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PB의 금융시장 생존기
1.53K subscribers
8.22K photos
46 videos
162 files
12.2K links
해외 / 국내 경제, 증시 및 다양한 이슈를 전달합니다!

협업 문의 : yeominyoon1981@gmail.com

Disclaimer

- 본 채널/유튜브에서 업로드 되는 모든 종목은 작성자 및 작성자와 연관된 사람들이 보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해당 종목 및 상품은 언제든 매도할 수 있습니다.

- 본 게시물에 올라온 종목 및 상품에 대한 투자 의사 결정 시, 전적으로 투자자의 책임과 판단하에 진행됨을 알립니다.
Download Telegram
■ 불안한데 대안이 있는가

- 과격해진 미국을 보면서 느끼는 불안함은 크게 두 가지

- 첫 번째는 경제. 경제는 경제 대로 좋지 않을 것 같고, 물가는 물가 대로 쉽게 잡히지 않는 모양새. 보통 경기가 좋지 않으면 인플레이션도 약해져야 하는데 미국은 중(中)물가 고착화를 심각하게 고려 중. 연준조차 목표물가 달성은 확신하지만 그 시기가 지연 중이고, 언제가 될지는 알 수 없다고 함. 비록 소수이고, 가능성은 작지만 스태그플레이션 도래를 우려하는 이들도 존재

- 두 번째는 달러. 노골적으로 본인들 입맛에 맞게 달러가치를 조정하겠다고 하고있음. 통화정책 수장은 국가원수로부터 하루가 멀다 하고 해임 위협과 비난에 시달림.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기축통화인만큼 그 어떤 통화보다 인위적인 개입에서 자유로워야 하는데 대통령이 앞장서서 근간을 흔들고 있는 것. 자연스럽게 금 가격은 급등하고 달러인덱스는 100을 하회. 금/달러 비율은 역대 최고 수준까지 치솟았음

- 그러다 보니 달러로 발행된 미국 채권금리는 뚜렷한 방향성 없이 등락을 반복 중. 여기서 생각해봐야할 것은 실제로 미국 경제와 물가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에 빠짐과 동시에 달러와 미국 시장이 신뢰도까지 잃는다고 한들 대체 통화나 시장이 존재하는가임

- 여러 데이터들을 보았을 때 향후 1~2년 내 미국 경제가 침체 국면에 들어설 가능성은 제한적이고, 스태그플레이션 환경이 조성될 가능성은 극히 작을 것으로 전망함

- 경기 침체와 스태그플레이션보다 더 발생할 가능성이 낮은 것이 미국과 달러를 대체할 시장이나 통화의 출현. 유로화 출범, 중국이 부상한지 20년이 넘었음에도 미국과 달러는 압도적인 격차를 유지 중

- 여전히 전세계 외환보유고에서 달러가 차지하는 비중은 60%에 육박하고, 전세계 결제 비중에서는 44%를 차지. 일부 신흥국 간 위안화 결제가 증가하고 있지만 글로벌 시장에서 위안화 결제 비중은 3.5%에 불과하며, 외환보유고 비중은 2.2%. 심지어 전성기가 한참 지난 파운드 스털링 결제(6.5%), 외환보유고(4.7%) 비중의 절반밖에 되지 않음

- 중국은 미국이랑 비교하기 전에 해가 지다 못해 달이 떠버린 영국부터 일단 넘고 와야 함

- 미국 채권시장을 볼 때 앞으로의 펀더멘털과 불확실성을 우려하는 것은 합리적. 그러나 경제가 1970년대로 회귀하는 것은 구조적으로 불가능해 보이며, 달러가 기축통화에서 내려오기에는 대체 통화 자체가 존재하지 않음. 무너지지 않을 미국 경제, 붕괴되지 않을 달러시스템임

