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PB의 금융시장 생존기
1.54K subscribers
8.47K photos
50 videos
165 files
12.5K links
해외 / 국내 경제, 증시 및 다양한 이슈를 전달합니다!

협업 문의 : yeominyoon1981@gmail.com

Disclaimer

- 본 채널/유튜브에서 업로드 되는 모든 종목은 작성자 및 작성자와 연관된 사람들이 보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해당 종목 및 상품은 언제든 매도할 수 있습니다.

- 본 게시물에 올라온 종목 및 상품에 대한 투자 의사 결정 시, 전적으로 투자자의 책임과 판단하에 진행됨을 알립니다.
Download Telegram
ISM 제조업에 이어 서비스업도 컨센 상회
Forwarded from 루팡
트럼프: 중국은 협상을 몹시 원하고 있다.

캐나다 총리가 협상을 원한다고 생각한다.


저는 영화산업을 돕고 싶고, 영화산업 관계자들을 만날 것입니다.영화 산업은 다른 나라들에 의해 크게 줄어들고 있다.

다음 주에 의약품 가격과 관련된 발표가 있을 예정입니다.


베센트: 저는 중국을 제외한 17개 교역 상대국이 매우 훌륭한 무역 제안을 제시했다고 확신합니다

앞으로 몇 주 동안 중국과의 무역에서 상당한 진전을 볼 수 있을 것입니다.

펜타닐 전구체 화학물질 밀매는 중단되어야 한다

빠르면 이번 주에 무역 협상이 열릴 수도 있습니다

일부 무역 협상에 매우 근접했다고 생각합니다
Forwarded from 루팡
트럼프, 미국 의약품 제조 장려 위한 행정명령 서명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월요일, 미국 내 제약 공장 승인 시간을 단축하고 국내 제조를 장려하는 새로운 규제의 일환으로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번 명령은 미 식품의약국(FDA)에 대해 검토 절차를 간소화하고, 공장이 가동되기 전 국내 제조업체에 조기 지원을 제공하도록 지시한다.

또한, FDA가 해외 생산자의 원료 의약품 원산지 보고 의무를 보다 철저히 단속하고, “비준수 시설 목록을 공개적으로 표시하는 방안을 검토할 것”을 지시했다.

FDA 국장 마티 마카리(Marty Makary)는 서명식에서 FDA가 앞으로 해외 공장에 대한 불시 점검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으며, 이를 통해 미국 내 공장과 비슷한 수준의 감독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해당 명령은 미국 환경보호청(EPA)에도 공장 건설 승인 절차를 신속히 처리하라는 지시를 포함하고 있다.

이번 조치는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내 의약품 생산을 확대하려는 최근 움직임의 연장선이다. 그는 최근 몇 달간 의약품 수입품에 대해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위협을 반복해 왔으며, 이 분야는 그간 인도주의적 우려로 인해 무역전쟁에서 제외되어 왔다.

업계 전문가들과 기업들은 새로운 의약품 생산 공장을 건설하는 데 최소 5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백악관은 성명을 통해 “이처럼 긴 기간은 국가 안보 측면에서 용납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성명에서 “우리는 미래를 위해 투자하고 있으며, 의료 공급망을 영구적으로 미국으로 되돌릴 것이다. 우리의 의료 장비, 의약품, 치료제는 미국에서 생산될 것”이라고 밝혔다.

워싱턴포스트가 이번 행정명령 내용을 최초 보도했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의약품과 반도체 수입에 대한 조사를 개시했으며, 이들 분야의 외국 의존도가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된다는 이유로 관세를 부과할 방침이다.

다만 아직 구체적인 관세율과 시행 시점은 명확하지 않다. 트럼프 대통령은 월요일, 향후 2주 내로 관련 발표를 하겠다고 밝혔다.

미국은 연간 2,000억 달러 이상의 처방약을 수입하고 있어, 트럼프 대통령의 조치가 현실화될 경우 업계에 큰 타격이 예상된다.

최근에는 로슈(Roche), 노바티스(Novartis), 일라이 릴리(Eli Lilly), 존슨앤존슨(Johnson & Johnson) 등 주요 제약사들이 미국 내 제조시설에 대한 대규모 투자를 발표한 바 있다.

https://www.reuters.com/business/healthcare-pharmaceuticals/trump-sign-order-encourage-domestic-drug-manufacturing-wapo-reports-2025-05-05/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 Palantir 2025년 1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9% 증가한 8.84억 달러 기록 (est. 8.63억 달러)
- 주가는 시간 외 거래에서 8.31% 하락
- 미국 내 매출은 전년 대비 55% 급증했으며, 상업 부문 매출은 71% 증가
- 2025년 전체 매출 가이던스를 38억 9,000만 달러에서 39억 200만 달러 사이로 상향 조정 (est. 37.52억 달러)

https://www.cnbc.com/2025/05/05/palantir-pltr-q1-earnings-report-2025.html
Forwarded from 도PB의 생존투자 (도PB)
🤩Palantir (PLTR) 2025년 1분기 실적 요약

