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PB의 금융시장 생존기
1.52K subscribers
11.2K photos
87 videos
185 files
15.4K links
해외 / 국내 경제, 증시 및 다양한 이슈를 전달합니다!

협업 문의 : yeominyoon1981@gmail.com

Disclaimer

- 본 채널/유튜브에서 업로드 되는 모든 종목은 작성자 및 작성자와 연관된 사람들이 보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해당 종목 및 상품은 언제든 매도할 수 있습니다.

- 본 게시물에 올라온 종목 및 상품에 대한 투자 의사 결정 시, 전적으로 투자자의 책임과 판단하에 진행됨을 알립니다.
Download Telegram
Forwarded from 루팡
Tesla 2025년 2분기 어닝콜 Q&A 세션-1

1. 로보택시 운영 현황 및 확장 계획
Q: 로보택시 운영 성과 및 향후 확장 계획(차량 수, 지역, 센서 공급업체 등)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
A
지금까지 로보택시는 아주 좋은 반응을 얻었고, 고객들도 만족도가 매우 높습니다.

오스틴에서는 서비스 지역을 이미 확장했으며, 향후 10배 이상 넓힐 계획입니다.

현재 샌프란시스코 베이 지역에서 정부 승인 절차를 진행 중이며, 승인 전까지는 운전자가 탑승한 채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입니다.

플로리다, 네바다 등 미국 내 여러 도시에서 테스트 중입니다.

2. 완전 자율주행(FSD) 퍼스널용 출시 일정 및 기술/규제 이슈
Q: 일반 소비자용 완전 자율주행(FSD) 출시를 위한 기술적, 규제적 과제와 예상 일정은?
A (Elon Musk)

올해 안에 미국 내 일부 도시에서 개인용 완전 자율주행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합니다.

다만 매우 신중하게 접근하고 있으며, 모든 안전성 확인 후에야 출시할 예정입니다.

A (Vaibhav Taneja)

서두르지 않고, 모든 것이 완벽히 준비됐을 때 출시하겠습니다.

현재 오스틴 로보택시에 사용된 하드웨어는 일부 고객 차량과 동일합니다.

미국 및 유럽 공장에서는 완성된 차량이 자동으로 로딩 도크까지 이동하고 있습니다.

연말까지는 차량이 고객에게 자동으로 ‘스스로’ 배송되는 모습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3. Optimus 로봇 현재 작업, 양산 시점 및 수익 기여 전망
Q: Optimus 로봇이 현재 수행 중인 작업은 무엇이며, 외부 판매는 언제부터 가능한가요? 향후 2~3년 수익 전망은?
A (Elon Musk)

Optimus 3 디자인은 거의 완성되었습니다. 올해 안에 시제품(prototype) 출시, 내년 초 양산 개시 예상됩니다.

초기 생산은 항상 어려우며, 공급망 리스크나 내부 변수로 생산 속도가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5년 후에는 월 10만 대 생산 가능하다고 봅니다. 그때가 되면 상당한 수익 창출도 가능할 것입니다.

4. 저가형 모델 개발 현황과 수익성 및 수요 영향
Q: 저가형 모델 개발 및 생산 일정, 수익성과 수요에 미칠 영향은 어떻게 보시나요?
A

6월에 생산을 시작했고, 현재 생산 속도를 높이는 중입니다.

북미에서 고속 생산을 목표로 하며, 4분기에 더 많은 수량이 출시될 예정입니다.

수익성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사람들이 원하고 사랑하는 모델을 만드는 것이 목표입니다.

5. Tesla가 xAI에 투자하는 이유
Q: Tesla의 xAI 투자에 대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A

이 자리에서는 구체적으로 논의하지 않겠습니다. 따로 논의가 필요합니다.

A (Elon Musk)

주주들이 제안하고 투표하는 과정은 항상 열려 있으며, 우리는 주주의 뜻에 따를 것입니다.

6. Tesla 디자인 스튜디오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나요?
Q: 디자인 스튜디오 내부에 대해 좀 더 알려줄 수 있나요?
A

디자인 스튜디오는 비공개 공간입니다. 신제품 공개는 이 자리에서 하지 않겠습니다.

하지만 매우 흥미로운 일들이 진행 중이며, 향후 Tesla는 자율주행 이전 세상에서 이후 세상으로 전환하는 핵심 주체가 될 것입니다.

A (Elon Musk)

새로운 마스터플랜을 준비 중이며, 성공적으로 실행되면 Tesla는 세계에서 가장 가치 있는 기업이 될 것입니다.

