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관세 협상' 나선 정부, 20명 이상 대규모 범부처 대표단 구성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17/0001072392?sid=100
산업통상자원부도 박 차관에 더해 미국 통상 현안을 총괄하는 미주통상과를 중심으로 10명 내외의 실무진을 파견한다. 아울러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참여, 한·미 조선 협력 등도 의제로 거론되고 있어 관련 부서인 가스산업과, 조선해양플랜트과 등도 협상단 실무라인에 포함될 예정이다. 아울러 외교 주무 부처인 외교부와 농식품부에서도 협의단에 합류한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17/0001072392?sid=100
산업통상자원부도 박 차관에 더해 미국 통상 현안을 총괄하는 미주통상과를 중심으로 10명 내외의 실무진을 파견한다. 아울러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참여, 한·미 조선 협력 등도 의제로 거론되고 있어 관련 부서인 가스산업과, 조선해양플랜트과 등도 협상단 실무라인에 포함될 예정이다. 아울러 외교 주무 부처인 외교부와 농식품부에서도 협의단에 합류한다.
Naver
'2+2 관세 협상' 나선 정부, 20명 이상 대규모 범부처 대표단 구성
미국 정부와 관세 협상을 하기 위해 우리 정부가 20명 이상 대규모 범부처 대표단을 꾸렸다. 22일 뉴스1에 따르면 이번 한·미 관세 협의 대표단은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을
Forwarded from 미래에셋증권 매크로/시황 김석환
달러/엔 환율, 24년 저점 테스트
🇯🇵 엔 캐리 트레이드 청산(unwind) 압력은 시장의 또 다른 '불확실성'일 수 있습니다.
달러/엔 환율이 작년 저점(24년 초, 9월 중순)을 테스트하고 있습니다.
🇯🇵 엔 캐리 트레이드 청산(unwind) 압력은 시장의 또 다른 '불확실성'일 수 있습니다.
달러/엔 환율이 작년 저점(24년 초, 9월 중순)을 테스트하고 있습니다.
Forwarded from [DAOL퀀트 김경훈] 탑다운 전략 (경훈 김)
# 시장이 과매도 국면서 헤매는 시간 ⏰
상단 차트는 2005년 이후 KOSPI의 단기저점이 장지저점 레벨을 밑돌 때 (i.e. -2 Sig × 변동성 > -1 Sig × 변동성) 증시가 바닥에서 평균적으로 헤매는 기간을 도표화 한 차트입니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상태의 유지기간은 약 368일 정도이며, 여기에는 2008년 금융위기, 2020년 코로나 외 유럽발 재정위기와 같은 여러 국면들이 포함됩니다.
이번 KOSPI의 "과매도" 국면은 올해 2월부터 시작됐으며, 현재 60일차를 막 지난 상황입니다.
👉 증시가 여전히 장기간 답보라면, "NON-CYCLICAL DEFENSIVE!"
상단 차트는 2005년 이후 KOSPI의 단기저점이 장지저점 레벨을 밑돌 때 (i.e. -2 Sig × 변동성 > -1 Sig × 변동성) 증시가 바닥에서 평균적으로 헤매는 기간을 도표화 한 차트입니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상태의 유지기간은 약 368일 정도이며, 여기에는 2008년 금융위기, 2020년 코로나 외 유럽발 재정위기와 같은 여러 국면들이 포함됩니다.
이번 KOSPI의 "과매도" 국면은 올해 2월부터 시작됐으며, 현재 60일차를 막 지난 상황입니다.
👉 증시가 여전히 장기간 답보라면, "NON-CYCLICAL DEFENSIVE!"
Forwarded from 묻따방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Forwarded from 요약하는 고잉
이번주 국장 제가 보는 동네인데요.
