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PB의 금융시장 생존기
1.54K subscribers
8.22K photos
47 videos
162 files
12.2K links
해외 / 국내 경제, 증시 및 다양한 이슈를 전달합니다!

협업 문의 : yeominyoon1981@gmail.com

Disclaimer

- 본 채널/유튜브에서 업로드 되는 모든 종목은 작성자 및 작성자와 연관된 사람들이 보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해당 종목 및 상품은 언제든 매도할 수 있습니다.

- 본 게시물에 올라온 종목 및 상품에 대한 투자 의사 결정 시, 전적으로 투자자의 책임과 판단하에 진행됨을 알립니다.
Download Telegram
Forwarded from 루팡
일부 기업들, 미국산 반도체에 대한 추가 관세 면제 확인

차이징은 미국에서 반도체를 수입하는 여러 기술 기업 관계자들로부터, 반도체/집적회로와 관련된 8개 관세 품목 번호(HS코드)에 대해 추가 관세가 면제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다만 현재로서는 메모리 반도체는 면제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이는 제조 공정( 웨이퍼 팹 위치)이 미국인 일부 칩이 기존 125% 관세에서 0%로 낮아졌음을 의미한다.

2024년 4월 11일, 중국 반도체산업협회는 통지를 통해 다음과 같은 해관총서(세관총국)의 규정을 발표했다:
집적회로 원산지는 4자리 관세 코드 변경 원칙에 따라 결정되며, 칩의 '웨이퍼 제조지(流片地)'가 원산지로 간주된다. 이에 따라 미국에서 제조된 칩(Made in USA)은 최대 125%의 관세 대상이 된다는 점이 지적된 바 있다.


그러나 상하이에 위치한 한 아날로그 반도체 업체 관계자는 《차이징》에 4월 24일 오후, 관계 부처가 회의를 통해 일부 미국산 반도체 제품에 대한 관세를 면제하고, 부가가치세 13%만 징수한다고 통보했다고 밝혔다. 현재 면세 대상 목록에는 메모리 반도체는 포함되지 않았다고 한다. 또한 4월 10일부터 24일 사이에 이미 관세를 납부한 기업은 환급을 신청할 수 있다는 설명도 있었다. 해당 기업은 24일에 미국산 반도체를 수입했으며 실제로 관세가 부과되지 않았음을 확인했다.

또한 한 대형 반도체 유통기업의 영업 임원은 《차이징》에 자사도 4월 24일 오후에 같은 소식을 들었다고 전했다. 그에 따르면 미국산 칩 수입 고객들이 한동안 인수를 중단했지만, 현재는 정상적으로 통관이 진행되고 있다.

한 미국계 반도체 제조사 대리점 관계자도 《차이징》에, 자사 파트너를 통해 관련 부처의 구두 확인을 받았지만 아직 공식 서면 통지를 받지 못해, 통관은 재개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전까지는 세관으로부터 ‘웨이퍼 제조지를 기준으로 원산지를 정하고, 후공정(패키징·테스트)은 보조 기준’이라는 해석을 들었으며, 이 기준에 따르면 미국에서 제조되고 동남아에서 패키징된 칩은 관세 타격을 받을 것이라는 판단에 따라 통관을 일시 중단했었다고 설명했다.

https://finance.sina.com.cn/roll/2025-04-25/doc-ineuivrx8201797.shtml
Forwarded from 루팡
중국, 관세 충격 대응 위해 유동성 공급

중국 인민은행(PBOC)이 1년 만기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를 통해 6000억 위안(약 112조 원)을 시중에 투입했다. 순유동성 주입 규모는 5000억 위안으로, 이는 2023년 12월 이후 최대치다.

이번 조치는 미국의 대중 추가 관세에 따른 충격 완화와 국채 발행에 따른 유동성 압박 해소를 목표로 한 것이다.

인민은행의 이번 '깜짝' 유동성 투입은, 최근 완화적 통화정책 요구가 커지는 가운데 이루어진 것으로, 5월 중 만기 도래 예정인 역레포(1.7조 위안 규모)의 영향을 고려한 선제적 대응으로 해석된다.

