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warded from [하나 Global ETF] 박승진 (박승진 하나증권)
» 미국 4월 NFIB 소기업 낙관지수는 95.8pt로 발표되어 시장 예상치(95.0pt)를 소폭 상회했으나, 하락 추세는 지속
» 이는 공화당 지지층의 균열 시그널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정책 강도 완화의 잠재적 요인 중 하나로 작용할 가능성
» 이는 공화당 지지층의 균열 시그널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정책 강도 완화의 잠재적 요인 중 하나로 작용할 가능성
2025년 5월 14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미 정부가 UAE에 GPU 대량구매를 허용할 것으로 전해지며 엔비디아가 5.6% 올랐습니다.
(2) 미 4월 CPI가 2.3% 올라 예상 2.4%를 밑돌았고 VIX는 18%까지 내렸습니다.
(3) 우버 로블록스 등 소프트웨어 주식들이 52주 신고가를 경신했습니다.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72%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412.92원 (-2.88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세줄요약
(1) 미 정부가 UAE에 GPU 대량구매를 허용할 것으로 전해지며 엔비디아가 5.6% 올랐습니다.
(2) 미 4월 CPI가 2.3% 올라 예상 2.4%를 밑돌았고 VIX는 18%까지 내렸습니다.
(3) 우버 로블록스 등 소프트웨어 주식들이 52주 신고가를 경신했습니다.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72%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412.92원 (-2.88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Telegram
Rafiki Research
Global macro research
Forwarded from 사제콩이_서상영
05/14 나스닥, 중동 방문한 트럼프와 엔비디아 등 많은 기업들의 발표에 힘입어 상승
미 증시는 안정된 물가와 전일 급등에 따른 매물 소화하며 보합권 출발한 가운데 트럼프가 대규모 감세를 언급하는 등 중동에서의 발언에 힘입어 상승 확대. 특히 사우디-미국 투자 포럼에서 엔비디아(+5.63%), 팔란티어(+8.14%)등 많은 기업들이 투자 협력을 발표하며 큰 폭으로 상승하는 등 중동에서의 소식이 시장에 영향. 다만, 헬스케어와 필수 소비재 업종이 하락하는 등 차별화는 여전히 진행(다우 -0.64%, 나스닥 +1.61%, S&P500 +0.72%, 러셀2000 +0.49%,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3.15%)
*변화요인: 트럼프, 하원, 반도체, 소비자 물가지수
사우디 왕세자가 미국에 1조 달러 규모로 투자를 확대할 수 있다는 소식이 전해진 가운데 중동을 방문중인 트럼프가 연설을 통해 미 의회가 역사상 가장 큰 감세와 규제 완화를 통과시킬 것이라고 발표. 특히 이를 통해 미국 경제와 주식시장이 ‘로켓쉽’같은 속도로 개선 될 것이라고 주장. 주식시장에 대해서도 주식을 매수하기 좋은 시간이라고 언급하며 더 많은 상승을 이어갈 것이라고 주장.
한편, 전일 하원 세입세출위원회는 세금 관련 법안 초안을 발표. 'THE ONE, BIG, BEAUTIFUL BILL'로 불리며, 1) 팁과 초과근무수당 공제와 자동차 구매자 세금 공제 등 세금 감면 확대, 2) 트럼프가 제안한 고소득자 세율 인상이 제외돼 고소득자 세율 유지, 3) 메디케어 축소 등 복지 지출 삭감, 4) 청정에너지 지원 축소 등이 담겨 있음. 공화당 내부 보수 성향 위원들은 복지 지출 삭감이 충분하지 않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민주당은 저소득층과 청정에너지 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며 반대 중. 주중 하원 통과 여부에 주목.
이런 가운데 이번 트럼프의 중동 방문에 동반한 엔비디아(+5.63%), 테슬라(+4.93%), 팔란티어(+8.14%), OpenAI등 많은 기업들이 '사우디-미국 투자 포럼'을 통해 자사의 기술을 선보이고 사우디 등의 투자를 반영하며 강세를 보이자 주식시장에 긍정적인 영향. 특히 엔비디아는 사우디 AI 기업인 휴메인에 데이터센터 투자와 관련 반도체 공급 소식에 크게 상승. 여기에 트럼프 행정부가 UAE에 100만개 이상의 고급 AI 칩 수출 허용 검토, OpenAI의 데이터 센터 설립 언급 소식도 반도체 기업들의 상승을 견인
한편, 소비자물가지수가 발표됐는데 전월 대비 -0.05%에서 0.22% 상승을 보임. 시장 예상(+0.3%)보다 낮은 수준. 근원 소비자 물가지수는 전월 대비 0.06%에서 0.24% 상승. 대체로 물가가 관세 부과에도 안정. 다만 핵심 서비스가 0.11%에서 0.29%로 상승한 가운데 시장에서는 6,7월로 넘어가면 관세 영향으로 물가 상승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 그럼에도 물가 안정이 진행되고 있다는 점에서 달러화가 약세를, 국채 금리는 발표 직후 제한적인 하락. 한편, 국채 금리는 장중 10년물 기준 4.5%를 넘어서기도 했는데, 이는 일부 모멘텀 투자를 하는 CTA 펀드가 장기물을 매도하는 등 수급에 의한 결과로 추정돼 물가 영향은 제한. 주식시장에 대한 영향 또한 제한.