1) 한미 관세협상(4/24.목.밤9시~)
-자동차(현대차,기아,현대모비스,에스엘 등),
알래스카LNG관련주, 조선주, 반도체,
2) 우크라이나, 미국 광물협정 체결(4/26일.토)
-SG, 대동기어, 전진건설로봇, 대동
3) 이재명 호남일정(4/24.목~4/25) 공약
-풍력 : 금양그린파워, 유니슨, SK이터닉스, 씨에스윈드, SK오션플랜트, LS마린솔루션,
-태양광 : SDN, 대명에너지, 한화솔루션, 현대에너지솔루션, 신성이엔지
-AI컴퓨팅센터 : 지엔씨에너지, 지투파워, 데이타솔루션,
4) 이재명 정책섹터의 손바뀜
-이재명은 AI, 신재생에너지, 에너지고속도로(전력망)를 메인으로 보면된다고 저는 생각. 세개가 다 같이가야 포퓰리즘 성장공약이 일부라도 현실화가 가능
5) 조선주 실적발표(4/24.목)
-삼성중공업, HD현대미포, HD현대중공업, HD한국조선해양,
6) SK하이닉스 1분기 실적발표(4/24.목)
-영업이익은 6.5조원을 훌쩍 넘길거로 예상
-반도체 품목관세는 아직 부과전이라 다음분기가 오히려 중요. (반도체섹터는 관세율 나오고 접근해도 괜찮다고 전 생각)
7) 한덕수 출마 분위기
-국힘 경선 흥행이 안되는중이라 출마가능성은 커질듯요
*관세 실타래가 풀리기전까지는 지수는 큰기대 안하며 보려고요.
(그리고 5월2일 임시공휴일 지정여부인데 이번주 발표있을려나요 ㅎ 가능성은 충분한거 같은데)
1) 한미 관세협상(4/24.목.밤9시~)
-자동차(현대차,기아,현대모비스,에스엘 등),
알래스카LNG관련주, 조선주, 반도체,
2) 우크라이나, 미국 광물협정 체결(4/26일.토)
-SG, 대동기어, 전진건설로봇, 대동
3) 이재명 호남일정(4/24.목~4/25) 공약
-풍력 : 금양그린파워, 유니슨, SK이터닉스, 씨에스윈드, SK오션플랜트, LS마린솔루션,
-태양광 : SDN, 대명에너지, 한화솔루션, 현대에너지솔루션, 신성이엔지
-AI컴퓨팅센터 : 지엔씨에너지, 지투파워, 데이타솔루션,
4) 이재명 정책섹터의 손바뀜
-이재명은 AI, 신재생에너지, 에너지고속도로(전력망)를 메인으로 보면된다고 저는 생각. 세개가 다 같이가야 포퓰리즘 성장공약이 일부라도 현실화가 가능
5) 조선주 실적발표(4/24.목)
-삼성중공업, HD현대미포, HD현대중공업, HD한국조선해양,
6) SK하이닉스 1분기 실적발표(4/24.목)
-영업이익은 6.5조원을 훌쩍 넘길거로 예상
-반도체 품목관세는 아직 부과전이라 다음분기가 오히려 중요. (반도체섹터는 관세율 나오고 접근해도 괜찮다고 전 생각)
7) 한덕수 출마 분위기
-국힘 경선 흥행이 안되는중이라 출마가능성은 커질듯요
*관세 실타래가 풀리기전까지는 지수는 큰기대 안하며 보려고요.
(그리고 5월2일 임시공휴일 지정여부인데 이번주 발표있을려나요 ㅎ 가능성은 충분한거 같은데)
‘美 채권 최대 보유’ 일본, 30조원 매도…2005년 이래 최대 규모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894313?utm_source=telegram&utm_medium=social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894313?utm_source=telegram&utm_medium=social
블록미디어
'美 채권 최대 보유' 일본, 30조원 매도…2005년 이래 최대 규모 | 블록미디어
트럼프발 관세 폭탄에 일본 투자자들이 210억 달러(약 30조원) 규모의 국제 채권을 팔아치웠다. 어떤 종류의 채권을 매도했는지 알려지진 않았지만, 업계에선 미국 국채일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 이는 월가의 위기가 세계 금융 시장으로 번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라는
Forwarded from 그로쓰리서치(Growth Research) [독립리서치]
✅[속보]테슬라 중국 보험 데이터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2분기 추적
📌2025년 4월
1주차 (3월 31일 ~ 4월 6일) : 3,600대
2주차 (4월 7일 ~ 4월 13일) : 5,400대
3주차 (4월 14일 ~ 4월 20일) : 6,780대
분기초에는 테슬라 상하이는 수출물량을 처리함.
아시아쪽, 유럽쪽 물량 처리하기 때문에 월말로 갈수록 인도량 늘어남.