📊 주요 실적 지표
• 매출: $8.84억 (예상 $8.63억) 🟢; 전년 대비 +39%
• 조정 EPS: $0.13 (예상 $0.13) 🟡
• 조정 EBITDA: $3.97억
• Rule of 40 점수: 83%

📈 가이던스
• 2분기 매출: $9.34억–$9.38억 (예상 $8.99억) 🟢
• 2분기 조정 영업이익: $4.01억–$4.05억
• 2025년 연간 매출: $38.9억–$39.0억 (예상 $37.5억) 🟢
• 2025년 미국 상업 매출 가이던스: $11.78억+; 전년 대비 +68%
• 2025년 연간 조정 영업이익: $17.11억–$17.23억
• 조정 자유현금흐름 가이던스: $16억–$18억
• GAAP 영업이익 및 순이익: 매 분기 실현 전망

🧭 지역 및 부문별 실적
• 미국 전체 매출: $6.28억; 전년 대비 +55%, 전분기 대비 +13%
• 미국 상업 매출: $2.55억; 전년 대비 +71%, 전분기 대비 +19%
• 미국 정부 매출: $3.73억; 전년 대비 +45%, 전분기 대비 +9%
• 고객 수: 전년 대비 +39%, 전분기 대비 +8%
• $100만 이상 계약: 139건 / $500만 이상: 51건 / $1,000만 이상: 31건

📑 계약 관련 지표
• 미국 상업 부문 총계약가치(TCV): $8.1억; 전년 대비 +183%
• 미국 상업 잔여계약가치(RDV): $23.2억; 전년 대비 +127%, 전분기 대비 +30%

💵 기타 재무 지표
• 조정 영업이익: $3.91억 (마진 44%)
• GAAP 영업이익: $1.76억 (마진 20%)
• 조정 자유현금흐름: $3.70억 (마진 42%)
• 영업현금흐름: $3.10억 (마진 35%)
• 순이익: $2.14억 (마진 24%)
• 현금 및 미국채 보유액: $54억

🧠 CEO Alexander Karp 발언
“우리는 미국에서의 매출이 전년 대비 55% 증가한 가운데, 채택의 지각변동 중심에 서 있습니다.”
“우리는 AI 시대를 위한 현대적 엔터프라이즈 운영체계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연간 매출 가이던스를 +36%, 미국 상업 성장률을 +68%로 상향합니다.”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Forwarded from 도PB의 생존투자 (도PB)
팔란티어, 2025년 1분기 매출 전년대비 39%, 미국 매출 전년대비 55% 성장, 2025 회계연도 매출 가이던스 전년대비 36% 성장, 미국 통신 매출 가이던스 전년대비 68% 성장으로 상향 조정해 컨센서스 예상치 상회.

2025년 1분기 미국 커머셜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71%, 전분기 대비 19% 성장했으며 미국 정부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5%, 전분기 대비 9% 성장했습니다.

조정된 영업 마진은 44%로, 2025년 1분기에 '룰 오브 40' 점수가 83%로 증가했습니다.

또한 2025년 1분기에 3억 7천만 달러(마진 42%)의 조정 잉여현금흐름을 창출했습니다.
Forwarded from BUYagra
#ford 시간외 -2%

-지난 분기 실적: Earnings per share: 14 cents adjusted vs. 2 cents expected / Automotive revenue: $37.42 billion vs. $36.21 billion expected

-‘25년 가이던스는 2분기 실적 발표때 업데이트 해주기로..

-관세로 인해 ‘25년 $1.5bn (2조원+) 영향 전망: 총 영향은 $2.5bn으로 전망 되지만 볼륨과 가격 정책으로 $1bn은 off-set될것으로 전망
-GM의 $4-5bn 보다는 적은 수량의 수입으로 영향은 상대적으로 낮음



Ford suspends 2025 guidance amid $2.5 billion tariff impact https://www.cnbc.com/2025/05/05/ford-motor-f-earnings-q1-2025.html?__source=iosappshare%7Ccom.apple.UIKit.activity.CopyToPasteboard
BP 인수 검토설에 BP 주가 급등
Dylan Berman

