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warded from BUYagra
보잉, GE 항공우주, 카타르 항공과 960억 달러 거래 확보
또라이는 인정 , 근데 열일을 하네...
https://www.wsj.com/business/airlines/boeing-ge-aerospace-secure-96-billion-deal-with-qatar-airways-white-house-says-3e057899
또라이는 인정 , 근데 열일을 하네...
https://www.wsj.com/business/airlines/boeing-ge-aerospace-secure-96-billion-deal-with-qatar-airways-white-house-says-3e057899
WSJ
Boeing, GE Aerospace Get Qatar Airways Order After Saudi AI Tech Deals
The order will support 154,000 U.S. jobs annually, the White House said.
Forwarded from 루팡
사우디 아람코, 트럼프 걸프 순방 중 최대 900억 달러 규모의 미국 기업 협력 발표
협력 분야: 에너지, 인공지능(AI), 디지털 전환, 금융
주요 파트너: 엔비디아(Nvidia), 엑손모빌(ExxonMobil), 아마존(Amazon), 핌코(PIMCO)
트럼프 대통령의 걸프 지역 순방 중 체결
사우디는 하루 전 미국에 6,000억 달러 투자 약속
아람코는 수요일, 미국과의 상업적 유대 강화를 위해 미국의 주요 기업들과 최대 900억 달러 규모에 달할 수 있는 34건의 예비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발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사우디를 방문한 가운데 이뤄졌으며, 하루 전 사우디가 미국 내 투자에 6,000억 달러를 약속한 데 이은 조치다.
아람코는 이번 계약들이 에너지뿐 아니라 인공지능(AI), 디지털 전환, 금융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있다고 설명했다. 계약 상대에는 엔비디아, 엑손모빌, 아마존, 핌코 등 미국 내 굴지의 기업들이 포함됐다.
https://www.reuters.com/business/energy/saudi-aramco-signs-deals-worth-up-90-billion-with-us-companies-2025-05-14/
협력 분야: 에너지, 인공지능(AI), 디지털 전환, 금융
주요 파트너: 엔비디아(Nvidia), 엑손모빌(ExxonMobil), 아마존(Amazon), 핌코(PIMCO)
트럼프 대통령의 걸프 지역 순방 중 체결
사우디는 하루 전 미국에 6,000억 달러 투자 약속
아람코는 수요일, 미국과의 상업적 유대 강화를 위해 미국의 주요 기업들과 최대 900억 달러 규모에 달할 수 있는 34건의 예비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발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사우디를 방문한 가운데 이뤄졌으며, 하루 전 사우디가 미국 내 투자에 6,000억 달러를 약속한 데 이은 조치다.
아람코는 이번 계약들이 에너지뿐 아니라 인공지능(AI), 디지털 전환, 금융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있다고 설명했다. 계약 상대에는 엔비디아, 엑손모빌, 아마존, 핌코 등 미국 내 굴지의 기업들이 포함됐다.
https://www.reuters.com/business/energy/saudi-aramco-signs-deals-worth-up-90-billion-with-us-companies-2025-05-14/
Reuters
Saudi Aramco signs deals worth up to $90 billion with US companies
Saudi Aramco has signed 34 agreements with major U.S. companies, potentially worth as much as $90 billion, the oil giant said on Wednesday.
Forwarded from 루팡
트럼프 대통령, 카타르와 총 1조 2천억 달러 규모의 경제 협력 성사
-트럼프 대통령, 카타르에서 총 1.2조 달러 규모의 경제 협정 체결
-미국-카타르 간 직접 계약만 2,435억 달러 이상
-보잉, GE Aerospace, Raytheon, General Atomics 등 주요 미국 기업 참여
-양국 간 에너지, 항공, 방산, 양자기술 등 전방위 협력 강화
오늘 카타르에서 도널드 J.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카타르와 최소 1조 2천억 달러 규모의 경제 교류를 창출하는 협정에 서명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한 카타르와의 미국 간 경제 계약이 2,435억 달러 이상에 달한다고 발표했으며, 이는 보잉 항공기와 GE Aerospace 엔진을 카타르항공에 판매하는 역사적인 계약도 포함합니다.
이러한 역사적 협약은 앞으로 수세대에 걸쳐 혁신과 번영을 견인하고, 미국의 제조업과 기술 리더십을 강화하며, 미국을 새로운 황금기로 이끄는 기반이 될 것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재임 이래 미국 제조업과 혁신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보여주며, 수 조 달러에 달하는 투자와 글로벌 상업 계약을 성사시켜 왔고, 카타르와 같은 동맹국들은 이러한 성공에 동참하고 있습니다.
