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warded from 에테르의 일본&미국 리서치
BofA) 펀드매니저들의 설문조사에 의하면, 펀드매니저들은 대중 관세가 약 37%부근에서 형성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또한 투자자들의 센티먼트도 살짝 반등하고 있습니다.
또한 투자자들의 센티먼트도 살짝 반등하고 있습니다.
Forwarded from 한국경제TV 프리미엄 주식정보
✅ 미국, 사우디로부터 850조 원 규모 투자 유치 성공
- 양국, 투자와 수출 안보 협력 강화 등의 내용을 담은 전략적 경제 동반자 협정 체결
- 일론 머스크, 사우디 정부로부터 위성 인터넷 서비스인 스타링크의 항공 및 해양 사용 승인받아
- 트럼프 대통령, 시리아에 대한 제재 해제 결정
- 사우디, 미국에 4년간 6천억 달러 투자 계획이었으나 트럼프 대통령의 요구로 1조 달러로 상향 조정
- 미 백악관, 이번 투자 협정에 약 1420억 달러 상당의 방위산업 계약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우디에 미국 12개 방산기업의 최첨단 무기 시스템과 서비스 제공 예정이라 밝혀
- 구글, 오라클, 세일즈포스와 AMD, 우버 그리고 사우디의 데이터볼트가 미국과 사우디 양국에서 총 800억 달러 규모의 기술 투자 진행 계획 중이며, 특히 데이터볼트는 미국 내 AI 데이터센터 및 에너지 인프라에 200억 달러 투자 예정
- 양국, 투자와 수출 안보 협력 강화 등의 내용을 담은 전략적 경제 동반자 협정 체결
- 일론 머스크, 사우디 정부로부터 위성 인터넷 서비스인 스타링크의 항공 및 해양 사용 승인받아
- 트럼프 대통령, 시리아에 대한 제재 해제 결정
- 사우디, 미국에 4년간 6천억 달러 투자 계획이었으나 트럼프 대통령의 요구로 1조 달러로 상향 조정
- 미 백악관, 이번 투자 협정에 약 1420억 달러 상당의 방위산업 계약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우디에 미국 12개 방산기업의 최첨단 무기 시스템과 서비스 제공 예정이라 밝혀
- 구글, 오라클, 세일즈포스와 AMD, 우버 그리고 사우디의 데이터볼트가 미국과 사우디 양국에서 총 800억 달러 규모의 기술 투자 진행 계획 중이며, 특히 데이터볼트는 미국 내 AI 데이터센터 및 에너지 인프라에 200억 달러 투자 예정
Forwarded from 루팡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역사적인 6,000억 달러 규모의 미국 투자 약속 확보
트럼프 대통령은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미국에 6,000억 달러를 투자하겠다는 사우디의 약속을 발표하며, 양국 간 수십 년간 지속될 경제적 유대의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이번 투자에는 에너지 안보, 국방 산업, 기술 리더십, 글로벌 인프라 및 핵심 광물 확보 등이 포함됩니다.
주요 발표 내용
사우디 DataVolt: 미국 내 AI 데이터센터 및 에너지 인프라에 200억 달러 투자 예정
Google, Oracle, Salesforce, AMD, Uber 등: 양국에 걸쳐 총 800억 달러 규모의 첨단 기술 투자 약속
Hill International, Jacobs, Parsons, AECOM: 킹 살만 국제공항, 킹 살만 파크, The Vault, 키디야 시티 등 총 20억 달러 규모 미국 수출 프로젝트에 참여
GE Vernova: 14.2억 달러 규모 가스터빈 및 에너지 솔루션 수출
Boeing: 4.8억 달러 규모 737-8 여객기를 AviLease에 공급
Shamekh IV Solutions: 58억 달러 규모 헬스케어 투자, 미시간에 IV 수액 생산시설 설립 예정
부문별 투자 펀드:
50억 달러 규모 에너지 펀드
50억 달러 규모 항공·방산 신기술 펀드
40억 달러 규모 글로벌 스포츠 펀드
역사상 최대 규모의 미-사우디 국방 협력:
1,420억 달러 규모의 방산 판매 계약 체결, 미 국방기업 다수 참여
5대 분야 포함:
1. 공군/우주 역량
2. 미사일 방어
3. 해양/연안 안보
4. 국경 및 육군 현대화
5. 정보통신 시스템 개선
사우디 군의 아카데미, 의료서비스, 훈련 지원 강화 포함
---
양국 관계의 심화
80주년 기념: FDR 대통령과 사우디 국왕 압둘아지즈 회담 이후 양국은 80년 파트너십 유지
2023년 사우디의 미국 직접투자 95억 달러, 주로 운송·부동산·자동차 분야
2024년 미-사우디 교역 총액 259억 달러, 미국의 상품 무역수지 흑자 4.43억 달러
에너지·과학·보건 분야 협력 강화를 위한 양해각서(MOU) 다수 체결
NASA–사우디 우주청 CubeSat 프로젝트 포함: Artemis II에 CubeSat 탑재
---
트럼프 대통령은 이 거래를 통해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만들기 위한 약속을 실현하고 있으며", 이는 2017년의 사우디 투자 유치에 이어 또 하나의 기록적인 성과라고 강조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미국에 6,000억 달러를 투자하겠다는 사우디의 약속을 발표하며, 양국 간 수십 년간 지속될 경제적 유대의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이번 투자에는 에너지 안보, 국방 산업, 기술 리더십, 글로벌 인프라 및 핵심 광물 확보 등이 포함됩니다.