미 증시는 안정된 물가와 전일 급등에 따른 매물 소화하며 보합권 출발한 가운데 트럼프가 대규모 감세를 언급하는 등 중동에서의 발언에 힘입어 상승 확대. 특히 사우디-미국 투자 포럼에서 엔비디아(+5.63%), 팔란티어(+8.14%)등 많은 기업들이 투자 협력을 발표하며 큰 폭으로 상승하는 등 중동에서의 소식이 시장에 영향. 다만, 헬스케어와 필수 소비재 업종이 하락하는 등 차별화는 여전히 진행(다우 -0.64%, 나스닥 +1.61%, S&P500 +0.72%, 러셀2000 +0.49%,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3.15%)
*변화요인: 트럼프, 하원, 반도체, 소비자 물가지수
사우디 왕세자가 미국에 1조 달러 규모로 투자를 확대할 수 있다는 소식이 전해진 가운데 중동을 방문중인 트럼프가 연설을 통해 미 의회가 역사상 가장 큰 감세와 규제 완화를 통과시킬 것이라고 발표. 특히 이를 통해 미국 경제와 주식시장이 ‘로켓쉽’같은 속도로 개선 될 것이라고 주장. 주식시장에 대해서도 주식을 매수하기 좋은 시간이라고 언급하며 더 많은 상승을 이어갈 것이라고 주장.
한편, 전일 하원 세입세출위원회는 세금 관련 법안 초안을 발표. 'THE ONE, BIG, BEAUTIFUL BILL'로 불리며, 1) 팁과 초과근무수당 공제와 자동차 구매자 세금 공제 등 세금 감면 확대, 2) 트럼프가 제안한 고소득자 세율 인상이 제외돼 고소득자 세율 유지, 3) 메디케어 축소 등 복지 지출 삭감, 4) 청정에너지 지원 축소 등이 담겨 있음. 공화당 내부 보수 성향 위원들은 복지 지출 삭감이 충분하지 않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민주당은 저소득층과 청정에너지 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며 반대 중. 주중 하원 통과 여부에 주목.
이런 가운데 이번 트럼프의 중동 방문에 동반한 엔비디아(+5.63%), 테슬라(+4.93%), 팔란티어(+8.14%), OpenAI등 많은 기업들이 '사우디-미국 투자 포럼'을 통해 자사의 기술을 선보이고 사우디 등의 투자를 반영하며 강세를 보이자 주식시장에 긍정적인 영향. 특히 엔비디아는 사우디 AI 기업인 휴메인에 데이터센터 투자와 관련 반도체 공급 소식에 크게 상승. 여기에 트럼프 행정부가 UAE에 100만개 이상의 고급 AI 칩 수출 허용 검토, OpenAI의 데이터 센터 설립 언급 소식도 반도체 기업들의 상승을 견인
한편, 소비자물가지수가 발표됐는데 전월 대비 -0.05%에서 0.22% 상승을 보임. 시장 예상(+0.3%)보다 낮은 수준. 근원 소비자 물가지수는 전월 대비 0.06%에서 0.24% 상승. 대체로 물가가 관세 부과에도 안정. 다만 핵심 서비스가 0.11%에서 0.29%로 상승한 가운데 시장에서는 6,7월로 넘어가면 관세 영향으로 물가 상승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 그럼에도 물가 안정이 진행되고 있다는 점에서 달러화가 약세를, 국채 금리는 발표 직후 제한적인 하락. 한편, 국채 금리는 장중 10년물 기준 4.5%를 넘어서기도 했는데, 이는 일부 모멘텀 투자를 하는 CTA 펀드가 장기물을 매도하는 등 수급에 의한 결과로 추정돼 물가 영향은 제한. 주식시장에 대한 영향 또한 제한.