7. HW3 사용자의 하드웨어 업그레이드 계획

Q: 기존 HW3 차량은 향후 HW4 또는 HW5로 업그레이드 가능할까요?
A

먼저 HW4에서 완전 자율주행이 가능하도록 만드는 것이 우선입니다.

그 이후에 HW3 차량 업그레이드를 검토하겠습니다.

8. Dojo 및 AI 칩 관련 업데이트
Q: Dojo와 AI 칩 로드맵 업데이트 부탁드립니다. xAI가 Dojo 고객이 될 수 있나요?
A (Elon Musk)

Dojo 2는 내년에 약 10만 H100급 성능으로 가동 시작 예정입니다.

AI5 칩은 내년 말 양산 예정이며, 매우 강력한 칩입니다.

AI6과 Dojo 3의 칩 통합도 고려 중입니다.


9. 태양광 세금 공제 종료가 Megapack 판매에 미치는 영향
Q: 태양광 관련 세제 혜택 종료가 Megapack 파이프라인에 미칠 영향은?
A

고객 및 시장이 다양하게 분산되어 있어, 영향은 제한적입니다.

독립형 저장장치와 데이터센터 수요는 계속 증가 중입니다.

텍사스 휴스턴 인근의 제3메가팩 공장은 2026년 가동 예정입니다.


루팡
Forwarded from 루팡
Tesla 2025년 2분기 어닝콜 Q&A 세션- 2

mmanuel Rosner – Wolfe Research
Q: 로보택시 관련 핵심 지표(KPI)는 어떤 것이 있나요? (예: 운영 차량 수, 자율주행 거리, 개입 사례 등)
A
현재 오스틴 지역에서 약 7,000마일 이상을 자율주행으로 운행했습니다.

차량 수는 아직 소수지만, 운행 지역과 차량 수 모두 빠르게 늘리는 중입니다.

현재까지 안전상 큰 문제는 없었습니다. 내부 제한(예: 속도 제한)을 걸어두긴 했지만, 대부분은 고객 편의를 위한 조치입니다.

Q: 장기적으로 로보택시 마일당 비용을 $0.30~$0.40 수준으로 낮추는 목표에 대한 진행 상황은?
A (Elon Musk)

Cybercab처럼 자율주행에 최적화된 차량은 장기적으로 마일당 $0.30 이하도 가능하다고 봅니다.

예를 들어, 고속 주행 성능이 필요 없으므로 저비용 타이어와 제동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고, 정숙하고 편안한 승차감 중심으로 설계됩니다.

Optimus가 차량 청소 및 유지보수를 수행하고 자동 충전도 가능해지면 비용은 더욱 낮아질 것입니다.

기존 차량은 Cybercab보다 비용이 더 들지만 여전히 경쟁력 있습니다.

로보택시는 지금은 작지만, 향후 몇 년 안에 수익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제 생각엔 2026년 말이면 재무에 의미 있는 기여를 할 것입니다.


Adam Jonas – Morgan Stanley
Q: 로보택시, 옵티머스 등 문명 전환 기술을 개발 중인데, 현재 테슬라에서의 지분율이 13%에 불과한 상황에서 이를 지속하는 것이 가능한가요?
A (Elon Musk)

이것은 큰 문제입니다. 주주총회에서 다뤄질 사안이지만, 현재처럼 낮은 지분으로는 방향성을 잃거나 외부 세력에 의해 쉽게 교체될 위험이 있습니다.

제 생각엔, 제가 테슬라를 좋은 방향으로 이끌 수 있는 정도의 통제력은 있어야 하며, 동시에 너무 강한 통제력은 또 안 됩니다. 균형이 필요합니다.

Q: 대형 투자은행 이사진이 Optimus 생산을 참관했다는 소문이 있습니다. 향후 AI 데이 또는 공개 행사 계획이 있나요?
A (Elon Musk)

AI 데이를 하면 경쟁사들이 발표 내용을 프레임 단위로 분석하고 베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채용을 위해서는 도움이 되죠. 그래서 주주총회를 통해 일부 내용을 공개할 수는 있습니다.

Tesla는 AI 소프트웨어 뿐 아니라 칩 설계에서도 매우 뛰어납니다.

AI5 칩은 매우 강력해서 수출 통제를 초과할 수 있으므로 미국 외 시장에서는 제한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Optimus 연구소는 영화 세트처럼 멋지며, 로봇들이 24시간 걸어다니고, Tesla Diner에도 등장합니다.