- 지금의 불안함은 단기적 변동성. 오히려 금리 방향성이 정해지지 않은 지금이 투자해야 할 때

- 적어도 이 텔레그램 방이 없어지기 전까지 미국채권, 달러는 대체불가능한 안전자산이고, 투자매력이 충분히 있음
EU, 애플·메타에 총 1.1조원 과징금…‘갑질 방지법’ 첫 제재

유럽연합(EU)이 23일 미국 빅테크 기업인 애플과 메타에 디지털시장법(DMA) 위반을 이유로 총 1조 원이 넘는 과징금을 부과. EU가 지난해 3월 빅테크의 시장 지배력 남용을 규제하기 위해 DMA를 시행한 이후 실제 제재 조치를 발표한 건 처음

EU 집행위원회는 이날 DMA 위반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애플에 5억 유로(약 8133억원), 메타에 2억 유로(약 3252억원)의 과징금을 각각 부과. ‘빅테크 갑질 방지법’이라고 불리는 DMA는 애플과 메타 등 7개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를 ‘게이트 키퍼’로 지정하고, 이들이 시장 지배력을 남용하지 않도록 규제하는 법. EU의 경쟁정책 책임자인 테레사 리베라 수석 부집행위원장은 “EU에서 사업을 운영하는 모든 기업은 우리 법을 따라야 하며, 유럽의 가치를 존중해야 한다”고 강조

EU는 애플이 사용자에게 자사 앱스토어 이외의 상대적으로 값이 저렴한 앱 마켓이나 대안 결제수단의 이용을 제한해 경쟁을 막고 사용자의 선택권을 제한했다고 판단. 메타는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에서 광고 목적의 데이터 수집에 동의하지 않을 경우 최소 월 10유로의 서비스 이용료를 내게 하는 ‘결제 또는 동의 약관’으로 사용자에게 개인정보 제공을 강요하고, 맞춤형 광고로 부당이익을 취했다고 평가

https://www.donga.com/news/Inter/article/all/20250423/131480658/1
"AI 에이전트 구축 속도↑"…엔비디아, '니모 마이크로서비스' 출시

"인공지능(AI) 에이전트 구축 핵심은 속도와 안전성입니다. '니모(NeMo) 마이크로서비스'는 AI 에이전트 제작에 필요한 데이터부터 모델 학습, 평가, 보안, 정보 검색까지 전 과정을 지원합니다. 기업은 다양한 환경에서 AI 에이전트를 빠르고 안전하게 운영할 것입니다."

엔비디아 조이 콘웨이 AI 소프트웨어 부문 수석 디렉터는 23일 온라인으로 진행한 아시아·태평양 미디어 프리프리핑을 통해 대규모 AI 에이전트 구축 플랫폼 니모 마이크로서비스를 처음 공개하며 이같이 발표

이날 소개된 니모 마이크로서비스는 기업들이 대규모 AI 에이전트를 신속히 구축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통합 플랫폼. 이 시스템은 비즈니스 인텔리전스와 사용자 피드백, 추론 데이터 등으로 구성

https://zdnet.co.kr/view/?no=20250423125124
"中기업들, 올해 엔비디아 H20 수조원어치 확보…美통제 대비"

알리바바와 텐센트, 바이트댄스 등 중국 기술 대기업들이 올해 수십억 달러어치의 엔비디아 인공지능(AI) 칩 H20을 확보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과 닛케이아시아가 23일 보도

이들 기업은 내달 말까지 약 100억 달러(약 14조 2,000억 원)어치의 H20을 보내 달라고 엔비디아에 요청했으나,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이달 H20의 중국 수출을 제한해 실제 출하 물량은 이보다 적었던 것으로 파악

닛케이아시아는 “바이트댄스, 알리바바, 텐센트는 미국이 H20 수출을 규제할 가능성에 대비해 지난해부터 (대책을) 준비해 왔다”며 “중국 업체들은 미국의 수출 규제를 받지 않는 중국 이외 지역에서 엔비디아 칩을 구매하는 방법을 찾고 있다”는 점 강조