카타르에서 체결된 주요 계약 일부는 다음과 같습니다:
보잉 & GE Aerospace:
카타르항공은 최대 210대의 보잉 787 드림라이너 및 777X 항공기를 주문하며, GE 엔진이 장착된 총 960억 달러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이는 보잉 역사상 최대 와이드바디 및 787 주문 계약으로, 미국 내 연간 15.4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총 100만 개 이상의 일자리를 지원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맥더못 (McDermott):
카타르에너지와 함께 85억 달러 규모의 LNG 기반 해양 인프라 프로젝트 7건을 수행 중이며, 이는 미국 에너지 산업 내 수천 개의 일자리를 직접 지원합니다.
파슨스 (Parsons):
총 970억 달러 규모에 달하는 30개 프로젝트를 수주해, 미국 내 첨단 엔지니어링 및 혁신 부문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Quantinuum – 알 라반 캐피탈:
양자 기술 및 인력 개발을 위한 10억 달러 규모의 합작 투자 계약 체결. 미국 내 첨단 기술 일자리 육성 목적.
방산 계약:
레이시온 (Raytheon, RTX 계열사):
10억 달러 규모의 드론 대응 시스템(FS-LIDS) 판매 계약 체결. 카타르는 해당 시스템의 첫 해외 고객이 됨.
제너럴 아토믹스 (General Atomics):
MQ-9B 무인 정찰기 시스템을 카타르에 20억 달러 규모로 판매. 세계 최고 수준의 다임무 무인 항공기를 공급.
추가 협정:
알 우데이드 공군기지 공동 운영 및 향후 방공·해양 안보 분야 투자 포함, 총 380억 달러 규모의 안보 파트너십 강화 선언문 서명.
양국 경제관계 현황:
2024년 미국은 카타르와의 무역에서 20억 달러의 흑자를 기록했으며, 이는 2003년 이후 지속된 흑자 기조입니다.
2024년 양국 간 무역 총액은 56.4억 달러이며, 이 중 38억 달러가 미국 수출입니다.
2023년 기준, 카타르는 미국에 33억 달러의 신규 직접투자(그린필드 투자)를 했으며, 주요 분야는 관광, IT, 첨단 제조, 금융, 에너지입니다.
카타르는 세계 3위 천연가스 매장량 보유국이며, 2019년부터 총 180억 달러 규모의 에너지 인프라 투자를 미국에 진행 중입니다 (Golden Pass LNG, Golden Triangle Polymers 포함).
현재 카타르는 미국의 12번째로 큰 방산 고객국이며, 260억 달러 규모의 무기 판매 계약을 유지 중입니다.
이번 발표는 하루 전 발표된 사우디의 6,000억 달러 투자 발표와, 영국과의 역사적인 무역 협정, 그리고 중국과의 관세 완화 합의에 이어 트럼프 전 대통령이 확보한 글로벌 경제 성과 중 하나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와 같은 협정을 통해 "메이드 인 아메리카"의 부활을 실현하고 있으며, 미국 제조업 르네상스를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이번 카타르와의 협약은 '협상의 기술'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성과이며, 미국의 또 다른 승리로 기록될 것입니다.
https://www.streetinsider.com/General+News/President+Donald+J.+Trump+Secures+Historic+%241.2+Trillion+Economic+Commitment+in+Qatar/24795053.html
-트럼프 대통령, 카타르에서 총 1.2조 달러 규모의 경제 협정 체결
-미국-카타르 간 직접 계약만 2,435억 달러 이상
-보잉, GE Aerospace, Raytheon, General Atomics 등 주요 미국 기업 참여
-양국 간 에너지, 항공, 방산, 양자기술 등 전방위 협력 강화
오늘 카타르에서 도널드 J.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카타르와 최소 1조 2천억 달러 규모의 경제 교류를 창출하는 협정에 서명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한 카타르와의 미국 간 경제 계약이 2,435억 달러 이상에 달한다고 발표했으며, 이는 보잉 항공기와 GE Aerospace 엔진을 카타르항공에 판매하는 역사적인 계약도 포함합니다.
이러한 역사적 협약은 앞으로 수세대에 걸쳐 혁신과 번영을 견인하고, 미국의 제조업과 기술 리더십을 강화하며, 미국을 새로운 황금기로 이끄는 기반이 될 것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재임 이래 미국 제조업과 혁신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보여주며, 수 조 달러에 달하는 투자와 글로벌 상업 계약을 성사시켜 왔고, 카타르와 같은 동맹국들은 이러한 성공에 동참하고 있습니다.