계속 반등하고 있음.
📌여전히 모델Y 주니퍼 수요 폭발하고 있음.
🔥모델Y 주니퍼 런칭 이후 빠르게 늘어나는중🔥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2분기 추적
📌2025년 4월
1주차 (3월 31일 ~ 4월 6일) : 3,600대
2주차 (4월 7일 ~ 4월 13일) : 5,400대
3주차 (4월 14일 ~ 4월 20일) : 6,780대
분기초에는 테슬라 상하이는 수출물량을 처리함.
아시아쪽, 유럽쪽 물량 처리하기 때문에 월말로 갈수록 인도량 늘어남.
계속 반등하고 있음.
📌여전히 모델Y 주니퍼 수요 폭발하고 있음.
🔥모델Y 주니퍼 런칭 이후 빠르게 늘어나는중🔥
Forwarded from 루팡
인도, 아마존·월마트에 전면적 시장 개방 압박…미국의 관세 협상 카드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과 인도 간 무역협상에서 관세 부과 위협을 지렛대 삼아, 아마존과 월마트의 플립카트가 인도의 1,250억 달러 규모 이커머스 시장에 전면적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인도를 압박하고 있다.
주요 내용 요약
미국은 전자상거래 시장에서 미국 기업과 인도 로컬 기업 간의 ‘동등한 경쟁 환경(level playing field)’을 요구.
미국 부통령 JD 밴스는 모디 총리와 회담해 무역협상 진전과 에너지·국방·기술 분야 협력 강화를 언급.
인도는 현재 미국 제품에 26%의 보복관세를 예고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협상 시간 확보를 위해 90일 유예한 상태.
월마트 CEO 더그 맥밀런은 마러라고(트럼프 소유 리조트)에서 열린 회의에서 인도의 외국계 이커머스 규제 문제를 직접 언급.
아마존 CEO 제프 베조스는 올해 1월 트럼프 취임식에 참석했으며, 맥밀런도 백악관 회의에 참여.
미국 측은 인도의 외국인직접투자(FDI) 제한과 플랫폼 직접 판매 금지 정책을 ‘비관세 장벽’으로 간주.
인도 현행 규제
미국 이커머스 기업(아마존, 플립카트 등): 오직 제3자 판매자들의 온라인 마켓플레이스 역할만 허용됨.
인도 로컬 기업(릴라이언스 등): 자체 상품 생산·보유·판매가 모두 가능.
갈등 구도
미국 측: 아마존·월마트 등 기업의 진입 확대를 통해 무역 불균형 해소 시도
인도 측: 릴라이언스 그룹(아시아 최고 부호 무케시 암바니 소유)의 이커머스 지배력 보호 + 중소상인 보호
인도 소상공인 단체 대표: “외국 자본 유치는 좋지만, 9천만 명에 달하는 중소 상인의 생태계를 무너뜨려선 안 된다”
시장 현황
아마존: 인도에서 일일 활성 사용자 수 4천만 명 이하
플립카트: 5천만 명 이상, 월마트 인수 이후 시장 점유율 우위
미국의 전략적 목표
인도 내 시장 지배력 확보와 대중국 견제라는 경제 외교 전략 일환
양국은 상품·서비스 교역 규모를 현재의 2배인 5,000억 달러까지 확대하는 데 목표 설정
결론
미국은 인도의 전자상거래 규제를 무역협상의 핵심 쟁점으로 삼아 강하게 압박 중이며, 이는 트럼프식 공격적 통상 전략의 연장선으로 해석됨. 인도는 국내 산업 보호와 시장 개방 사이에서 균형을 찾기 위한 치열한 외교전을 치르고 있음.
https://www.ft.com/content/ac858997-8dc4-495f-ba9e-81b8f9758332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과 인도 간 무역협상에서 관세 부과 위협을 지렛대 삼아, 아마존과 월마트의 플립카트가 인도의 1,250억 달러 규모 이커머스 시장에 전면적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인도를 압박하고 있다.
주요 내용 요약
미국은 전자상거래 시장에서 미국 기업과 인도 로컬 기업 간의 ‘동등한 경쟁 환경(level playing field)’을 요구.
미국 부통령 JD 밴스는 모디 총리와 회담해 무역협상 진전과 에너지·국방·기술 분야 협력 강화를 언급.
