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warded from 루팡
[단독] 한한령 사실상 전면 해제…中서 9월 '5만명' 규모 K팝 공연 열린다
드림콘서트, 9월 하이난(海南) 산야 스포츠 스타디움 개최
수만 명 수용 K-팝 아이돌 공연,
연제협, 중국 내 주요 지역 대규모 K-팝 공연도 협의 중
K팝 최고 축제중 하나인 드림콘서트가 '한한령'(限韩令)으로 꼭꼭 닫혀 있던 만리장성을 넘는다. 사단법인 한국연예제작자협회(임백운, 이하 연제협)는 "올해로 31주년을 맞는 드림콘서트가 9월 26일 중국 하이난성(海南省)의 산야 스포츠 스타디움에서 열기로 했다"고 밝혔다. 또한 10월 3일에는 5만명을 수용할 수 있는 홍콩 카이탁 스타디움에서 두 번째 공연을 갖는다. 이번 공연은 연제협이 주최하는 2025 드림콘서트 월드투어의 첫 포문을 여는 공연이다.
산야 스포츠 스타디움은 4~5만명의 관객이 수용 가능한 대규도 공연장이다. 하이난성과 홍콩에서의 공연은 한국 아이돌 그룹이 대거 출연하는 드림콘서트라는 점에서 9년간 막혀 있던 K팝 공연의 전면 해제를 의미한다. 이 행사를 주관하는 프롬엔터테인먼트는 지난달 29일 싱가포르 서든나인엔터테인먼트, 중국 장사유구문화유한공사와 업무 협약을 체결한 것으로 알려졌다.
드림콘서트 월드투어를 주최하는 연제협은 441개의 국내 엔터사(소속 연예인 5천여 명)를 회원으로 두고 있는 사단법인 단체다. 드림콘서트는 1995년 첫 개최 후 한 해도 빠짐없이 이어져 온 국내 최장수 K팝 콘서트다. 연제협에 소속되어 있는 인기 아이돌 그룹들이 해마다 대거 출연한다.
지난해 공양종합운동장에서 펼쳐진 드림콘서트에는 슈퍼주니어의 리더 이특과 권은비가 사회를 맡고 쟁쟁한 K팝 가수와 그룹 총 30팀이 출연했다. 강성훈, 더킹덤, 드리핀, 드림캐쳐, 라잇썸, 루시, 소디엑, 싸이커스, 씨아이엑스, 어센트, 에잇턴, 엑스디너리 히어로즈, 엔시티 위시, 엔싸인, 원어스, 원팩트, 유나이트, 유니스, 이븐, 이펙스, 제이디원, 최예나, 케플러, 키스오브라이프, 템페스트, 트렌드지, 티아이오티, 파우, 피프티피프티, 하이키(가나다순) 등이었다.
연제협 임백운 회장은 "드림콘서트가 한한령을 뚫고 중국과 홍콩에서 열리는 만큼 그 어느 해보다도 화려한 출연진을 구상하기 위해 노력하겠다"면서 "조만간 중국 내 다른 지역에서의 대규모 K-팝 공연도 순차적으로 확정될 것"이라고 밝혔다.
https://m.newspim.com//news/view/20250430000195
드림콘서트, 9월 하이난(海南) 산야 스포츠 스타디움 개최
수만 명 수용 K-팝 아이돌 공연,
연제협, 중국 내 주요 지역 대규모 K-팝 공연도 협의 중
K팝 최고 축제중 하나인 드림콘서트가 '한한령'(限韩令)으로 꼭꼭 닫혀 있던 만리장성을 넘는다. 사단법인 한국연예제작자협회(임백운, 이하 연제협)는 "올해로 31주년을 맞는 드림콘서트가 9월 26일 중국 하이난성(海南省)의 산야 스포츠 스타디움에서 열기로 했다"고 밝혔다. 또한 10월 3일에는 5만명을 수용할 수 있는 홍콩 카이탁 스타디움에서 두 번째 공연을 갖는다. 이번 공연은 연제협이 주최하는 2025 드림콘서트 월드투어의 첫 포문을 여는 공연이다.
산야 스포츠 스타디움은 4~5만명의 관객이 수용 가능한 대규도 공연장이다. 하이난성과 홍콩에서의 공연은 한국 아이돌 그룹이 대거 출연하는 드림콘서트라는 점에서 9년간 막혀 있던 K팝 공연의 전면 해제를 의미한다. 이 행사를 주관하는 프롬엔터테인먼트는 지난달 29일 싱가포르 서든나인엔터테인먼트, 중국 장사유구문화유한공사와 업무 협약을 체결한 것으로 알려졌다.
