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PB의 금융시장 생존기
1.52K subscribers
11.3K photos
90 videos
185 files
15.6K links
해외 / 국내 경제, 증시 및 다양한 이슈를 전달합니다!

협업 문의 : yeominyoon1981@gmail.com

Disclaimer

- 본 채널/유튜브에서 업로드 되는 모든 종목은 작성자 및 작성자와 연관된 사람들이 보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해당 종목 및 상품은 언제든 매도할 수 있습니다.

- 본 게시물에 올라온 종목 및 상품에 대한 투자 의사 결정 시, 전적으로 투자자의 책임과 판단하에 진행됨을 알립니다.
Download Telegram
Forwarded from Risk & Return
BLS 국장 Erika McEntarfer 해임


우리나라의 "Job Numbers"가 바이든이 임명한 BLS 국장 Erika McEntarfer에 의해 조작되고 있으며, McEntarfer가 해리스의 승리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선거 전에 Job Numbers를 조작했다는 사실을 방금 알게 되었습니다.

BLS는 24년 3월 Jobs Growth를 약 818K 과장했고, 다시 24년 대선 직전인 8월과 9월에는 112K 과장했습니다.

이것들은 기록적인 수치입니다 — 아무도 그렇게 크게 틀릴 수는 없습니다!

우리는 정확한 Jobs Numbers가 필요합니다. 저는 제 팀에게 바이든이 임명한 McEntarfer를 즉시 해고하도록 지시했습니다.

McEntarfer는 훨씬 더 유능하고 자격을 갖춘 사람으로 교체될 것입니다.

이러한 중요한 수치들은 공정하고 정확해야 하며, 정치적인 목적으로 조작될 수 없습니다.

McEntarfer는 겨우 73K의 고용이 늘었다고 말했지만 (충격적입니다!), 더 중요한 것은 그들이 이전 2달의 258K의 고용을 하향 조정하는 중대한 실수를 저질렀다는 점입니다.

올해 상반기에도 비슷한 일들이 항상 부정적인 방향으로 발생했습니다.

Fed도 ("TRUMP" 정권에서) 장난질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경제는 붐을 이루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금리로 장난을 쳤는데, 대선 직전에는 2번이나 금리를 인하했습니다.

제 생각에는 "해리스"를 당선시키기 위한 희망에서였겠죠 — 어떻게 되었습니까? Jerome “Too Late” Powell도 "내다버려야(out to pasture)" 합니다.

이 문제에 관심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https://truthsocial.com/@realDonaldTrump/114954846612623858
Forwarded from Risk & Return
Fed 이사 Kugler 8월 8일 사임

Kugler는 원래 FOMC 내에서 약간 비둘기파적인 편이었음

따로 밝힌 사유는 없음
Forwarded from [하나 Global ETF] 박승진 (박승진 하나증권)
» 트럼프 대통령은 부진한 고용지표가 발표된 직후 미국 BLS(노동통계국) 국장인 Erika McEntarfer를 해임

» 트럼프는 그녀가 바이든 대통령에 의해 임명되었으며, 정치적 목적에 따라 조작될 수 없는 공정하고 정확한 데이터가 중요하다고 주장. 당분간 William Wiatrowski 부국장이 국장 대행 업무를 수행

» BLS 국장 해임은 통계기관의 독립성을 훼손할 수 있어 데이터 신뢰 관점에서 위험한 이벤트로 판단
Forwarded from [하나 Global ETF] 박승진 (박승진 하나증권)
» 트럼프 대통령은 본인의 Truth Social 계정을 통해서 7월 고용지표가 조작된(RIGGED) 결과라고 주장. 공화당과 자신을 나쁘게 보이게 하기 위한 의도라고 비난

» 정기적으로 시행되는 11월 중순 고용지표 재조정 과정에서의 고용자수 하향 수정 조치도 통계 조작 중 하나였다고 언급

» Trump: 제 생각에는, 오늘 발표된 고용 지표는 조작(RIGGED)된 것입니다. 그 목적은 공화당과, 그리고 저를 나쁘게 보이게 만들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 마치 2024년 대통령 선거 기간에 고용 지표가 매우 좋게 나왔다가, 그 수치들이 선거 직후인 2024년 11월 15일에 “없어졌다(taken away)”고 한 것처럼 말입니다.
선거가 끝난 직후에 고용 지표는 대규모로 하향 수정되었고, 그 수정 폭은 무려 81만8천 개의 일자리에 달했습니다 — 완전한 사기입니다.
제롬 “Too Late” 파월도 별로 다르지 않습니다!
하지만 좋은 소식은, 우리 나라가 지금 잘 돌아가고 있다는 점입니다!
Forwarded from [하나 Global ETF] 박승진 (박승진 하나증권)
» 머스크는 트럼프 대통령과 공개적으로 갈등을 겪은 이후에도 공화당 후보들을 계속 후원했으며, 내년 중간선거를 준비 중인 캠프 그룹에 수백만 달러를 기부

