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PB의 금융시장 생존기
1.52K subscribers
11.2K photos
89 videos
185 files
15.6K links
해외 / 국내 경제, 증시 및 다양한 이슈를 전달합니다!

협업 문의 : yeominyoon1981@gmail.com

Disclaimer

- 본 채널/유튜브에서 업로드 되는 모든 종목은 작성자 및 작성자와 연관된 사람들이 보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해당 종목 및 상품은 언제든 매도할 수 있습니다.

- 본 게시물에 올라온 종목 및 상품에 대한 투자 의사 결정 시, 전적으로 투자자의 책임과 판단하에 진행됨을 알립니다.
Download Telegram
Forwarded from 허혜민의 제약/바이오 소식통 (혜민 허)
[키움 허혜민] 릴리, AI 기업 Superluminal과 최대 $1.3bn에 기술 계약 체결

심장대사질환 및 비만 표적 저분자 치료제 개발 예정. 2026년 임상 진입 예정.

지난 6월 노보가 심혈관 대사 질환(비만 포함)의 경구 치료제 개발을 위해 Deep Apple Therapeutics와 최대 $812mn 규모로 계약을 체결한 이후 나온 것. Deep Apple의 AI 기반 플랫폼을 활용하여 비인크레틴 GPCR 표적하는 화합물의 독점적 개발 권리를 확보한 바 있음.

https://firstwordpharma.com/story/5989236

릴리는 노보만 잘 따라해도… 가진 파워가 막강하니 잘 되는 듯.. ^^

노보가 어센디스와 지속형 계약 체결(’24.11)한 뒤에 릴리가 카무르스와 계약 체결(’25.6) 한 바 있음.

이젠 노보의 행보를 보면 릴리의 향후 파트너십 방향도 미리 알 수 있지 않을까요..? ㅎㅎ
Forwarded from 허혜민의 제약/바이오 소식통 (혜민 허)
[키움 허혜민] 릴리 비만치료제, 영국에서 가격 170% 인상

Eli Lilly, 영국에서 Mounjaro(티르제파타이드) 가격 170% 인상 발표.
최고용량 기준 월 £122 → £330로 인상(약 $165 → $477 vs 미국 $1,000)

트럼프 행정부, 제약사에 대해 미국의 약가를 낮추고, 대신 해외 가격을 올리라는 압박를 강화했음. 릴리가 이 요구에 맞춰 움직인 첫 제약사.

릴리, ‘다른 선진국에서 정부/보험사가 지불하는 가격이 올라야 미국에서 더 낮출 수 있다’고 언급.

List price는 인상되나, 할인 등으로 실제 지불가는 기존 협상 가격 유지되어 NHS가 지불하는 금액은 그대로라서 릴리 매출에 변화 없을 것이라는 전문가 의견도 있음.

릴리의 Mounjaro, 상반기 매출 대부분은 미국 중심

트럼프 행정부는 9/29일까지 약가 인하 방안 제출 요구했는데, 이에 불응하면 제약 산업에 대한 관세 부과를 위협.

트럼프는 EU산 의약품에 15% 관세 예고한 상태. 향후 150%~250%까지 단계적 인상 가능성 시사

https://firstwordpharma.com/story/5989554
https://www.statnews.com/2025/08/14/eli-lilly-drug-prices-europe-uk/

이번 릴리의 움직임을 미국 외 지역에서 약가를 인상했기 때문에 MFN 수혜라고 보는 시각도 있지만, 실직적 약가 인하 전략이라기보다 정치적 제스처 성격이라는 의견도 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와의 우호적 관계 형성 및 향후 정책 협상에 대비한 전략적 메시지로도 해석 가능하기 때문에 향후 움직임에 예의주시 할 필요가 있습니다.
Forwarded from 주식 급등일보🚀급등테마·대장주 탐색기 (텔레그램)
'휴전 요구' 포기한 트럼프에 오히려 힘 실어주는 유럽… 왜?
미러 정상 간 알래스카 회담이 휴전 합의 없이 ‘노딜’로 끝났지만 유럽 정상들은 어렵게 성사된 협상의 불씨를 살리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휴전 없이 종전협정으로 직행하겠다”며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입장을 수용하는 쪽으로 급선회했는데도, 오히려 공동성명을 통해 “지속 가능한 평화를 달성하려는 트럼프 대통령의 노력을 환영한다”고 치켜세운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에게 힘을 실어주는 건 이번이 햇수로 4년째 지속되는 전쟁을 끝낼 마지막 기회라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https://n.news.naver.com/article/469/0000881982?cds=news_edit
美 철강·알루미늄 50% 관세에 407종 추가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521860?sid=101