드림콘서트 월드투어를 주최하는 연제협은 441개의 국내 엔터사(소속 연예인 5천여 명)를 회원으로 두고 있는 사단법인 단체다. 드림콘서트는 1995년 첫 개최 후 한 해도 빠짐없이 이어져 온 국내 최장수 K팝 콘서트다. 연제협에 소속되어 있는 인기 아이돌 그룹들이 해마다 대거 출연한다.
지난해 공양종합운동장에서 펼쳐진 드림콘서트에는 슈퍼주니어의 리더 이특과 권은비가 사회를 맡고 쟁쟁한 K팝 가수와 그룹 총 30팀이 출연했다. 강성훈, 더킹덤, 드리핀, 드림캐쳐, 라잇썸, 루시, 소디엑, 싸이커스, 씨아이엑스, 어센트, 에잇턴, 엑스디너리 히어로즈, 엔시티 위시, 엔싸인, 원어스, 원팩트, 유나이트, 유니스, 이븐, 이펙스, 제이디원, 최예나, 케플러, 키스오브라이프, 템페스트, 트렌드지, 티아이오티, 파우, 피프티피프티, 하이키(가나다순) 등이었다.
연제협 임백운 회장은 "드림콘서트가 한한령을 뚫고 중국과 홍콩에서 열리는 만큼 그 어느 해보다도 화려한 출연진을 구상하기 위해 노력하겠다"면서 "조만간 중국 내 다른 지역에서의 대규모 K-팝 공연도 순차적으로 확정될 것"이라고 밝혔다.
https://m.newspim.com//news/view/20250430000195
뉴스핌
[단독] 한한령 사실상 전면 해제…中서 9월 '5만명' 규모 K팝 공연 열린다
[서울=뉴스핌] 오광수 문화전문기자 = K팝 최고 축제중 하나인 드림콘서트가 '한한령'(限韩令)으로 꼭꼭 닫혀 있던 만리장성을 넘는다. 한국연예제작자협회(이하 연제협)는 "올해로 31주년을 맞는 드림콘서트를 9월 26일 중국 하이난성(海南省)의 산야 스포츠 스
Forwarded from 한화 엔터/레저/운송 박수영
강원랜드[035250/Buy]
밋밋해 보이지만 퍼즐은 하나씩 맞춰지는 중
✔️https://buly.kr/6igxAuW
동사는 1분기 별도 영업이익 777억원을 기록하며 시장 기대에 부합했습니다. 한편 오사카 복합리조트 2030 개장을 앞두고 동사 경쟁력 강화를 위한 투자는 꾸준히 진행 중입니다. 긍정적인 의견을 제시합니다
✔️1Q25 Review: 영업이익 컨센서스 부합
동사의 1분기 별도 기준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3,658억원, 777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 기준 컨센서스 754억원에 부합한 실적이었다. 드롭액은 1조 4,549억원으로 YoY +5% 성장했다. 방문객 수는 전년비 +3% 성장한 약 62만명을 기록했다. Mass 방문객 수는 전년비 +2.5% 증가하는데 그친 반면, VIP 방문객 수는 전년비 +35.6% 증가했다. 다만 드롭액 및 방문객 수 증가에도 불구하고, 카지노 GGR은 전년비 소폭 하락(-1%)했는데, 전년 대비 홀드율이 부진한 탓으로 보인다. 리조트 매출의 경우 전년비 30억원 감소했는데, F&B 일부 매출의 매출 분류가 카지노로 변경(44억원)된 점을 감안하면 나쁘지 않은 분기 매출액을 기록했다. 한편 인건비가 전년비 소폭 감소(-5%)했는데 일부 퇴직금 지급 시점 차에 따른 것이다.
✔️밋밋해 보이지만 퍼즐은 하나씩 맞춰지는 중
K-Hit 관련해 일반 영업장 확장 공사는 올 여름, 회원 영업장 리노베이션은 '27년 완공 예정이다. 비카지노 부문 확대를 위한 Master Plan도 올해 9월경 발표될 예정이다. 한편 1/23일 영월~삼척 고속도로 예비타당성 조사가 최종 통과됐다. 작년 말에는 제천~영월 사업 추진이 확정됐다. 해당 고속도로 완공(제천-삼척 구간)시 접근성 개선으로 소요 시간은 기존 대비 30분 이상 단축될 것으로 예상된다. 성공적 K-HIT 프로젝트를 위한 인프라도 차츰 갖춰지는 모습이다. 다만 여전히 외인 카지노 매출액이 매출총량제에 포함되고 있는 부분은 아쉽다. CAPA 증설에 따른 외형 성장이 확실하게 뒷받침되기 위해서는 매출총량제 문제 해결도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22,000원 유지
복합리조트를 위한 제반 인프라 투자 진행이 긍정적이다. 투자 등으로 실적 성장이 가파르게 나타나기 시작했던 '13년 평균 멀티플에 30% 할인을 적용했다. 긍정적인 의견을 유지한다.