주요 발표 내용
사우디 DataVolt: 미국 내 AI 데이터센터 및 에너지 인프라에 200억 달러 투자 예정
Google, Oracle, Salesforce, AMD, Uber 등: 양국에 걸쳐 총 800억 달러 규모의 첨단 기술 투자 약속
Hill International, Jacobs, Parsons, AECOM: 킹 살만 국제공항, 킹 살만 파크, The Vault, 키디야 시티 등 총 20억 달러 규모 미국 수출 프로젝트에 참여
GE Vernova: 14.2억 달러 규모 가스터빈 및 에너지 솔루션 수출
Boeing: 4.8억 달러 규모 737-8 여객기를 AviLease에 공급
Shamekh IV Solutions: 58억 달러 규모 헬스케어 투자, 미시간에 IV 수액 생산시설 설립 예정
부문별 투자 펀드:
50억 달러 규모 에너지 펀드
50억 달러 규모 항공·방산 신기술 펀드
40억 달러 규모 글로벌 스포츠 펀드
역사상 최대 규모의 미-사우디 국방 협력:
1,420억 달러 규모의 방산 판매 계약 체결, 미 국방기업 다수 참여
5대 분야 포함:
1. 공군/우주 역량
2. 미사일 방어
3. 해양/연안 안보
4. 국경 및 육군 현대화
5. 정보통신 시스템 개선
사우디 군의 아카데미, 의료서비스, 훈련 지원 강화 포함
---
양국 관계의 심화
80주년 기념: FDR 대통령과 사우디 국왕 압둘아지즈 회담 이후 양국은 80년 파트너십 유지
2023년 사우디의 미국 직접투자 95억 달러, 주로 운송·부동산·자동차 분야
2024년 미-사우디 교역 총액 259억 달러, 미국의 상품 무역수지 흑자 4.43억 달러
에너지·과학·보건 분야 협력 강화를 위한 양해각서(MOU) 다수 체결
NASA–사우디 우주청 CubeSat 프로젝트 포함: Artemis II에 CubeSat 탑재
---
트럼프 대통령은 이 거래를 통해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만들기 위한 약속을 실현하고 있으며", 이는 2017년의 사우디 투자 유치에 이어 또 하나의 기록적인 성과라고 강조했습니다
Forwarded from 한국경제TV 와우글로벌 공식채널
트럼프
Piero Cingari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화요일 사우디아라비아의 대미 투자 규모가 6000억달러에 달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그는 "이번 주 아마존닷컴, 오라클, AMD, 우버 테크놀로지스, 퀄컴, 존슨앤드존슨 등 수많은 기업들과 수십억달러 규모의 상업적 계약이 체결됐다"고 덧붙였다.
6000억달러 규모의 투자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데이터볼트의 미국 기반 AI 데이터센터 및 에너지 인프라에 200억달러 투자
알파벳, 오라클, 세일즈포스, AMD, 우버 테크놀로지스, 데이터볼트의 800억달러 공동 기술 투자
GE 버노바의 142억달러 에너지 수출 패키지
보잉과 사우디 항공리스 회사 아비리스 간 48억달러 항공기 계약
샤메크 IV 솔루션스의 58억달러 헬스케어 투자(미시간 주 IV 수액 공장 포함)
AECOM, 파슨스, 제이콥스 솔루션스, 힐 인터내셔널 등 인프라 엔지니어링 기업들의 사우디 메가프로젝트 관련 20억달러 미국 서비스 수출
트럼프는 "오늘날 걸프 국가들은 이 지역 전체에 안전하고 질서 있는 사회로 가는 길을 보여주었으며, 삶의 질 향상, 경제 성장, 개인의 자유 확대, 세계 무대에서의 책임 증가를 이루고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는 사우디아라비아로부터 "역대 최대 규모"인 1420억달러의 군사장비 구매 계약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백악관은 이 패키지가 공군력 강화, 미사일 방어, 해상 안보, 국경 현대화, 정보 시스템 등 5개 핵심 분야를 포함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사우디 군사 인력 훈련과 국방 의료 서비스 지원도 포함된다.
록히드마틴과 레이시온 테크놀로지스 같은 국방 부문 기업들은 무기 계약이 공식화되면 주목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주가 더 오를 것"
트럼프는 미국 경제와 주식시장에 대한 자신감을 재확인하며 "5주 전 지금이 매수 적기라고 말했을 때 비판을 받았다. 이제는 더 이상 비판하지 않는다. 사람들이 내 말을 들었어야 했다. 하지만 주가는 더 오를 것"이라고 강조했다.
역사적 전환점
될 6000억달러 사우디 투자유치..."증시 더 오를 것"Piero Cingari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화요일 사우디아라비아의 대미 투자 규모가 6000억달러에 달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그는 "이번 주 아마존닷컴, 오라클, AMD, 우버 테크놀로지스, 퀄컴, 존슨앤드존슨 등 수많은 기업들과 수십억달러 규모의 상업적 계약이 체결됐다"고 덧붙였다.
6000억달러 규모의 투자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데이터볼트의 미국 기반 AI 데이터센터 및 에너지 인프라에 200억달러 투자
알파벳, 오라클, 세일즈포스, AMD, 우버 테크놀로지스, 데이터볼트의 800억달러 공동 기술 투자
GE 버노바의 142억달러 에너지 수출 패키지
보잉과 사우디 항공리스 회사 아비리스 간 48억달러 항공기 계약
샤메크 IV 솔루션스의 58억달러 헬스케어 투자(미시간 주 IV 수액 공장 포함)
AECOM, 파슨스, 제이콥스 솔루션스, 힐 인터내셔널 등 인프라 엔지니어링 기업들의 사우디 메가프로젝트 관련 20억달러 미국 서비스 수출
트럼프는 "오늘날 걸프 국가들은 이 지역 전체에 안전하고 질서 있는 사회로 가는 길을 보여주었으며, 삶의 질 향상, 경제 성장, 개인의 자유 확대, 세계 무대에서의 책임 증가를 이루고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는 사우디아라비아로부터 "역대 최대 규모"인 1420억달러의 군사장비 구매 계약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백악관은 이 패키지가 공군력 강화, 미사일 방어, 해상 안보, 국경 현대화, 정보 시스템 등 5개 핵심 분야를 포함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사우디 군사 인력 훈련과 국방 의료 서비스 지원도 포함된다.