이처럼 대규모 MLF 자금 공급은 지준율(RRR) 인하 필요성을 낮추는 효과를 낼 수 있으며, 중국 당국이 정책 초점을 단기금리 조정과 대출금리 구조 개편으로 이동 중이라는 점도 나타낸다.
Forwarded from [하나 Global ETF] 박승진 (박승진 하나증권)
🔹중국 정부가 일부 미국산 수입품에 대해 부과하고 있는 125%의 보복 관세를 유예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블룸버그가 보도

» 이는 미중 무역전쟁의 경제적 부담이 일부 산업에 심각한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

» 또한 의료 장비나 에테인(ethane)과 같은 산업용 화학물질에 대한 추가 관세 철회도 고려되고 있다고 보도

» 항공기 리스에 대한 관세 면제도 논의 중. 이는 대부분의 중국 항공사들이 항공기를 직접 소유하지 않고 제3자에게 리스 비용을 지불하기 때문. 해당 관세가 유지되면 이들 비용이 치명적인 재정 부담으로 작용
골드만삭스: Bad is Good ?

미국 주식시장은 목요일 장에서 견조한 상승세를 기록함. 이는 당일 발표된 부진한 경제지표와 혼조된 기업 실적에도 불구하고, 투자자들이 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다시 반영하기 시작했기 때문으로 풀이됨. 다만 이는 단기적인 투자심리 개선에 따른 기술적 반등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이날 발표된 기존주택판매와 핵심 내구재 주문은 모두 시장 기대치를 하회함. 이에 따라 당사 이코노미스트들은 2025년 1분기 GDP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대비 30bp 하향 조정한 -0.2%로 제시함. 이는 재고 축적 둔화와 주택 거래 위축이 반영된 결과임.

한편, 트럼프 행정부의 고율 관세 정책에 따른 충격은 점차 정점을 통과하고 있다는 시각도 부상 중임. 백악관은 최근 정책 방향에 일부 선회 조짐을 보이고 있으며, 시장은 행정부의 일관되지 않은 정책 리듬에 점차 적응하고 있는 모습임. 그러나 정책 불확실성이 정점을 지났다고 해도, 실제 경제활동에 미치는 충격은 아직 충분히 반영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음. 특히, 전면적 10% 관세 시행으로 미국의 수입 관세율은 1940년대 이후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렸으며, 이는 향후 발표될 경제지표의 중요성을 더욱 부각시키는 요인임.

실제로 이날 발표된 3월 지표는, 당시 25%의 자동차 관세는 이미 시행된 반면, 전면적 10% 관세는 아직 발효되지 않았던 시점임에도 불구하고 경제활동이 이미 위축되기 시작했음을 시사함.

이제 시장의 관심은 다음 국면인 성장 둔화에 대한 시장의 반응으로 옮겨감. S&P500은 연초 대비 약 -7% 하락하며 일부 조정을 선반영했으나, 성장세 둔화는 오히려 연준의 조기 금리 인하 기대를 자극할 가능성이 있음. 실제로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미국 증시는 경기 둔화기보다 통화정책 완화기에 더 강하게 반응해왔으며, 이는 미국 기업들이 저성장 환경에서도 실적 성장을 지속할 수 있는 구조적 역량을 입증해온 결과로 해석됨.

* 당사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받아 발송되었습니다
Forwarded from 가치투자클럽
낙폭과대 반도체
예고된 무회의

4월 정치국회의 결과


중국 시장이 살짝 빠집니다. 정치국회의 결과 때문입니다. 블룸버그 통신은 정치국회의 결과를 간단하게 "(경기부양) 잘 준비하고 있다"로 전했는데요,

사실상 구체적인 부양은 원래 기대하지 않았습니다. 통화완화는 인민은행이 다음달부터 시작하면 되는 것이고 재정부양은 2분기에 어렵다고 지난 10일, 북경 방문에서 이야기를 들었습니다(지방 특수채 소진이 우선)

그래도 아쉬운 마음에 주가가 떨어지는 것은 어쩔수 없습니다. 지금 필요한 것은 미중 협상의 공식 시작입니다.

t.me/jkc123
>중앙 정치국회의 요약 (4월 25일)