밋밋해 보이지만 퍼즐은 하나씩 맞춰지는 중
✔️https://buly.kr/6igxAuW
동사는 1분기 별도 영업이익 777억원을 기록하며 시장 기대에 부합했습니다. 한편 오사카 복합리조트 2030 개장을 앞두고 동사 경쟁력 강화를 위한 투자는 꾸준히 진행 중입니다. 긍정적인 의견을 제시합니다
✔️1Q25 Review: 영업이익 컨센서스 부합
동사의 1분기 별도 기준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3,658억원, 777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 기준 컨센서스 754억원에 부합한 실적이었다. 드롭액은 1조 4,549억원으로 YoY +5% 성장했다. 방문객 수는 전년비 +3% 성장한 약 62만명을 기록했다. Mass 방문객 수는 전년비 +2.5% 증가하는데 그친 반면, VIP 방문객 수는 전년비 +35.6% 증가했다. 다만 드롭액 및 방문객 수 증가에도 불구하고, 카지노 GGR은 전년비 소폭 하락(-1%)했는데, 전년 대비 홀드율이 부진한 탓으로 보인다. 리조트 매출의 경우 전년비 30억원 감소했는데, F&B 일부 매출의 매출 분류가 카지노로 변경(44억원)된 점을 감안하면 나쁘지 않은 분기 매출액을 기록했다. 한편 인건비가 전년비 소폭 감소(-5%)했는데 일부 퇴직금 지급 시점 차에 따른 것이다.
✔️밋밋해 보이지만 퍼즐은 하나씩 맞춰지는 중
K-Hit 관련해 일반 영업장 확장 공사는 올 여름, 회원 영업장 리노베이션은 '27년 완공 예정이다. 비카지노 부문 확대를 위한 Master Plan도 올해 9월경 발표될 예정이다. 한편 1/23일 영월~삼척 고속도로 예비타당성 조사가 최종 통과됐다. 작년 말에는 제천~영월 사업 추진이 확정됐다. 해당 고속도로 완공(제천-삼척 구간)시 접근성 개선으로 소요 시간은 기존 대비 30분 이상 단축될 것으로 예상된다. 성공적 K-HIT 프로젝트를 위한 인프라도 차츰 갖춰지는 모습이다. 다만 여전히 외인 카지노 매출액이 매출총량제에 포함되고 있는 부분은 아쉽다. CAPA 증설에 따른 외형 성장이 확실하게 뒷받침되기 위해서는 매출총량제 문제 해결도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22,000원 유지
복합리조트를 위한 제반 인프라 투자 진행이 긍정적이다. 투자 등으로 실적 성장이 가파르게 나타나기 시작했던 '13년 평균 멀티플에 30% 할인을 적용했다. 긍정적인 의견을 유지한다.
Forwarded from [DAOL퀀트 김경훈] 탑다운 전략 (경훈 김)
# KOSPI ABNORMALITIES 🚨
시뻘건 선이 삼성전자의 200주 이평선
IMF, IT버블, 금융위기 때도 꺽인 적 없던 것의 사상 첫 붕괴
무엇을 의미하는 걸까요? 👀
시뻘건 선이 삼성전자의 200주 이평선
IMF, IT버블, 금융위기 때도 꺽인 적 없던 것의 사상 첫 붕괴
무엇을 의미하는 걸까요? 👀
30일 시장조사업체 D램익스체인지에 따르면 PC용 D램 범용제품(DDR4 8Gb 1Gx8)의 4월 평균 고정거래가격은 전달보다 22.22% 급등한 1.65달러로 집계됐다.
D램 가격은 지난해 9월(-17.07%)과 11월(-20.59%) 두 자릿수의 급락세를 보였다가 12월부터는 4개월 연속 보합세를 나타냈다.
메모리카드·USB용 낸드플래시 범용제품(128Gb 16Gx8 MLC)의 평균 고정거래가격은 전월보다 11.06% 오른 2.79달러를 기록했다. 낸드 가격은 작년 9월부터 4개월 연속 내림세를 보인 뒤 지난 1월(4.57%) 반등해 4개월 연속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362682
D램 가격은 지난해 9월(-17.07%)과 11월(-20.59%) 두 자릿수의 급락세를 보였다가 12월부터는 4개월 연속 보합세를 나타냈다.