뉴욕증시, 기술주는 웃고 우량주는 울고…혼조 마감 | 연합뉴스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혼조 양상을 보였다.
미·중 무역협상 결과로 낙관론이 지배하는 가운데 미국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양호하게 나오면서 투자 심리는 유지됐다.
엔비디아가 사우디아라비아에 대규모로 납품한다는 소식이 기술주를 끌어올렸다.
반면 유나이티드헬스그룹이 실적 전망치를 철회한 여파로 의료건강 업종이 타격을 입으면서 우량주 위주의 다우존스지수는 내리막을 걸었다.
한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날 사우디에 도착해 나흘간의 중동 순방 일정에 돌입했다. 백악관은 사우디가 미국에 총 6천억달러 규모의 투자를 단행할 것이라고 밝혔다.기술주는 엔비디아 호재가 탄력을 제공했다.
엔비디아는 사우디에 자사의 최신 인공지능(AI) 칩 'GB300 블랙웰'을 사우디 기업 휴메인에 1만8천개 이상 판매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이 같은 소식에 엔비디아 주가는 5.78% 뛰었다.
반면 미국 최대 건강보험사인 유나이티드헬스는 최고경영자(CEO) 교체 소식과 함께 올해 실적 가이던스를 철회한다고 밝히면서 주가가 18% 급락했다. 올해 의료비 지출이 예상보다 크게 늘어난 점이 가이던스 철회로 이어졌다.
https://www.yna.co.kr/view/AKR20250514008700009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혼조 양상을 보였다.
미·중 무역협상 결과로 낙관론이 지배하는 가운데 미국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양호하게 나오면서 투자 심리는 유지됐다.
엔비디아가 사우디아라비아에 대규모로 납품한다는 소식이 기술주를 끌어올렸다.
반면 유나이티드헬스그룹이 실적 전망치를 철회한 여파로 의료건강 업종이 타격을 입으면서 우량주 위주의 다우존스지수는 내리막을 걸었다.
한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날 사우디에 도착해 나흘간의 중동 순방 일정에 돌입했다. 백악관은 사우디가 미국에 총 6천억달러 규모의 투자를 단행할 것이라고 밝혔다.기술주는 엔비디아 호재가 탄력을 제공했다.
엔비디아는 사우디에 자사의 최신 인공지능(AI) 칩 'GB300 블랙웰'을 사우디 기업 휴메인에 1만8천개 이상 판매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이 같은 소식에 엔비디아 주가는 5.78% 뛰었다.
반면 미국 최대 건강보험사인 유나이티드헬스는 최고경영자(CEO) 교체 소식과 함께 올해 실적 가이던스를 철회한다고 밝히면서 주가가 18% 급락했다. 올해 의료비 지출이 예상보다 크게 늘어난 점이 가이던스 철회로 이어졌다.
https://www.yna.co.kr/view/AKR20250514008700009
연합뉴스
뉴욕증시, 기술주는 웃고 우량주는 울고…혼조 마감 | 연합뉴스
(뉴욕=연합뉴스) 진정호 연합인포맥스 특파원 =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혼조 양상을 보였다.
Forwarded from BUYagra
미국증시 나스닥 상승 마감
-Nasdaq +1.67%, S&P500 +0.72%, DJIA -0.64%
-미국 하원 세금 관련 법안 초안 공개. 이번주 통과여부
-중국 보잉 항공기 인도 금지 중단 -> 관세협상 이후 좋은 모습
-US 4월 CPI 기대치 히회하면서 시장 안도 (수치는 위 참고)
-사우디아라비아 미국에 테크와 방산 펀드에 집중해서 $600bn (750조원) 투자 발표 -> 미국 테크 기업들 상승
-United Health 급락하면서 DJIA 지수는 부진 (-16%, CEO사임 및 연간 가이던스 비용 증가로 인해 일부 철회)
-Nvidia +5.6%, 사우디에 18,000개의 최고사양 AI칩 수출 소식에 급등 (500MW 데이터 센터의 용량) -> Broadcom +4.8%, AMD +4%, Micron +5% 동반 상승
-필라델피아반도체 지수 +3.5%
-Palantir +8% 신고가 경신
-Coinbase +23%, S&P500 편입
-Tesla +4.9%
-Joby Aviation +23%, 지난분기 선실 기대치 대비 축소 / 첫 Midnight 항공기 UAE에 인도하고, 2025년 하반기에 상업적 배치 시작 계획 재확인 / 수주 확대
-태양광 상승: 하원 보조금 폐지 ‘29년 이후로 정책 변경에 상승