인도는 현재 미국 제품에 26%의 보복관세를 예고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협상 시간 확보를 위해 90일 유예한 상태.
월마트 CEO 더그 맥밀런은 마러라고(트럼프 소유 리조트)에서 열린 회의에서 인도의 외국계 이커머스 규제 문제를 직접 언급.
아마존 CEO 제프 베조스는 올해 1월 트럼프 취임식에 참석했으며, 맥밀런도 백악관 회의에 참여.
미국 측은 인도의 외국인직접투자(FDI) 제한과 플랫폼 직접 판매 금지 정책을 ‘비관세 장벽’으로 간주.
인도 현행 규제
미국 이커머스 기업(아마존, 플립카트 등): 오직 제3자 판매자들의 온라인 마켓플레이스 역할만 허용됨.
인도 로컬 기업(릴라이언스 등): 자체 상품 생산·보유·판매가 모두 가능.
갈등 구도
미국 측: 아마존·월마트 등 기업의 진입 확대를 통해 무역 불균형 해소 시도
인도 측: 릴라이언스 그룹(아시아 최고 부호 무케시 암바니 소유)의 이커머스 지배력 보호 + 중소상인 보호
인도 소상공인 단체 대표: “외국 자본 유치는 좋지만, 9천만 명에 달하는 중소 상인의 생태계를 무너뜨려선 안 된다”
시장 현황
아마존: 인도에서 일일 활성 사용자 수 4천만 명 이하
플립카트: 5천만 명 이상, 월마트 인수 이후 시장 점유율 우위
미국의 전략적 목표
인도 내 시장 지배력 확보와 대중국 견제라는 경제 외교 전략 일환
양국은 상품·서비스 교역 규모를 현재의 2배인 5,000억 달러까지 확대하는 데 목표 설정
결론
미국은 인도의 전자상거래 규제를 무역협상의 핵심 쟁점으로 삼아 강하게 압박 중이며, 이는 트럼프식 공격적 통상 전략의 연장선으로 해석됨. 인도는 국내 산업 보호와 시장 개방 사이에서 균형을 찾기 위한 치열한 외교전을 치르고 있음.
https://www.ft.com/content/ac858997-8dc4-495f-ba9e-81b8f9758332
Ft
India under tariff pressure to give Amazon and Walmart’s Flipkart full market access
Trade talks set to discuss giving US ecommerce giants a level playing field with local rivals
Forwarded from 루팡
로슈, 향후 5년간 미국에 500억 달러 투자… 연구·개발·제조 대폭 확장
스위스 제약기업 로슈(Roche)는 22일(현지시간) 발표한 성명을 통해, 향후 5년간 미국에 총 500억 달러(약 69조 원)를 투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투자 계획은 미국 헬스케어 분야에 대한 외국 기업의 최대 규모 투자 중 하나로 평가됩니다.
투자 개요 및 일자리 창출
투자 목적: 미국 내 연구(R&D), 제조, 인프라 확장
신규 일자리: 총 12,000개 이상 창출
로슈 직접 고용: 약 1,000명
건설·간접 일자리: 약 11,000명
현재 로슈는 미국 8개 주 24개 거점에서 25,000명 이상을 고용하고 있으며,
15개 R&D 센터
13개 생산시설을 운영 중입니다.
주요 투자 지역 및 세부 내용
주(州) 투자 내용
펜실베이니아 - 첨단 유전자 치료제 생산시설 신설
인디애나 - 연속 혈당 측정기(CGM) 생산 거점 신설
매사추세츠 - AI 기반 신약 연구센터 신설 → 심혈관, 신장, 대사 질환 집중
켄터키, 뉴저지, 오리건, 캘리포니아- 기존 생산역량 확대
애리조나, 인디애나, 캘리포니아- 기존 R&D 센터 업그레이드
또한, 향후 차세대 체중 감량 치료제 제조를 위한 90만 평방피트(약 8.4만㎡) 규모의 신규 생산시설 건설도 계획 중이나, 해당 위치는 아직 미공개 상태입니다.