이에 앞서 정보기술(IT) 전문 매체 디인포메이션도 알리바바, 텐센트, 바이트댄스 등 중국 기술 기업이 올해 1∼3월 H20을 160억 달러(약 22조 8,000억 원) 이상 주문했다고 지난 2일(현지 시각) 보도한 바 있음

https://biz.sbs.co.kr/article/20000230537
Forwarded from 루팡
서비스나우 ServiceNow 2025년 1분기 실적(시간외 +9%)

조정 주당순이익(EPS): 4.04달러 (예상: 3.83달러)

총매출: 30.9억 달러 (예상: 30.8억 달러); 전년 대비 18.5% 증가

구독 매출: 30.1억 달러 (예상: 30.0억 달러); 전년 대비 19% 증가

조정 총이익: 25.4억 달러 (예상: 25.3억 달러)

조정 총이익률: 82% (예상: 81.8%); 전년 대비 1%p 하락

조정 구독 총이익률: 84.5% (예상: 83.9%); 전년 대비 1.5%p 하락

조정 잉여현금흐름: 14.8억 달러 (예상: 13.2억 달러); 전년 대비 21% 증가

잔여 성과 의무(RPO)

총 RPO: 221억 달러; 전년 대비 25% 증가

현재 RPO(cRPO): 103.1억 달러 (예상: 101억 달러); 전년 대비 22% 증가


2025년 2분기 가이던스

구독 매출: 30.3억 ~ 30.4억 달러 (예상: 30.2억 달러)

cRPO 성장률: 전년 대비 19.5%

영업이익률(GAAP 기준): 27%


2025년 연간 가이던스

구독 매출: 126.4억 ~ 126.8억 달러 (예상: 126.6억 달러)

구독 총이익률: 83.5% (예상: 83.6%)

영업이익률: 30.5%

잉여현금흐름률: 32%

운영 관련 하이라이트

전문 서비스 매출: 8300만 달러 (예상: 8650만 달러); 전년 대비 3.8% 증가

전문 서비스 총이익률: 4% (예상: 11.1%); 전년 대비 12%p 하락

5백만 달러 이상 ACV 고객 수 500명 돌파

1분기 100만 달러 이상 ACV 신규 계약 72건 발생


전략 및 AI 관련 하이라이트

요코하마(Yokohama) 릴리스에서 에이전틱 AI 기능 도입

NVIDIA 기반 CSP 자동화를 위한 AI 텔레콤 에이전트 발표

미국 공공부문 대상 ROI 및 투명성 향상을 위한 Government Transformation Suite 출시

공공부문 매출 전년 대비 30% 증가

M&A 및 파트너십

AI 어시스턴트 제공업체 Moveworks, AI CPQ 솔루션 Logik:ai 인수 발표

NVIDIA, Vodafone, Aptiv, Devoteam, Google Cloud, DXC Technology와 파트너십 확대하여 산업 전반에 AI 적용

자본 환원

자사주 매입: 2억 9800만 달러 (31만 6000주)

남은 자사주 매입 승인 금액: 약 30억 달러


경영진 코멘트

CEO 빌 맥더못: “글로벌 불확실성 속에서도 상단 가이던스를 상향 조정해 상승 여력을 확보했습니다.”

AI는 실질적인 비즈니스 전환과 ROI를 이끌고 있으며, ServiceNow는 그 최전선에 서 있습니다.”