-On Holdings +11%, 실적기대치 상회 (신빌 매출이 +51%) 및 연간 매출 가이던스도 소폭 상향
-Rigetti Computing -14%, 지난 분기 매출 기대치 많이 밑돌아
긍정적인 내용들이 많았네👍👍👍
-Nasdaq +1.67%, S&P500 +0.72%, DJIA -0.64%
-미국 하원 세금 관련 법안 초안 공개. 이번주 통과여부
-중국 보잉 항공기 인도 금지 중단 -> 관세협상 이후 좋은 모습
-US 4월 CPI 기대치 히회하면서 시장 안도 (수치는 위 참고)
-사우디아라비아 미국에 테크와 방산 펀드에 집중해서 $600bn (750조원) 투자 발표 -> 미국 테크 기업들 상승
-United Health 급락하면서 DJIA 지수는 부진 (-16%, CEO사임 및 연간 가이던스 비용 증가로 인해 일부 철회)
-Nvidia +5.6%, 사우디에 18,000개의 최고사양 AI칩 수출 소식에 급등 (500MW 데이터 센터의 용량) -> Broadcom +4.8%, AMD +4%, Micron +5% 동반 상승
-필라델피아반도체 지수 +3.5%
-Palantir +8% 신고가 경신
-Coinbase +23%, S&P500 편입
-Tesla +4.9%
-Joby Aviation +23%, 지난분기 선실 기대치 대비 축소 / 첫 Midnight 항공기 UAE에 인도하고, 2025년 하반기에 상업적 배치 시작 계획 재확인 / 수주 확대
-태양광 상승: 하원 보조금 폐지 ‘29년 이후로 정책 변경에 상승
-On Holdings +11%, 실적기대치 상회 (신빌 매출이 +51%) 및 연간 매출 가이던스도 소폭 상향
-Rigetti Computing -14%, 지난 분기 매출 기대치 많이 밑돌아
긍정적인 내용들이 많았네👍👍👍
Forwarded from 시황맨의 주식이야기
트럼프 리딩방의 위력. 시황맨
4월 9일. '주식 매수하기 좋은 시점'이라고 SNS에 올림. 이 후 주요 교역국 관세 90일 유예 결정되고 증시 급반등.
5월 8일. '지금 당장 나가서 주식을 사라.' 며칠 지나 중국 관세 유예 발표 후 증시 급반등
트럼프 1기 때인 2018년 크리스마스, '주식을 매수할 엄청난 기회' 12월 26일부터 미 증시 강력한 반등
다만. 2020년 코로나 때는 2월 말에 주식 시장이 아주 좋아 보이기 시작한다고...그런데 증시는 3월 대폭락 이 후 급반등해서..타이밍이 너무 빨랐음
4월 9일. '주식 매수하기 좋은 시점'이라고 SNS에 올림. 이 후 주요 교역국 관세 90일 유예 결정되고 증시 급반등.
5월 8일. '지금 당장 나가서 주식을 사라.' 며칠 지나 중국 관세 유예 발표 후 증시 급반등
트럼프 1기 때인 2018년 크리스마스, '주식을 매수할 엄청난 기회' 12월 26일부터 미 증시 강력한 반등
다만. 2020년 코로나 때는 2월 말에 주식 시장이 아주 좋아 보이기 시작한다고...그런데 증시는 3월 대폭락 이 후 급반등해서..타이밍이 너무 빨랐음
Forwarded from [미래에셋 채권/크레딧] 민지희, 김성신
- 중고차 가격 전월비 -0.5% 하락. 신차 가격도 보합 수준. 코어 상품 물가는 전월비 +0.1% 상승 -> 관세 영향이 아직 충분히 반영되지 않았다고 판단됨
- 코어 서비스 물가는 전월비 +0.3% 상승. 주거비 상승률 전월비 +0.3% -> 주택가격 안정 흐름 지속
- 헬스케어 서비스는 전월에 이어 +0.5% MoM 상승률 지속 -> PCE 물가 상방 압력
- 운송서비스 전월비 +0.1% 상승하며 낮은 상승세
-> 관세정책 영향이 5-6월 물가지표에 추가로 반영될 전망. 그러나 의료서비스를 제외하면 주택, 여가, 운송, 교육 등 전반적인 서비스 물가 안정세 지속 중. 수요 둔화 흐름은 디스인플레이션을 견인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
(월간전망: https://t.me/miraebond/1916 참고)
- 코어 서비스 물가는 전월비 +0.3% 상승. 주거비 상승률 전월비 +0.3% -> 주택가격 안정 흐름 지속
- 헬스케어 서비스는 전월에 이어 +0.5% MoM 상승률 지속 -> PCE 물가 상방 압력
- 운송서비스 전월비 +0.1% 상승하며 낮은 상승세
-> 관세정책 영향이 5-6월 물가지표에 추가로 반영될 전망. 그러나 의료서비스를 제외하면 주택, 여가, 운송, 교육 등 전반적인 서비스 물가 안정세 지속 중. 수요 둔화 흐름은 디스인플레이션을 견인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
(월간전망: https://t.me/miraebond/1916 참고)
Telegram
[미래에셋 채권/크레딧] 민지희, 김성신
250430_[5월] 성장 둔화와 통화정책의 도움
*안녕하세요, 미래에셋증권 민지희입니다. 5월 채권시장 전망 자료 공유드립니다.