카타르에서 체결된 주요 계약 일부는 다음과 같습니다:
보잉 & GE Aerospace:
카타르항공은 최대 210대의 보잉 787 드림라이너 및 777X 항공기를 주문하며, GE 엔진이 장착된 총 960억 달러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이는 보잉 역사상 최대 와이드바디 및 787 주문 계약으로, 미국 내 연간 15.4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총 100만 개 이상의 일자리를 지원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맥더못 (McDermott):
카타르에너지와 함께 85억 달러 규모의 LNG 기반 해양 인프라 프로젝트 7건을 수행 중이며, 이는 미국 에너지 산업 내 수천 개의 일자리를 직접 지원합니다.
파슨스 (Parsons):
총 970억 달러 규모에 달하는 30개 프로젝트를 수주해, 미국 내 첨단 엔지니어링 및 혁신 부문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Quantinuum – 알 라반 캐피탈:
양자 기술 및 인력 개발을 위한 10억 달러 규모의 합작 투자 계약 체결. 미국 내 첨단 기술 일자리 육성 목적.
방산 계약:
레이시온 (Raytheon, RTX 계열사):
10억 달러 규모의 드론 대응 시스템(FS-LIDS) 판매 계약 체결. 카타르는 해당 시스템의 첫 해외 고객이 됨.
제너럴 아토믹스 (General Atomics):
MQ-9B 무인 정찰기 시스템을 카타르에 20억 달러 규모로 판매. 세계 최고 수준의 다임무 무인 항공기를 공급.
추가 협정:
알 우데이드 공군기지 공동 운영 및 향후 방공·해양 안보 분야 투자 포함, 총 380억 달러 규모의 안보 파트너십 강화 선언문 서명.
양국 경제관계 현황:
2024년 미국은 카타르와의 무역에서 20억 달러의 흑자를 기록했으며, 이는 2003년 이후 지속된 흑자 기조입니다.
2024년 양국 간 무역 총액은 56.4억 달러이며, 이 중 38억 달러가 미국 수출입니다.
2023년 기준, 카타르는 미국에 33억 달러의 신규 직접투자(그린필드 투자)를 했으며, 주요 분야는 관광, IT, 첨단 제조, 금융, 에너지입니다.
카타르는 세계 3위 천연가스 매장량 보유국이며, 2019년부터 총 180억 달러 규모의 에너지 인프라 투자를 미국에 진행 중입니다 (Golden Pass LNG, Golden Triangle Polymers 포함).
현재 카타르는 미국의 12번째로 큰 방산 고객국이며, 260억 달러 규모의 무기 판매 계약을 유지 중입니다.
이번 발표는 하루 전 발표된 사우디의 6,000억 달러 투자 발표와, 영국과의 역사적인 무역 협정, 그리고 중국과의 관세 완화 합의에 이어 트럼프 전 대통령이 확보한 글로벌 경제 성과 중 하나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와 같은 협정을 통해 "메이드 인 아메리카"의 부활을 실현하고 있으며, 미국 제조업 르네상스를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이번 카타르와의 협약은 '협상의 기술'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성과이며, 미국의 또 다른 승리로 기록될 것입니다.
https://www.streetinsider.com/General+News/President+Donald+J.+Trump+Secures+Historic+%241.2+Trillion+Economic+Commitment+in+Qatar/24795053.html
StreetInsider.com
President Donald J. Trump Secures Historic $1.2 Trillion Economic Commitment in Qatar
Today in Qatar, President Donald J. Trump signed an agreement with Qatar to generate an economic exchange worth at least $1.2 trillion. President Trump also announced economic deals totaling more than $243.5 billion between the United...
Forwarded from 서화백의 그림놀이 🚀
"Asia ex-Japan Equity Strategy: Almost as good as it gets"
1. 전체 전략 요약
* 단기적으로는 낙관적 전망: 미중 관세 완화, AI 관련 기대감, 지정학적 리스크 둔화 등으로 단기 주가 상승 여력 존재.
* 중기적으로는 신중한 접근 필요: 6개월 관점에서는 정책 불확실성, AI 버블 우려, 중국 내수 불안 등 복합 요소로 인해 리스크 상존.
2. 주요 시장 변수 5가지
* 1) 미국 무역 정책 (관세 중심)
* 10% 수준의 범용 관세는 지속될 가능성이 큼.
