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PB의 금융시장 생존기
1.54K subscribers
8.58K photos
55 videos
165 files
12.7K links
해외 / 국내 경제, 증시 및 다양한 이슈를 전달합니다!

협업 문의 : yeominyoon1981@gmail.com

Disclaimer

- 본 채널/유튜브에서 업로드 되는 모든 종목은 작성자 및 작성자와 연관된 사람들이 보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해당 종목 및 상품은 언제든 매도할 수 있습니다.

- 본 게시물에 올라온 종목 및 상품에 대한 투자 의사 결정 시, 전적으로 투자자의 책임과 판단하에 진행됨을 알립니다.
Download Telegram
Forwarded from BUYagra
미국 강세
릴리가 5/11 유럽비만학회(ECO)에서 젭바운드 -20.2% vs. 위고비 -13.7% 체중감량 결과 발표하며 노보노디스크 대비 높은 비만 치료 효과 다시 확인

-72주차에서 1차 지표와 5가지 주요 2차 지표 모두 위고비 대비 우위 발표

-15% 이상 체중 감량 환자 비율도 릴리 젭바운드가 위고비 대비 25% 이상

-허리둘레 감소도 젭바운드 평균 18.4cm vs. 위고비 13cm로 우위 확인

https://investor.lilly.com/news-releases/news-release-details/zepbound-tirzepatide-showed-superior-weight-loss-over-wegovy
Forwarded from 허혜민의 제약/바이오 소식통 (혜민 허)
주주님께 드리는 글 [미국 트럼프 대통령 약가 인하 계획 관련 당사 대응 전략 안내]

이달 11일(현지 시간)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처방약 가격 인하에 대한 행정명령을 12일 백악관에서 서명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아직 세부적인 내용이 공개되지 않은 상황에서 이에 대한 당사의 예측과 이를 반영한 당사의 대응 전략에 대해 주주님들께 아래와 같이 안내 드리고자 합니다.

■ 미국 처방약 가격 인하 계획 관련 대응 전략

- 이번에 예고된 처방약 가격 인하 내용은 미국 정부에서 정부자금으로 지원하고 있는 메디케어(Medicare), 메디케이드(Medicade) 등 공보험 시장 영역에 국한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미국에서 대략 30% 내외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공보험 시장에서 바이오시밀러 의약품은 이미 치열한 가격 경쟁을 통해 트럼프 행정부의 약가 인하 정책 방향과 부합하고 있어, 이번 약가 인하는 높은 가격이 형성된 오리지널 의약품을 주요 타겟으로 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바이오시밀러의 경우 현재도 유럽 대비 미국내 판매 가격이 심하게 높지 않으며, 보험사, PBM과 최저가로 협상을 진행하는 등 의약품 가격이 이미 낮게 형성되어 있는 만큼 이번 가격 인하 정책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 또한 이번에 예고된 처방약 가격 인하 정책은 고가의 오리지널 의약품의 경쟁 활동 제한을 유도할 수 있어 오리지널에서 바이오시밀러 제품으로 대체되는 속도를 한층 가속화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재 미국에서 오리지널 제품인 휴미라의 경우 70% 이상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등 아직 바이오시밀러가 시장을 확보할 영역이 충분한 만큼 가격 인하 정책으로 인한 바이오시밀러 수혜를 통해 당사의 제품에도 긍정적인 영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합니다.


- 당사는 가격 경쟁 방식의 공급 시스템에 대해 이미 유럽에서 수년간 마케팅, 영업 경험을 가지고 있는 만큼 미국에서 진행되는 최저가 공급 방식에 대해서도 경쟁사 대비 강점을 가지고 있어 이러한 정책 변화에 대해서도 당사에 더 유리한 경쟁 환경이 만들어지는 부분도 생길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추가적인 사항에 대해서는 계속적으로 미국 현지 상황을 체크하면서 대응 전략을 모색해 나갈 것입니다. 아직 세부적인 내용이 나오지 않은 만큼 발표 내용이 나오는대로 이를 검토해 주주님들께서 우려하시는 사항이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의 전략을 추진해 나갈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https://www.celltrion.com/ko-kr/company/notice/3925
Forwarded from 루팡
더불어민주당 중앙선거대책위원회가 12일 오전 11시,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이재명 대통령 후보의 10대 공약을 발표

이재명 후보는 대선 출마를 선언한 이후 지금까지 △인공지능 △반도체 △방위산업 △문화예술 △부동산 △에너지 △과학기술 △환경 △복지의료 △농어업 △노동 △안보 △소상공인·자영업자 △지역균형 발전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공약을 내놓은 바 있다.