록히드마틴과 레이시온 테크놀로지스 같은 국방 부문 기업들은 무기 계약이 공식화되면 주목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주가 더 오를 것"
트럼프는 미국 경제와 주식시장에 대한 자신감을 재확인하며 "5주 전 지금이 매수 적기라고 말했을 때 비판을 받았다. 이제는 더 이상 비판하지 않는다. 사람들이 내 말을 들었어야 했다. 하지만 주가는 더 오를 것"이라고 강조했다.
Forwarded from 그로쓰리서치(Growth Research) [독립리서치]
✅유럽도 테슬라 FSD 시작....?
📌시스템 주도 조향(SIM)이 2025년 9월 26일부터 유럽 연합(UN) 규정에 따라 고속도로에서 합법화될 예정
(즉, 차량이 먼저 움직이고, 사람이 이를 감독하는 방식)
이는 유럽에서 완전 자율주행(핸즈오프 주행)으로 가는 관문이 될 것
자율주행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빠르게 다가오고 있음.
📌3월에 미리 UNECE 회의 관련해서 전달드렸습니다.
✅테슬라 유럽 FSD 관련 내용 정리(UNECE)
https://t.me/growthresearch/16157
아직 100% 확정은 아니지만, 거의 확실한 상황
세부 내용
✅ 이미 확정된 사항
UNECE 규정 171의 01 시리즈 개정안은 2025년 3월, WP.29 세계자동차포럼(World Forum)에서 채택됨
UNECE 절차에 따라 채택 후 6개월이 지나면 자동 발효 → 시행일: 2025년 9월 26일
❗️ 단서 조항
계약 당사국 중 누군가가 적극적으로 반대하지 않는 한, 이 SIM 규정은 예정대로 발효됨
이 규정을 따르는 국가에는 EU, 일본, 한국 등이 포함됨
UNECE의 개정안은 일단 채택되면 특별한 이변이 없는 한 통상적으로 예정대로 진행됨
Kees Roelandschap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시스템 주도 조향(SIM)이 2025년 9월 26일부터 유럽 연합(UN) 규정에 따라 고속도로에서 합법화될 예정
(즉, 차량이 먼저 움직이고, 사람이 이를 감독하는 방식)
이는 유럽에서 완전 자율주행(핸즈오프 주행)으로 가는 관문이 될 것
자율주행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빠르게 다가오고 있음.
📌3월에 미리 UNECE 회의 관련해서 전달드렸습니다.
✅테슬라 유럽 FSD 관련 내용 정리(UNECE)
https://t.me/growthresearch/16157
아직 100% 확정은 아니지만, 거의 확실한 상황
세부 내용
✅ 이미 확정된 사항
UNECE 규정 171의 01 시리즈 개정안은 2025년 3월, WP.29 세계자동차포럼(World Forum)에서 채택됨
UNECE 절차에 따라 채택 후 6개월이 지나면 자동 발효 → 시행일: 2025년 9월 26일
❗️ 단서 조항
계약 당사국 중 누군가가 적극적으로 반대하지 않는 한, 이 SIM 규정은 예정대로 발효됨
이 규정을 따르는 국가에는 EU, 일본, 한국 등이 포함됨
UNECE의 개정안은 일단 채택되면 특별한 이변이 없는 한 통상적으로 예정대로 진행됨
Kees Roelandschap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Forwarded from 루팡
OpenAI, UAE에 새 데이터 센터 설립 예정
Microsoft의 지원을 받는 OpenAI가 아랍에미리트(UAE)에 새로운 데이터 센터를 설립할 예정이라고 The Information의 Anissa Gardizy 기자가 보도했습니다.
이 데이터 센터는 SoftBank와 함께 진행 중인 Stargate 데이터 센터 프로젝트의 일부로, ChatGPT 개발사인 OpenAI가 미국 외 지역에서의 사업 확장을 본격화하려는 움직임의 일환입니다.
https://www.theinformation.com/briefings/openai-announce-stargate-data-center-uae
Microsoft의 지원을 받는 OpenAI가 아랍에미리트(UAE)에 새로운 데이터 센터를 설립할 예정이라고 The Information의 Anissa Gardizy 기자가 보도했습니다.
이 데이터 센터는 SoftBank와 함께 진행 중인 Stargate 데이터 센터 프로젝트의 일부로, ChatGPT 개발사인 OpenAI가 미국 외 지역에서의 사업 확장을 본격화하려는 움직임의 일환입니다.
https://www.theinformation.com/briefings/openai-announce-stargate-data-center-uae
The Information
OpenAI to Announce Stargate Data Center in UAE
OpenAI is preparing to announce a new data center in the United Arab Emirates as part of its Stargate data center effort with SoftBank, according to a person with direct knowledge of the talks. The move is part of a broader push by OpenAI to grow its business…
Forwarded from 신한투자증권 제약/바이오 엄민용
"Halozyme shares tumble on downgrade and CMS draft guidance"
https://www.investing.com/news/stock-market-news/halozyme-shares-tumble-on-downgrade-and-cms-draft-guidance-93CH-4041952
Leelink에서 IRA 약가인하 초안 중 약효가 증가하지 않는 복합제의 경우 출시 0년차로 보지 않을 가능성이 있어 Halozyme의 수익전망 및 목표주가를 하향하는 보고서가 발간되었습니다.
이는 할로자임의 1세대 SC 제품인 허셉틴SC, 리툭산SC 같은 기존 IV제품들이 이미 13년 이상인 제품들의 수익이 하락할 수 있는 우려를 하는 것입니다.