* 일부 산업(자동차, 제약, 반도체, 금속)은 더 높은 관세 적용 가능성.
* 단기적으로는 관세 인하 가능성도 존재하지만, 2019년처럼 재격화 가능성도 경계해야 함.
* 2) 미국 및 글로벌 매크로 상황
* 시장은 현재 ‘AI 버블 + 골디락스(완만한 성장, 낮은 인플레이션)’ 시나리오를 반영 중.
* 침체(recession) 우려는 줄었으나,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
* 3) AI 테마와 밸류에이션
* 4월 22일 이후 AI 주식 강세 재개.
* 하지만 구조적 수익화와 killer application 부재로 여전히 버블 소멸 단계로 간주.
* ‘트레이닝’에서 ‘추론(inference)’으로 가치 이동 중, 반도체보다 메모리/소프트웨어/에지 디바이스 주목.
* 4) 중국 정책 및 시장 심리
* 미중 관세가 주요 리스크 요인이지만, 투자자들은 이미 학습된 경험 보유.
* 2H25 부동산 가격 안정 → 소비심리 회복 시 강한 반등 가능.
* AI·정책·유동성에 따라 전술적 반등(snapback rally) 반복될 전망.
* 5) 아시아 내 국내 성장 및 정책 대응
* 2024년 4.9% 성장 → 2025년 다소 둔화 예상.
* 통화정책 완화 여력: 인도(100bp), 한국(75bp) 등.
* 재정정책은 한국 외에는 제한적. 중국은 재정 부양 기대감 낮음.
3. 투자 전략 및 종목 추천
* 단기 리스크 이벤트가 우호적일 경우, MXASJ 인덱스는 825까지 상승 여력 존재.
* 4\~6개월 전략 추천:
1. 국내 수요 중심의 Quality Low Beta 종목.
2. 국가별 전략:
* 가치주(Value): 한국, 인도
* 모멘텀(Momentum): 중국
* 퀄리티(Quality): 대만
3. 장기 테마: 국방, 발전, 자본시장, 로봇
* 국가별 투자 우선순위:
인도 > 중국 > 한국 > 대만 > ASEAN
* 산업/섹터 별 선호 (Overweight):
* 중국: 테크, 인터넷, 헬스케어
* 인도: 금융, 소비재, 병원, 방산
* 한국: 금융, 기술주, 필수소비재
* ASEAN: 필수소비재, 유틸리티, 헬스케어
4. 유의사항 및 추가적 고려
* 환율: 달러 약세가 지속되면 아시아 증시에 긍정적.
* AI 관련 주가 재평가 진행 중 → Mag 7의 EPS 모멘텀은 이미 둔화 중.
* 지정학적 이벤트: 우크라이나-러시아 평화협상, 미국의 감세 및 규제완화 정책 전환 등도 변수.
* 관세 조정의 속도: 정책 반전이 빠르게 일어나고 있어 기민한 대응 필요.
1. 전체 전략 요약
* 단기적으로는 낙관적 전망: 미중 관세 완화, AI 관련 기대감, 지정학적 리스크 둔화 등으로 단기 주가 상승 여력 존재.
* 중기적으로는 신중한 접근 필요: 6개월 관점에서는 정책 불확실성, AI 버블 우려, 중국 내수 불안 등 복합 요소로 인해 리스크 상존.
2. 주요 시장 변수 5가지
* 1) 미국 무역 정책 (관세 중심)
* 10% 수준의 범용 관세는 지속될 가능성이 큼.
* 일부 산업(자동차, 제약, 반도체, 금속)은 더 높은 관세 적용 가능성.
* 단기적으로는 관세 인하 가능성도 존재하지만, 2019년처럼 재격화 가능성도 경계해야 함.
* 2) 미국 및 글로벌 매크로 상황
* 시장은 현재 ‘AI 버블 + 골디락스(완만한 성장, 낮은 인플레이션)’ 시나리오를 반영 중.
* 침체(recession) 우려는 줄었으나,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
* 3) AI 테마와 밸류에이션
* 4월 22일 이후 AI 주식 강세 재개.
* 하지만 구조적 수익화와 killer application 부재로 여전히 버블 소멸 단계로 간주.
* ‘트레이닝’에서 ‘추론(inference)’으로 가치 이동 중, 반도체보다 메모리/소프트웨어/에지 디바이스 주목.
* 4) 중국 정책 및 시장 심리
* 미중 관세가 주요 리스크 요인이지만, 투자자들은 이미 학습된 경험 보유.