BP P.L.C.(NYSE:BP) 주가가 월요일 상승세를 보였다. 이는 (NYSE:SHEL)이 BP 인수를 검토하고 있다는 보도에 따른 것이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쉘은 BP 인수를 검토 중이나, 최종 결정에 앞서 주가와 유가가 추가로 하락하기를 기다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른 기업들도 BP 인수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쉘은 자문사들과 잠재적 거래에 대해 논의를 진행해왔다. 다만 쉘은 자사주 매입과 소규모 인수에 집중하는 방안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이번 보도에 대해 쉘 대변인은 "이전에도 여러 차례 언급했듯이, 우리는 실적, 규율, 단순화에 초점을 맞춰 쉘의 가치를 창출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벤징가 프로의 데이터에 따르면 작성 시점 기준 BP 주가는 3.49% 상승한 29.10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버핏의 버크셔 포트폴리오 톱10 공개...은행·석유·애플 대거 포진
Chris Katje

버핏이 연말 CEO 자리에서 물러난다는 소식이 전해진 가운데, CNBC 보도에 따르면 버크셔 해서웨이의 현재 상위 10대 보유 종목과 각각의 가치, 포트폴리오 비중은 다음과 같다.

애플: 601억 달러, 21.8%
아메리칸익스프레스: 424억 달러, 15.4%
코카콜라: 287억 달러, 10.4%
뱅크오브아메리카: 282억 달러, 10.2%
셰브론: 161억 달러, 5.8%
무디스: 115억 달러, 4.2%
옥시덴탈페트롤리엄: 104억 달러, 3.8%
크래프트하인즈: 93억 달러, 3.4%
처브: 78억 달러, 2.8%
이토추: 71억 달러, 2.6%

상위 10대 종목이 전체 포트폴리오의 80.4%를 차지한다. 버크셔는 애플을 제외한 모든 종목에서 6% 이상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애플 지분은 약 2% 수준이다.

이들 종목 중 상당수는 수십 년 전부터 보유해온 장기 투자 종목이다. 애플과 같은 일부 종목은 버핏이 특정 주식이나 섹터에 대한 견해를 바꾸면서 새롭게 편입됐다.

버크셔 상위 10대 종목의 연초 이후 수익률은 다음과 같다:

애플: -18.2%
아메리칸익스프레스: -6.5%
코카콜라: +15.8%
뱅크오브아메리카: -6.8%
셰브론: -7.7%
무디스: -1.7%
옥시덴탈페트롤리엄: -21.7%
크래프트하인즈: -7.4%
처브: +5.7%
이토추: -9.7%

상위 10대 종목 중 2025년 들어 상승한 종목은 단 2개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보험과 에너지 부문 등 버크셔가 전체 지분을 보유한 사업부의 실적이 더욱 중요해졌다.

CEO 교체로 내년 이맘때 버크셔의 포트폴리오 구성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 다만 이들 종목 대부분이 시장 수익률을 상회하며 버크셔의 연간 수익률 제고에 기여해왔다.
[DB증권 전기전자 조현지]

[Apple 미국 시장용 아이폰 인도 생산 관련 궈밍치 코멘트]

- 이번 실적 발표에서 Apple은 2Q25 미국 판매 아이폰의 대부분(majority)이 인도에서 생산될 것으로 전망했음

- 이는 2Q25부터 인도가 미국 시장용 아이폰을 독점적으로 생산 및 수출할 것이라는 기존 예상에 부합함

- Apple이 '대부분(majority)'이라는 표현을 사용한 이유는 2Q25 미국 시장에서 판매될 아이폰의 일부가 이미 1Q25에 중국에서 생산되었기 때문임

[해당 내용은 보도된 자료의 단순요약으로 당사의 조사분석자료가 아닙니다]
[DB증권 전기전자 조현지]

[2H25~2H27 아이폰 신모델 계획 관련 궈밍치 코멘트: 상반기 보급형, 하반기 프리미엄]

- 2H25: 아이폰 17 Pro Max, 아이폰 17 Pro, 아이폰 17 Slim, 아이폰 17

- 1H26: 아이폰 17E

- 2H26: 아이폰 폴더블, 아이폰 18 Pro Max, 아이폰 18 Pro, 아이폰 18 Slim

- 1H27: 아이폰 18, 아이폰 18E

- 2H27: 아이폰 폴더블 2 (개발시작됨), 아이폰 19 Pro Max, 아이폰 19 Pro, 아이폰 19 Slim (18 Slim보다 더 큰 디스플레이)

- 애플이 아이폰을 연 2회 나누어서 출시하는 이유는 특히 중국에서의 경쟁 심화에 따른 마케팅 전략 전환

- 경쟁사들이 대부분 상반기에 신모델을 출시하므로 애플도 상반기 신모델 출시를 통해 마케팅 공백을 줄이기 위함

- 경쟁이 심화되며 애플은 더 많은 아이폰 모델을 제공해야 할 필요성 절감. 이를 모두 하반기에 출시할 경우 마케팅 자원이 분산될 위험 존재. 예컨대 출하 비중이 증가하고 있는 Pro 모델의 약진은 보급형 모델의 존재감을 약화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음