[IV의 FDA 승인이 13년차 이상인 제품은 2개]
-리툭산IV 1997년 > SC도 IRA 적용 가능
-허셉틴IV 1998년 > SC도 IRA 적용 가능
[IV의 FDA 승인이 13차 미만인 제품]
-옵디보IV 2014년 > 2027년부터 가능
-다잘렉스IV 2015년 > 2028년부터 가능
-티쎈트릭IV 2016년 > 2029년부터 가능
-페스고 2020년 > 2033년부터 가능
이므로 페스고, 옵디보SC, 티쎈트릭SC, 다잘렉스SC는 IRA 약가인하 목록 포함 불가하므로 할로자임의 매출 전망 하향은 허셉틴SC, 리툭산SC만 우려가 됩니다.
https://www.investing.com/news/stock-market-news/halozyme-shares-tumble-on-downgrade-and-cms-draft-guidance-93CH-4041952
Leelink에서 IRA 약가인하 초안 중 약효가 증가하지 않는 복합제의 경우 출시 0년차로 보지 않을 가능성이 있어 Halozyme의 수익전망 및 목표주가를 하향하는 보고서가 발간되었습니다.
이는 할로자임의 1세대 SC 제품인 허셉틴SC, 리툭산SC 같은 기존 IV제품들이 이미 13년 이상인 제품들의 수익이 하락할 수 있는 우려를 하는 것입니다.
[IV의 FDA 승인이 13년차 이상인 제품은 2개]
-리툭산IV 1997년 > SC도 IRA 적용 가능
-허셉틴IV 1998년 > SC도 IRA 적용 가능
[IV의 FDA 승인이 13차 미만인 제품]
-옵디보IV 2014년 > 2027년부터 가능
-다잘렉스IV 2015년 > 2028년부터 가능
-티쎈트릭IV 2016년 > 2029년부터 가능
-페스고 2020년 > 2033년부터 가능
이므로 페스고, 옵디보SC, 티쎈트릭SC, 다잘렉스SC는 IRA 약가인하 목록 포함 불가하므로 할로자임의 매출 전망 하향은 허셉틴SC, 리툭산SC만 우려가 됩니다.
Investing.com
Halozyme shares tumble on downgrade and CMS draft guidance By Investing.com
Forwarded from 신한투자증권 제약/바이오 엄민용
에버코어 ISI, CMS 지침 초안에도 할로자임 ’Outperform’ 유지 - "에버코어 ISI, CMS 지침 초안에도 할로자임 ’Outperform’ 유지"
https://kr.investing.com/news/analyst-ratings/article-93CH-1477892
화요일, Evercore ISI는 **Halozyme Therapeutics(NASDAQ: HALO)**에 대해 ‘아웃퍼폼(Outperform)’ 등급을 재확인했습니다. 이는 미국 메디케어·메디케이드 서비스센터(CMS)가 발표한 2028 회계연도 초안 가이드라인 발표 이후에 이뤄졌습니다. 해당 초안은 Medicare Part B 약물에 대한 새로운 기준을 도입했으며, 이로 인해 Halozyme이 개발한 고정용량복합제(FDC) 제품도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CMS의 이번 초안은, FDC 내 활성 성분이 질병에 대해 생물학적으로 활성을 가져야 하며,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입증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는 2023년 6월 발표된 Part D 최종 규정과는 다른 방향으로, 당시에는 두 개의 활성 성분을 가진 FDC 제품을 각각의 단일소스(single-source) 제품으로 취급했기 때문입니다. 이 변화는 업계 내에서 논의를 촉발하고 있으며, 공개 의견 접수 기간은 6월 26일까지입니다.
**Halozyme의 주요 제품인 히알루로니다제(hyaluronidase)**는 타 약물의 생체이용률을 증가시키는 보조제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현재 논쟁은 히알루로니다제가 직접적인 치료 효과를 갖는지, 아니면 단순한 약물 전달 보조제인지에 집중되고 있습니다.
PALOMA-3 임상 데이터에서는 피하주사(subcutaneous) 방식의 amivantamab가 정맥주사(IV) 방식보다 생존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우위를 보이고, 주입 관련 부작용도 줄였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이는 히알루로니다제의 직접적 치료 효과를 지지하는 증거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Halozyme 측은 림프구 이동 증가를 히알루로니다제의 대체 작용 기전으로 제시하며, 이는 Dr. CJ Porter의 전임상 연구 결과로 뒷받침됩니다.
CMS의 최종 결정은 아직 내려지지 않았으며, 이에 따라 Halozyme은 자사 제품의 효능 강화에 대한 추가적인 증거를 제출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현재 Halozyme 주식은 주가수익비율(P/E) 13배로 거래 중이며, 지난 1년간 52%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InvestingPro의 분석에 따르면, 현 주가는 저평가된 상태로 평가됩니다. 보다 상세한 Halozyme의 밸류에이션과 성장 전망(총 12개의 ProTip 포함)은 InvestingPro 플랫폼의 전문 리서치 보고서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한편, Halozyme는 2025년 1분기 실적을 발표했으며, 수익은 2억 6,5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35% 증가, 비-GAAP 기준 주당순이익(EPS)은 1.11달러로 예측치를 상회했습니다. 이는 로열티 수익 증가와 10개 신제품 출시의 영향을 받은 결과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Leerink Partners는 CMS의 새로운 초안 가이드라인으로 인해 복합제 제품의 가격 협상 압력이 커질 가능성을 우려하여 등급을 ‘시장수익률 이하(Underperform)’로 하향 조정했습니다. 해당 초안은 2028년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하에서 약가 보호 조항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반면, Benchmark는 ‘보유(Hold)’ 등급을 유지하며 목표주가를 75달러로 제시했고, TD Cowen은 ‘매수(Buy)’ 의견을 유지하며 목표주가를 79달러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TD Cowen은 Halozyme의 강력한 실적과 전략적 활동을 향후 성장 가능성의 핵심 요인으로 평가했습니다.