* 2H25 부동산 가격 안정 → 소비심리 회복 시 강한 반등 가능.
* AI·정책·유동성에 따라 전술적 반등(snapback rally) 반복될 전망.
* 5) 아시아 내 국내 성장 및 정책 대응
* 2024년 4.9% 성장 → 2025년 다소 둔화 예상.
* 통화정책 완화 여력: 인도(100bp), 한국(75bp) 등.
* 재정정책은 한국 외에는 제한적. 중국은 재정 부양 기대감 낮음.
3. 투자 전략 및 종목 추천
* 단기 리스크 이벤트가 우호적일 경우, MXASJ 인덱스는 825까지 상승 여력 존재.
* 4\~6개월 전략 추천:
1. 국내 수요 중심의 Quality Low Beta 종목.
2. 국가별 전략:
* 가치주(Value): 한국, 인도
* 모멘텀(Momentum): 중국
* 퀄리티(Quality): 대만
3. 장기 테마: 국방, 발전, 자본시장, 로봇
* 국가별 투자 우선순위:
인도 > 중국 > 한국 > 대만 > ASEAN
* 산업/섹터 별 선호 (Overweight):
* 중국: 테크, 인터넷, 헬스케어
* 인도: 금융, 소비재, 병원, 방산
* 한국: 금융, 기술주, 필수소비재
* ASEAN: 필수소비재, 유틸리티, 헬스케어
4. 유의사항 및 추가적 고려
* 환율: 달러 약세가 지속되면 아시아 증시에 긍정적.
* AI 관련 주가 재평가 진행 중 → Mag 7의 EPS 모멘텀은 이미 둔화 중.
* 지정학적 이벤트: 우크라이나-러시아 평화협상, 미국의 감세 및 규제완화 정책 전환 등도 변수.
* 관세 조정의 속도: 정책 반전이 빠르게 일어나고 있어 기민한 대응 필요.
Forwarded from 신한투자증권 제약/바이오 엄민용
로슈의 반격…올해 2월부터 오늘까지 미국 내 제조시설 증설 발표한 빅파마만 11개 기업이고 규모는 총 2,700억 달러인데 약가인하하면 철회한다?고 협박 중인 것 같네요.
로슈, 트럼프의 가격 책정 명령(최혜국 대우) 이행 시 미국 투자 재고할 필요있음을 시사…향후 수천억 달러의 미국 제약 연구개발 및 제조 투자 삭감될 것이라 우려
https://www.fiercepharma.com/pharma/roche-questions-us-investment-projects-wake-trumps-international-pricing-order
로슈, 트럼프의 가격 책정 명령(최혜국 대우) 이행 시 미국 투자 재고할 필요있음을 시사…향후 수천억 달러의 미국 제약 연구개발 및 제조 투자 삭감될 것이라 우려
https://www.fiercepharma.com/pharma/roche-questions-us-investment-projects-wake-trumps-international-pricing-order
Fierce Pharma
Roche to reconsider US investment projects if Trump follows through on pricing order
So far in his second term, President Donald Trump has been trying to coerce international corporations to bolster their spending in the United States, including through his controversial tariffs. | President Donald Trump's recent executive order on drug prices…
유전자치료제 개발기업인 알지노믹스가 다국적 제약사 일라이릴리(이하 릴리)와 리보핵산(RNA) 치료제 개발을 위해 2조원 규모의 기술이전(L/O)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알지노믹스는 자사의 독자적인 ‘트랜스-스플라이싱 리보자임(trans-splicing Ribozyme) 플랫폼’을 활용한 신규 RNA 편집 치료제 개발을 위해 릴리와 전략적 글로벌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양사 간 협업은 유전성 난청질환에 대한 RNA 편집 치료제의 발굴 및 개발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알지노믹스는 양사 간 합의된 계획에 따라 초기 연구개발(R&D)을 수행하며, 릴리는 후속 개발 및 상업화를 담당하게 됩니다.
릴리가 계약상 모든 옵션을 행사할 경우 총 계약 규모는 약 1조9000억원 이상이며, 별도로 상업화 매출에 따른 로열티(경상 기술료)도 알지노믹스에 지급됩니다. 업프론트(선급금) 금액은 양사 간 합의에 따라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5047
이번 양사 간 협업은 유전성 난청질환에 대한 RNA 편집 치료제의 발굴 및 개발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알지노믹스는 양사 간 합의된 계획에 따라 초기 연구개발(R&D)을 수행하며, 릴리는 후속 개발 및 상업화를 담당하게 됩니다.