메모리카드·USB용 낸드플래시 범용제품(128Gb 16Gx8 MLC)의 평균 고정거래가격은 전월보다 11.06% 오른 2.79달러를 기록했다. 낸드 가격은 작년 9월부터 4개월 연속 내림세를 보인 뒤 지난 1월(4.57%) 반등해 4개월 연속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362682
Naver
4월 D램 고정거래가 22.22% 급등…낸드도 11.06% 올라
4월 메모리 반도체의 월 평균 가격이 상승했다. 30일 시장조사업체 D램익스체인지에 따르면 PC용 D램 범용제품(DDR4 8Gb 1Gx8)의 4월 평균 고정거래가격은 전달보다 22.22% 급등한 1.65달러로 집계됐
Forwarded from BK Tech Insight - 바바리안 리서치
[ Western Digital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가이던스 발표로 장전 10% 넘게 상승 ]
📌 Western Digital (WDC) FY3Q25 실적 발표
✅ 주요 실적 (QoQ)
- 매출: $2.29B (-5% QoQ)
- 클라우드: $2.01B (-4%)
- 클라이언트: $137M (-2%)
- 소비자: $150M (-13%)
- GAAP EPS: $2.11 (+66%)
- Non-GAAP EPS: $1.36 (+15%)
- Gross Margin (Non-GAAP): 40.1% (+1.7%p)
✅ 주요 실적 (YoY)
- 매출: +31%
- 클라우드 매출: +38% (bit 출하량 +32%)
- 소비자 매출: -4% (가격 하락 영향)
✅ 4Q 가이던스
- 매출: $2.45B ± $150M (가이던스 2.35B 상회)
- Non-GAAP EPS: $1.45 ± $0.20
- Gross Margin (Non-GAAP): 40.0~41.0%
✅ 배당 프로그램 신설
- 분기당 현금배당: 주당 $0.10 (배당일: 6월 18일)
✅ 재무현황
- 영업활동 현금흐름: $508M
- 현금보유액: $3.48B
✅ 주요 코멘트
- 데이터 수요 증가로 HDD 제품군 강세 지속 예상
- 클라우드 제품군의 견조한 가격 상승(+5%) 및 제품 포트폴리오 강점 강조
✅ 기타 특이사항
- 플래시 사업부 분리(Sandisk) 완료 (2025년 2월 21일)
✅ WDC 코멘트
"Western Digital은 회계연도 3분기에 가이던스 범위의 높은 수준의 매출과 40% 이상의 총 마진을 달성하면서 좋은 성과를"
"지정학적 불확실성과 변화하는 관세 역학으로 특징지어지는 세계에서도 한 가지 변하지 않는 것은 데이터의 기하급수적인 증가"
"데이터를 대규모로 저장하는 데 있어 HDD의 비용 효율성과 신뢰성에 필적할 수 있는 기술은 없음"
✅ 짧은 결론
- 데이터 저장 수요가 매크로 이슈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크게 증가하고 있음
- 데이터 센터 발 데이터 저장 수요가 호조를 지속하며 컨센서스를 5% 가량 상회하는 가이던스 발표
📌 Western Digital (WDC) FY3Q25 실적 발표
✅ 주요 실적 (QoQ)
- 매출: $2.29B (-5% QoQ)
- 클라우드: $2.01B (-4%)
- 클라이언트: $137M (-2%)
- 소비자: $150M (-13%)
- GAAP EPS: $2.11 (+66%)
- Non-GAAP EPS: $1.36 (+15%)
- Gross Margin (Non-GAAP): 40.1% (+1.7%p)
✅ 주요 실적 (YoY)
- 매출: +31%
- 클라우드 매출: +38% (bit 출하량 +32%)
- 소비자 매출: -4% (가격 하락 영향)
✅ 4Q 가이던스
- 매출: $2.45B ± $150M (가이던스 2.35B 상회)
- Non-GAAP EPS: $1.45 ± $0.20
- Gross Margin (Non-GAAP): 40.0~41.0%
✅ 배당 프로그램 신설
- 분기당 현금배당: 주당 $0.10 (배당일: 6월 18일)
✅ 재무현황
- 영업활동 현금흐름: $508M
- 현금보유액: $3.48B
✅ 주요 코멘트
- 데이터 수요 증가로 HDD 제품군 강세 지속 예상
- 클라우드 제품군의 견조한 가격 상승(+5%) 및 제품 포트폴리오 강점 강조
✅ 기타 특이사항
- 플래시 사업부 분리(Sandisk) 완료 (2025년 2월 21일)
✅ WDC 코멘트
"Western Digital은 회계연도 3분기에 가이던스 범위의 높은 수준의 매출과 40% 이상의 총 마진을 달성하면서 좋은 성과를"
"지정학적 불확실성과 변화하는 관세 역학으로 특징지어지는 세계에서도 한 가지 변하지 않는 것은 데이터의 기하급수적인 증가"
"데이터를 대규모로 저장하는 데 있어 HDD의 비용 효율성과 신뢰성에 필적할 수 있는 기술은 없음"
✅ 짧은 결론
- 데이터 저장 수요가 매크로 이슈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크게 증가하고 있음
- 데이터 센터 발 데이터 저장 수요가 호조를 지속하며 컨센서스를 5% 가량 상회하는 가이던스 발표
Forwarded from 도PB의 생존투자 (도PB)
미국 1분기 GDP, 2022년 이후 처음으로 마이너스 기록
-0.3% 대비 +0.3% 예상
연속해서 GDP가 마이너스를 기록하면 기술적 경기 침체에 빠지게 됩니다.