투자자들은 규제 리스크가 Halozyme의 중장기 전략에 미칠 영향에 주목하며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https://kr.investing.com/news/analyst-ratings/article-93CH-1477892
화요일, Evercore ISI는 **Halozyme Therapeutics(NASDAQ: HALO)**에 대해 ‘아웃퍼폼(Outperform)’ 등급을 재확인했습니다. 이는 미국 메디케어·메디케이드 서비스센터(CMS)가 발표한 2028 회계연도 초안 가이드라인 발표 이후에 이뤄졌습니다. 해당 초안은 Medicare Part B 약물에 대한 새로운 기준을 도입했으며, 이로 인해 Halozyme이 개발한 고정용량복합제(FDC) 제품도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CMS의 이번 초안은, FDC 내 활성 성분이 질병에 대해 생물학적으로 활성을 가져야 하며,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입증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는 2023년 6월 발표된 Part D 최종 규정과는 다른 방향으로, 당시에는 두 개의 활성 성분을 가진 FDC 제품을 각각의 단일소스(single-source) 제품으로 취급했기 때문입니다. 이 변화는 업계 내에서 논의를 촉발하고 있으며, 공개 의견 접수 기간은 6월 26일까지입니다.
**Halozyme의 주요 제품인 히알루로니다제(hyaluronidase)**는 타 약물의 생체이용률을 증가시키는 보조제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현재 논쟁은 히알루로니다제가 직접적인 치료 효과를 갖는지, 아니면 단순한 약물 전달 보조제인지에 집중되고 있습니다.
PALOMA-3 임상 데이터에서는 피하주사(subcutaneous) 방식의 amivantamab가 정맥주사(IV) 방식보다 생존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우위를 보이고, 주입 관련 부작용도 줄였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이는 히알루로니다제의 직접적 치료 효과를 지지하는 증거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Halozyme 측은 림프구 이동 증가를 히알루로니다제의 대체 작용 기전으로 제시하며, 이는 Dr. CJ Porter의 전임상 연구 결과로 뒷받침됩니다.
CMS의 최종 결정은 아직 내려지지 않았으며, 이에 따라 Halozyme은 자사 제품의 효능 강화에 대한 추가적인 증거를 제출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현재 Halozyme 주식은 주가수익비율(P/E) 13배로 거래 중이며, 지난 1년간 52%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InvestingPro의 분석에 따르면, 현 주가는 저평가된 상태로 평가됩니다. 보다 상세한 Halozyme의 밸류에이션과 성장 전망(총 12개의 ProTip 포함)은 InvestingPro 플랫폼의 전문 리서치 보고서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한편, Halozyme는 2025년 1분기 실적을 발표했으며, 수익은 2억 6,5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35% 증가, 비-GAAP 기준 주당순이익(EPS)은 1.11달러로 예측치를 상회했습니다. 이는 로열티 수익 증가와 10개 신제품 출시의 영향을 받은 결과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Leerink Partners는 CMS의 새로운 초안 가이드라인으로 인해 복합제 제품의 가격 협상 압력이 커질 가능성을 우려하여 등급을 ‘시장수익률 이하(Underperform)’로 하향 조정했습니다. 해당 초안은 2028년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하에서 약가 보호 조항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반면, Benchmark는 ‘보유(Hold)’ 등급을 유지하며 목표주가를 75달러로 제시했고, TD Cowen은 ‘매수(Buy)’ 의견을 유지하며 목표주가를 79달러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TD Cowen은 Halozyme의 강력한 실적과 전략적 활동을 향후 성장 가능성의 핵심 요인으로 평가했습니다.
투자자들은 규제 리스크가 Halozyme의 중장기 전략에 미칠 영향에 주목하며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Investing.com 한국어
에버코어 ISI, CMS 지침 초안에도 할로자임 ’Outperform’ 유지 By Investing.com
Forwarded from 간절한 투자스터디카페
MSCI Small Cap Index 업데이트
편입:
카페24
디어유
에코프로머티(하향)
한국카본
HD현대마린엔진
HDC
현대오토에버
엔씨소프트(하향)
올릭스
편출:
제룡전기
코스모화학
동원시스템
덕산테코피아
에코프로에이치엔
파두
한화시스템(상향)
현대바이오
중앙첨단소재
케이씨텍
KG모빌리티
삼양식품(상향)
TCC스틸
티웨이항공
편입:
카페24
디어유
에코프로머티(하향)
한국카본
HD현대마린엔진
HDC
현대오토에버
엔씨소프트(하향)
올릭스
편출:
제룡전기
코스모화학
동원시스템
덕산테코피아
에코프로에이치엔
파두
한화시스템(상향)
현대바이오
중앙첨단소재
케이씨텍
KG모빌리티
삼양식품(상향)
TCC스틸
티웨이항공
Forwarded from 《하나 주식전략》 이재만과 이경수 (ch)
✔'25년 5월 MSCI Korea Standard Index 리뷰 발표
(하나증권 퀀트 이경수, 이철현)
⚡ 편입 종목(FIF): 삼양식품(0.55), 한화시스템(0.4)
⚡ 편출 종목: 엔씨소프트, 에코프로머티
⚡ FIF 조정: 한화오션(0.3→0.35), 우리금융지주(0.85→0.9), POSCO홀딩스(0.85→0.9), 삼성중공업(0.75→0.80), KT&G(0.75→0.8), 메리츠금융지주(0.5→0.45)
⭐ EM 내 상위 국가 비중 변화('24년 7월->'24년 11월->'25년 2월->'25년 5월)
