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warded from [하나 Global ETF] 박승진 (박승진 하나증권)
🔹미국과 중국 AI 모델의 성능 비교
» 2024년 초에는 미국 AI 모델이 중국 모델보다 약 100점 이상 앞섰지만, 2025년 중국의 Deepseek R1 출시 이후 격차가 23점까지 축소
» 성능 비교는 LMSYS arena에서 미국과 중국의 최고 AI 모델을 대상으로 진행. LMSYS는 AI 모델간 '실제 사용자 질문에 대한 응답 품질'을 기준으로 직접 비교하는 플랫폼
» AI 분야에 대한 압도적인 기술 우위를 명분으로 미국 빅테크 기업들에 일방적 밸류에이션 프리미엄을 부여하기 어려워진 이유
» 2024년 초에는 미국 AI 모델이 중국 모델보다 약 100점 이상 앞섰지만, 2025년 중국의 Deepseek R1 출시 이후 격차가 23점까지 축소
» 성능 비교는 LMSYS arena에서 미국과 중국의 최고 AI 모델을 대상으로 진행. LMSYS는 AI 모델간 '실제 사용자 질문에 대한 응답 품질'을 기준으로 직접 비교하는 플랫폼
» AI 분야에 대한 압도적인 기술 우위를 명분으로 미국 빅테크 기업들에 일방적 밸류에이션 프리미엄을 부여하기 어려워진 이유
Forwarded from 루팡
로슈, AI 기반 비소세포폐암 동반진단기기로 FDA 혁신기기 지정(BDD) 획득
로슈는 오늘, VENTANA® TROP2 (EPR20043) RxDx 기기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혁신기기 지정(Breakthrough Device Designation, BDD)을 받았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컴퓨테이셔널 병리학 기반 동반진단(CDx) 기기로는 최초로 혁신기기 지정을 받은 사례입니다.
VENTANA TROP2 (EPR20043) RxDx 기기는
면역조직화학(IHC) 검사와
디지털 병리 알고리즘을 결합해
환자의 치료 결정을 지원하는 장치입니다.
AI 기반 이미지 분석을 통해 기존 수작업 판독 방법으로는 얻을 수 없는 높은 수준의 진단 정밀도를 구현했습니다.
로슈 진단사업부 CEO인 Matt Sause는
"이번 FDA 혁신기기 지정은 종양학 분야에서 보다 정밀한 진단을 가능하게 하는 혁신을 지속하고 있다는 증거"라고 강조하며,
"AI를 활용한 심층 샘플 분석을 통해 진정한 개인 맞춤형 치료 제공을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VENTANA TROP2 (EPR20043) RxDx 기기 개요
구성요소:
TROP2 알고리즘
navify® 디지털 병리 이미지 관리 시스템
Roche 디지털 병리 스캐너(DP 200, DP 600)
OptiView DAB 검출 키트와 BenchMark ULTRA IHC/ISH 기기에서 사용하는 VENTANA TROP2 (EPR20043) RxDx Assay
기능:
비소세포폐암(NSCLC) 조직 슬라이드 이미지를 분석해
정량적 TROP2 점수를 산출
또한, 이 알고리즘은 AstraZeneca의 독점 기술인 정량적 연속 스코어링(Quantitative Continuous Scoring, QCS) 플랫폼을 통합해, 기존 수작업 평가보다 훨씬 높은 진단 정밀도를 제공합니다.
AstraZeneca의 종양혈액학 R&D 부문 부사장인 Susan Galbraith는
"이번 FDA 혁신기기 지정은 당사의 컴퓨테이셔널 병리 플랫폼이 암 환자에 대한 보다 개인화된 치료 결정을 가능하게 할 잠재력을 보여준다"고 말했습니다.
