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warded from 신한투자증권 제약/바이오 엄민용
[알테오젠 Halozyme-MSD 특허 소송 관련 주주 안내문]
안녕하세요, 주주 여러분
알테오젠입니다.
미국 시간 4월 24일, Halozyme이 당사 파트너인 MSD를 상대로 특허 소송을 제기했다고 공지하였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당사의 입장을 안내하고자 합니다.
잘 아시는 바와 같이, MSD는 Halozyme의 Mdase 관련 특허 10건에 대해 작년 11월부터 이번 달까지 PGR(Post-Grant Review, 특허 무효 심사)을 제기한 상태입니다.
현재 Halozyme이 제출한 소장의 구체적인 내용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으나, 공개된 정보와 그간의 경과로 볼 때 PGR에 제기된 특허들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이미 다양한 방식으로 Mdase 특허에 대한 광범위한 분석을 완료하였으며, 이 내용은 MSD가 PGR을 제기하며 주장한 내용과 상당 부분 일치합니다. 이에 따라 Halozyme의 Mdase 특허는 무효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당사가 여러 차례 밝혀온 바와 같이 ALT-B4와 Mdase는 특허적으로 명확히 구분되는 별개의 물질이라는 입장에는 변함이 없습니다. 지난 3월 WSJ 보도 이후에도 당사는 다수의 글로벌 제약사와의 파트너십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변동 사항이 있을 경우 신속하게 안내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https://www.alteogen.com/ir_1/?uid=2479&mod=document
안녕하세요, 주주 여러분
알테오젠입니다.
미국 시간 4월 24일, Halozyme이 당사 파트너인 MSD를 상대로 특허 소송을 제기했다고 공지하였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당사의 입장을 안내하고자 합니다.
잘 아시는 바와 같이, MSD는 Halozyme의 Mdase 관련 특허 10건에 대해 작년 11월부터 이번 달까지 PGR(Post-Grant Review, 특허 무효 심사)을 제기한 상태입니다.
현재 Halozyme이 제출한 소장의 구체적인 내용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으나, 공개된 정보와 그간의 경과로 볼 때 PGR에 제기된 특허들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이미 다양한 방식으로 Mdase 특허에 대한 광범위한 분석을 완료하였으며, 이 내용은 MSD가 PGR을 제기하며 주장한 내용과 상당 부분 일치합니다. 이에 따라 Halozyme의 Mdase 특허는 무효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당사가 여러 차례 밝혀온 바와 같이 ALT-B4와 Mdase는 특허적으로 명확히 구분되는 별개의 물질이라는 입장에는 변함이 없습니다. 지난 3월 WSJ 보도 이후에도 당사는 다수의 글로벌 제약사와의 파트너십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변동 사항이 있을 경우 신속하게 안내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https://www.alteogen.com/ir_1/?uid=2479&mod=document
알테오젠
뉴스
안녕하세요, 주주 여러분 알테오젠입니다. 미국 시간 4월 24일, Halozyme이 당사 파트너인 MSD를 상대로 특허 소송을 제기했다고 공지하였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당사의 입장을 안내하고자 합니다. 잘 아시는 바와 같이, MSD는 Halozyme의 Mdase 관련 특허 10건에 대해 작년 11월부터 이번 달까지 PGR(Post-Grant Review, 특허 무효 심사)을 제기한 상태입니다. 현재 Halozyme이 제출한 소장의 구체적인 내용은 아직…
Forwarded from [하나 Global ETF] 박승진 (박승진 하나증권)
🔹트럼프 대통령,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신속한 해저광물 개발 지시
» 트럼프 대통령, 중국의 핵심 광물 영향력에 대응하기 위해 국제사회 협의 없이 미국의 해저 광물 개발을 신속하게 허가하는 행정명령에 서명
» 이 행정명령은 미국 영해뿐 아니라 국제 수역에서도 해저 광물 탐사 및 개발 허가 심사를 간소화하고 민간 기업 투자를 장려하는 내용을 포함
» 국제해저기구(ISA)의 규제를 거치지 않고 미국 정부 단독으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하는 내용. 국제적 반발 가능성 존재