중국: 24.2% -> 28.1% -> 29.0% -> 30.0%
인도: 19.8% -> 18.5% -> 18.0% -> 18.6%
대만: 19.0% -> 19.0% -> 19.4% -> 18.0%
한국: 11.9% -> 10.0% -> 9.2% -> 9.2%
⭐ 리밸런싱으로 인한 MSCI EM Index 내 한국증시 비중 변화: -0.028%p, 수급 약 -2249억원 감소
⭐ 수급 유입 상위 종목
삼양식품: +0.364%p, +2652억원
한화시스템: +0.302%p, +2196억원
한화오션: +0.107%p, +765억원
우리금융지주: +0.059%p, +408억원
POSCO홀딩스: +0.06%p, +398억원
삼성중공업: +0.057%p, +397억원
KT&G: +0.037%p, +246억원
⭐ 수급 유출 상위 종목
에코프로머티: -0.121%p, -882억원
메리츠금융지주: -0.136%p, -1012억원
엔씨소프트: -0.183%p, -1339억원
삼성전자: -0.272%p, -2557억원
Index Review price cutoff date: 4월 17일
리밸런싱: 5월 30일 종가
효력일: 6월 2일 시가
(하나증권 퀀트 이경수, 이철현)
⚡ 편입 종목(FIF): 삼양식품(0.55), 한화시스템(0.4)
⚡ 편출 종목: 엔씨소프트, 에코프로머티
⚡ FIF 조정: 한화오션(0.3→0.35), 우리금융지주(0.85→0.9), POSCO홀딩스(0.85→0.9), 삼성중공업(0.75→0.80), KT&G(0.75→0.8), 메리츠금융지주(0.5→0.45)
⭐ EM 내 상위 국가 비중 변화('24년 7월->'24년 11월->'25년 2월->'25년 5월)
중국: 24.2% -> 28.1% -> 29.0% -> 30.0%
인도: 19.8% -> 18.5% -> 18.0% -> 18.6%
대만: 19.0% -> 19.0% -> 19.4% -> 18.0%
한국: 11.9% -> 10.0% -> 9.2% -> 9.2%
⭐ 리밸런싱으로 인한 MSCI EM Index 내 한국증시 비중 변화: -0.028%p, 수급 약 -2249억원 감소
⭐ 수급 유입 상위 종목
삼양식품: +0.364%p, +2652억원
한화시스템: +0.302%p, +2196억원
한화오션: +0.107%p, +765억원
우리금융지주: +0.059%p, +408억원
POSCO홀딩스: +0.06%p, +398억원
삼성중공업: +0.057%p, +397억원
KT&G: +0.037%p, +246억원
⭐ 수급 유출 상위 종목
에코프로머티: -0.121%p, -882억원
메리츠금융지주: -0.136%p, -1012억원
엔씨소프트: -0.183%p, -1339억원
삼성전자: -0.272%p, -2557억원
Index Review price cutoff date: 4월 17일
리밸런싱: 5월 30일 종가
효력일: 6월 2일 시가
Forwarded from 다올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안녕하세요, 다올 반도체 담당 고영민 입니다.
그간 업종에 대한 저희 의견은 박스권 횡보 였습니다. 매크로 이슈가 아니더라도 업종 멀티플 확장을 만들기는 어려운 국면이며, 이유는 추가적인 수요 레벨 확장 모멘텀의 부재였습니다.
그러나 하반기를 기점으로 박스권을 탈피하며, 23-24년과 같은 추세적 확장을 기대합니다.
배경은 B2B(Physical) AI의 개화입니다. 물리 데이터를 다룰 수 있는 모델에 대한 학습/추론 수요가 하드웨어 수요로 본격 연결될 전망이며, 특히 이미 해당 양상은 지표로 확인되고 있다는 점이 핵심입니다.
해당 수요가 투자자들에게 확인될 수 있는 지표가 무엇일지를 금번 자료를 통해 고민해 보았고, 답은 NVIDIA의 DGX 클라우드 및 CSP 클라우드 캐파입니다.
특히 Google이 발표하는 상세 지표를 통해서 과거와 비교가 가능한데, 현재 보유 공간 내 잔여 캐파 비율은 30% 수준으로 과거 최저치 수준에 근접한 숏티지 상태 입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인프라 투자가 2H25~26년 가속화되며, 예상 수준을 상회하는 하드웨어 수요 확대 흐름이 지속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과거 상저하고 Case 중 19년과 매우 유사한 모습이며, 2H19와 동일하게 2H25는 매크로 변동성에서도 업종의 상대적 강세 흐름이 재현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관련 세부 내용, 자료 참고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다올투자증권 반도체/소부장 고영민, 김연미]
반도체/소부장 2H25 전망
- AI를 알아야 Cycle이 보인다
▶️ 2H25 전망 - 상저하고!
- 상저하고의 조건은 ①1H 매크로 불확실성/우려 심화 후 2H Flat 혹은 회복 기미 포착, ②1H Valuation 저점 횡보, ③2H 구조적 업황 개선 요인 포착
- 2H25의 관건은 ③요인이며, B2B(Physical) AI 개화가 중요
▶️ 26년 초대형 수요 Cycle 진입
- 현재 유의미한 Physical AI 플랫폼은 NVIDIA의 Cosmos와 PhysicsNeMo
- 개발자들이 최적의 환경에서 구동하는 방법은 NVIDIA DGX 클라우드를 사용하는 것
- 기존 B2C 서비스 추론 수요와 B2B DGX 클라우드 수요 → CSP의 캐파 숏티지로 연결
- CSP의 강한 인프라 투자는 26년에도 지속
▶️ 투자전략
- 19년과 마찬가지로 하반기 반도체 업종은 강한 Outperform 예상
- B2B AI 수요에 대한 파악할 수 있는 주요 지표는 7말8초 CSP 실적 발표를 통해 확인
- 최선호주 SK하이닉스, 와이씨켐, 주성엔지니어링, 에스티아이 의견 유지
▶️ 목차
Ⅰ. Summary & Focus Chart
Ⅱ. 상저하고의 조건
-1. 과거 20년의 반등의 역사에서 찾는 힌트
-2. 25년의 매크로 & 업종 모멘텀
-3. 26년 상저하고를 위한 전제조건 - 구조적 모멘텀(=B2B AI) 개화
Ⅲ. B2B(Physical) AI 이해하기
-1. LLM의 원리와 발전 과정
-2. 물리 영역에서 한계를 마주한 LLM, 새로운 기술 진보 시작
-3. 현실에서의 또 다른 대안, NVIDIA Cosmos
-4. 결론 - AI 모델 진화 경로 5단계
Ⅳ. 2H25, 다시 NVIDIA
-1. 주도권은 다시 NVIDIA에게로
-2. B2B AI 수요는 어떻게 확인? NVIDIA DGX Cloud Capa가 단서!