향후 전망
이번 혁신기기 지정으로,
TROP2를 표적으로 하는 DATROWAY®(datopotamab deruxtecan-dlnk) 치료제(다이이찌산쿄와 아스트라제네카 공동 개발)를 사용할 환자를 식별하는 AI 기반 시스템이 보다 빠르게 상용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https://www.globenewswire.com/news-release/2025/04/29/3069829/0/en/Roche-granted-FDA-Breakthrough-Device-Designation-for-first-AI-driven-companion-diagnostic-for-non-small-cell-lung-cancer.html
로슈는 오늘, VENTANA® TROP2 (EPR20043) RxDx 기기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혁신기기 지정(Breakthrough Device Designation, BDD)을 받았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컴퓨테이셔널 병리학 기반 동반진단(CDx) 기기로는 최초로 혁신기기 지정을 받은 사례입니다.
VENTANA TROP2 (EPR20043) RxDx 기기는
면역조직화학(IHC) 검사와
디지털 병리 알고리즘을 결합해
환자의 치료 결정을 지원하는 장치입니다.
AI 기반 이미지 분석을 통해 기존 수작업 판독 방법으로는 얻을 수 없는 높은 수준의 진단 정밀도를 구현했습니다.
로슈 진단사업부 CEO인 Matt Sause는
"이번 FDA 혁신기기 지정은 종양학 분야에서 보다 정밀한 진단을 가능하게 하는 혁신을 지속하고 있다는 증거"라고 강조하며,
"AI를 활용한 심층 샘플 분석을 통해 진정한 개인 맞춤형 치료 제공을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VENTANA TROP2 (EPR20043) RxDx 기기 개요
구성요소:
TROP2 알고리즘
navify® 디지털 병리 이미지 관리 시스템
Roche 디지털 병리 스캐너(DP 200, DP 600)
OptiView DAB 검출 키트와 BenchMark ULTRA IHC/ISH 기기에서 사용하는 VENTANA TROP2 (EPR20043) RxDx Assay
기능:
비소세포폐암(NSCLC) 조직 슬라이드 이미지를 분석해
정량적 TROP2 점수를 산출
또한, 이 알고리즘은 AstraZeneca의 독점 기술인 정량적 연속 스코어링(Quantitative Continuous Scoring, QCS) 플랫폼을 통합해, 기존 수작업 평가보다 훨씬 높은 진단 정밀도를 제공합니다.
AstraZeneca의 종양혈액학 R&D 부문 부사장인 Susan Galbraith는
"이번 FDA 혁신기기 지정은 당사의 컴퓨테이셔널 병리 플랫폼이 암 환자에 대한 보다 개인화된 치료 결정을 가능하게 할 잠재력을 보여준다"고 말했습니다.
향후 전망
이번 혁신기기 지정으로,
TROP2를 표적으로 하는 DATROWAY®(datopotamab deruxtecan-dlnk) 치료제(다이이찌산쿄와 아스트라제네카 공동 개발)를 사용할 환자를 식별하는 AI 기반 시스템이 보다 빠르게 상용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https://www.globenewswire.com/news-release/2025/04/29/3069829/0/en/Roche-granted-FDA-Breakthrough-Device-Designation-for-first-AI-driven-companion-diagnostic-for-non-small-cell-lung-cancer.html
GlobeNewswire News Room
Roche granted FDA Breakthrough Device Designation for first AI-driven companion diagnostic for non-small cell lung cancer
The VENTANA TROP2 (EPR20043) RxDx Device is an immunohistochemistry (IHC) assay combined with a digital pathology algorithm to determine patient...
Forwarded from 미래에셋증권 매크로/시황 김석환
🇺🇸 미국 재무장관 스캇 베센트 주요 발언 정리
현 트럼프 행정부의 '키 맨(Key man)'은
스캇 베센트 재무장관이라고 생각합니다.
지난 4월 초, 글로벌 금융시장이 '관세 충격'에 허덕일 때 트럼프 대통령에게 직언해 '관세 유예' 카드를 꺼내도록 한 사람.
지난 4월 중순, 트럼프 대통령이 파월 연준 의장에 대한 '해임' 압력을 높일 때, 이를 완화시켜준 인물.
트럼프 대통령의 감세 정책과 부채 한도 증액, 동시에 미국 달러의 기축 통화 지위 유지와 부채감축, 재정건전화 등을 이끌 인물.
미 모든 게 '단 한 사람',
재무장관 스캇 베센트 입니다.