미 상무부에 따르면 이번에 새로 품목관세 적용 대상으로 분류된 제품군은 △철강·알루미늄 구조재 △화학 소재에 포함된 제품 △생활·소비재 △산업·기계 부품 △운송 수단·부품 등이다. 산업·기계 부품에는 터빈·내연기관·공조기계·변압기·건설기계 등 주력 수출 제품이 다수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뿐만 아니라 비누·세제·식칼·포크 등 단순 생활용품도 광범위하게 관세 부과 대상으로 설정됐다.

파생 상품에 대한 품목관세는 해당 제품에 철강·알루미늄이 포함된 비중만큼만 적용된다. 예를 들어 1000만 원짜리 엔진 부품에 포함된 철강·알루미늄 비율이 40%라면 400만 원에는 품목관세 50%가 적용되고 나머지 600만 원에는 상호관세 15%가 매겨지는 식이다.
파월의 잭슨홀 연설을 기다리며…유통업체 실적 발표[이번주 美 증시는] - 머니투데이

금리 인하 기대가 미국 증시 랠리를 이끌어가고 있는 가운데 이번주 투자자들의 관심은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의 잭슨홀 연설에 집중될 전망이다.

연준 의장은 매년 8월 말 와이오밍주 잭슨홀에서 열리는 경제정책 심포지엄에 참석해 경제 전망에 대해 연설한다. 올해 파월 의장의 잭슨홀 연설은 오는 22일 오전 10시에 예정돼 있다.

https://m.mt.co.kr/renew/view.html?no=2025081717540362550&ca=economy
[한투증권 최보원]

■한투 라.디.오(Last Week, This Week, Today)■

Key words: 잭슨홀, 리테일, 주택

안녕하세요, 한국투자증권 선진국 전략 담당 최보원입니다.

★ 금주 preview

- 금주는 미국 주요 주택 지표 및 대형 리테일 업체들의 실적 확인이 우선적으로 필요

- 21일의 잭슨홀미팅 경계도 지속되겠으나, 파월 의장의 발언 뿐만 아니라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연준 관련 발언 이어지고 있는 만큼 관세, 국채금리 영향 크게 반영되는 기업 실적 및 지표에 초점 맞춰야 할 시기

- 혼재된 매크로 지표 발표에도 9월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 높고, 위험자산 선호심리 지속

- 금주는 관세 부담 큰 업체, 차주는 대형 IT 기업들의 실적 발표 진행 예정. 8월 말까지는 대표 성장주 중심의 상승세 지속되기 보다 업종별 로테이션 가능성 높게 평가

- 8월 말~9월 초 일시적 유동성 위축 국면에서도 무조건적으로 방어적인 기업들로 대응하기 보다 중장기 실적개선 여력 높은 업체 중심의 재진입 고려해야 한다는 입장 유지

-----------------
★ 금주 투자 아이디어(ETF, 요약)

1) 미국 다우, DIA - 저평가된 기업 비중 높고, 관세 부담 제한적인 업체들로 구성. 버크셔 해서웨이의 13F 보고서 공개 후 주목될 업체들도 포함된 만큼 유지

2) 미국 헬스케어, XLV - 규제 리크스 속에서도 대형 헬스케어 업체들의 밸류에이션 부담 낮아진 점 부각되며 반발 매수세 유입 기대

3) 미국 홈빌더, ITB - CPI, PPI 발표 이후에도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 지속. 모기지 신청건수 늘고 있는 점 긍정적

-----------------
★ 주간 증시 review(요약)

- S&P500, 나스닥 지수는 전주대비 0.9%, 0.8% 상승. CPI, PPI 발표 이후 고물가 장기화 우려 지속됐으나, 파월 연준 의장의 조기 사임 기대감 반영되며 위험자산 선호심리 지속

★ 주말 이슈(요약)