» 트럼프 대통령, 중국의 핵심 광물 영향력에 대응하기 위해 국제사회 협의 없이 미국의 해저 광물 개발을 신속하게 허가하는 행정명령에 서명
» 이 행정명령은 미국 영해뿐 아니라 국제 수역에서도 해저 광물 탐사 및 개발 허가 심사를 간소화하고 민간 기업 투자를 장려하는 내용을 포함
» 국제해저기구(ISA)의 규제를 거치지 않고 미국 정부 단독으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하는 내용. 국제적 반발 가능성 존재
트럼프 "오늘 中과 관세 회의했다"…'재무부 채널' 소통 관측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오늘 오전 그들(중국)과 회의를 했다”며 관세 문제와 관련해 중국과 직접 접촉이 이뤄졌다는 사실을 직접 확인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129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오늘 오전 그들(중국)과 회의를 했다”며 관세 문제와 관련해 중국과 직접 접촉이 이뤄졌다는 사실을 직접 확인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1293
중앙일보
트럼프 "오늘 中과 관세 회의했다"…'재무부 채널' 소통 관측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오늘 오전 그들(중국)과 회의를 했다"며 관세 문제와 관련해 중국과 직접 접촉이 이뤄졌다는 사실을 직접 확인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다만 중국과의 대화 채널 등에 대해서는 추가 설명을 하지 않았다. 관련해 중앙일보는 이날 오전 7시께 중국의 재정부의 고위 인사가 수행원 10여명을 이끌고 미국 워싱턴 백악관 인근에 위치한 미 재무부로 입장한 사실을 확인했다.
트럼프, 푸틴 향해 “멈춰!”···키이우 공습에 이례적 비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향해 우크라이나 공격을 멈추라고 촉구.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협상에서 친러시아 행보를 보여왔던 트럼프 대통령의 이날 발언은 이례적이라고 평가
https://www.khan.co.kr/article/202504242204001#c2b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향해 우크라이나 공격을 멈추라고 촉구.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협상에서 친러시아 행보를 보여왔던 트럼프 대통령의 이날 발언은 이례적이라고 평가
https://www.khan.co.kr/article/202504242204001#c2b
경향신문
트럼프, 푸틴에 “멈춰!” 이례적인 비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향해 우크라이나 공격을 멈추라고 촉구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협상에서 친러시아 행보를 보여왔던 트럼프 대통령의 이날 발언은 이례적이라고 AP통신이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러시아의 키이우 공격이 만족스럽지 않다. 불필요하고 타이밍도...
Forwarded from 루팡
[속보] 최상목 “5월 15일 APEC 통상장관회의서 美 그리어와 고위급 협의”
https://biz.chosun.com/policy/policy_sub/2025/04/25/IBUNB3PX6JHVPGW6JAFPKMQGRY/?utm_source=naver&utm_medium=original&utm_campaign=biz
[속보]최상목 "7월8일 전까지 미국 관세 폐지 위한 '7월 패키지' 마련"
https://news.mtn.co.kr/news-detail/2025042506025286468
[속보]최상목 "美 관심사인 무역·투자, 조선, 에너지 협력 의지 소개"
https://view.asiae.co.kr/article/2025042505395909087
[속보]최상목 "美 관세협의, 자동차 분야 중점 설명"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42505562293427
[속보] 한미 첫 '2+2 통상협의' 개최…정부 "美에 관세면제 요청"
한국과 미국이 24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추진하는 고강도 관세 정책을 놓고 ‘2+2 장관급 통상 협의’를 개최했다.
우리 정부는 상호 및 품목별 관세 조치 면제를 미국에 요청했고, 미 정부는 이번 협의가 순조롭고 우호적으로 진행됐다고 평가했다.
1시간가량 진행된 협의는 양측이 기본 입장과 요구 사항을 확인하는 일종의 ‘탐색전’ 자리가 된 것으로 보인다.