지난해 11월 중순 재무장관 지명 이후, 그의 주요 발언을 정리했습니다.
현 트럼프 행정부의 '키 맨(Key man)'은
스캇 베센트 재무장관이라고 생각합니다.
지난 4월 초, 글로벌 금융시장이 '관세 충격'에 허덕일 때 트럼프 대통령에게 직언해 '관세 유예' 카드를 꺼내도록 한 사람.
지난 4월 중순, 트럼프 대통령이 파월 연준 의장에 대한 '해임' 압력을 높일 때, 이를 완화시켜준 인물.
트럼프 대통령의 감세 정책과 부채 한도 증액, 동시에 미국 달러의 기축 통화 지위 유지와 부채감축, 재정건전화 등을 이끌 인물.
미 모든 게 '단 한 사람',
재무장관 스캇 베센트 입니다.
지난해 11월 중순 재무장관 지명 이후, 그의 주요 발언을 정리했습니다.
Forwarded from 서화백의 그림놀이 🚀
"Global Insight: Humanoids"
1. 시장 전망
-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규모: 2050년까지 연간 5조 달러(약 6,800조 원)에 이를 전망. 2030/2040/2050년 예상 매출은 각각 200억/1.2조/4.7조 달러.
- 전 세계 보급량: 2050년까지 누적 10억 대 도달 예상.
- 시장 성장률: 2025~2035년 연평균 성장률(CAGR) 54%, 이후 2035~2050년은 23%.
---
2. 주요 사업 모델과 가치 사슬 분석
- 가장 가치 있는 비즈니스 모델:
- 로봇 통합업체: Tesla처럼 ‘브레인+바디+생태계’ 통합 능력이 있는 기업.
- 브레인 개발자: Nvidia, Google 등 대규모 모델 보유 및 제조 역량 있는 기업.
- 핵심 부품사: 센서, 행성 롤러 스크류, 하모닉 리듀서 분야가 기술 장벽과 확장성 측면에서 매력적.
- 로봇 브레인(VLA 모델):
- 범용성 확보가 핵심 경쟁력.
- 데이터 확보 및 GPU 컴퓨팅이 병목 요소.
- 대표 주자: Nvidia ISAAC GR00T, Google Gemini Robotics, Huawei Pangu 5.0 등.
---
3. 공급망과 중국의 역할
- 중국 공급망의 중요성:
- 중국산 BoM(물류 기준): 2025년 기준 약 4.6만 달러, 비중국산 대비 1/3 수준.
- 향후 2034년까지 BoM 비용은 약 1.6만 달러**까지 하락할 전망.
- 고정밀도 및 신뢰성 측면에서 개선 중이나 가격 경쟁력 우위 유지.
- **주요 부품 고부가가치 영역:
- 행성 롤러 스크류, 6축 포스/토크 센서, 하모닉 리듀서, 모터 등.
---
4. 국가/소득 수준별 도입 전망
- 2050년 누적 도입 비중:
- 고소득 국가: 29%
- 중상위 소득 국가 (중국 포함): 50%
- 중하위 소득 국가: 20%
- 저소득 국가: 1%
- 용도별 비중 (2050년):
- 상업·산업용: 92%
- 가정용: 8% (약 8천만 대, 안전성과 가격 등의 이유로 제한적)
---
5. 주요 수혜 기업 요약
- 통합업체 (Integrator): Tesla, Amazon, Tencent, Alibaba 등.
- 브레인 개발자 (Brain): Nvidia, Alphabet, Meta, Baidu, TSMC 등.
- 바디/부품 업체 (Body):
- 중국: Inovance, Hengli, Will Semi, Tuopu, Sanhua
- 일본: HDS (Harmonic Drive Systems)
- 대만: Hiwin
- 유럽: Siemens, Infineon
---
6. 투자 인사이트
- Humanoid 100 지수: 모건스탠리가 선정한 휴머노이드 관련 글로벌 상장사 100개 리스트.
- 2025년 YTD 기준 S&P500 대비 10.5%p 초과 수익률.
- 상위 10개 중 7개는 중국 기업으로 부품(바디) 관련사 중심.