이번에 발표되는 공약은 지금까지 공개한 내용들을 정리·보완하고, 여기에 검찰·사법개혁 방안까지 더한 최종 버전이 될 것으로 보인다.

https://www.wikitree.co.kr/articles/1048786
Forwarded from 프리라이프
[더불어민주당 제21대 대선 10대 정책 요약]

1. 세계를 선도하는 경제 강국 실현
• AI·K콘텐츠·K방산·첨단전략산업 집중 투자 → 글로벌 기술·문화 경쟁력 확보
• 국민 참여형 펀드 및 세제 혜택 제공 → 민간 투자 유도
• R&D 및 벤처 육성으로 미래산업 주도

2. K-민주주의 회복과 정치·사법개혁
• 계엄권 통제, 국민소환제 도입 등 민주주의 강화
• 검찰·사법개혁 완수 및 감사원·인권위 정치적 중립 확보
• 언론의 공공성 회복과 플랫폼 책임 강화

3. 가계·소상공인 활력 제고와 공정경제 실현
• 소상공인 채무조정·수수료 완화·디지털 전환 지원
• 공공임대 확대·월세 공제 강화로 주거비 부담 완화
• 대출상환 부담 경감·배드뱅크 설치 등 금융안전망 강화

4. 실용외교·경제안보와 평화 실현
• G20·G7 등 외교무대 참여 및 공급망 다변화
• 한반도 비핵화·남북협력 추진, 한미동맹 기반 억제력 강화
• 무역구조 혁신·식량·해양 안보 강화

5.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나라
• 흉악범죄·재난·기후재난 대응체계 강화
• 필수의료·지역의료 인프라 확충, 공공의료 개혁
• 의료공론화위원회 통한 의료개혁 및 건보 지속가능성 확보

6. 국토균형발전과 세종행정수도 완성
• ‘5극 3특’ 지역전략 추진, 국회세종의사당 건립
• 광역급행철도 등 지역 인프라 강화, 지방재정 확충
• 지역대학 육성·지방소멸 대응 체계화

7. 노동 존중 사회 구현
• 포괄임금제 금지, 동일노동 동일임금 지표 마련
• 주4.5일제 추진, 자영업자 산재보험 도입
• 성평등·장애인 권리 강화 및 직장 내 민주주의 실현

8. 생활안정과 복지 확대
• 아동수당 확대, 청년미래적금 등 생애주기별 복지 강화
• 월세·통신비 공제, 청년·어르신 교통비 지원
• 농어민 소득보장 및 문화·식생활·반려동물 복지 강화

9. 저출생·고령화 극복
• 양육세제·주거지원 확대, 공공돌봄 강화
• 고령자 공공신탁·통합돌봄 및 정년 연장 논의 추진

10. 기후위기 대응과 탈탄소 사회 전환
• 온실가스 감축 목표 상향, 재생에너지 확대
• 에너지고속도로·전기차 보급·농업 탄소저감 추진
• 정의로운 전환·기후기금 확충 및 COP33 유치 추진

#대선
2025.05.12 11:07:42
기업명: 클래시스(시가총액: 4조 7,885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771억(예상치 : 749억+/ 3%)
영업익 : 388억(예상치 : 364억/ +7%)
순이익 : 298억(예상치 : 303억/ -2%)

최근 실적 추이
2025.1Q 771억/ 388억/ 298억
2024.4Q 744억/ 358억/ 284억
2024.3Q 594억/ 290억/ 165억
2024.2Q 587억/ 312억/ 266억
2024.1Q 504억/ 265억/ 261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512900140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214150
미세하게 서프이지만 쇼크처럼 빠지는 쇼크라이즈...
Forwarded from 선수촌
주요 증권주들 공통점

: 모두 RSI 80 넘김
바이든 정부 IRA 약가인하 발표 당시 공개된 목록을 보면 약가가 이미 낮은 것들이어서 실효성이 낮다는 평가가 많았고

바이오의약품 블록버스터 약물 중 엔브렐, 스텔라라는 시밀러 출시를 앞두고 있어 이미 낮아질 제품을 넣은 것에 대한 비판도 많았습니다.