미국 내 생산 중심 전략 강화
로슈는 이번 확장을 통해 미국에서 수입하는 의약품보다 더 많은 의약품을 미국에서 생산·수출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현재 진단 사업 부문에서는 이미 미국산 제품 수출이 수입보다 많은 상황입니다.
https://ca.investing.com/news/stock-market-news/roche-plans-50-bln-investment-in-the-us-over-five-years-3965865
스위스 제약기업 로슈(Roche)는 22일(현지시간) 발표한 성명을 통해, 향후 5년간 미국에 총 500억 달러(약 69조 원)를 투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투자 계획은 미국 헬스케어 분야에 대한 외국 기업의 최대 규모 투자 중 하나로 평가됩니다.
투자 개요 및 일자리 창출
투자 목적: 미국 내 연구(R&D), 제조, 인프라 확장
신규 일자리: 총 12,000개 이상 창출
로슈 직접 고용: 약 1,000명
건설·간접 일자리: 약 11,000명
현재 로슈는 미국 8개 주 24개 거점에서 25,000명 이상을 고용하고 있으며,
15개 R&D 센터
13개 생산시설을 운영 중입니다.
주요 투자 지역 및 세부 내용
주(州) 투자 내용
펜실베이니아 - 첨단 유전자 치료제 생산시설 신설
인디애나 - 연속 혈당 측정기(CGM) 생산 거점 신설
매사추세츠 - AI 기반 신약 연구센터 신설 → 심혈관, 신장, 대사 질환 집중
켄터키, 뉴저지, 오리건, 캘리포니아- 기존 생산역량 확대
애리조나, 인디애나, 캘리포니아- 기존 R&D 센터 업그레이드
또한, 향후 차세대 체중 감량 치료제 제조를 위한 90만 평방피트(약 8.4만㎡) 규모의 신규 생산시설 건설도 계획 중이나, 해당 위치는 아직 미공개 상태입니다.
미국 내 생산 중심 전략 강화
로슈는 이번 확장을 통해 미국에서 수입하는 의약품보다 더 많은 의약품을 미국에서 생산·수출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현재 진단 사업 부문에서는 이미 미국산 제품 수출이 수입보다 많은 상황입니다.
https://ca.investing.com/news/stock-market-news/roche-plans-50-bln-investment-in-the-us-over-five-years-3965865
Investing.com Canada
Roche plans $50 bln investment in the U.S. over five years By Investing.com
Forwarded from 기업탐방 독립리서치 A.R.I.S
🔷 “노보 노디스크, 경구용 위고비 올해 초에 FDA 승인 신청”
https://www.medisobiza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25014
🍀 독립리서치 ARIS
https://t.me/aris1031
📌 결론 요약
① 노보 노디스크는 비만 치료제 ‘경구용 위고비’에 대해 FDA 승인 신청을 완료했으며, 릴리도 '오포글리프론'으로 올해 내 허가 신청 예정
② 경구용 GLP-1 치료제 시장 선점을 위해 두 회사 간 경쟁이 심화되고 있으며, 향후 10년간 연 1000억 달러 시장을 놓고 본격적인 경쟁이 예상
📌 노보 노디스크: 경구용 위고비 승인 신청
① 비만 치료제 '위고비'(세마글루타이드)의 경구용 제형을 올해 초 FDA에 승인 신청.
② 2023년 임상 3상에서 최대 15% 체중 감량 효과 입증.
③ 주사제 위고비·오젬픽 이후 차세대 치료제 경쟁력 확보 차원.
④ 승인 신청 세부 내용은 5월 7일 실적 발표에서 공개 예정.
📌 일라이 릴리: 오포글리프론 허가 신청 계획
① 경구용 GLP-1 약물 '오포글리프론' 올해 안에 FDA 허가 신청 예정.
② 최근 임상 3상(ACHIEVE-1)에서 7.9% 체중 감량, A1C 수치 최대 1.6%p 감소 확인.
③ 참가자의 65% 이상이 A1C 수치를 당뇨병 진단 기준 이하로 낮춤.
📌 시장 상황 및 전망
① 경구용 GLP-1 제제는 주사제 대비 복용 편의성으로 수요 확대 예상.
② 노보와 릴리는 향후 10년간 연간 1000억 달러 이상 규모로 성장할 시장에서 경쟁 중.