CFO 지나 마스탄투오노: “역동적인 시장에서 강력한 실행력을 바탕으로 Now Assist와 신규 ACV에서 성과를 냈습니다.”
Forwarded from 도PB의 생존투자 (도PB)
🤩ServiceNow (NOW) 2025년 1분기 실적 요약

📊 주요 실적 지표
• 조정 EPS: $4.04 (예상 $3.83) 🟢
• 총매출: $30.9억 (예상 $30.8억) 🟢; 전년 대비 +18.5%
• 구독 매출: $30.1억 (예상 $30.0억) 🟢; 전년 대비 +19%
• 조정 총이익: $25.4억 (예상 $25.3억) 🟢
• 조정 총이익률: 82% (예상 81.8%) 🟢; 전년 대비 ▼1%p
• 구독 부문 조정 총이익률: 84.5% (예상 83.9%) 🟢; 전년 대비 ▼1.5%p
• 조정 잉여현금흐름: $14.8억 (예상 $13.2억) 🟢; 전년 대비 +21%

📌 수주잔고 (RPO)
• 총 RPO: $221억; 전년 대비 +25%
• 단기 RPO (cRPO): $103.1억 (예상 $101억) 🟢; 전년 대비 +22%

🔮 2025년 2분기 가이던스
• 구독 매출: $30.3억~$30.4억 (예상 $30.2억) 🟢
• 단기 RPO 성장률: +19.5% YoY
• GAAP 기준 영업이익률: 27%

🔮 2025년 연간 가이던스
• 구독 매출: $126.4억~$126.8억 (예상 $126.6억) 🟡
• 구독 총이익률: 83.5% (예상 83.6%) 🟡
• 영업이익률: 30.5%
• 잉여현금흐름률: 32%

⚙️ 운영 성과
• 전문 서비스 매출: $8,300만 (예상 $8,650만) 🔴; 전년 대비 +3.8%
• 전문 서비스 총이익률: 4% (예상 11.1%) 🔴; 전년 16% 대비 큰 폭 하락
• ACV $5M 이상 고객: 500명 돌파
• 순 신규 ACV $1M 이상 계약 수: 72건

🤖 전략 및 AI 성과
• Yokohama 릴리스를 통해 에이전틱 AI 기능 최초 도입
• NVIDIA 기반 통신사 전용 AI 에이전트 출시
• 미국 공공 부문 지원 위한 Government Transformation Suite 발표
• 공공 부문 매출: 전년 대비 +30% 증가

🧠 M&A 및 파트너십
• AI 어시스턴트 기업 Moveworks, AI CPQ 솔루션 Logik:ai 인수 발표
• NVIDIA, Vodafone, Aptiv, Devoteam, Google Cloud, DXC 등과 파트너십 확대해 산업 전반 AI 도입 가속화

💸 자본 환원
• 자사주 매입: $2.98억 (316,000주)
• 잔여 자사주 매입 승인 금액: 약 $30억

🗣️ 경영진 코멘트
• CEO Bill McDermott: “전 세계 불확실성에 대비하기 위해 가이던스 중간값을 상향 조정했습니다. AI는 실질적인 비즈니스 혁신과 ROI를 견인하고 있으며, ServiceNow는 이 선두에 있습니다.”
• CFO Gina Mastantuono: “동적 시장 속에서도 Now Assist 및 순 신규 ACV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두며 강력한 실행력을 입증했습니다.”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Forwarded from 루팡
램리서치 Lam Research 2025년 3분기 실적(시간외 +4.6%)

핵심 지표

비GAAP 기준 주당순이익(EPS): 1.04달러 (예상: 1.00달러); 전분기 대비 14% 증가

매출: 47.2억 달러 (예상: 46.3억 달러); 전분기 대비 8% 증가


2025년 4분기 가이던스

매출: 47억 ~ 53억 달러 (예상: 45.9억 달러)

주당순이익(EPS): 1.10 ~ 1.30달러 (예상: 0.98달러)

비GAAP 총이익률: 49.5% ± 1%

비GAAP 영업이익률: 33.5% ± 1%

희석 주식 수: 12.8억 주


부문별 실적

시스템 부문 매출: 30.4억 달러; 전년 대비 15.6% 증가

고객 지원 및 기타 부문 매출: 16.8억 달러; 전년 대비 20.6% 증가


지역별 매출 비중

중국: 31%

한국: 24%

대만: 24%

일본: 10%

미국: 4%

동남아시아: 4%

유럽: 3%


기타 주요 지표

GAAP 기준 총이익률: 49.0% (전분기 47.4% 대비 160bp 상승)