또한 J&J만 3개 제품(스텔라라,자렐토,임부르비카) 포함이고 나머지 빅파마들은 1개 제품만 포함되어 전체 매출에 영향이 미미하다고 당시 판단했습니다.

IRA 약가인하 시행이 섹터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은 맞지만 긍정적 영향도 있습니다.

1) 출시 13년차 이상 제품
2) 바이오시밀러가 출시되지 않은 제품

약가인하 때문이라도 빅파마들은 신약 개발을 위해 더 많은 인수합병 또는 L/I을 통해 파이프라인을 확보할 것입니다.

기존 제품들은 피하주사, 뇌투과 기술, 지속형 또는 경구용 플랫폼들을 적용해 출시 0년차로 만들면 IRA 약가인하 없이 신약으로 인정됩니다.

그러므로 플랫폼 L/O 또한 늘어날 것으로 보아 긍정적 효과도 볼 수 있겠습니다.


너무 부정적 시각으로만 받아들이는 것같아 코멘트 드립니다.

美 IRA 협상따라 10개 의약품 약가 최고 79% 인하
https://www.medisobiza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18561
관세청에 따르면 이달 1∼10일까지 수출액은 128억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3.8% 줄었다. 이 가운데 대미 수출이 30.4% 줄면서 총수출 감소율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중국(-20.1%), 베트남(-14.5%), 유럽연합(EU·-38.1%) 등 주요 수출국으로의 수출도 쪼그라들었다.

품목별로 보면 10개 주요 수출품목 중 반도체를 제외한 9개 품목의 수출이 일제히 감소했다.

반도체 수출만 14.0% 증가했고 승용차(-23.2%), 석유제품(-36.2%), 선박(-8.7%) 등은 모두 줄었다.

특히 이달 초순 자동차 수출이 23.2% 줄어든 것은 미국의 자동차 품목별 관세 조치의 영향이 본격화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382388

#수출
Forwarded from 허혜민의 제약/바이오 소식통 (혜민 허)
[키움 허혜민] 의약품 약가 인하 관련 외신 보도 참고

2020년에도 유사 정책 시도했으나 법원 제동. 이번엔 대선 공약 성격으로 재추진
당시 추진했던 것은 의사의 진료실에서 투여되는 약물에 대한 메디케어 지불 금액을 타국가에서 지불하는 가장 낮은 가격과 연계하도록 하는 것이었음.

따라서 이번 제안도 메디케어 파트B 적용 대상 약물(암 치료 주사제 등)에 한정될 수 있다고 AP 통신 보도

정부의 상당한 비용 절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나, 트럼프 대통령이 SNS에서 자랑했던 ‘수조 달러’는 과장된 표현일 가능성 있음. 2021년 메디케어 파트B 의약품 지출 $33B+

업계는 "혁신 저해" 우려하며 강력 반발 전망. 로비 격화 예상

https://apnews.com/article/trump-prescription-drugs-most-favored-nation-35c281b542f0f3938489ee7e9360322b

관련하여 뉴욕 타임즈 보도 참고

트럼프 1기때 65세 이상이거나 장애가 있는 6,800만명의 미국인 대상 건보 프로그램 메디케어에 적용하려 했지만 실패.

당시 계획은 메디케어 지급 병원과 진료소에서 투여되는 50가지 의약품에만 적용되었음.

연방 법원이 행정부가 정책 결정 과정에서 절차를 건너뛰었다는 이유로 이를 금지한 바 있음.

https://www.nytimes.com/2025/05/11/us/drug-prices-executive-order.html
삼성전자는 이 정도면 실질적 상한가
Forwarded from 루팡
소식통에 따르면, 이번 미중 양국이 인하하기로 한 관세 수준은 100%를 초과할 것이라고 전해졌다
Forwarded from 루팡
미국,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145%에서 30%로 90일간 인하

중국, 미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125%에서 10%로 90일간 인하 (블룸버그 보도)
출처는 블룸버그입니다.

진전이 있었네요.

90일간이기는 하지만
미국의 대중관세 30%로 하향
중국의 대미관세 10%로 하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