이날 최 부총리와 안 장관은 각종 관세 정책에 대한 우리 측 우려를 전달하는 한편, 미국이 ‘대한국 무역적자 축소’를 위해 희망하는 ▷한국의 미국산 액화천연가스(LNG) 등 수입 확대 ▷조선 분야 협력 ▷비관세 장벽 철폐 문제를 놓고 의견을 교환한 것으로 보인다.
https://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200&key=20250425.99099008199
[속보] 최상목 "기재부-美재무부, 환율정책 별도논의…조만간 실무협의"
https://biz.sbs.co.kr/article/20000230849?division=NAVER
https://biz.chosun.com/policy/policy_sub/2025/04/25/IBUNB3PX6JHVPGW6JAFPKMQGRY/?utm_source=naver&utm_medium=original&utm_campaign=biz
[속보]최상목 "7월8일 전까지 미국 관세 폐지 위한 '7월 패키지' 마련"
https://news.mtn.co.kr/news-detail/2025042506025286468
[속보]최상목 "美 관심사인 무역·투자, 조선, 에너지 협력 의지 소개"
https://view.asiae.co.kr/article/2025042505395909087
[속보]최상목 "美 관세협의, 자동차 분야 중점 설명"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42505562293427
[속보] 한미 첫 '2+2 통상협의' 개최…정부 "美에 관세면제 요청"
한국과 미국이 24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추진하는 고강도 관세 정책을 놓고 ‘2+2 장관급 통상 협의’를 개최했다.
우리 정부는 상호 및 품목별 관세 조치 면제를 미국에 요청했고, 미 정부는 이번 협의가 순조롭고 우호적으로 진행됐다고 평가했다.
1시간가량 진행된 협의는 양측이 기본 입장과 요구 사항을 확인하는 일종의 ‘탐색전’ 자리가 된 것으로 보인다.
이날 최 부총리와 안 장관은 각종 관세 정책에 대한 우리 측 우려를 전달하는 한편, 미국이 ‘대한국 무역적자 축소’를 위해 희망하는 ▷한국의 미국산 액화천연가스(LNG) 등 수입 확대 ▷조선 분야 협력 ▷비관세 장벽 철폐 문제를 놓고 의견을 교환한 것으로 보인다.
https://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200&key=20250425.99099008199
[속보] 최상목 "기재부-美재무부, 환율정책 별도논의…조만간 실무협의"
https://biz.sbs.co.kr/article/20000230849?division=NAVER
조선비즈
[속보] 최상목 “5월 15일 APEC 통상장관회의서 美 그리어와 고위급 협의”
속보 최상목 5월 15일 APEC 통상장관회의서 美 그리어와 고위급 협의
한국 정부가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와의 첫 관세 협상에서 상호관세와 자동차 및 반도체 관세 등 품목별 관세 면제를 요청하고 오는 7월8일까지 관세 폐지를 목적으로 협상의 목표를 정하는 '7월 패키지(July package)'를 마련하자고 요청했다.
조선업과 액화천연가스(LNG) 등 에너지 안보 분야 협력도 논의됐다.
미국 측은 한국이 '최선의 제안(A 게임)'을 가져왔다면서 이르면 다음 주 협상의 틀에 관한 양해 합의서를 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123878?cds=news_edit
조선업과 액화천연가스(LNG) 등 에너지 안보 분야 협력도 논의됐다.
미국 측은 한국이 '최선의 제안(A 게임)'을 가져왔다면서 이르면 다음 주 협상의 틀에 관한 양해 합의서를 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123878?cds=news_edit
Naver
韓 '2+2' 협의서 "7월8일까지 관세폐지 목적의 패키지 마련 요청"
한국 정부가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와의 첫 관세 협상에서 상호관세와 자동차 및 반도체 관세 등 품목별 관세 면제를 요청하고 오는 7월8일까지 관세 폐지를 목적으로 하는 '7월 패키지(July package)'를
최상목 "7월8일까지 관세 폐기 목적 패키지 마련…환율은 별도 논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3205289?sid=101
최 부총리는 "우리측은 미국의 주요 관심사인 무역·투자, 조선, 에너지 등과 관련한 우리의 협력 의지와 비전을 소개함과 아울러, 미국의 상호관세와 품목관세 부과가 양국 간 경제협력 관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음을 설명하고, 한국에 부과된 관세에 대한 면제와 예외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전달했다"고 밝혔다.