-3. 2H25 체크포인트 - CSP Cloud 캐파 숏티지
Ⅴ. 투자전략
-1. 대형주 - 23~24년 Multiple 확장 재현
-2. 중소형주 - 바스켓과 압축의 조화
Ⅵ. 종목별 투자의견
- SK하이닉스: 박스권을 탈피할 2H25
- 삼성전자: 또 한번 증명해야 할 시기 도래
- 와이씨켐: 본격 성장 궤도 진입
- 주성엔지니어링: 새로운 영역으로 올라서는
- 에스티아이: 다시 모아갈 시기
📑 자료: https://buly.kr/Chonamb
*컴플라이언스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그간 업종에 대한 저희 의견은 박스권 횡보 였습니다. 매크로 이슈가 아니더라도 업종 멀티플 확장을 만들기는 어려운 국면이며, 이유는 추가적인 수요 레벨 확장 모멘텀의 부재였습니다.
그러나 하반기를 기점으로 박스권을 탈피하며, 23-24년과 같은 추세적 확장을 기대합니다.
배경은 B2B(Physical) AI의 개화입니다. 물리 데이터를 다룰 수 있는 모델에 대한 학습/추론 수요가 하드웨어 수요로 본격 연결될 전망이며, 특히 이미 해당 양상은 지표로 확인되고 있다는 점이 핵심입니다.
해당 수요가 투자자들에게 확인될 수 있는 지표가 무엇일지를 금번 자료를 통해 고민해 보았고, 답은 NVIDIA의 DGX 클라우드 및 CSP 클라우드 캐파입니다.
특히 Google이 발표하는 상세 지표를 통해서 과거와 비교가 가능한데, 현재 보유 공간 내 잔여 캐파 비율은 30% 수준으로 과거 최저치 수준에 근접한 숏티지 상태 입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인프라 투자가 2H25~26년 가속화되며, 예상 수준을 상회하는 하드웨어 수요 확대 흐름이 지속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과거 상저하고 Case 중 19년과 매우 유사한 모습이며, 2H19와 동일하게 2H25는 매크로 변동성에서도 업종의 상대적 강세 흐름이 재현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관련 세부 내용, 자료 참고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다올투자증권 반도체/소부장 고영민, 김연미]
반도체/소부장 2H25 전망
- AI를 알아야 Cycle이 보인다
▶️ 2H25 전망 - 상저하고!
- 상저하고의 조건은 ①1H 매크로 불확실성/우려 심화 후 2H Flat 혹은 회복 기미 포착, ②1H Valuation 저점 횡보, ③2H 구조적 업황 개선 요인 포착
- 2H25의 관건은 ③요인이며, B2B(Physical) AI 개화가 중요
▶️ 26년 초대형 수요 Cycle 진입
- 현재 유의미한 Physical AI 플랫폼은 NVIDIA의 Cosmos와 PhysicsNeMo
- 개발자들이 최적의 환경에서 구동하는 방법은 NVIDIA DGX 클라우드를 사용하는 것
- 기존 B2C 서비스 추론 수요와 B2B DGX 클라우드 수요 → CSP의 캐파 숏티지로 연결
- CSP의 강한 인프라 투자는 26년에도 지속
▶️ 투자전략
- 19년과 마찬가지로 하반기 반도체 업종은 강한 Outperform 예상
- B2B AI 수요에 대한 파악할 수 있는 주요 지표는 7말8초 CSP 실적 발표를 통해 확인
- 최선호주 SK하이닉스, 와이씨켐, 주성엔지니어링, 에스티아이 의견 유지
▶️ 목차
Ⅰ. Summary & Focus Chart
Ⅱ. 상저하고의 조건
-1. 과거 20년의 반등의 역사에서 찾는 힌트
-2. 25년의 매크로 & 업종 모멘텀
-3. 26년 상저하고를 위한 전제조건 - 구조적 모멘텀(=B2B AI) 개화
Ⅲ. B2B(Physical) AI 이해하기
-1. LLM의 원리와 발전 과정
-2. 물리 영역에서 한계를 마주한 LLM, 새로운 기술 진보 시작
-3. 현실에서의 또 다른 대안, NVIDIA Cosmos
-4. 결론 - AI 모델 진화 경로 5단계
Ⅳ. 2H25, 다시 NVIDIA
-1. 주도권은 다시 NVIDIA에게로
-2. B2B AI 수요는 어떻게 확인? NVIDIA DGX Cloud Capa가 단서!