영업현금흐름: 이번 발표에서 미공개

현금 및 현금성 자산, 제한용 현금 포함: 55억 달러 (전분기 57억 달러)

이연 매출: 20.1억 달러 (전분기 20.3억 달러)


전략 및 CEO 발언

CEO 팀 아처:
Lam의 포트폴리오는 지금까지 중 가장 강력합니다. 이는 우리가 대응 가능한 시장을 확대하고 점유율을 높이며, 첨단 반도체 제조에서 증착과 식각의 비중이 증가함에 따라 혁신적 서비스를 제공할 기회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단기적으로는 관세 관련 불확실성에 대응하고 있지만, 우리는 향후 몇 년간 반도체 산업 성장률을 능가할 자신이 있습니다.”
Forwarded from 도PB의 생존투자 (도PB)
🤩Lam Research (LRCX) 2025년 3분기 실적 요약

📊 주요 실적 지표
• 조정 EPS: $1.04 (예상 $1.00) 🟢; 전분기 대비 +14%
• 매출: $47.2억 (예상 $46.3억) 🟢; 전분기 대비 +8%

🔮 가이던스 (Q4’25)
• 매출: $47억–$53억 (예상 $45.9억) 🟢
• 조정 EPS: $1.10–$1.30 (예상 $0.98) 🟢
• 조정 총이익률: 49.5% ±1%
• 조정 영업이익률: 33.5% ±1%
• 희석 주식수: 12.8억 주

📌 사업 부문별 매출
• 장비 시스템 부문: $30.4억; 전년 대비 +15.6%
• 고객 지원 및 기타: $16.8억; 전년 대비 +20.6%

🌎 지역별 매출 비중
• 중국: 31%
• 한국: 24%
• 대만: 24%
• 일본: 10%
• 미국: 4%
• 동남아시아: 4%
• 유럽: 3%

💰 기타 재무 지표
• GAAP 총이익률: 49.0% (전분기 47.4%) 🟢; +160bp 개선
• 현금 및 현금성 자산: $55억 (전분기 $57억)
• 이연 수익: $20.1억 (전분기 $20.3억)
• 영업현금흐름: 비공개

🧠 전략 및 CEO 발언
🔸 CEO 팀 아처: “Lam의 포트폴리오는 역대 최고 수준으로, 첨단 반도체 제조에서의 증착·식각 강도 증가에 따른 시장 확장 및 점유율 확대 기회를 만들고 있습니다.”
🔸 “단기적인 관세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향후 몇 년간 반도체 산업 성장률을 상회할 수 있는 역량에 대해 높은 확신을 가지고 있습니다.”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Forwarded from 루팡
Texas Instruments 2025년 1분기 실적(시간외 +5%)

주당순이익(EPS): 1.28달러 (예상: 1.06달러); 전년 대비 7% 증가

매출: 40.7억 달러 (예상: 39.1억 달러); 전년 대비 11% 증가

영업이익: 13.2억 달러 (예상: 11.8억 달러); 전년 대비 3% 증가


2025년 2분기 가이던스

매출: 41.7억 ~ 45.3억 달러 (예상: 41.2억 달러)

EPS: 1.21 ~ 1.47달러 (예상: 1.20달러)