*4월 미 국채 10년 금리는 3.9~4.5% 범위에서 등락하며 높은 변동성을 보였습니다. 국고채 커브는 다소 플래트닝되며 장단기금리 모두 하락폭 확대했습니다. (4월 전략: 미국채 듀레이션 중립, 원화채권 듀레이션 확대 추천)
*5월의 키워드는 ‘성장 둔화’와 ‘금통위 통화정책의 도움’ 입니다. 1Q GDP는 한, 미…
*안녕하세요, 미래에셋증권 민지희입니다. 5월 채권시장 전망 자료 공유드립니다.
*4월 미 국채 10년 금리는 3.9~4.5% 범위에서 등락하며 높은 변동성을 보였습니다. 국고채 커브는 다소 플래트닝되며 장단기금리 모두 하락폭 확대했습니다. (4월 전략: 미국채 듀레이션 중립, 원화채권 듀레이션 확대 추천)
*5월의 키워드는 ‘성장 둔화’와 ‘금통위 통화정책의 도움’ 입니다. 1Q GDP는 한, 미…
Forwarded from [DAOL퀀트 김경훈] 탑다운 전략 (경훈 김)
# 4월 CPI - "신기할 정도로 너무 변한게 없다" 🤔
본격적인 관세 부과로 인한 물가 상승은 부재했습니다.
오히려 지난 달 보다 모든 항목에서 고르게 빠지는 더 이상적이고 안정적인 모습입니다.
Headline, Core 모두 더할 나위 없습니다.
(더 얘기하고 싶어도 특정 할꺼리 부재...😂)
RISK-ON 🔥🔥
본격적인 관세 부과로 인한 물가 상승은 부재했습니다.
오히려 지난 달 보다 모든 항목에서 고르게 빠지는 더 이상적이고 안정적인 모습입니다.
Headline, Core 모두 더할 나위 없습니다.
(더 얘기하고 싶어도 특정 할꺼리 부재...😂)
RISK-ON 🔥🔥
Forwarded from 에테르의 일본&미국 리서치
BofA) 펀드매니저들의 설문조사에 의하면, 펀드매니저들은 대중 관세가 약 37%부근에서 형성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또한 투자자들의 센티먼트도 살짝 반등하고 있습니다.
또한 투자자들의 센티먼트도 살짝 반등하고 있습니다.