* 이슈 #1. 미국 PPI
* 이슈 #2. 13F 보고서 공개
* 이슈 #3. 소매판매
* 이슈 #4. 제조업 지표
* 이슈 #5. 미시간대 지표
* 이슈 #6. 미ㅡ러 정상회담
* 이슈 #7. 영국/유로존 GDP, 산업생산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다올 시황 김지현]
★ 8/18 Weekly 증시 코멘트
 
-----

이번주 관전 포인트


1. 미-러 정상회담
15일 러시아와의 정상회담 이후 종전 기대감 확산되었으나 트럼프는 즉각 휴전보다는 평화 협정을 지지한다고 발언. 다만 16일 유럽 지도자들과의 전화 회의에서는 우크라이나의 돈바스 지역 포기를 전제로 안보 보증 방안을 언급, 미국이 우크라이나에 안보 보증을 해준다면 젤렌스키 대통령이 푸틴과 타협할 여지가 생긴다는 평가. 우크라이나가 나토에 가입하지 않더라도 러시아가 다시 침공하면 서방국가들이 공동 대응한다는 의미.

18일 젤렌스키 대통령의 백악관 방문 예정, 영토 포기의 대가로 안보 보증을 받아들인다면 22일까지 미-러-우 3자 회담 예정. 철강, 건설기계, 건자재 등 재건주, 방산주 변동성 확대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

* 우크라이나 안보 보증(Security Guarantees): 러-우 평화 협상의 지속성을 보장하기 위해 서방의 군대를 우크라이나에 주둔하는 방안. 우크라이나는 평화협정 체결 시 러시아의 침략 재발을 막기 위해 미국의 우크라이나 안보 보증이 필수적이라는 입장을 견지해왔으나 트럼프 행정부는 부정적인 입장.


2. 20일 오전 3시 FOMC 회의록, 21~23일 잭슨홀 컨퍼런스
7월 PPI MOM 0.9%(예상 0.2%, 전월0.0%)으로 예상치 큰폭 상회. 서비스 물가 상승, 상승분의 절반 이상은 유통 서비스 마진에 따른 것으로 관세 영향이 소비자에게 아직 전가되고 있지 못하고 있음이 확인.

9월 50bp 인하 가능성은 소멸, 25bp 인하 가능성 역시 선반영해온 만큼 금주 되돌림 불가피. 잭슨홀 미팅 주 의제는 ‘노동시장 구조 전환’으로, 통계 작성 여건 변화 등에 신뢰도가 하락한 경제지표 산정방식 재점검, 이에 기반한 파월 의장의 고용기반 물가목표제 재설정 가능성.


3. 24~25일 방중, 25일 한-미 정상회담 예정
한중수교 33년 기념일 전후 중국 특사단의 방중 예정. 23일부터 일본과 미국을 차례로 방문해 한일, 한미 정상회담을 갖는 가운데 대중 외교 역시 중요시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

특사단은 왕이 중국 외교부장 등을 만나 10월 말 열리는 경주 APEC 정상 회의를 계기로 시 주석의 방한 초청 관련 입장 전달 예정. 양국 간 실리주의 외교 기대감 및 우호적 분위기 형성 시 중국노출도 큰 반도체 소부장, 호텔 카지노, 엔터, 게임 등 소비재 강세 예상.
Forwarded from 주식 급등일보🚀급등테마·대장주 탐색기 (텔레그램)
백악관 가는 우크라·유럽 정상들, 트럼프 안보보장 못박기(종합)
젤렌스키, 의지의 연합 정상들과 화상회의…"안보보장, 역사적 결정"
트럼프 "큰 진전 있다"…푸틴의 돈바스 양보 요구 논의도 주목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8432131
Forwarded from 주식 급등일보🚀급등테마·대장주 탐색기 (텔레그램)
위트코프 특사 "러시아, 우크라 안보 보장에 합의… 일부 영토 양보"
스티브 위트코프 미국 특사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에 대한 안보 보장에 합의했다고 말했다.

지난 17일(이하 현지시각) CNN에 따르면 위트코프 특사는 이날 인터뷰에서 15일 미국 알래스카 앵커리지 북부 엘먼도프-리처드슨 합동기지에서 열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푸틴 대통령의 정상회담에 대해 "우리는 판도를 바꿀 만한 강력한 안보 보장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https://www.moneys.co.kr/article/20250818074208210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