1. 시장 전망
-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규모: 2050년까지 연간 5조 달러(약 6,800조 원)에 이를 전망. 2030/2040/2050년 예상 매출은 각각 200억/1.2조/4.7조 달러.
- 전 세계 보급량: 2050년까지 누적 10억 대 도달 예상.
- 시장 성장률: 2025~2035년 연평균 성장률(CAGR) 54%, 이후 2035~2050년은 23%.
---
2. 주요 사업 모델과 가치 사슬 분석
- 가장 가치 있는 비즈니스 모델:
- 로봇 통합업체: Tesla처럼 ‘브레인+바디+생태계’ 통합 능력이 있는 기업.
- 브레인 개발자: Nvidia, Google 등 대규모 모델 보유 및 제조 역량 있는 기업.
- 핵심 부품사: 센서, 행성 롤러 스크류, 하모닉 리듀서 분야가 기술 장벽과 확장성 측면에서 매력적.
- 로봇 브레인(VLA 모델):
- 범용성 확보가 핵심 경쟁력.
- 데이터 확보 및 GPU 컴퓨팅이 병목 요소.
- 대표 주자: Nvidia ISAAC GR00T, Google Gemini Robotics, Huawei Pangu 5.0 등.
---
3. 공급망과 중국의 역할
- 중국 공급망의 중요성:
- 중국산 BoM(물류 기준): 2025년 기준 약 4.6만 달러, 비중국산 대비 1/3 수준.
- 향후 2034년까지 BoM 비용은 약 1.6만 달러**까지 하락할 전망.
- 고정밀도 및 신뢰성 측면에서 개선 중이나 가격 경쟁력 우위 유지.
- **주요 부품 고부가가치 영역:
- 행성 롤러 스크류, 6축 포스/토크 센서, 하모닉 리듀서, 모터 등.
---
4. 국가/소득 수준별 도입 전망
- 2050년 누적 도입 비중:
- 고소득 국가: 29%
- 중상위 소득 국가 (중국 포함): 50%
- 중하위 소득 국가: 20%
- 저소득 국가: 1%
- 용도별 비중 (2050년):
- 상업·산업용: 92%
- 가정용: 8% (약 8천만 대, 안전성과 가격 등의 이유로 제한적)
---
5. 주요 수혜 기업 요약
- 통합업체 (Integrator): Tesla, Amazon, Tencent, Alibaba 등.
- 브레인 개발자 (Brain): Nvidia, Alphabet, Meta, Baidu, TSMC 등.
- 바디/부품 업체 (Body):
- 중국: Inovance, Hengli, Will Semi, Tuopu, Sanhua
- 일본: HDS (Harmonic Drive Systems)
- 대만: Hiwin
- 유럽: Siemens, Infineon
---
6. 투자 인사이트
- Humanoid 100 지수: 모건스탠리가 선정한 휴머노이드 관련 글로벌 상장사 100개 리스트.
- 2025년 YTD 기준 S&P500 대비 10.5%p 초과 수익률.
- 상위 10개 중 7개는 중국 기업으로 부품(바디) 관련사 중심.
Forwarded from 도PB의 생존투자 (도PB)
최근 IMF 회의에서 연준의 독립성(Fed Independence)이 주요 논의 주제로 부각.
대통령은 파월(Fed 의장)을 해임할 의도가 없다고 밝혔지만, 정부 관계자 발언으로 시장의 우려는 여전함.
Morgan Stanley는 “연준 독립성에 대한 우려는 과도하다“는 입장 유지. FOMC 구조상 대통령 영향력이 제한적이기 때문.
FOMC는 법적으로 이사회(Board of Governors)와 12개 지역 연준은행 중 5명의 총재로 구성되며, 의장은 위원회를 대표하지만 정책 결정은 투표 기반.
파월 의장의 임기는 2026년 5월까지(의장직), 2028년까지(이사직)로, 대통령은 파월 해임 없이 의장직만 교체할 수 있음.