Forwarded from 한국경제TV 프리미엄 주식정보
✅ 미국, 사우디로부터 850조 원 규모 투자 유치 성공
- 양국, 투자와 수출 안보 협력 강화 등의 내용을 담은 전략적 경제 동반자 협정 체결
- 일론 머스크, 사우디 정부로부터 위성 인터넷 서비스인 스타링크의 항공 및 해양 사용 승인받아
- 트럼프 대통령, 시리아에 대한 제재 해제 결정
- 사우디, 미국에 4년간 6천억 달러 투자 계획이었으나 트럼프 대통령의 요구로 1조 달러로 상향 조정
- 미 백악관, 이번 투자 협정에 약 1420억 달러 상당의 방위산업 계약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우디에 미국 12개 방산기업의 최첨단 무기 시스템과 서비스 제공 예정이라 밝혀
- 구글, 오라클, 세일즈포스와 AMD, 우버 그리고 사우디의 데이터볼트가 미국과 사우디 양국에서 총 800억 달러 규모의 기술 투자 진행 계획 중이며, 특히 데이터볼트는 미국 내 AI 데이터센터 및 에너지 인프라에 200억 달러 투자 예정
- 양국, 투자와 수출 안보 협력 강화 등의 내용을 담은 전략적 경제 동반자 협정 체결
- 일론 머스크, 사우디 정부로부터 위성 인터넷 서비스인 스타링크의 항공 및 해양 사용 승인받아
- 트럼프 대통령, 시리아에 대한 제재 해제 결정
- 사우디, 미국에 4년간 6천억 달러 투자 계획이었으나 트럼프 대통령의 요구로 1조 달러로 상향 조정
- 미 백악관, 이번 투자 협정에 약 1420억 달러 상당의 방위산업 계약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우디에 미국 12개 방산기업의 최첨단 무기 시스템과 서비스 제공 예정이라 밝혀
- 구글, 오라클, 세일즈포스와 AMD, 우버 그리고 사우디의 데이터볼트가 미국과 사우디 양국에서 총 800억 달러 규모의 기술 투자 진행 계획 중이며, 특히 데이터볼트는 미국 내 AI 데이터센터 및 에너지 인프라에 200억 달러 투자 예정
Forwarded from 루팡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역사적인 6,000억 달러 규모의 미국 투자 약속 확보
트럼프 대통령은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미국에 6,000억 달러를 투자하겠다는 사우디의 약속을 발표하며, 양국 간 수십 년간 지속될 경제적 유대의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이번 투자에는 에너지 안보, 국방 산업, 기술 리더십, 글로벌 인프라 및 핵심 광물 확보 등이 포함됩니다.
주요 발표 내용
사우디 DataVolt: 미국 내 AI 데이터센터 및 에너지 인프라에 200억 달러 투자 예정
Google, Oracle, Salesforce, AMD, Uber 등: 양국에 걸쳐 총 800억 달러 규모의 첨단 기술 투자 약속
Hill International, Jacobs, Parsons, AECOM: 킹 살만 국제공항, 킹 살만 파크, The Vault, 키디야 시티 등 총 20억 달러 규모 미국 수출 프로젝트에 참여
GE Vernova: 14.2억 달러 규모 가스터빈 및 에너지 솔루션 수출
Boeing: 4.8억 달러 규모 737-8 여객기를 AviLease에 공급
Shamekh IV Solutions: 58억 달러 규모 헬스케어 투자, 미시간에 IV 수액 생산시설 설립 예정
부문별 투자 펀드:
50억 달러 규모 에너지 펀드
50억 달러 규모 항공·방산 신기술 펀드
40억 달러 규모 글로벌 스포츠 펀드
역사상 최대 규모의 미-사우디 국방 협력:
1,420억 달러 규모의 방산 판매 계약 체결, 미 국방기업 다수 참여
5대 분야 포함:
1. 공군/우주 역량
2. 미사일 방어
3. 해양/연안 안보
4. 국경 및 육군 현대화
5. 정보통신 시스템 개선
사우디 군의 아카데미, 의료서비스, 훈련 지원 강화 포함
---
양국 관계의 심화
80주년 기념: FDR 대통령과 사우디 국왕 압둘아지즈 회담 이후 양국은 80년 파트너십 유지
2023년 사우디의 미국 직접투자 95억 달러, 주로 운송·부동산·자동차 분야
2024년 미-사우디 교역 총액 259억 달러, 미국의 상품 무역수지 흑자 4.43억 달러
에너지·과학·보건 분야 협력 강화를 위한 양해각서(MOU) 다수 체결
NASA–사우디 우주청 CubeSat 프로젝트 포함: Artemis II에 CubeSat 탑재
---
트럼프 대통령은 이 거래를 통해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만들기 위한 약속을 실현하고 있으며", 이는 2017년의 사우디 투자 유치에 이어 또 하나의 기록적인 성과라고 강조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미국에 6,000억 달러를 투자하겠다는 사우디의 약속을 발표하며, 양국 간 수십 년간 지속될 경제적 유대의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이번 투자에는 에너지 안보, 국방 산업, 기술 리더십, 글로벌 인프라 및 핵심 광물 확보 등이 포함됩니다.