이어 "특히 우리 경제에 부정적 효과가 가장 큰 자동차 분야에 대해 중점 설명했다"고 부연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3205289?sid=101
최 부총리는 "우리측은 미국의 주요 관심사인 무역·투자, 조선, 에너지 등과 관련한 우리의 협력 의지와 비전을 소개함과 아울러, 미국의 상호관세와 품목관세 부과가 양국 간 경제협력 관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음을 설명하고, 한국에 부과된 관세에 대한 면제와 예외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전달했다"고 밝혔다.
이어 "특히 우리 경제에 부정적 효과가 가장 큰 자동차 분야에 대해 중점 설명했다"고 부연했다.
Naver
최상목 "7월8일까지 관세 폐기 목적 패키지 마련…환율은 별도 논의"
안호균 기자, 이윤희 특파원, 임소현 기자 =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4일(현지시간) 미국 측과 환율 정책과 관련한 실무 협의를 진행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또 7월 8일 이전까지 미국의 상호
Forwarded from 그로쓰리서치(Growth Research) [독립리서치]
✅알래스카 LNG 사업, 미국의 협상 압박 요약
트럼프 행정부는 주요 무역 상대국들과의 관세 협상에서 에너지 수출, 특히 알래스카산 LNG를 핵심 의제로 강조하고 있음
백악관 '에너지 지배위원회'는 한국과 일본 등에게 알래스카 LNG 구매 계획을 수주 내 공식 발표하라고 압박 중
6월 2일 알래스카 고위급 회담에서 한국과 일본이 투자의향서(LOI)를 발표하는 것이 목표
대만 국영 석유사 CPC는 이미 AGDC와 LOI를 체결한 상태
📌알래스카 LNG 사업 개요
- 사업비 약 440억 달러
- 북극 가스전에서 남부까지 약 1300km 파이프라인 건설
- 가스를 액화해 아시아 국가로 수출하는 구조
과거에는 사업성 부족으로 회의적이었지만, 트럼프 정부는 이를 강력하게 추진 중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트럼프 행정부는 주요 무역 상대국들과의 관세 협상에서 에너지 수출, 특히 알래스카산 LNG를 핵심 의제로 강조하고 있음
백악관 '에너지 지배위원회'는 한국과 일본 등에게 알래스카 LNG 구매 계획을 수주 내 공식 발표하라고 압박 중
6월 2일 알래스카 고위급 회담에서 한국과 일본이 투자의향서(LOI)를 발표하는 것이 목표
대만 국영 석유사 CPC는 이미 AGDC와 LOI를 체결한 상태
📌알래스카 LNG 사업 개요
- 사업비 약 440억 달러
- 북극 가스전에서 남부까지 약 1300km 파이프라인 건설
- 가스를 액화해 아시아 국가로 수출하는 구조
과거에는 사업성 부족으로 회의적이었지만, 트럼프 정부는 이를 강력하게 추진 중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Forwarded from 스핀 - 공개방
현중
왠지 그동안 방치해둔 미국은행의 본격 커버
1. 따불 업그레이드 to BUY
2. 마진율 상승 & 방산 각
3. PT W490,000: 핀칸티에리, 미쯔비시중공업, 한화오션 과 동일 P/E 멀티플 적용
왠지 그동안 방치해둔 미국은행의 본격 커버
1. 따불 업그레이드 to BUY
2. 마진율 상승 & 방산 각
3. PT W490,000: 핀칸티에리, 미쯔비시중공업, 한화오션 과 동일 P/E 멀티플 적용
Forwarded from 서화백의 그림놀이 🚀
안덕근 장관 "한·미, 조선 분야 협력 합의"...알래스카 LNG 한국 참여는 '유보'
https://www.g-enews.com/ko-kr/news/article/news_all/2025042508201940976b49b9d1da_1/article.html
https://www.g-enews.com/ko-kr/news/article/news_all/2025042508201940976b49b9d1da_1/article.html
글로벌이코노믹