곧 로봇이 너무 흔해져서 사람들이 쳐다보지 않게 되는 시대가 올 것입니다.

Dan Levy – Barclays
Q: 테슬라 소유 차량 외의 비테슬라 차량을 로보택시 네트워크에 포함시키는 계획은?
A (Elon Musk)

우선 자사 차량에서 완전한 통제 하에 잘 작동하도록 하는 것이 우선입니다.

지나치게 빠르게 확장하지 않기 위해 매우 신중하게 접근하고 있습니다.

2026년에는 차량 소유자가 자신의 차를 테슬라 로보택시 네트워크에 투입할 수 있게 될 것으로 봅니다.

A

우버나 에어비앤비처럼 차량 상태 점검 등 몇 가지 조건이 필요할 것입니다.

예를 들어 타이어 트레드 상태 등도 안전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검증 과정이 필수입니다.

Q: 로보택시 사업 확장을 위한 자금 조달 계획은? 기존 자동차 부문 현금흐름으로 가능한가요?
A (Elon Musk)

로보택시에서 명확한 현금흐름이 발생하면, 이를 기반으로 대출이나 금융 조달이 가능합니다.

A

그 전까지는 테슬라의 재무 상태(대차대조표)를 활용할 것입니다. 일정 수준 이상의 수익 흐름이 확보되면 외부 자금 조달도 가능해집니다.

Mark Delaney – Goldman Sachs
Q: 최근 FSD 무료 체험과 함께, 구독 전환율 및 매출 규모에 대한 데이터가 있나요?
A (Vaibhav Taneja)

FSD 버전 12가 출시된 이후 북미 지역에서 FSD 채택률이 25% 증가했습니다.

지난해 가격 인하와 월 $99 구독 요금도 영향을 줬습니다.

하루 약 $3.33으로 자율주행 기능을 쓸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매력적인 옵션입니다.

A (Elon Musk)

아직 많은 테슬라 고객들이 FSD 기능이 있는지도 모릅니다.

전체 테슬라 차량의 절반 정도는 FSD를 한 번도 켜본 적이 없습니다.


앞으로 서비스센터 방문 시 데모 영상 등을 제공하고, 사용을 유도할 예정입니다.

사람들이 직접 경험해보면 충격을 받을 만큼 강력한 기능입니다.

Q: IRA 세금 공제 종료로 인해 미국 내 가격 전략에 변화가 있나요? FSD 수익화가 있는 만큼 가격 인하 여력은?
A (Elon Musk)

미국에서는 인센티브가 사라지지만, 규제 환경은 자율주행에 가장 유리합니다.

몇 개 분기(Q4~Q2)는 다소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2026년 하반기부터는 자율주행이 본격화되면서 테슬라의 경제성은 매우 강력해질 것입니다.

Will Stein – Truist
Q: 저가형 모델에서 실리콘 카바이드(SiC)와 희토류를 줄이는 등의 기술이 적용된다고 했는데, 현재 어떤 수준인가요?
A (Elon Musk)

차 외형에 대해선 공개하지 않겠습니다. 하지만 가장 큰 문제는 사람들이 차를 사고 싶어도 돈이 없다는 것입니다.

자율주행 차량이 수익을 창출할 수 있게 되면, 차를 소유하는 비용이 획기적으로 낮아집니다.

Airbnb처럼, 차량을 로보택시 네트워크에 등록해 수익을 올릴 수 있게 되면 접근성이 크게 향상될 것입니다.

Q: xAI와 테슬라 AI 간 인력·자본 경쟁 문제는 없나요?
A (Elon Musk)

xAI는 테라바이트급 거대 모델을, 테슬라는 리얼월드 AI 및 실시간 추론 최적화를 중점으로 개발합니다.

AI 인재 중 일부는 자율주행보다는 범용 AI에 더 관심이 있었기에, 그들이 오픈AI나 구글로 가기보다 xAI로 흡수하려는 목적도 있었습니다.

xAI는 대규모 지능형 시스템, 테슬라는 실시간 로봇 AI로 역할이 구분되어 있습니다.