주요 발표 내용
사우디 DataVolt: 미국 내 AI 데이터센터 및 에너지 인프라에 200억 달러 투자 예정
Google, Oracle, Salesforce, AMD, Uber 등: 양국에 걸쳐 총 800억 달러 규모의 첨단 기술 투자 약속
Hill International, Jacobs, Parsons, AECOM: 킹 살만 국제공항, 킹 살만 파크, The Vault, 키디야 시티 등 총 20억 달러 규모 미국 수출 프로젝트에 참여
GE Vernova: 14.2억 달러 규모 가스터빈 및 에너지 솔루션 수출
Boeing: 4.8억 달러 규모 737-8 여객기를 AviLease에 공급
Shamekh IV Solutions: 58억 달러 규모 헬스케어 투자, 미시간에 IV 수액 생산시설 설립 예정
부문별 투자 펀드:
50억 달러 규모 에너지 펀드
50억 달러 규모 항공·방산 신기술 펀드
40억 달러 규모 글로벌 스포츠 펀드
역사상 최대 규모의 미-사우디 국방 협력:
1,420억 달러 규모의 방산 판매 계약 체결, 미 국방기업 다수 참여
5대 분야 포함:
1. 공군/우주 역량
2. 미사일 방어
3. 해양/연안 안보
4. 국경 및 육군 현대화
5. 정보통신 시스템 개선
사우디 군의 아카데미, 의료서비스, 훈련 지원 강화 포함
---
양국 관계의 심화
80주년 기념: FDR 대통령과 사우디 국왕 압둘아지즈 회담 이후 양국은 80년 파트너십 유지
2023년 사우디의 미국 직접투자 95억 달러, 주로 운송·부동산·자동차 분야
2024년 미-사우디 교역 총액 259억 달러, 미국의 상품 무역수지 흑자 4.43억 달러
에너지·과학·보건 분야 협력 강화를 위한 양해각서(MOU) 다수 체결
NASA–사우디 우주청 CubeSat 프로젝트 포함: Artemis II에 CubeSat 탑재
---
트럼프 대통령은 이 거래를 통해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만들기 위한 약속을 실현하고 있으며", 이는 2017년의 사우디 투자 유치에 이어 또 하나의 기록적인 성과라고 강조했습니다
Forwarded from 한국경제TV 와우글로벌 공식채널
트럼프
Piero Cingari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화요일 사우디아라비아의 대미 투자 규모가 6000억달러에 달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그는 "이번 주 아마존닷컴, 오라클, AMD, 우버 테크놀로지스, 퀄컴, 존슨앤드존슨 등 수많은 기업들과 수십억달러 규모의 상업적 계약이 체결됐다"고 덧붙였다.
6000억달러 규모의 투자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데이터볼트의 미국 기반 AI 데이터센터 및 에너지 인프라에 200억달러 투자
알파벳, 오라클, 세일즈포스, AMD, 우버 테크놀로지스, 데이터볼트의 800억달러 공동 기술 투자
GE 버노바의 142억달러 에너지 수출 패키지
보잉과 사우디 항공리스 회사 아비리스 간 48억달러 항공기 계약
샤메크 IV 솔루션스의 58억달러 헬스케어 투자(미시간 주 IV 수액 공장 포함)
AECOM, 파슨스, 제이콥스 솔루션스, 힐 인터내셔널 등 인프라 엔지니어링 기업들의 사우디 메가프로젝트 관련 20억달러 미국 서비스 수출
트럼프는 "오늘날 걸프 국가들은 이 지역 전체에 안전하고 질서 있는 사회로 가는 길을 보여주었으며, 삶의 질 향상, 경제 성장, 개인의 자유 확대, 세계 무대에서의 책임 증가를 이루고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는 사우디아라비아로부터 "역대 최대 규모"인 1420억달러의 군사장비 구매 계약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백악관은 이 패키지가 공군력 강화, 미사일 방어, 해상 안보, 국경 현대화, 정보 시스템 등 5개 핵심 분야를 포함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사우디 군사 인력 훈련과 국방 의료 서비스 지원도 포함된다.
록히드마틴과 레이시온 테크놀로지스 같은 국방 부문 기업들은 무기 계약이 공식화되면 주목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주가 더 오를 것"
트럼프는 미국 경제와 주식시장에 대한 자신감을 재확인하며 "5주 전 지금이 매수 적기라고 말했을 때 비판을 받았다. 이제는 더 이상 비판하지 않는다. 사람들이 내 말을 들었어야 했다. 하지만 주가는 더 오를 것"이라고 강조했다.
역사적 전환점
될 6000억달러 사우디 투자유치..."증시 더 오를 것"Piero Cingari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화요일 사우디아라비아의 대미 투자 규모가 6000억달러에 달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그는 "이번 주 아마존닷컴, 오라클, AMD, 우버 테크놀로지스, 퀄컴, 존슨앤드존슨 등 수많은 기업들과 수십억달러 규모의 상업적 계약이 체결됐다"고 덧붙였다.