③ 릴리의 임상 성공 발표 직후 노보가 선제적으로 승인 신청에 나선 것으로 분석됨.
https://www.medisobiza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25014
🍀 독립리서치 ARIS
https://t.me/aris1031
📌 결론 요약
① 노보 노디스크는 비만 치료제 ‘경구용 위고비’에 대해 FDA 승인 신청을 완료했으며, 릴리도 '오포글리프론'으로 올해 내 허가 신청 예정
② 경구용 GLP-1 치료제 시장 선점을 위해 두 회사 간 경쟁이 심화되고 있으며, 향후 10년간 연 1000억 달러 시장을 놓고 본격적인 경쟁이 예상
📌 노보 노디스크: 경구용 위고비 승인 신청
① 비만 치료제 '위고비'(세마글루타이드)의 경구용 제형을 올해 초 FDA에 승인 신청.
② 2023년 임상 3상에서 최대 15% 체중 감량 효과 입증.
③ 주사제 위고비·오젬픽 이후 차세대 치료제 경쟁력 확보 차원.
④ 승인 신청 세부 내용은 5월 7일 실적 발표에서 공개 예정.
📌 일라이 릴리: 오포글리프론 허가 신청 계획
① 경구용 GLP-1 약물 '오포글리프론' 올해 안에 FDA 허가 신청 예정.
② 최근 임상 3상(ACHIEVE-1)에서 7.9% 체중 감량, A1C 수치 최대 1.6%p 감소 확인.
③ 참가자의 65% 이상이 A1C 수치를 당뇨병 진단 기준 이하로 낮춤.
📌 시장 상황 및 전망
① 경구용 GLP-1 제제는 주사제 대비 복용 편의성으로 수요 확대 예상.
② 노보와 릴리는 향후 10년간 연간 1000억 달러 이상 규모로 성장할 시장에서 경쟁 중.
③ 릴리의 임상 성공 발표 직후 노보가 선제적으로 승인 신청에 나선 것으로 분석됨.
Medisobizanews
“노보, 경구용 위고비 올해 초에 FDA 승인 신청” - 메디소비자뉴스
노보 노디스크가 비만 치료제 ‘위고비’(Wegovy 세마글루타이드)의 경구용 제형을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승인 신청했다고 밝혔다.노보의 대변인은 미국 의학전문지 바이오파마 다이브(BioPharma Dive)에 2023...
Forwarded from 늘- 봄처럼 따뜻한 투자 이야기
FDA가 리제네론의 아일리아 HD(Eylea HD) 고용량 제형에 대해 투약 간격을 최대 24주(6개월)까지 연장하려는 추가 승인 신청을 거부.
올해 1월 J.P. 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에서 리제네론 CEO 레너드 슐라이퍼는 아일리아의 경쟁력 회복을 위해 "더 많은 화살이 필요하다"고 언급했지만, 3개월 만에 FDA의 완전 응답서(CRL)를 받으며 이 전략 중 하나가 좌절
이번 FDA 결정은 습성 연령 관련 황반변성(AMD), 당뇨병성 황반부종(DME), 당뇨병성 망막병증(DR) 환자들에게 투약 간격을 늘려주는 옵션을 제공하려던 리제네론의 계획에 제동
한편, FDA는 아일리아 HD의 망막정맥폐쇄(RVO) 치료 적응증 및 모든 적응증에서 월 1회 투약 허가 신청은 심사를 수락한 상태
이번 FDA의 24주 투약 간격 거부는 리제네론 아일리아 HD의 시장 경쟁력 강화에 또 하나의 제약
올해 1월 J.P. 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에서 리제네론 CEO 레너드 슐라이퍼는 아일리아의 경쟁력 회복을 위해 "더 많은 화살이 필요하다"고 언급했지만, 3개월 만에 FDA의 완전 응답서(CRL)를 받으며 이 전략 중 하나가 좌절
이번 FDA 결정은 습성 연령 관련 황반변성(AMD), 당뇨병성 황반부종(DME), 당뇨병성 망막병증(DR) 환자들에게 투약 간격을 늘려주는 옵션을 제공하려던 리제네론의 계획에 제동
한편, FDA는 아일리아 HD의 망막정맥폐쇄(RVO) 치료 적응증 및 모든 적응증에서 월 1회 투약 허가 신청은 심사를 수락한 상태
이번 FDA의 24주 투약 간격 거부는 리제네론 아일리아 HD의 시장 경쟁력 강화에 또 하나의 제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