릴리가 계약상 모든 옵션을 행사할 경우 총 계약 규모는 약 1조9000억원 이상이며, 별도로 상업화 매출에 따른 로열티(경상 기술료)도 알지노믹스에 지급됩니다. 업프론트(선급금) 금액은 양사 간 합의에 따라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5047
더바이오
알지노믹스, 일라이릴리와 최대 1조9000억원 기술이전 계약 체결
[더바이오 강인효 기자] 유전자치료제 개발기업인 알지노믹스가 다국적 제약사 일라이릴리(이하 릴리)와 리보핵산(RNA) 치료제 개발을 위한 기술이전(L/O) 계약을 체결했다. 알지노믹스는 자사의 독자적인 ‘트랜스-스플라이싱 리보자임(trans-splicing Ribozyme) 플랫폼’을
[앤드류 슬리먼 / 모건스탠리 선임 포트폴리오 매니저 : 지금 고려해야 할 것 중 하나는 주식시장이 이미 많은 호재를 반영했다는 것입니다. 시계를 6주 전, 4월 초로 돌려보면 시장은 18% 하락했고, 변동성 지수(VIX)는 50까지 치솟았으며, 상황이 매우 나빠질 것이라는 예상 속에 투자자들은 강한 매도세를 보였습니다. 그것은 오히려 낙관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만들어 줬죠. 저는 지금 6주 전에 비해 조금 더 신중합니다. 보통 극도의 공포가 시장에 퍼졌을 때가 지금과 같이 모든 뉴스가 호재로 받아들여질 때보다 훨씬 더 좋은 매수 시점이기 때문입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374/0000440591
https://n.news.naver.com/article/374/0000440591
Naver
[부자들의 투자노트] 모건스탠리 "이전보다 주식에 대해 더 신중"
■ 모닝벨 '부자들의 투자노트' - 고유미 외신캐스터 뉴욕증시가 이틀째 혼조세로 장을 마쳤습니다. 미중 무역 갈등 완화 기대감에 한동안 랠리가 계속되다가 숨고르기에 들어간 분위기인데요. 월가에서도 최근 들어 시장이
Forwarded from 투자의 빅 픽처를 위한 퍼즐 한 조각
엔비디아는 최신 AI 칩인 GB300 '그레이스 블랙웰'(Grace Blackwell) 1만 8000대를 휴메인에 공급한다. 그레이스 블랙웰은 사우디 내 500메가와트(MW) 규모 AI 데이터센터 구축에 투입될 예정이다.
사우디는 향후 5년간 엔비디아 GPU 수십만 개를 추가 도입하고 석유 중심 경제에서 벗어나 디지털 전환을 가속한다는 방침이다.
사우디는 엔비디아가 공급한 AI 슈퍼컴퓨터 기반으로 소버린 AI(Sovereign AI) 모델의 대규모 훈련·배포를 추진한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8251644
#엔비디아
사우디는 향후 5년간 엔비디아 GPU 수십만 개를 추가 도입하고 석유 중심 경제에서 벗어나 디지털 전환을 가속한다는 방침이다.
사우디는 엔비디아가 공급한 AI 슈퍼컴퓨터 기반으로 소버린 AI(Sovereign AI) 모델의 대규모 훈련·배포를 추진한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8251644
#엔비디아
Naver
엔비디아, 사우디 휴메인에 AI 슈퍼컴 공급·AI 팩토리 구축
엔비디아는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PIF)의 인공지능(AI) 자회사 휴메인(HUMAIN)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고 미래형 AI 팩토리 구축에 나선다고 15일 밝혔다. 엔비디아는 최신 AI 칩인 GB300 '그레이스
Forwarded from 우주방산AI로봇 아카이브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Forwarded from Yeouido Lab_여의도 톺아보기
As Nuclear Power Makes a Comeback, South Korea Emerges a Winner
https://www.bloomberg.com/news/features/2025-05-14/south-korea-nuclear-energy-is-leading-the-industry-comeback?embedded-checkout=true
https://www.bloomberg.com/news/features/2025-05-14/south-korea-nuclear-energy-is-leading-the-industry-comeback?embedded-checkout=true
Bloomberg.com
As Nuclear Power Makes a Comeback, South Korea Emerges a Winner
The country has built up the best large-scale atomic-energy industry outside China and Russia. Now it stands to reap financial and diplomatic rewards.