**총평 : 시장 예상 부합 수준, 3월 전인대와 지난 12월 회의에서 일부 강화. 조기 추경 언급은 제한


•더 적극적이고 유효한 거시정책을 신속히 시행. 더 적극적인 재정정책과 적절히 완화된 통화정책을 충분히 활용. 시의적절하게 지준율과 금리를 인하할 것 (동일)

•정세 변화에 따라 적절한 시기 추가•비축 정책을 도입, 비상시적인 ‘역주기 조절‘ 강화 (동일)

•고용과 경제 안정을 위한 정책 수단을 지속적으로 개선, 기존 정책을 조속히 시행하여 조기에 효과를 발휘 (동일)

•관세 영향을 크게 받는 기업에 대해 고용안정보험 기금의 환급 비율을 인상 (신규)

•국제 사회와 함께 다자주의를 적극 수호, 일방적 강압 행위를 반대 (신규)

• 중•저소득층 소득을 높이고 서비스 소비를 적극 육성. 소비가 경제 성장에 미치는 견인 효과 강화 (강화)

•빈곤 기업을 다방면으로 지원. 내외무역 통합을 가속화, ‘AI+’ 행동 계획을 가속 추진 (강화)

•부동산 시장의 안정세를 지속적으로 공고히 하고, 자본 시장 안정 유지 및 활력 제고 (동일)

• 주택 공급을 확대하고, 기존 상품주택 매입 정책 개선 (강화)


【中共中央政治局会议:加紧实施更加积极有为的宏观政策,用好用足更加积极的财政政策和适度宽松的货币政策,适时降准降息】
【中共中央政治局会议: 要提高中低收入群体收入,大力发展服务消费,增强消费对经济增长的拉动作用】
【中共中央政治局会议: 要多措并举帮扶困难企业,加快推动内外贸一体化,加快实施“人工智能+”行动】
【中共中央政治局会议:持续巩固房地产市场稳定态势,持续稳定和活跃资本市场】
【中共中央政治局会议:加大高品质住房供给,优化存量商品房收购政策】
【中共中央政治局会议:要不断完善稳就业稳经济的政策工具箱,既定政策早出台早见效】
【中共中央政治局会议:根据形势变化及时推出增量储备政策,加强超常规逆周期调节】
【中共中央政治局会议:对受关税影响较大的企业,提高失业保险基金稳岗返还比例】
【中共中央政治局会议:同国际社会一道,积极维护多边主义,反对单边霸凌行径】
Forwarded from [하나 Global ETF] 박승진 (박승진 하나증권)
» 시장에 반영되어 있는 각 FOMC의 정책금리 예상 확률

» 6월 인하 확률이 66.2% 수준. 5월 FOMC(5/6~7)는 동결 전망 93.3%

» 연말까지 3차례(6월, 9월, 12월)의 추가 인하 경로를 반영 중 [CME FedWatch]
• 대만전자시보: 삼성 HBM3E가 엔비디아 인증 통과 실패하면서 구글이 마이크론 제품을 대체 공급사로 선정. 최근 삼성에 공급사 변경 통지

由于三星HBM3E未能通过英伟达认证,谷歌将美光产品作为替补供应,其于日前已通知三星更换供应商。 (台湾电子时报)
Forwarded from [하나 Global ETF] 박승진 (박승진 하나증권)
🔹Apple, 미국 판매용 iPhone 생산기지의 인도 이전을 가속화할 계획

» Apple은 2026년 말까지 미국에서 판매되는 전체 iPhone을 인도에서 조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는 공급망 다변화 및 중국 리스크 회피 전략의 일환

» 미국은 Apple의 전체 iPhone 출하량(2.32억대, 2024년 기준) 중 약 28%를 차지하는 시장. 이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인도 내 생산 능력을 확대해야하는 상황

» 현재 Apple은 인도에서 연간 약 220억 달러 규모의 iPhone을 조립 중. 이는 전체 생산량의 약 20%에 해당

» 이에 따라 Apple은 Foxconn 및 Tata 등 협력사를 통해 인도 내 생산기지를 강화하고 있으며, 필요 부품 일부는 여전히 중국에서 수입해 인도에서 최종 조립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는 상황