6000억달러 규모의 투자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데이터볼트의 미국 기반 AI 데이터센터 및 에너지 인프라에 200억달러 투자
알파벳, 오라클, 세일즈포스, AMD, 우버 테크놀로지스, 데이터볼트의 800억달러 공동 기술 투자
GE 버노바의 142억달러 에너지 수출 패키지
보잉과 사우디 항공리스 회사 아비리스 간 48억달러 항공기 계약
샤메크 IV 솔루션스의 58억달러 헬스케어 투자(미시간 주 IV 수액 공장 포함)
AECOM, 파슨스, 제이콥스 솔루션스, 힐 인터내셔널 등 인프라 엔지니어링 기업들의 사우디 메가프로젝트 관련 20억달러 미국 서비스 수출
트럼프는 "오늘날 걸프 국가들은 이 지역 전체에 안전하고 질서 있는 사회로 가는 길을 보여주었으며, 삶의 질 향상, 경제 성장, 개인의 자유 확대, 세계 무대에서의 책임 증가를 이루고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는 사우디아라비아로부터 "역대 최대 규모"인 1420억달러의 군사장비 구매 계약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백악관은 이 패키지가 공군력 강화, 미사일 방어, 해상 안보, 국경 현대화, 정보 시스템 등 5개 핵심 분야를 포함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사우디 군사 인력 훈련과 국방 의료 서비스 지원도 포함된다.
록히드마틴과 레이시온 테크놀로지스 같은 국방 부문 기업들은 무기 계약이 공식화되면 주목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주가 더 오를 것"
트럼프는 미국 경제와 주식시장에 대한 자신감을 재확인하며 "5주 전 지금이 매수 적기라고 말했을 때 비판을 받았다. 이제는 더 이상 비판하지 않는다. 사람들이 내 말을 들었어야 했다. 하지만 주가는 더 오를 것"이라고 강조했다.
Forwarded from 그로쓰리서치(Growth Research) [독립리서치]
✅유럽도 테슬라 FSD 시작....?
📌시스템 주도 조향(SIM)이 2025년 9월 26일부터 유럽 연합(UN) 규정에 따라 고속도로에서 합법화될 예정
(즉, 차량이 먼저 움직이고, 사람이 이를 감독하는 방식)
이는 유럽에서 완전 자율주행(핸즈오프 주행)으로 가는 관문이 될 것
자율주행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빠르게 다가오고 있음.
📌3월에 미리 UNECE 회의 관련해서 전달드렸습니다.
✅테슬라 유럽 FSD 관련 내용 정리(UNECE)
https://t.me/growthresearch/16157
아직 100% 확정은 아니지만, 거의 확실한 상황
세부 내용
✅ 이미 확정된 사항
UNECE 규정 171의 01 시리즈 개정안은 2025년 3월, WP.29 세계자동차포럼(World Forum)에서 채택됨
UNECE 절차에 따라 채택 후 6개월이 지나면 자동 발효 → 시행일: 2025년 9월 26일
❗️ 단서 조항
계약 당사국 중 누군가가 적극적으로 반대하지 않는 한, 이 SIM 규정은 예정대로 발효됨
이 규정을 따르는 국가에는 EU, 일본, 한국 등이 포함됨
UNECE의 개정안은 일단 채택되면 특별한 이변이 없는 한 통상적으로 예정대로 진행됨
Kees Roelandschap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시스템 주도 조향(SIM)이 2025년 9월 26일부터 유럽 연합(UN) 규정에 따라 고속도로에서 합법화될 예정
(즉, 차량이 먼저 움직이고, 사람이 이를 감독하는 방식)
이는 유럽에서 완전 자율주행(핸즈오프 주행)으로 가는 관문이 될 것
자율주행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빠르게 다가오고 있음.
📌3월에 미리 UNECE 회의 관련해서 전달드렸습니다.
✅테슬라 유럽 FSD 관련 내용 정리(UNECE)
https://t.me/growthresearch/16157
아직 100% 확정은 아니지만, 거의 확실한 상황
세부 내용
✅ 이미 확정된 사항
UNECE 규정 171의 01 시리즈 개정안은 2025년 3월, WP.29 세계자동차포럼(World Forum)에서 채택됨
UNECE 절차에 따라 채택 후 6개월이 지나면 자동 발효 → 시행일: 2025년 9월 26일
❗️ 단서 조항
계약 당사국 중 누군가가 적극적으로 반대하지 않는 한, 이 SIM 규정은 예정대로 발효됨
이 규정을 따르는 국가에는 EU, 일본, 한국 등이 포함됨
UNECE의 개정안은 일단 채택되면 특별한 이변이 없는 한 통상적으로 예정대로 진행됨
Kees Roelandschap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