» 상반기 기록에 따르면, 머스크는 여전히 의회 선거에 나서는 공화당 후보들을 지지하는 위원회에 가장 많은 금액을 기부한 단일 인물. 그는 정부에서의 활동이 불명예스럽게 끝났고, 트럼프 정부와의 관계로 인해 그의 사업들이 심각한 반발을 겪었음에도 기부를 이어나간 모습

» 머스크는 하원과 상원의 공화당 후보들을 지지하는 두 개의 주요 슈퍼팩(Super PAC)에 각각 500만 달러씩 기부. 이는 머스크가 신당 창당 아이디어를 밝히기 직전인 6월 27일 연방선거위원회에 제출된 문서에 따라 확인된 내용

» 7월 5일에 머스크는 ‘아메리카당(America Party)’을 창당하겠다고 언급. 하지만 지금까지 머스크나 그의 측근들이 정당 창당을 위한 실질적인 조치를 취한 흔적은 없으며, 지역 및 전국적 차원 모두에서도 별다른 움직임이 보이지 않고 있는 상황

» 최근 트럼프와 그의 전 기부자였던 머스크 간의 긴장은 다소 완화된 것으로 추정. 트럼프는 머스크의 사업이 번창하길 바란다고 언급

» 머스크는 해당 기부 내역과 관련한 언론의 논평 요청에 무응답으로 대응
테슬라의 주행 보조 시스템인 오토파일럿 관련 사망 사고를 둘러싸고 회사 측의 책임 유무를 따지는 미국 소송에서 테슬라가 일부 패소해 거액을 배상하게 됐다.

테슬라는 이에 불복해 항소한다는 입장이다.

美법원, '오토파일럿 사망' 테슬라 책임 인정…"수천억원 배상"
- 테슬라에 사고 책임 ⅓ 있다고 결론…드물게 나온 유책 판결
- 머스크 "항소할 것"…다른 소송에도 영향 미칠 가능성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544615?sid=104
오픈AI, GPT-5로 가는 험난한 여정 관련 기사

■ GPT-4.5 (Orion)
- 24년 하반기 'Orion' 프로젝트 진행 → 성능 부족으로 GPT-4.5로 출시
- 고품질 웹 데이터 고갈, 소형 모델 최적화가 대형 모델에서는 무력화된 것이 주요 원인

■ o 시리즈
- 23년 말 Q* 계열 추론 돌파구 이후 개발
- o3는 더 많은 연산 자원 + 웹 검색 및 코드 참조 기능 포함해 성능 향상
- 그러나 챗봇(student) 및 API 전환 시 성능 저하 → 인간 언어 표현의 제약으로 추론 능력 희석

■ 조직 내부 갈등 및 긴장
- MS와의 구조 재편 협상에서 반복적 갈등 발생, 현재는 긍정적 진행 중
- 메타의 핵심 인력 채용 및 조직 개편은 내부 리더십에 압박

■ Universal Verifier(보편적 검증기)
- 강화학습(RL) 과정에서 모델의 응답을 다른 LLM이 조사 및 채점(검증)하는 절차를 자동화
- 수학처럼 정답이 명확한 분야뿐 아니라 창작 및 주관적 영역에서도 검증 가능

■ GPT-5 주요 특징
- 프로그래밍, 수학, 에이전트 작업에서 실용적 개선. 엣지 케이스 대응 능력 향상
- 상대적으로 적은 컴퓨팅 자원으로 높은 품질의 코드와 응답 생성
- 단, GPT-3 → GPT-4 만큼 성능 도약은 아님
Forwarded from 루팡
독점: OpenAI, 또 하나의 초대형 자금 조달 성공

ChatGPT 제작사인 OpenAI가 최신 벤처 투자 라운드에서 기업 가치를 3,000억 달러로 인정받으며 자금을 유치했습니다. 이는 격화되는 인공지능 자금 전쟁을 여실히 보여줍니다.