» 한편 인도와 미국 간에는 26% 상호관세가 일시 정지된 상태이며, 양국은 현재 FTA 체결을 위한 협상을 진행 중

» 미국 밴스 부통령은 최근 인도 방문 중 양국 간 실질적인 진전이 이뤄지고 있다고 언급
Forwarded from 루팡
도널드 트럼프 – 타임지 인터뷰

시진핑 주석과 통화, 중국과 활발한 무역 협상 중

200건의 관세 협상 완료, 3~4주 안에 공식 발표 예정


“관세는 내가 주도한다”, 각국에 ‘공정한 가격’을 책정할 것이라 주장

1년 후에도 20~50% 이상의 관세 유지되면 ‘완전한 승리’라고 평가

관세 전략은 미국 내 제조업 복귀를 목표로 함

4월 채권 시장이 불안정했지만 “난 괜찮았다”고 언급

4월 9일 관세 유예는 채권시장 때문이 아니라 "내가 원하는 숫자가 나올 때까지" 유보한 것

부유층 과세는 이론상 지지하지만, 정치적 역풍 우려

의회의 주식 거래 금지법 서명 의향 있음

우크라이나는 NATO에 절대 가입하지 못할 것이라 주장

크림반도는 러시아에 귀속된 채로 평화협정이 체결될 것

미국 경제가 곧 '폭발적 성장'을 맞이할 것이라 전망

정부 예산 삭감은 “효율성”을 위한 필수 조치라고 주장

중소기업이 빅테크보다 더 많은 혜택을 받을 것

DOGE 데이터베이스는 사기, 낭비, 부패 방지를 위한 시스템

극단적인 범죄자들은 해외 교도소로 송치하는 방안 검토 중 (합법적일 경우)

이란 지도자들과 핵 합의 위한 만남 가능성 열어둠

사우디–이스라엘 국교 정상화는 “거의 완료 단계”

미국 영토 확장에 대해 긍정적 태도 — “캐나다는 제51번째 주가 돼야 한다”

2024년 대선에서 자신이 ‘결정적으로 승리’했다고 주장 (부정행위 혐의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Forwarded from [하나 Global ETF] 박승진 (박승진 하나증권)
» 유럽중앙은행(ECB) 통화정책위원인 로버트 홀츠만은 미국의 관세 조치가 유로존의 소비자 물가에 부담을 줄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새로운 인플레이션을 유발하기보다는 디플레이션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주장

» 또한 그는 현재 상황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인해 ECB의 향후 금리 결정 방향이 완전히 열려 있다고 언급

» 홀츠만은 인터뷰에서 "앞으로 어떻게 될지 알 수 없다"고 말하며, 라가르드 총재의 견해에 동의한다고 언급. 지금까지의 상황을 보면 미국 관세 조치의 순효과는 인플레이션보다는 디플레이션 요인에 가깝다고 평가

» 오스트리아 중앙은행 총재인 홀츠만은 ECB 안에서 대표적인 매파 성향의 통화정책위원. ECB의 추가 금리인하 기대 확산
Forwarded from [하나 Global ETF] 박승진 (박승진 하나증권)
» ECB 인사들의 정책 성향
Forwarded from [하나 Global ETF] 박승진 (박승진 하나증권)
» S&P500지수, Magnificent7 종목들의 주가 등락률과 지수 내 순위

» 주가 상승을 주도했던 2024년과 조정 국면에서 더 크게 하락했던 2025년
Forwarded from [하나 Global ETF] 박승진 (박승진 하나증권)
» 연초 이후 Magnificent7 종목들의 주가 추이
Forwarded from [하나 Global ETF] 박승진 (박승진 하나증권)
» 최근 미국 기업들의 실적발표에서 자주 등장 중인 핵심 키워드들(2024년과 비교)
  1) Tariff(관세): 58회 → 569회
  2) Trump: 5회 → 88회
  3) Uncertainty(불확실성): 284회 → 486회
  4) Mitigate(완화): 131회 → 209회

» 관세(Tariffs) 와 트럼프(Trump) 관련 언급이 폭발적으로 증가. 정책 리스크가 기업들의 주요 관심사임을 확인

» 불확실성(Uncertainty)은 여전히 주요 화두이며, 기업들이 다양한 전략으로 완화(Mitigation)를 시도하고 있는 상황을 함께 반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