연준의 정책 독립성은 단기적으로 큰 변화 없이 유지될 가능성 높음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美국방부, 한화에어로 창원공장 극비 방문…MRO 사업자 선정 가능성↑
"미 국방부의 '지역거점운영유지체계(RSF)'는 동맹국의 산업 역량을 활용해 항공기와 선박 정비를 신속히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 협력 체계다. 미 국방부는 작년 5월 RSF의 일환으로 인도-태평양 지역 5개국에 군수 정비 허브를 구축한다고 발표했다. 한국과 일본, 호주, 필리핀, 싱가포르를 시범 국가로 선정했다. 한국에서는 주한미군 제7공군 소속 F-16C/D 전투기 3대 비행대대의 지원을 초기 사업에 포함시켰고 향후 다른 부대로 확대할 전망이다.
RSF가 구체화되면서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참여 의향을 내비쳤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미 공군의 MRO 수요 증가에 대응해 창원 공장 증설도 검토한다. 엔진 생산 거점인 창원1공장은 기종별 엔진 4대의 창정비 생산 역량을 갖추고 있다. 지난 1979년 생산을 시작한 이후 작년 4월 누적 출하량이 1만대를 돌파했다."
https://www.theguru.co.kr/news/article.html?no=86510
"미 국방부의 '지역거점운영유지체계(RSF)'는 동맹국의 산업 역량을 활용해 항공기와 선박 정비를 신속히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 협력 체계다. 미 국방부는 작년 5월 RSF의 일환으로 인도-태평양 지역 5개국에 군수 정비 허브를 구축한다고 발표했다. 한국과 일본, 호주, 필리핀, 싱가포르를 시범 국가로 선정했다. 한국에서는 주한미군 제7공군 소속 F-16C/D 전투기 3대 비행대대의 지원을 초기 사업에 포함시켰고 향후 다른 부대로 확대할 전망이다.
RSF가 구체화되면서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참여 의향을 내비쳤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미 공군의 MRO 수요 증가에 대응해 창원 공장 증설도 검토한다. 엔진 생산 거점인 창원1공장은 기종별 엔진 4대의 창정비 생산 역량을 갖추고 있다. 지난 1979년 생산을 시작한 이후 작년 4월 누적 출하량이 1만대를 돌파했다."
https://www.theguru.co.kr/news/article.html?no=86510
The Guru
[단독] 美국방부, 한화에어로 전격 방문...김동관, 美 해군 이어 공군 MRO 참여 예정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화가 미 공군의 항공기 유지보수(MRO) 사업 참여를 추진한다.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이 미래 핵심 먹거리로 점찍은 MRO 분야에서 입지를 확장하기 위해 미국 시장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현지 국방부의 '지역거점운영유지체계(RSF)' 구상에 발맞춰 군수 정비 허브 구축에 기여하겠다는 포부를 밝히며 바다에 이어 상공에서도 글로벌 M
Forwarded from 그로쓰리서치(Growth Research) [독립리서치]
✅애플, AI폰 성능 강화…메모리 3사, D램 공급 더 치열해진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3213330
자체 AI 시스템 '애플 인텔리전스' 성능 강화를 위해 향후 아이폰 시리즈 D램 용량 확대 추진.
아이폰 17 프로·프로맥스: 기존 8GB → 12GB D램 탑재 전망.
아이폰 17 에어 모델도 12GB 탑재 유력.
아이폰 18 시리즈(2026년 출시 예상)는 전 모델 12GB D램 탑재 예상.
📌시장 영향
SK하이닉스·마이크론: 아이폰 17 프로/프로맥스에 LPDDR5X, 일반 모델에 LPDDR5 공급 전망.
D램 평균판매가격(ASP) 8GB 대비 50% 이상 높아 → 메모리 기업 수익성 개선 기대.
삼성전자: 내년 아이폰 18 시리즈부터 D램 공급 가능성.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3213330
자체 AI 시스템 '애플 인텔리전스' 성능 강화를 위해 향후 아이폰 시리즈 D램 용량 확대 추진.
아이폰 17 프로·프로맥스: 기존 8GB → 12GB D램 탑재 전망.
아이폰 17 에어 모델도 12GB 탑재 유력.
아이폰 18 시리즈(2026년 출시 예상)는 전 모델 12GB D램 탑재 예상.