美 보험청, IRA 3차 약가 협상 지침 초안 공개…메디케어 파트B 약물 첫 포함
미국 보건복지부 산하 메디케어·메디케이드 서비스센터(CMS)는 12일(현지시간) 2028년부터 적용될 3차 약가 협상 대상 약물 선정 및 협상 절차에 대한 초안 지침을 공개
CMS는 이번 지침에 대해 협상 프로그램의 투명성을 높이고 공공보험인 메디케어 예산 부담이 큰 처방약을 우선적으로 선정하며, 협상된 최대 공정 가격(Maximum Fair Price, MFP)이 미국 내 제약 혁신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는 정책들이 포함. 특히 이번 지침에는 메디케어 파트B 약물이 처음으로 협상 대상에 포함
CMS는 이번 지침에서 2026년 2월 1일까지 파트B 또는 파트D 약물 중 최대 15개를 선정해 협상을 진행하고, 이들 약물에 대한 MFP는 오는 2028년 1월 1일부터 적용될 예정. 또 2026년이나 2027년에 이미 협상이 이뤄진 약물 중에서도 적응증 추가나 독점권 변경 등 시장 환경에 변화가 생긴 경우, 재협상을 통해 가격 조정은 가능하게 할 계획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5031
미국 보건복지부 산하 메디케어·메디케이드 서비스센터(CMS)는 12일(현지시간) 2028년부터 적용될 3차 약가 협상 대상 약물 선정 및 협상 절차에 대한 초안 지침을 공개
CMS는 이번 지침에 대해 협상 프로그램의 투명성을 높이고 공공보험인 메디케어 예산 부담이 큰 처방약을 우선적으로 선정하며, 협상된 최대 공정 가격(Maximum Fair Price, MFP)이 미국 내 제약 혁신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는 정책들이 포함. 특히 이번 지침에는 메디케어 파트B 약물이 처음으로 협상 대상에 포함
CMS는 이번 지침에서 2026년 2월 1일까지 파트B 또는 파트D 약물 중 최대 15개를 선정해 협상을 진행하고, 이들 약물에 대한 MFP는 오는 2028년 1월 1일부터 적용될 예정. 또 2026년이나 2027년에 이미 협상이 이뤄진 약물 중에서도 적응증 추가나 독점권 변경 등 시장 환경에 변화가 생긴 경우, 재협상을 통해 가격 조정은 가능하게 할 계획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5031
더바이오
美 보험청, IRA 3차 약가 협상 지침 초안 공개…메디케어 파트B 약물 첫 포함
[더바이오 성재준 기자] 미국 보건복지부 산하 메디케어·메디케이드 서비스센터(CMS)는 12일(현지시간) 2028년부터 적용될 3차 약가 협상 대상 약물 선정 및 협상 절차에 대한 초안 지침을 공개했다. CMS는 이번 지침에 대해 협상 프로그램의 투명성을 높이고 공공보험인 메디케어 예
2025.05.15 08:32:46
기업명: 바이넥스(시가총액: 5,122억)
보고서명: 분기보고서 (2025.03)
잠정실적 : N
매출액 : 397억(예상치 : 0억)
영업익 : 5억(예상치 : 0억)
순이익 : 0억(예상치 : 0억)
최근 실적 추이
2025.1Q 397억/ 5억/ 0억
2024.4Q 360억/ -71억/ -82억
2024.3Q 329억/ -47억/ -118억
2024.2Q 315억/ -83억/ -54억
2024.1Q 297억/ -106억/ -98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515000022
기업명: 바이넥스(시가총액: 5,122억)
보고서명: 분기보고서 (2025.03)
잠정실적 : N
매출액 : 397억(예상치 : 0억)
영업익 : 5억(예상치 : 0억)
순이익 : 0억(예상치 : 0억)
최근 실적 추이
2025.1Q 397억/ 5억/ 0억
2024.4Q 360억/ -71억/ -82억
2024.3Q 329억/ -47억/ -118억
2024.2Q 315억/ -83억/ -54억
2024.1Q 297억/ -106억/ -98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515000022
Forwarded from 피카츄 아저씨⚡️
작성자: 피카츄 아저씨 텔레그램 (t.me/pikachu_aje)
** 제보해주신 구독자님께 감사드립니다
⸻
세 줄 요약
1. 효성중공업(HICO)이 미국 멤피스 변압기 공장에 5,100만 달러를 투자하며 123명의 신규 고용을 창출합니다.
2. 2027년까지 미국 최대 전력 변압기 공급업체로 도약하겠다는 계획입니다.