-3. 2H25 체크포인트 - CSP Cloud 캐파 숏티지
Ⅴ. 투자전략
-1. 대형주 - 23~24년 Multiple 확장 재현
-2. 중소형주 - 바스켓과 압축의 조화
Ⅵ. 종목별 투자의견
- SK하이닉스: 박스권을 탈피할 2H25
- 삼성전자: 또 한번 증명해야 할 시기 도래
- 와이씨켐: 본격 성장 궤도 진입
- 주성엔지니어링: 새로운 영역으로 올라서는
- 에스티아이: 다시 모아갈 시기
📑 자료: https://buly.kr/Chonamb
*컴플라이언스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Forwarded from DAOL 시황 김지현 & 경제/전략 조병현
공화당 하원, 감세 및 세제 개편안 공개
해당 법안은 주·지방세 공제(SALT) 한도를 상향 조정, 전기차 및 청정에너지 투자에 대한 세금 혜택 축소, 부유층 및 대기업을 위한 추가 감세 및 트럼프 대통령의 2017년 감세 조치 중 일부를 영구 연장하는 내용을 포함.
이번 세제 개편안은 공화당의 핵심 공약 이행을 위한 시도로, 향후 트럼프식 감세 정책의 영속화를 목표로 하고 있음.
의회는 이번 주 세부 검토에 착수, 공화당 지도부는 가능한 한 빨리 하원에서 통과시켜 7월 중 트럼프 대통령의 서명을 받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
다만 공화당 내부에서도 복지 예산 삭감과 저소득층 혜택 축소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존재. 특히 일부 중도파 의원들은 메디케어 삭감, 법인세 감면 확대 등 항목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는 상황
주요 내용:
- 팁 및 초과근무 수당 세금 폐지: 2025년부터 팁을 받는 근로자들에 적용, 우버 기사 등 자영업 종사자도 대상 포함. 2028년 만료 예정
- 노년층 추가 공제: 65세 이상 납세자 대상 4,000달러 추가 공제 제공
- MAGA 계좌 신설: 연간 최대 5,000달러 투자할 수 있는 저소득층을 위한 세금우대 저축 계좌로, 2028년부터 연간 1,000달러 공제 가능
- 사업체 세액공제율 상향 (패스스루 제도): 개인사업자 등 법인세를 직접 내지 않는 사업체의 세액 공제율을 20%에서 23%로 상향 및 해당 공제 영구화
- 전기차 세제 혜택 축소: 중고 전기차 및 상용 전기차에 대한 공제 2025년 만료 예정. 2031년까지 청정에너지 생산 세액 공제 단계적 폐지
- 기부재단 및 대학 기금 세율 인상: 일부 재단 및 대학교는 기존 1.4%에서 최대 21%까지 인상
- 해외 송금세 도입: 외국으로 송금 시 5% 세금 부과, 해외 거주 미국 시민권자는 적용 예외
https://www.nytimes.com/2025/05/12/business/republicans-tax-bill-trump.html?searchResultPosition=1
https://www.wsj.com/politics/policy/republican-tax-plan-boosts-salt-deduction-ends-green-energy-breaks-57bc922c
해당 법안은 주·지방세 공제(SALT) 한도를 상향 조정, 전기차 및 청정에너지 투자에 대한 세금 혜택 축소, 부유층 및 대기업을 위한 추가 감세 및 트럼프 대통령의 2017년 감세 조치 중 일부를 영구 연장하는 내용을 포함.
이번 세제 개편안은 공화당의 핵심 공약 이행을 위한 시도로, 향후 트럼프식 감세 정책의 영속화를 목표로 하고 있음.
의회는 이번 주 세부 검토에 착수, 공화당 지도부는 가능한 한 빨리 하원에서 통과시켜 7월 중 트럼프 대통령의 서명을 받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
다만 공화당 내부에서도 복지 예산 삭감과 저소득층 혜택 축소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존재. 특히 일부 중도파 의원들은 메디케어 삭감, 법인세 감면 확대 등 항목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는 상황
주요 내용:
- 팁 및 초과근무 수당 세금 폐지: 2025년부터 팁을 받는 근로자들에 적용, 우버 기사 등 자영업 종사자도 대상 포함. 2028년 만료 예정
- 노년층 추가 공제: 65세 이상 납세자 대상 4,000달러 추가 공제 제공
- MAGA 계좌 신설: 연간 최대 5,000달러 투자할 수 있는 저소득층을 위한 세금우대 저축 계좌로, 2028년부터 연간 1,000달러 공제 가능
- 사업체 세액공제율 상향 (패스스루 제도): 개인사업자 등 법인세를 직접 내지 않는 사업체의 세액 공제율을 20%에서 23%로 상향 및 해당 공제 영구화
- 전기차 세제 혜택 축소: 중고 전기차 및 상용 전기차에 대한 공제 2025년 만료 예정. 2031년까지 청정에너지 생산 세액 공제 단계적 폐지
- 기부재단 및 대학 기금 세율 인상: 일부 재단 및 대학교는 기존 1.4%에서 최대 21%까지 인상
- 해외 송금세 도입: 외국으로 송금 시 5% 세금 부과, 해외 거주 미국 시민권자는 적용 예외
https://www.nytimes.com/2025/05/12/business/republicans-tax-bill-trump.html?searchResultPosition=1
https://www.wsj.com/politics/policy/republican-tax-plan-boosts-salt-deduction-ends-green-energy-breaks-57bc922c
NY Times
‘MAGA Accounts’ and No Tax on Tips: Republicans Plan to Inject Trump Into Tax Code
House Republicans on Monday outlined their plans for a far-reaching tax bill that would deliver on several of President Trump’s campaign pledges — for now.
Forwarded from 루팡
일론 머스크
"다음 주 스타십 비행 직전에, 텍사스 스타베이스에서 화성 계획(Mars game plan)에 대해 설명하는 회사 설명회를 가질 예정이며, 이 설명회는 X에서 생중계될 것입니다."
"다음 주 스타십 비행 직전에, 텍사스 스타베이스에서 화성 계획(Mars game plan)에 대해 설명하는 회사 설명회를 가질 예정이며, 이 설명회는 X에서 생중계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