루팡
[SK하이닉스 2Q25 잠정실적 공시]

매출액: 22.2조원 (QoQ +26.0%)
OP: 9.2조원 (QoQ +23.8%)
OP 컨센서스(1M): 9.2조원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724800001
2025.07.24 07:34:52
기업명: SK하이닉스(시가총액: 195조 8,326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222,320억(예상치 : 205,942억+/ 8%)
영업익 : 92,129억(예상치 : 90,104억/ +2%)
순이익 : 69,972억(예상치 : 76,928억/ -9%)

최근 실적 추이
2025.2Q 222,320억/ 92,129억/ 69,972억
2025.1Q 176,391억/ 74,405억/ 81,082억
2024.4Q 197,670억/ 80,828억/ 80,065억
2024.3Q 175,731억/ 70,300억/ 57,534억
2024.2Q 164,233억/ 54,685억/ 41,200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724800001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00660
Forwarded from 주식돋보기
미국 마이크론이 인공지능(AI) 반도체 후공정 핵심 장비인 TC 본더를 대규모 확보에 나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기업의 증설 속도가 다소 정체된 틈을 타 마이크론이 공격적 투자로 공급망 판도 변화를 주도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마이크론은 최근 들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위협적인 존재로 떠올랐는데, 국내 기업 중심의 고대역폭메모리(HBM) 주도권이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23일 반도체 업계에 따르면 마이크론은 올해 한미반도체에서 TC 본더 장비 발주를 크게 늘리는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에선 발주 규모가 전년 대비 두 배에 이를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올해 2분기 한미반도체 실적을 보면 마이크론의 장비 수요 확대가 본격화됐다는 점이 보다 명확히 드러날 것"이라고 말했다.

글로벌 TC 본더 시장 1위인 한미반도체는 현재 마이크론의 장비 수요가 SK하이닉스를 앞서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SK하이닉스는 당초 올해 HBM 공급을 추가 확대할 계획이었지만 내부 사정으로 계획을 일부 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한미반도체 수출 실적에서도 확인된다. 공시에 따르면 한미반도체의 2025년 1분기 매출 중 해외 고객사 비중은 90%에 달했다. 이는 2024년 연간 수출 비중(약 41%)에서 크게 증가한 수치로, 북미 메모리 기업을 포함한 글로벌 고객사의 HBM 관련 수주가 급증한 결과로 풀이된다. 그중에서도 마이크론의 주문 확대가 주요 요인 중 하나로 꼽힌다.

마이크론은 HBM 시장에서 빠른 속도로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다. 올해 초에는 엔비디아의 5세대 HBM3E 12단 제품에 대한 품질 테스트를 통과했으며 AI 가속기 '블랙웰 울트라(GB300)'에 탑재될 제품 양산에도 착수한 상태다. 마이크론은 회계연도 3분기 실적 발표에서 HBM 매출만 전 분기 대비 50% 성장했다고 발표하면서 연말까지 시장 점유율을 20% 이상으로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국내 반도체 업계는 마이크론의 급성장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 기술력과 사업 추진력을 겸비한 산제이 메로트라 최고경영자(CEO) 체제 아래 마이크론은 엔비디아와의 전략적 협력을 확대하고 있다. 또 미국 정계와의 밀접한 관계를 바탕으로 관세나 수출규제와 같은 정책 리스크에도 유연하게 대응하고 있다는 평가다. 한국 기업 입장에선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https://naver.me/xDCYXwhM
Forwarded from 사제콩이_서상영
07/24 중국-EU 정상회담에 대하여

오늘 중국에서는 수교 50주년을 기념하며 중국-EU 정상회담이 개최. 현재 양측 간 갈등이 높아져 있고, 이로인해 긴장이 고조된 상황. 원래 금요일까지 예정돼 있었지만, 오늘 하루로 단축되었음.

주요 논의 내용을 살펴보면 먼저 무역 불균형 및 관세 문제가 있음. EU는 대중국 무역 적자 해소와 공정한 경쟁 환경을 요구할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고율 관세 부과와 의료 장비 제한 등에 주목하고 있음. 더불어 희토류 수출 통제에 대한 우려도 언급될 것으로 알려짐. 중국은 물론 전기차 관세 철폐, 투자 협정(CAI) 재개를 요구할 것으로 예상되며, 더불어 미국의 대중국 정책을 따라가서는 안 된다는 점을 강조할 듯.

우크라이나 전쟁 관련 논의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EU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중국의 지지 철회를 촉구할 것으로 예상되며, 러시아 제재 회피 수단으로 중국을 이용하고 있는 러시아 문제(러시아산 에너지 수입 등)도 논의될 것. 중국은 당연히 정치 외교적인 부분에 대한 간섭을 거부할 듯. 기후 환경 문제는 양측 모두 협력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음. 인권 문제는 매번 나오지만, 중국은 내정 문제라며 협상을 거부할 것.