링크: https://mingchikuo.craft.me/9br1TonGnVzDPP

[해당 내용은 보도된 자료의 단순요약으로 당사의 조사분석자료가 아닙니다]
[다올 시황 김지현]
대만 달러 급등과 수혜주


원인 추측


1. 미중 무역 협상 진전으로 나타난 위안화 강세, 이에 연동된 아시아 통화 동반 절상

2. 달러화 약세로 TSMC를 비롯한 대만 수출 기업들의 환 헤지 수요

3. 마찬가지로 미국채를 자산으로 대거 보유하고 있는 대만의 대형 생명보험사들의 달러화 채권 헤지를 위한 대만 달러 매수 수요

4. 지난 1일 미-대만 무역 합의의 일환으로 대만 통화 강세를 허용하는 협의가 있었을 수 있다는 추측


4번에 대해서는 전일 장 마감후 있었던 대만 중앙은행 긴급 기자 회견을 통해 이틀간의 급격한 상승 관련, 미국의 통화가치 절상 요구는 없었다고 발표.

대만 중앙은행은 지난 2일에도 대만 달러가 급등하자 수출업체 등에 달러화를 분할 매도해줄 것을 당부했으나 강세를 막지는 못했음.

2, 3번의 경우 단기 변동성 확대요인. 다만 1) 실시간으로 확인하기 어렵고, 2) 대만달러의 강세와 선후관계를 따지기 어렵고, 3) 아시아 통화 전반적인 강세를 설명하기는 부족. 지난주 4월 고용지표 호조에 이어 4월 ISM서비스업 지수도 예상치 상회, 5월 FOMC 동결 및 매파 발언 나올시 달러 강세 전환 가능성 존재.

1번 요인에 주목. 중국 노동절 연휴를 앞두고 위안화 강세가 나타난다는 것은 중국으로의 핫머니 유입 유도 -> 자산가치 상승 -> 소비진작 구도를 의도한 것일 수 있음. 결과적으로 나타난 아시아 통화 강세가 시사하는 바는 수출주 < 내수주 유리 환경.



美와 무역 회담후 대만 달러 급속 절상…TSMC 등 초비상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5054050i
대만 환율 급락. 시황맨

대만 환율이 급락하면서 원/달러 환율도 1,370원 수준까지 하락했네요.

표면적인 환율 하락 이유는 크게 세 가지 정도로 보입니다.

우선 미중 무역 협상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아시아 통화 가치 상승 전망.

두 번째. 미국과의 무역 협상 과정에서 미국산 제품 수입 단가를 낮추는 것이 좋은 미국측 입장을 반영한 것이라는 주장

그리고 마지막이 대만 보험사와 수출 기업들의 달러 매도설입니다.

이 중 로이터에 보험사와 수출 기업들의 매도 관련 내용이 있길래 조금 더 찾아 봤습니다.

대만 보험사들은 가입자들에게 보험금을 받고 상당 비중을 미국 국채 등 해외 자산에 투자를 했습니다.

문제는 보유한 해외 자산 특히 미국 국채 가격이 하락하면서 문제가 생겼고 여기에 달러까지 약세를 보였으니 이 중으로 상황이 곤혹스러워진거죠.

예를 들어 환율 2,000원일 때 미국 아파트 10만 달러짜리 구매했다면 우리 돈으로 2억원을 투자한거죠.

그런데 환율은 1,000원이 되고 그 미국 아파트는 5만달러가 되어 버렸다고 가정하면 우리돈 2억짜리 투자 자산이 현재 5,000만원이 되어 버린 격이 됩니다.

대만 보험사들 입장에서는 자칫 지급할 보험금이 녹아내리는 상황이 생길 수도 있으니 대응이 필요했을 겁니다.

특히 무역협상 과정에서 대만 정부가 환율 하락을 보이지 않는 협상 카드로 사용할 경우도 우려했을 것 같구요.

추가 리스크를 우려해 달러를 팔고, 대만 달러를 매수하는 헤지를 했고 이런 현상이 다른 보험사나 수출 기업들까지 확산되면서 환율이 급락했다는 겁니다.

특히 대만에는 TSMC라는 달러를 쓸어 담는 기업이 있으니 대만 달러 강세 조건은 이미 갖춘 상태였습니다.

외신에 의하면 핫머니 자금도 환율 변동성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합니다.

추세적인 환율 하락은 긍정적 신호가 될 수도 있지만 급격한 변동성은 금융 시장에 부담이 됩니다.

아직은 심각한 상황으로 볼 정도는 아닙니다만 당분간 미국의 무역 협상과 맞물려 대만 달러의 변동성도 한 번씩 챙겨 봐야할 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