OpenAI는 이번 투자 라운드에서 83억 달러를 유치하며 기업가치 3,000억 달러를 인정받았습니다. 이는 연내 400억 달러 조달 계획의 일환으로, 당초보다 수개월 앞당겨 조기 완료된 것입니다. 지난 3월, OpenAI는 이 야심 찬 자금 조달 계획을 발표하며, 소프트뱅크가 연내 300억 달러를 제공하기로 약속한 바 있습니다.

당시 OpenAI는 벤처 캐피털로부터 25억 달러를 유치했고, 연말까지 추가로 75억 달러를 조달할 계획이었습니다. 그러나 계획보다 훨씬 빠르게 목표를 초과 달성했습니다.

이번 라운드는 5배 초과 청약되었고, 그로 인해 일부 기존 투자자들은 배정 비율이 줄어들어 불만을 토로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OpenAI는 전략적 신규 투자자 유치에 우선순위를 두었습니다.


OpenAI의 사업은 계속해서 고공 성장 중
DealBook에 따르면, OpenAI의 연간 반복 수익(ARR)은 6월의 100억 달러에서 130억 달러로 급증했으며, 연말까지 200억 달러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ChatGPT 유료 기업 고객 수는 수개월 전 300만 명에서 500만 명으로 급증했습니다.

https://www.nytimes.com/2025/08/01/business/dealbook/openai-ai-mega-funding-deal.html
Forwarded from 사제콩이_서상영
08/04 주간 이슈 점검: 관세 협상, 고용시장, 테마주

고용보고서를 통해 경기 위축 우려가 부각되며, 글로벌 각국 주식시장은 하락. 그렇지만 경기 위축은 아직 현실화되지 않았으며, 8월 7일 관세 시행을 앞두고 각국의 협상 노력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어 반발 매수 기대는 여전. 그런 가운데, CTA 펀드 등 추세추종 펀드들의 전략 변화가 예상되어 이들의 수급 동향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음. 그동안 주가 지수의 급등과 급락, 쏠림 현상의 배경에는 이들 펀드가 있었기 때문. 실제로 지난 금요일 미 증시에서 이들 펀드가 추종하던 고밸류 기업들이 하락을 부추긴 점이 특징. 국채 특히 단기 국채 가격의 급등(단기 금리 급락)도 이들 펀드의 수급 영향이 컸던 것으로 시장은 판단. 이를 감안할 때, 이번 주 시장에서는 쏠림이 진행 됐던 종목군(테마주등)의 변동성 확대에 주목하며 대응해야 할 것으로 판단


* 관세 부과와 협상
8월 1일로 예정되어 있던 미국의 상호관세 시행이 행정절차 등을 이유로 8월 7일로 연기됨. 그동안 협상이 타결된 국가들인 EU, 한국, 일본, 영국,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은 관세율을 15% 등으로 합의해 기존 FTA가 훼손됨. 물론, 협상이 완료되지 않은 국가들도 여전히 많음. 중국은 8월 12일 이후 추가적인 90일 유예 합의가 진행된 것으로 발표됐지만, 여전히 트럼프가 승인하지 않은 상태. 인도는 25% 관세를 명확히 했으며, 러시아산 에너지 수입에 따른 제재로 추가 관세 가능성도 높아짐. 캐나다, 멕시코, 브라질, 대만, 호주 등 각국은 7일 이전 합의를 위한 노력 중이나 합의가 쉽지 않은 상태.

문제는 합의되지 않고 고율로 관세를 부과할 경우, 미국은 대체 불가능하거나 대체가 어려운 품목들 때문에 미국 산업계에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높다는 점. 중국은 희토류, 태양광 패널, 전자 부품, 저가 의류 및 생활용품 등에서 대체가 어렵고, 인도는 제네릭 의약품과 IT 서비스, 석유화학 중간재 등이 대표적인 대체 불가능 품목. 캐나다는 원유, 천연가스, 목재, 자동차 부품이, 멕시코는 자동차 및 부품, 신선 농산물, 전자제품 조립품 등이 대체가 어려운 품목. 브라질은 철강 반제품, 알루미늄, 고급 커피, 설탕 등이, 대만은 반도체, 정밀 기계부품, 산업용 PCB 등이 핵심. 호주는 리튬, 코발트, 니켈 등. 이처럼 아직 합의되지 않은 주요 국가들의 특정 품목들은 미국 내에서 대체가 불가능하거나 어려워, 관세 부과 시 기업들의 투입 비용 증가, 생산 차질, 공급망 불안정 등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음.