-0.3% 대비 +0.3% 예상
연속해서 GDP가 마이너스를 기록하면 기술적 경기 침체에 빠지게 됩니다.
Forwarded from 도PB의 생존투자 (도PB)
오늘 발표된 마이너스 0.3% GDP 성장률 이후, 폴리마켓(Polymarket)에서 2025년 미국 경기 침체 확률이 70%로 치솟았습니다. 이는 올해 최고치입니다.
이런 상황이 한 분기 더 지속되면, 대부분의 기준에 따르면 사실상 경기 침체에 빠진 것입니다.
이런 상황이 한 분기 더 지속되면, 대부분의 기준에 따르면 사실상 경기 침체에 빠진 것입니다.
Forwarded from [DAOL퀀트 김경훈] 탑다운 전략 (경훈 김)
# GDP RECAP. - "매번 시차에 안주하는 우리"
* 3년만의 첫 경제 수축 (심지어 저건 명목)
* 물가는 예상치 상회 및 ADP고용 올해 증분 급감 (스테그플레이션 심화, "only way out is the money printing" -> 빈부격차 심화)
하드 데이타 벌써 꺾이나...🙈
https://t.me/purequant/11729
* 3년만의 첫 경제 수축 (심지어 저건 명목)
* 물가는 예상치 상회 및 ADP고용 올해 증분 급감 (스테그플레이션 심화, "only way out is the money printing" -> 빈부격차 심화)
하드 데이타 벌써 꺾이나...🙈
https://t.me/purequant/11729
Telegram
[DAOL퀀트 김경훈] 탑다운 전략
# "경기침체"와 "성장률"간의 시차 ⏱
상단차트는 1950년 이후 미국 NBER에서 정의한 경기침체 (i.e. 핑크 실선)를 기준으로 미국의 실질GDP와 S&P500의 추이입니다.
이벤트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침체 진입 👉 증시 하락 👉 GDP 역성장 👉 증시 반등 👉 GDP 회복
이는 GDP가 가장 후행하는 지표라는 것을 시사합니다. 더 나아가 본격적인 경기침체 진입 전의 1년 평균 성장률은 3%대 입니다.
전일 발표된 2분기 미국…
상단차트는 1950년 이후 미국 NBER에서 정의한 경기침체 (i.e. 핑크 실선)를 기준으로 미국의 실질GDP와 S&P500의 추이입니다.
이벤트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침체 진입 👉 증시 하락 👉 GDP 역성장 👉 증시 반등 👉 GDP 회복
이는 GDP가 가장 후행하는 지표라는 것을 시사합니다. 더 나아가 본격적인 경기침체 진입 전의 1년 평균 성장률은 3%대 입니다.
전일 발표된 2분기 미국…
Forwarded from 시황맨의 주식이야기
1분기 GDP 분석. 시황맨
1분기 GDP가 -0.3%로 2022년 이 후 처음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네요.
그런데 항목별 기여도를 보니 소비 +1.21%, 투자 +3.60%, 정부 지출 -0.25%, 수출 +0.19%, 수입 -5.03%입니다.
즉, 수입이 급증하면서 전체 수치를 깎은 겁니다.
수입이 증가하면 국내에서 생산되는 품목의 수요가 줄어들어 GDP는 내려 가게 됩니다.
아마도 관세 부과 전 수입을 늘린 것이 이번 마이너스 성장에 결정적으로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이네요.
한마디로 1분기 마이너스 성장은 그냥 트럼프 때문이라고 봐야...
1분기 GDP가 -0.3%로 2022년 이 후 처음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네요.
그런데 항목별 기여도를 보니 소비 +1.21%, 투자 +3.60%, 정부 지출 -0.25%, 수출 +0.19%, 수입 -5.03%입니다.
즉, 수입이 급증하면서 전체 수치를 깎은 겁니다.
수입이 증가하면 국내에서 생산되는 품목의 수요가 줄어들어 GDP는 내려 가게 됩니다.
아마도 관세 부과 전 수입을 늘린 것이 이번 마이너스 성장에 결정적으로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이네요.
한마디로 1분기 마이너스 성장은 그냥 트럼프 때문이라고 봐야...