이런 요인을 감안할 때, 시장에서는 양측의 이견으로 실질적인 돌파구 마련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고, 공동 성명 등의 채택 가능성도 거의 없음. 있다면 기후 이슈 정도가 될 것. 다만, 고위급 소통 채널은 지속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통해 달성 가능한 부분(희토류 등)을 중심으로 소통과 협력을 논의할 것으로 판단.

그렇기 때문에 이번 정상회담이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 직접적인 무역 협상 문제 등에서 돌파구 마련이 쉽지 않기 때문. 다만, 중국의 전기차, 희토류 관련 기업들은 이번 회담에서 논의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변화를 보일 수 있어 주목할 필요는 있음
Forwarded from 사제콩이_서상영
07/24 한-미 무역협상 연기와 주식시장

미국에서 한국과 무역 협상을 연기하자고 통보. 베센트 재무장관의 일정 문제로 예정된 협상이 취소 됐지만, 협상 결렬은 아니고 단순한 일정 연기의 성격으로 확인. 트럼프 행정부가 8월 1일 25% 관세 발효를 앞두고 있는 가운데 이러한 발표는 시장에 일부 불안감을 줌.

좋게보면 숨 고르기를 할 수 있는 한국의 전략적 시간으로 해석되며, 향후 협상에 있어 미국과의 갈등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국내 산업을 보호할 수 있는 정교한 대응책 마련을 위한 시간을 벌었다고 볼 수 있음. 그렇지만, 시간적인 부분이 그리 많지 않기 때문에, 그리고 재무장관의 일정 문제를 이유로 일방적으로 취소했다는 점은 불안감을 주기도 함.

실제 관련 소식 후 한국 자동차 기업들의 주가가 상승을 반납하거나 하락 전환하는 등 개별 종목의 변화에 영향을 준 것으로 추정. 이에 한국 주식시장의 상승폭이 일부 축소
Forwarded from KK Kontemporaries
이거 때문에 외인들이 돌아선듯

미 상무장관 하워드 러트닉은 한국과의 협상에서 4000억 달러 규모를 제안했다고 한 소식통이 전했습니다. 러트닉은 같은 금액을 일본과의 협상에서 트럼프에게도 제안했지만, 미국 대통령은 결국 그 금액을 5500억 달러로 협상해 올렸습니다.

일본 경제는 한국의 두 배 이상 규모이기 때문에, 동일한 금액의 약속을 한국이 하기는 매우 부담스러운 일입니다.
Forwarded from TNBfolio
Scott Bessent (미국 재무장관)
- 일본에 대한 관세는 트럼프가 만족하지 않을 경우 다시 25%로 올라갈 수 있다.
Forwarded from 루팡
트럼프, 내일 연준 방문할 예정

지금까지 Fed를 방문한 대통령은 단 세 명뿐입니다.
1938년 본부 건물이 개관했을 때 방문한 프랭클린 D. 루스벨트(FDR),
지인 중 한 명이 이사로 임명되었을 때 방문한 제럴드 포드,
그리고 벤 버냉키의 취임식에 참석한 조지 W. 부시입니다.
[단독]李대통령, 오늘 이재용 회장과 만찬…대미 투자계획 점검할 듯

이재명 대통령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24일 만찬 회동을 갖는다. 지난주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에 이어 주요 그룹 총수들과 연쇄 회동하며 재계와의 ‘원팀’ 행보에 속도를 내는 모습이다.

24일 재계 및 정치권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이날 저녁 이 회장과 만나 투자 및 일자리 창출, 내수 활성화 등 경제 현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회동은 지난주와 마찬가지로 배석자 없이 진행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 대통령은 앞서 정 회장, 구 회장과의 만남 이후 최태원 SK그룹 회장 등 주요 그룹 회장과도 회동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대통령은 지난달 13일 삼성, SK, 현대차, LG, 롯데 등 5대 그룹 총수 및 경제 6단체장과 단체 간담회를 가진 바 있다. 이 자리에서 총수들에게 대미 투자 계획 및 지방 활성화, 연구개발(R&D) 투자에 대해 물었고 기업들의 적극적인 역할을 주문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후 각 개별 총수들과 직접 회동을 가지면서 각 그룹별 현안을 둘러싼 구체적인 논의를 진행한 것으로 풀이된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일부 대기업이 새정부 출범 이전에 대미 투자계획을 미리 발표하면서 미국과의 통상 협상에서 협상력이 떨어진 측면이 있다”며 “대기업들의 애로사항을 청취하는 동시에 대기업의 대미 투자 계획 등을 점검하는 자리”라고 했다

https://www.donga.com/news/Politics/article/all/20250724/1320620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