예상 유효 세율: 12% ~ 13%


사업 부문별 실적

아날로그

매출: 32.1억 달러 (예상: 31.0억 달러); 전년 대비 13% 증가

영업이익: 12.1억 달러; 전년 대비 20% 증가

임베디드 프로세싱

매출: 6억 4700만 달러 (예상: 6억 1700만 달러); 전년 대비 0.8% 감소

영업이익: 4000만 달러; 전년 대비 62% 감소

기타

매출: 2억 1200만 달러 (예상: 2억 890만 달러); 전년 대비 23% 증가

영업이익: 7800만 달러; 전년 대비 55% 감소


기타 주요 지표

순이익: 11.8억 달러; 전년 대비 7% 증가

연구개발비: 5억 1700만 달러 (예상: 5억 1150만 달러); 전년 대비 8.2% 증가

설비투자(CapEx): 11.2억 달러 (예상: 11.8억 달러); 전년 대비 10% 감소

조정 잉여현금흐름: -1400만 달러

현금 및 현금성 자산: 27.6억 달러 (예상: 24.1억 달러); 전년 대비 11% 증가

최근 12개월 누적 지표

영업현금흐름: 61.5억 달러 (전년 동기: 62.8억 달러)

잉여현금흐름: 17.2억 달러 (전년 동기: 9.4억 달러); 82% 증가

잉여현금흐름률: 10.7%

주주환원: 64.3억 달러 (전년 동기: 48.1억 달러); 34% 증가
  - 배당금: 48.5억 달러
  - 자사주 매입: 15.8억 달러

2025년 3월 31일 기준 재무상태


총자산: 337.6억 달러

총부채: 173.5억 달러

자본총계: 164.1억 달러

재고자산: 46.9억 달러 (전년: 40.8억 달러)

장기부채: 128.5억 달러


CEO 하비브 일란 발언

“1분기 매출은 전년 대비 11%, 전분기 대비 2% 증가했습니다. 개인 전자 부문을 제외한 모든 시장에서 성장이 있었습니다. 최근 12개월 기준 17억 달러의 잉여현금흐름은 당사의 안정성과 실행력, 300mm 생산 역량이 뒷받침된 경쟁력을 보여줍니다. 우리는 장기적 성장을 위한 투자와 견조한 수익 실현에 계속 집중하고 있습니다.”
Forwarded from 도PB의 생존투자 (도PB)
🤩IBM (IBM) 2025년 1분기 실적 요약

📊 주요 실적 지표
• 매출: $145.4억 (예상 $144.1억) 🟢; 전년 대비 +0.5%
• 조정 EPS: $1.60 (예상 $1.42) 🟢; 전년 대비 -5%
• 조정 총이익률: 56.6% (예상 55.6%) 🟢; 전년 대비 +190bp 개선

🔮 가이던스 및 전망
• FY25 매출 성장률(고정환율 기준): 최소 +5% 🟢
• 환율 우호적 영향: +1%~1.5%
• 연간 잉여현금흐름: 약 $135억 (예상 $137.2억) 🔴
• Q2 매출 가이던스: $164억–$167.5억 (예상 $162.8억) 🟢

📌 사업 부문별 실적
소프트웨어 부문
• 매출: $63.4억 (예상 $63억) 🟢; 전년 대비 +7.4%
• 총이익률: 83.6% (전년 82.4%)
Red Hat(하이브리드 클라우드): +12%
오토메이션: +14%
데이터 관련: +5%
트랜잭션 프로세싱: 변동 없음

컨설팅 부문
• 매출: $50.7억 (예상 $50.7억) 🟡; 전년 대비 -2.3%
• 총이익률: 27.3% (전년 25.3%)
전략 및 기술: -3%
인텔리전트 운영: -2%

인프라 부문
• 매출: $28.9억 (예상 $28.1억) 🟢; 전년 대비 -6.2%
• 총이익률: 52.8% (전년 54.2%)
하이브리드 인프라: -9%
  – IBM Z: -15%
  – 디스트리뷰티드 시스템: -5%
인프라 지원 서비스: -3%

파이낸싱 부문
• 매출: $1.91억 (예상 $1.84억) 🟢; 전년 대비 -1%
• 총이익률: 45.8% (전년 48.5%)