* 고용시장과 경기
미국 노동통계국(BLS)은 오는 9월 9일, 2025년 3월 기준 고용자 수에 대한 수정치를 발표할 예정. 이는 기존의 설문조사 기반 고용 통계를, 고용보험 신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보다 정확한 행정자료와 비교해 보정하는 절차(최종은 내년 2월 발표). 시장에서는 최근 1년간 월평균 고용 증가 수치가 실제보다 약 5만 명 과대 계산되었을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음. 이는 고용 증가세가 생각보다 훨씬 더 둔화되어 있었음을 시사

이런 가운데, 8월 1일 발표된 7월 비농업부문 고용자 수는 7.3만 명 증가에 그쳤으며, 5월과 6월 수치도 크게 하향 조정. 이는 미국의 고용 상황이 겉으로 드러난 수치보다 빠르게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줌. 과거 수치를 대규모로 하향 조정될 경우 연준은 고용시장에 대한 평가를 재조정할 수밖에 없으며 이는 금리인하 기대를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 물론 고용 둔화가 실제 경기 침체라기보다는 이민 감소 등으로 인한 공급 축소의 영향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에 향후 실업률, 임금상승률 등에 주목.


* 테마주 실적 발표
주요 대형 기술주의 실적이 종료됨으로 시장이 실적에 대한 관심도가 약화됐지만, 중소형 종목 중심으로 화~목일 약 1,200여개 기업이 실적 발표. 특히 시장의 관심이 높은 테마주들의 대표주등의 실적 발표가 있어 오히려 중요한 한 주가 될 수 있음. 최근 여러 투자 회사들의 조사 결과를 보면 올해들어 시장을 주도하는 수급 주체가 개인투자자이기 때문. 이러한 테마주들의 실적이 현재 주가에 합당한지, 향후 산업에 대한 내용은 어떠한지가 중요. 결과에 따라 변동성을 확대시킬 것으로 예상.

* 주요 테마종목 실적 발표일
08/04(월) 팔란티어
08/05(화) 로봇, AI제약, 반도체, AI서버, 전기차: 제브라테크, 리커전 제약, AMD, 슈퍼마이크로컴퓨터, 리비안, 루시드
08/06(수) 체중감량, 소프트웨어, 비행택시, 양자컴퓨터, 드론: 노보노디스크, 유니티소프트, 앱로빈, 조비항공, 아이온큐, 아스트로닉스
08/07(목) 체중감량, 전력망, 우주개발, 양자컴퓨터, 원자력: 일라이릴리, 뉴스케일파워, 콘스텔레이션에너지, 비스트라, 로켓랩, 인튜이티브 머신, 디웨이브퀀텀
08/08(금) 반도체, AI 활용한 바이오테크: TSMC(7월 매출), 템퍼스AI


*요일별 주목할 이슈
월요일(4일): 관세와 경제, 팔란티어 실적
화요일(5일): ISM 서비스업지수, AMD, SMCI 실적
수요일(6일): 쿡이사 발언(경제), 테마주 실적
목요일(7일): 관세 시행, 테마주 실적
금요일(8일): TSMC 7월 매출

*주간 주요일정
08/04(월)
유로존: 센틱스 투자자 신뢰지수
미국: 고용동향지수, 공장주문
보고서: 미국 대출 관리자 설문조사
휴장: 영국, 캐나다
한국 실적: 한화, DB하이텍
장전 실적: 바이오엔택(BNTX), 온 세미컨덕터(ON), 로우스(L)
장후 실적: 팔란티어(PLTR), 버텍스파마(VRTX), 페이먼트(PAY)

08/05(화)(369개 기업 실적 발표)
한국: 소비자물가지수
중국: 차이신 서비스업 PMI
미국: 수출입동향, ISM 서비스업지수
채권: 일본 10년물 국채 입찰, 미국 3년물 국채 입찰
한국 실적: 현대로템, 에코프로비엠, 카카오페이
장전 실적: 캐터필라(CAT), 화이자(PFE), 제브라테크(ZBRA), 리커전 제약(RXRX)
장후 실적: AMD(AMD), 암젠(AMGN), 아스트라네트웍스(ANET), 슈퍼마이크로컴퓨터(SMCI), 스냅(SNAP), 리비안(RIVN), 루시드(LCID), 스카이웍(SWKS), 업스타트(UPST), 시러스 로직(CRUS)