Forwarded from 한화투자증권 경제 임혜윤
* 1Q 미국 GDP: 침체 아니지만, 관세 충격 일부 확인
: 전기대비 연율 -0.3%(전기대비 -0.1%)
: 관세 여파로 수입 급증, 재고 증가
: 소비 둔화, 투자 반등, 정부지출 감소
: 내수 전기대비 연율 +3.0%(전기대비 +0.7%)
: 전기대비 연율 -0.3%(전기대비 -0.1%)
: 관세 여파로 수입 급증, 재고 증가
: 소비 둔화, 투자 반등, 정부지출 감소
: 내수 전기대비 연율 +3.0%(전기대비 +0.7%)
Forwarded from 사제콩이_서상영
05/01 미 증시, 경기 침체 우려에 크게 하락 후 PCE 가격 안정과 무역 협상 기대에 혼조
미 증시는 GDP 성장률이 마이너스 0.3%로 발표된 가운데 고용 지표 등이 위축되자 경기 침체 우려를 반영하며 S&P500 기준 2% 넘게 하락. 그러나 관세로 인한 일시적이라는 점, 장중 발표된 PCE 가격 지수의 안정에 따른 연준에 대한 기대등으로 낙폭이 축소. 더불어 트럼프가 캐나다와 무역 분쟁 완화 언급, 중국과의 합의 기대 등을 언급하자 상승 전환 성공. 특히 월말 수급 효과에 대형 기술주가 상승하는 등 주식과 채권, 외환 등에 영향 준 점도 특징(다우 +0.35%, 나스닥 -0.09%, S&P500 +0.15%, 러셀2000 -0.63%,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0.79%)
*변화요인: GDP 성장률 위축, 고용 둔화, 물가 안정, 관세 협상 기대
미국 1분기 GDP는 연율 환산 0.3% 감소하며 최근 시장 전망에 부합. 이번 지표는 1) 관세 부과전 수입 급증에 따른 순수출이 사상 최고치인 4.83%p 감소, 기업 재고 2.25%p 증가 2) 대규모 화재와 선거 비용, 관세 부과전 소비가 집중되며 소비 품목 1.21%p 성장 3) 국방비 지출 정상화 등 DOGE 효과로 정부 지출이 0.25%p 감소 등이 영향. 즉 트럼프 관세로 인한 일시적인 효과라는 점에서 시장에 쇼크를 주지는 않음. 실제 애틀란타 연은의 GDPNow는 2분기에 2.4% 성장을 전망.
한편, ADP 민간 비농업고용자수는 14.7만 건에서 6.2만 건으로 감소해 고용시장 불안을 반영. ADP는 발표 후 키워드를 ‘불안’ 이라고 언급. 건설(+1.6만 건) , 레저 및 접객업(+2.7%)이 증가하고 교육 및 헬스케어(-2.3만 건)는 감소. 그 외 업종은 정체. 3월 개인 소득은 0.5%, 개인 지출은 상품 지출(+1.3%) 중심으로 0.7% 증가. PCE 가격 지수는 전월 대비 0.04% 하락. 근원 PCE 가격지수는 전월 대비 0.03% 상승에 그쳤고, 주택을 제외한 핵심 서비스업 PCE도 0.60%에서 0.04%로 크게 둔화되는 등 물가 안정은 지속.
지표 결과에 대해 트럼프는 바이든 탓에 마이너스 성장을 했지만, 자신의 정책 때문에 국내 총투자가 22% 크게 증가했다고 주장. 나바로도 관세로 인한 수입 급증 효과 재고를 제외하면 국내 투자가 급증해 나쁘지 않은 수치라고 언급. 주식시장은 경기에 대한 불안을 반영하며 장 초반 크게 하락하고, 3분기 물가(+3.7%)를 반영하며 국채 금리가 상승하는 등 변화.