📌시장 영향
SK하이닉스·마이크론: 아이폰 17 프로/프로맥스에 LPDDR5X, 일반 모델에 LPDDR5 공급 전망.
D램 평균판매가격(ASP) 8GB 대비 50% 이상 높아 → 메모리 기업 수익성 개선 기대.
삼성전자: 내년 아이폰 18 시리즈부터 D램 공급 가능성.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Naver
애플, AI폰 성능 강화…메모리 3사, D램 공급 더 치열해진다
애플이 자체 인공지능(AI) 시스템 '애플 인텔리전스'를 강화하면서 메모리 기업들도 애플향 D램 공급을 위해 경쟁을 본격화할 전망이다. 애플이 당장 올 가을 출시 예정인 '아이폰 17' 시리즈의 D램 용량을 확대하면
Forwarded from 루팡
엔비디아, 분사 루머 일축: "완전히 사실무근"
엔비디아가 중국 내 기업들과 합작 투자 형태로 사업을 분사할 것이라는 루머가 돌았으나,
엔비디아는 이에 대해 "완전히 사실무근이며 근거 없는 주장"이라고 공식적으로 부인
엔비디아가 중국 내 기업들과 합작 투자 형태로 사업을 분사할 것이라는 루머가 돌았으나,
엔비디아는 이에 대해 "완전히 사실무근이며 근거 없는 주장"이라고 공식적으로 부인
Forwarded from 한화투자 중국/신흥국 정정영
* 최근 전체회의에서도 AI 강조
=========================
~ 29일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시진핑 주석은 이날 오전 상하이시가 구축한 대형 AI 모델 인큐베이팅 플랫폼인 '모쑤공간(模速空间·Model-Speed Space)'을 방문했다. 이번 시찰에는 천지닝 상하이시 당서기, 궁정 상하이 시장, 차이치 중앙판공청 주임, 허리펑 부총리 등 관계자가 동행했다. 시 주석의 상하이 방문은 지난 2023년 11월 이후 약 1년5개월만이다
~ 모쑤공간은 지난 2023년 12월 상하이시가 AI 생태계 조성을 위해 구축한 곳으로 100개 이상의 기업이 입주한 상태다
~ 이어 시 주석은 AI 관련 제품 체험 매장에서 직접 스마트 안경을 착용해 체험하기도 했다. 그는 "우리나라는 데이터 자원이 풍부하고 산업 체계가 완비되어 있으며 시장 공간이 크고 AI 발전 전망이 밝다"며 "정책 지원과 인재 양성을 강화하고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고품질 제품을 더 많이 개발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https://n.news.naver.com/article/421/0008222160?sid=104
=========================
~ 29일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시진핑 주석은 이날 오전 상하이시가 구축한 대형 AI 모델 인큐베이팅 플랫폼인 '모쑤공간(模速空间·Model-Speed Space)'을 방문했다. 이번 시찰에는 천지닝 상하이시 당서기, 궁정 상하이 시장, 차이치 중앙판공청 주임, 허리펑 부총리 등 관계자가 동행했다. 시 주석의 상하이 방문은 지난 2023년 11월 이후 약 1년5개월만이다
~ 모쑤공간은 지난 2023년 12월 상하이시가 AI 생태계 조성을 위해 구축한 곳으로 100개 이상의 기업이 입주한 상태다
~ 이어 시 주석은 AI 관련 제품 체험 매장에서 직접 스마트 안경을 착용해 체험하기도 했다. 그는 "우리나라는 데이터 자원이 풍부하고 산업 체계가 완비되어 있으며 시장 공간이 크고 AI 발전 전망이 밝다"며 "정책 지원과 인재 양성을 강화하고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고품질 제품을 더 많이 개발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https://n.news.naver.com/article/421/0008222160?sid=104
Naver
시진핑 상하이行서 AI 산업단지 방문…기술로 무역전쟁 돌파 의지
정은지 특파원 =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9일 중국 금융 허브인 상하이를 방문하고 중국 인공지능(AI) 산업 발전 현황을 파악했다. 이번 방문은 미국의 상호 관세 부과로 미중 간 무역전쟁이 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