안덕근 장관 "한·미, 조선 분야 협력 합의"...알래스카 LNG 한국 참여는 '유보'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4일(현지 시각)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양자 회담을 마친 뒤 주미 한국대사관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미국 측과 조선 분야 협력에 대해 상당한 공감대를 형성했다고 밝혔다. 안 장관은 "조선산업 협력과 관련해 기업들이 대규모 투자를
Forwarded from DS투자증권 리서치
삼성중공업_기업리포트_250425.pdf
801.3 KB
DS투자증권 중공업/미국 Analyst 양형모, 연구원 강태호
[조선] 삼성중공업- 미포 4Q24 실적 후처럼 설마 파시는 건 아니죠?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20,000원(상향)
현재주가 : 14,590원(04/24)
Upside : 37.1%
■ 특별 상여금 제외 1분기 실적은 당사 추정치 소폭 상회, 컨센서스 부합
- 1분기 매출액은 조업 일수 감소에도 불구하고 2.5조원을 기록
- 영업이익은 특별 상여금 290억원을 제외하면 당사 추정치는 소폭 상회했고, 컨센서스에 부합한 1,231억원을 시현
- 해양 FLNG는 미국 델핀, 웨스턴, 아르헨티나, 추가 프로젝트 2기 정도를 감안하면 연간 1~2기 수주 가능
- 보수적으로 LNG선 10척, FLNG 1기를 수주한다면 연간 40~50억달러는 향후 3년 동안 확보
■ 2026년 영업이익 1.2조원 예상
- 2026년 실적은 매출액 12.5조원, 영업이익 1.2조원을 예상
- 2026년 선종별 매출액은 LNG선 6.0조원, FLNG 2.8조원, 기타 3.6조원/ 영업이익률은 LNG선 10%, FLNG 15%, 기타 상선 5% 추정
- 향후 FLNG 마진은 공정 증가에 따른 고정비 커버로 마진 상승을 추정할 수 있음
■ 미포 4Q24 실적 후처럼 설마 파시는 건 아니죠? 목표주가 상향
- 가스선, 셔틀탱커, FLNG 등이 본격적으로 건조되고, 매년 고마진 신규 프로젝트를 수주하고, 저선가 컨테이너선, 카타르 LNG선 인도가 마무리되면서 실적은 우상향될 전망
- 1) 경쟁사 실적이 동사 대비 우수했고, 2) 특별 상여금을 포함한 실적이 컨센서스에 미달했다고 매도하면 안됨
- 동사의 블록을 중국에서 제작하는 것에 대한 우려가 많은데, 이는 기우에 불과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https://t.me/DSInvResearch
[조선] 삼성중공업- 미포 4Q24 실적 후처럼 설마 파시는 건 아니죠?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20,000원(상향)
현재주가 : 14,590원(04/24)
Upside : 37.1%
■ 특별 상여금 제외 1분기 실적은 당사 추정치 소폭 상회, 컨센서스 부합
- 1분기 매출액은 조업 일수 감소에도 불구하고 2.5조원을 기록
- 영업이익은 특별 상여금 290억원을 제외하면 당사 추정치는 소폭 상회했고, 컨센서스에 부합한 1,231억원을 시현
- 해양 FLNG는 미국 델핀, 웨스턴, 아르헨티나, 추가 프로젝트 2기 정도를 감안하면 연간 1~2기 수주 가능
- 보수적으로 LNG선 10척, FLNG 1기를 수주한다면 연간 40~50억달러는 향후 3년 동안 확보
■ 2026년 영업이익 1.2조원 예상
- 2026년 실적은 매출액 12.5조원, 영업이익 1.2조원을 예상
- 2026년 선종별 매출액은 LNG선 6.0조원, FLNG 2.8조원, 기타 3.6조원/ 영업이익률은 LNG선 10%, FLNG 15%, 기타 상선 5% 추정
- 향후 FLNG 마진은 공정 증가에 따른 고정비 커버로 마진 상승을 추정할 수 있음
■ 미포 4Q24 실적 후처럼 설마 파시는 건 아니죠? 목표주가 상향
- 가스선, 셔틀탱커, FLNG 등이 본격적으로 건조되고, 매년 고마진 신규 프로젝트를 수주하고, 저선가 컨테이너선, 카타르 LNG선 인도가 마무리되면서 실적은 우상향될 전망
- 1) 경쟁사 실적이 동사 대비 우수했고, 2) 특별 상여금을 포함한 실적이 컨센서스에 미달했다고 매도하면 안됨
- 동사의 블록을 중국에서 제작하는 것에 대한 우려가 많은데, 이는 기우에 불과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https://t.me/DSInv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