그러나 마이너스 성장은 관세로 인한 일시적이라는 점, 3월 PCE 물가는 둔화되고 있다는 점에 연준 정책에 대한 기대에 주식시장은 낙폭 축소, 국채 금리는 정상화. 더불어 트럼프가 카니 캐나다 총리가 1~2주 안에 미국을 방문해 무역분쟁 협의할 것이라고 언급한 점, 그리고 중국 CCTV에서 미국 정부가 최근 대중 관세 문제를 합의하기 위해 중국측과 접촉했다고 보도한 점도 우호적. 결국 그동안 미-중 무역 분쟁 논의가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줘 주식시장 상승 전환 성공. 국채 금리도 장 마감 앞두고 하락. 장 마감 후에는 EU가 다음 주 미국과 무역 협상을 위한 제안서 제출 한다고 발표하는 등 ‘협상의 시기’가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줌
미 증시는 GDP 성장률이 마이너스 0.3%로 발표된 가운데 고용 지표 등이 위축되자 경기 침체 우려를 반영하며 S&P500 기준 2% 넘게 하락. 그러나 관세로 인한 일시적이라는 점, 장중 발표된 PCE 가격 지수의 안정에 따른 연준에 대한 기대등으로 낙폭이 축소. 더불어 트럼프가 캐나다와 무역 분쟁 완화 언급, 중국과의 합의 기대 등을 언급하자 상승 전환 성공. 특히 월말 수급 효과에 대형 기술주가 상승하는 등 주식과 채권, 외환 등에 영향 준 점도 특징(다우 +0.35%, 나스닥 -0.09%, S&P500 +0.15%, 러셀2000 -0.63%,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0.79%)
*변화요인: GDP 성장률 위축, 고용 둔화, 물가 안정, 관세 협상 기대
미국 1분기 GDP는 연율 환산 0.3% 감소하며 최근 시장 전망에 부합. 이번 지표는 1) 관세 부과전 수입 급증에 따른 순수출이 사상 최고치인 4.83%p 감소, 기업 재고 2.25%p 증가 2) 대규모 화재와 선거 비용, 관세 부과전 소비가 집중되며 소비 품목 1.21%p 성장 3) 국방비 지출 정상화 등 DOGE 효과로 정부 지출이 0.25%p 감소 등이 영향. 즉 트럼프 관세로 인한 일시적인 효과라는 점에서 시장에 쇼크를 주지는 않음. 실제 애틀란타 연은의 GDPNow는 2분기에 2.4% 성장을 전망.
한편, ADP 민간 비농업고용자수는 14.7만 건에서 6.2만 건으로 감소해 고용시장 불안을 반영. ADP는 발표 후 키워드를 ‘불안’ 이라고 언급. 건설(+1.6만 건) , 레저 및 접객업(+2.7%)이 증가하고 교육 및 헬스케어(-2.3만 건)는 감소. 그 외 업종은 정체. 3월 개인 소득은 0.5%, 개인 지출은 상품 지출(+1.3%) 중심으로 0.7% 증가. PCE 가격 지수는 전월 대비 0.04% 하락. 근원 PCE 가격지수는 전월 대비 0.03% 상승에 그쳤고, 주택을 제외한 핵심 서비스업 PCE도 0.60%에서 0.04%로 크게 둔화되는 등 물가 안정은 지속.
지표 결과에 대해 트럼프는 바이든 탓에 마이너스 성장을 했지만, 자신의 정책 때문에 국내 총투자가 22% 크게 증가했다고 주장. 나바로도 관세로 인한 수입 급증 효과 재고를 제외하면 국내 투자가 급증해 나쁘지 않은 수치라고 언급. 주식시장은 경기에 대한 불안을 반영하며 장 초반 크게 하락하고, 3분기 물가(+3.7%)를 반영하며 국채 금리가 상승하는 등 변화.
그러나 마이너스 성장은 관세로 인한 일시적이라는 점, 3월 PCE 물가는 둔화되고 있다는 점에 연준 정책에 대한 기대에 주식시장은 낙폭 축소, 국채 금리는 정상화. 더불어 트럼프가 카니 캐나다 총리가 1~2주 안에 미국을 방문해 무역분쟁 협의할 것이라고 언급한 점, 그리고 중국 CCTV에서 미국 정부가 최근 대중 관세 문제를 합의하기 위해 중국측과 접촉했다고 보도한 점도 우호적. 결국 그동안 미-중 무역 분쟁 논의가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줘 주식시장 상승 전환 성공. 국채 금리도 장 마감 앞두고 하락. 장 마감 후에는 EU가 다음 주 미국과 무역 협상을 위한 제안서 제출 한다고 발표하는 등 ‘협상의 시기’가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줌
뉴욕증시, 역성장 충격은 저가 매수 기회…혼조 마감 | 연합뉴스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혼조로 마감했다.
미국 1분기 경제성장률이 3년 만에 역성장하고 민간 고용시장도 불안했으나 미국과 중국 간 무역 협상이 진행될 것이라는 기대감에 주요 주가지수는 낙폭을 대부분 회복했다.
장 초반 주가지수를 주저앉힌 것은 역성장 충격이었다.
미국 상무부는 계절 조정 기준 1분기 GDP 성장률(속보치)이 전기 대비 연율 -0.3%를 기록했다고 예비 집계했다. 이는 지난해 4분기 성장률 2.4%에서 크게 둔화한 수치다.
미국 분기 GDP가 역성장한 것은 2022년 1분기 이후 처음이다.
이날 수치는 시장 예상치 0.3% 성장 또한 밑돌았다.
이 같은 소식에 급락 출발한 주요 주가지수는 장 중 낙폭을 2% 넘게 확대하기도 했다. 나스닥 지수는 -2.87%까지 급락했다.
하지만 장 중 저가 매수세가 꾸준히 유입되면서 주가지수는 장 마감 무렵 낙폭을 거의 다 회복했다.