기타
• 매출: $6100만; 전년 대비 -44%

💰 수익성 및 현금흐름
• GAAP 총이익률: 55.2% (전년 53.5%) 🟢
• 조정 세전이익률: 12.0% (전년 11.5%)
• 조정 순이익: $15억; 전년 대비 -3%
• GAAP 순이익: $10.5억; 전년 대비 -33%
• 잉여현금흐름: $19.6억 (예상 $17.9억) 🟢; +2.7% YoY
• 영업현금흐름: $43.7억; +5% YoY

💼 재무 상태 (2025년 3월 31일 기준)
• 현금 및 현금성 자산: $176억 (2024년 12월 대비 +$28억)
• 총 부채: $633억 (이 중 파이낸싱 부채 $100억 포함); YTD +$83억
• 총 자산: $1456.7억
• 총 부채: $1187.1억
• 주주지분: $268.8억

📈 자본 배분 및 투자
• 분기 배당금 지급: $15.5억
• 인수 금액: $71억 (HashiCorp 포함)
• 투자 활동 현금 유출: -$129.8억
• 순현금변동: -$29.9억

🗣️ CEO 아르빈드 크리슈나 발언
“1분기에는 소프트웨어 부문을 중심으로 매출, 수익성, 잉여현금흐름 모두 예상을 상회했습니다.”
“생성형 AI 사업 규모는 $60억을 돌파했으며, 이번 분기에만 $10억 이상 성장했습니다.”
“거시 불확실성 속에서도 장기 기술 성장은 여전히 낙관적으로 보고 있습니다.”

🧾 CFO 제임스 카바노 발언
“생산성 향상과 소프트웨어 중심의 매출 성장이 결합되어 수익성 확대로 이어졌습니다.”
“강력한 잉여현금흐름 창출로 주주환원과 전략적 투자 모두를 지속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습니다.”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다올 시황 김지현]
중국, 1년간 문화관광 소비 촉진 추진

4월 23일, 2025년 전국 문화관광 소비촉진 캠페인이 허난성 정저우에서 시작

문화관광부는 2025년 4월부터 2026년 3월까지 문화관광 소비를 강력히 진흥하는 데 주력

노동절, 여름휴가, 국경절, 춘절 등 중요 절기를 중심으로 전국 '메이데이' 문화관광 소비주간, 여름 문화관광 소비시즌, 국경절 문화관광 소비월, 춘절 문화관광 소비월 지정, 주요 특별 행사 개최.

각 성(자치구, 직할시)은 이 행사에 참여하고, 주말 등 시간대에 맞춰 개인화된 문화관광 소비촉진 활동을 펼칠 예정. 온라인과 오프라인, 비즈니스, 여행, 문화, 스포츠, 건강 소비의 융합, 공연, 영화, 이벤트, 무형문화유산을 활용한 여행 등 특화된 관광 모델을 홍보


👉 돈 만들기 부담스러워서 안쓰는 미국 vs 짜내서 쓰는 중국


http://www.news.cn/politics/20250423/eee091d61b8a4065ba2a1d8f29728316/c.html
< 🇰🇷 1분기 GDP 속보치 >

전기비 -0.2% 감소 (역성장)
전년비 -0.1% 감소

지출항목별 (전기비)

민간소비 -0.1%
정부소비 -0.1%
건설투자 -3.2%
설비투자 -2.1%
수출 -1.1%

기여도 (전기비)

내수 -0.6%
순수출 +0.3%p
2025.04.24 07:43:04
기업명: SK하이닉스(시가총액: 131조 7,684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176,391억(예상치 : 173,839억+/ 1%)
영업익 : 74,405억(예상치 : 66,324억/ +12%)
순이익 : 81,071억(예상치 : 53,761억+/ 51%)

최근 실적 추이
2025.1Q 176,391억/ 74,405억/ 81,071억
2024.4Q 197,670억/ 80,828억/ 80,065억
2024.3Q 175,731억/ 70,300억/ 57,534억
2024.2Q 164,233억/ 54,685억/ 41,200억
2024.1Q 124,296억/ 28,860억/ 19,170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4800003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006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