 있으나 단기적으로는 수요 호조로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됨.
현재 리튬배터리 산업체인은 재고가 낮은 상황이며 업체들의 실적기대감도 상승하고 있음.

자료인용 : Huaan Securities 발간 “전력설비 주간보고서” (2024. 04. 14)
※ 2023년 글로벌 ESS 설치량

CNESA에 따르면, 2023년 글로벌 ESS 설치량은 45.6GW로 전년대비 124% 증가하였으며, 중국의 비중이 47%(21.5GW)를 차지하였으며, 유럽이 22%(10.1GW), 미국이 19%(8.7GW)였음.

CNESA의 예측에 따르면, 2024년 중국의 ESS설치량은 30.1GW(보수적) 또는 41.2GW(긍정적)으로 전년대비 40%/92%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였음.

자료인용 : Huaan Securities 발간 “전력설비 주간보고서” (2024. 04.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