당초 월가의 주요 기관이 1분기 역성장을 예상했던 만큼 시간이 갈수록 감내할 수준이라는 인식이 확산됐다.
JP모건은 1분기 성장률 전망치를 최근 -1.5%까지 낮춘 바 있다. 투자은행 제퍼리스도 1분기 전망치를 -0.2%, BNP파리바는 -0.6%까지 최근 내리기도 했다.
오후 들어선 미국과 중국의 무역협상에 대한 기대감이 주가를 밀어 올렸다.
중국 관영 중앙방송(CCTV) 계열의 소셜미디어인 '위위안탄톈'은 이날 오후 계정에 '단독 공개'라는 타이틀을 달고 "최근 미국이 관세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여러 채널을 통해 중국과 적극적으로 접촉해 왔다"고 밝혔다.
이 같은 소식에 S&P500 지수는 순간 30포인트 가까이 급등하기도 했다. 이 소식에 대해 미국 정부가 반응하지 않으면서 오름폭은 이내 축소됐으나 기대감은 오후 내내 이어졌다.
https://www.yna.co.kr/view/AKR20250501008400009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혼조로 마감했다.
미국 1분기 경제성장률이 3년 만에 역성장하고 민간 고용시장도 불안했으나 미국과 중국 간 무역 협상이 진행될 것이라는 기대감에 주요 주가지수는 낙폭을 대부분 회복했다.
장 초반 주가지수를 주저앉힌 것은 역성장 충격이었다.
미국 상무부는 계절 조정 기준 1분기 GDP 성장률(속보치)이 전기 대비 연율 -0.3%를 기록했다고 예비 집계했다. 이는 지난해 4분기 성장률 2.4%에서 크게 둔화한 수치다.
미국 분기 GDP가 역성장한 것은 2022년 1분기 이후 처음이다.
이날 수치는 시장 예상치 0.3% 성장 또한 밑돌았다.
이 같은 소식에 급락 출발한 주요 주가지수는 장 중 낙폭을 2% 넘게 확대하기도 했다. 나스닥 지수는 -2.87%까지 급락했다.
하지만 장 중 저가 매수세가 꾸준히 유입되면서 주가지수는 장 마감 무렵 낙폭을 거의 다 회복했다.
당초 월가의 주요 기관이 1분기 역성장을 예상했던 만큼 시간이 갈수록 감내할 수준이라는 인식이 확산됐다.
JP모건은 1분기 성장률 전망치를 최근 -1.5%까지 낮춘 바 있다. 투자은행 제퍼리스도 1분기 전망치를 -0.2%, BNP파리바는 -0.6%까지 최근 내리기도 했다.
오후 들어선 미국과 중국의 무역협상에 대한 기대감이 주가를 밀어 올렸다.
중국 관영 중앙방송(CCTV) 계열의 소셜미디어인 '위위안탄톈'은 이날 오후 계정에 '단독 공개'라는 타이틀을 달고 "최근 미국이 관세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여러 채널을 통해 중국과 적극적으로 접촉해 왔다"고 밝혔다.
이 같은 소식에 S&P500 지수는 순간 30포인트 가까이 급등하기도 했다. 이 소식에 대해 미국 정부가 반응하지 않으면서 오름폭은 이내 축소됐으나 기대감은 오후 내내 이어졌다.
https://www.yna.co.kr/view/AKR20250501008400009
연합뉴스
뉴욕증시, 역성장 충격은 저가 매수 기회…혼조 마감 | 연합뉴스
(뉴욕=연합뉴스) 진정호 연합인포맥스 특파원 =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혼조로 마감했다.
Forwarded from [하나 Global ETF] 박승진 (박승진 하나증권)
🔹미국 1분기 GDP가 전분기대비 -0.3% 역성장 기록
» 팬데믹 국면이었던 2022년 1분기(-1.0%) 이후 3년만의 역성장
» 수입 증가 및 정부지출 감소 영향. 관세 부과에 앞서 기업들이 패닉 바잉에 나서면서 수입이 41.3% 증가
» 팬데믹 국면이었던 2022년 1분기(-1.0%) 이후 3년만의 역성장
» 수입 증가 및 정부지출 감소 영향. 관세 부과에 앞서 기업들이 패닉 바잉에 나서면서 수입이 41.3% 증가
Forwarded from [하나 Global ETF] 박승진 (박승진 하나증권)
» 미국의 4월 ADP 민간고용은 예상치(+11.5만명)을 크게 하회한 +6.2만명 기록
» 2024년 7월 이후 최저치. 지난 2022년 지표 조정 이후 BLS 고용보고서 대비 ADP 민간고용이 안정적 추세를 보여주는 경향 참고
» 2024년 7월 이후 최저치. 지난 2022년 지표 조정 이후 BLS 고용보고서 대비 ADP 민간고용이 안정적 추세를 보여주는 경향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