3. 일론 머스크의 AI 스타트업 xAI와 변압기 공급을 위한 협력 관계도 공식화되었습니다.
⸻
🔧 공장 확장 개요
1. 효성 HICO는 5월 14일, 멤피스 공장에서 5,100만 달러 규모의 확장을 발표했습니다. 이로 인해 123명의 신규 일자리가 창출됩니다.
2. 해당 공장은 효성의 첫 미국 생산기지로, 765kV급 초대형 변압기도 생산 가능한 북미 유일의 제조시설입니다.
3. 2019년 미쓰비시로부터 인수한 이 시설은 당시 8,690만 달러 투자 및 2026년까지 400명 고용 계획을 발표한 바 있으며, 이번 추가 투자로 총 고용 인원은 500명을 넘길 전망입니다.
⸻
⚡️전력 인프라 수요 대응
1. 효성 HICO의 제이슨 닐 사장은 “2027년까지 미국 최대 전력 변압기 공급업체로 성장할 것”이라며 미국 에너지 인프라에 대한 장기적 헌신을 강조했습니다.
2. 이 시설에서 제작되는 변압기는 미국 전역의 전력망을 유지하는 핵심 장비로, 미국 10대 전력회사 중 10곳에 맞춤 설계를 제공합니다.
3. 멤피스 전력 CEO 더그 맥고원은 “전국적으로 전력망 수요가 폭증하고 있으며, 이를 감당할 변압기 확보가 필수”라고 강조했습니다. 변압기 제작에는 통상 3~5년이 소요됩니다.
⸻
🤝 xAI와 전략적 파트너십
1. 효성 HICO와 xAI(일론 머스크 설립)의 브렌트 마요는 변압기 공급 관련 LOI(의향서)를 체결했음을 확인했습니다.
2. xAI는 효성 공장 인근 3231 Paul R. Lowry Road에 위치해 있으며, 150MW급 변전소 2기 및 천연가스 터빈 설치를 추진 중입니다.
3. xAI는 추가적으로 멤피스 두 번째 부지에서 최대 1.1GW의 전력을 요구하고 있어, 효성의 변압기 공급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4. 그레이터 멤피스 상공회의소 대표는 “지역 간 협력 모델로서 훌륭한 사례”라고 평가했습니다.
⸻
💬 전력 인프라 수요가 촉진하는 미국 내 제조 부활
이번 효성의 투자는 미국 내 전력망 강화 수요에 대응하며, 현지 제조와 첨단 산업(xAI)의 결합이라는 전략적 방향을 보여줍니다. 특히 미국 내 전력 수요가 폭증하는 가운데, 초대형 변압기 제조 역량은 전력 공급 안정성과 직결되므로 향후 유틸리티 인프라 산업의 핵심 축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작성] 피카츄 아저씨
[제보] 피카츄에게 제보하기
[출처] commercialappeal
[태그] #효성중공업
🌩️도움되셨다면 스파크
🌩️제보는 블로그 게시글 통해 받고 있습니다. 구독자 분들의 의견으로 더욱 짜릿한 콘텐츠로 찾아 뵙겠습니다.
🌩️블로그는 늘 열려있으니 서로이웃 추가 주실 때 ‘텔레그램 잘 보고 있다’고만 얘기해주세요!
🌩️종목에 대한 매수, 매도 추천이 아닙니다. 투자에 대한 판단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으니 투자 참고자료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by. #피카츄아저씨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Telegram
피카츄 아저씨⚡️
피카?⚡️
(변압기, 케이블, 전력반도체, 이차전지, ESS)
Disclaimer: 본 채널에 언급한 종목을 꼭 보유한 것은 아닙니다. 보유하고 있다 하더라도, 시기에 따라 이를 매도했거나 추후 매도할 수 있습니다.
본 채널은 매수/ 매도 추천을 하지 않고, 투자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채널의 내용은 종목 및 산업에 대한 공부 내용입니다.
해당 게시물의 내용은 어떤 경우에도 법적 근거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변압기, 케이블, 전력반도체, 이차전지, ESS)
Disclaimer: 본 채널에 언급한 종목을 꼭 보유한 것은 아닙니다. 보유하고 있다 하더라도, 시기에 따라 이를 매도했거나 추후 매도할 수 있습니다.
본 채널은 매수/ 매도 추천을 하지 않고, 투자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채널의 내용은 종목 및 산업에 대한 공부 내용입니다.
해당 게시물의 내용은 어떤 경우에도 법적 근거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