08/06(수)(471개 기업 실적 발표)
유로존: 소매판매
발언: 쿡 연준이사(미국과 글로벌 경제), 데일리 총재
은행: 인도 통화정책회의
채권: 미국 10년물 국채 입찰
한국 실적: 하이브, 에스엠, 에코프로, 카카오뱅크
장전 실적: 맥도날드(MCD), 디즈니(DIS), 노보노디스크(NVO), 우버(UBER), 유니티소프트(U)
장후 실적: 앱로빈(APP), 도어대시(DASH), 에어비앤비(ABNB), 리얼티 인컴(O), 조비항공(JOBY), 아이온큐(IONQ), 리프트(LYFT), 패스트리(FSLY), 아스트로닉스(ATRO)

08/07(목)(440개 기업 실적 발표)
중국: 수출입동향
호주: 수출입동향
독일: 산업생산, 수출입동향
주식: MSCI 분기리뷰
은행: BOE 통화정책회의
발언: 베일리 BOE 총재, 보스틱 총재
보고서: 뉴욕연은 소비자기대조사
채권: 미국 30년물 국채 입찰
무역: 미국 보편적관세 10%+각국 상호관세 시행
한국 실적: 카카오, LG 화학, 미래에셋증권, CJ ENM
장전 실적: 일라이릴리(LLY), 콘스텔레이션에너지(CEG), 비스트라(VST), 데이터독(DDOG), 인튜이티브 머신(LUNR), 디웨이브퀀텀(QBTS)
장후 실적: 블록(XYZ), 트레이드데스크(TTD), 마이크로칩테크(MCHP), 핀터리스트(PINS), 로켓랩(RKLB), 드롭박스(DBX), 뉴스케일파워(SMR)

08/08(금)
한국 실적: 네이버, 롯데케미칼
장전 실적: TSMC(TSM, 7월 매출), 템퍼스AI(TEM), 언더아머(UAA)

08/09(토)
중국: 소비자물가지수, 생산자물가지수
발언: 보우먼 연준 부의장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미국은 5~6개월 안에 호황 맞이할 것”이라고 발언.

President Trump says the US will boom in 5-6 months.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두 달간 누적 ‘하향 수정’만 무려 26만 명! 미국 비농업 고용 데이터, 계속해서 ‘자기모순’… 과연 믿을 수 있을까? (중국언론)

•미국의 26만 개 일자리 하향 조정의 주요 원인은 기관 통계 조정에 있으며, 이 중 40%는 주 및 지방 교육 부문의 표본 수정에서 비롯된 것. 그러나 보다 근본적인 구조적 문제는 낮은 조사 응답률과 ‘트럼프 효과’의 잠재적 영향. 이 두 가지 요인은 비농업 고용보고서의 즉시 정확성을 떨어뜨릴 뿐 아니라, 이미 복잡한 경제 구도를 더욱 불투명하게 만들고 있음

>美国26万就业岗位的下修主要原因在于机构数据的调整,其中40%源于州地教育部门样本修正。然而更深层次的结构性问题在于,调查回复率低迷和特朗普效应的潜在影响。两者不仅削弱了非农就业报告的即时准确性,也让本已复杂的经济图景更加扑朔迷离。
🧬일라이 릴리(Eli Lilly)의 당뇨병 및 심혈관 질환 환자를 대상 SURPASS-CVOT 결과

마운자로(Mounjaro, 성분명: 티르제파타이드, tirzepatide)의 주요 임상 시험 결과

💊당뇨 + 심혈관 질환 대상자에서 강력한 MACE 감소효과 입증했네요....

마운자로는 트루리시티보다 모든 사망위험 16% 감소...


일라이릴리는 노보노디스크보다 더 강한 시장 점유율을 보일가능성이 높습니다....

📌임상 시험 : SURPASS-CVOT
목적: GIP/GLP-1 이중 작용제인 마운자로(tirzepatide)가 심혈관계 보호 효과를 제공하는지 평가

대상 환자군: 제2형 당뇨병 및 심혈관 질환 병력이 있는 환자

비교 약물: 트루리시티(Trulicity, 성분명: 둘라글루타이드), GLP-1 단독 작용제

결과
마운자로는 주요 심혈관 사건(MACE, 심근경색, 뇌졸중, 심혈관 사망) 위험을 약 20% 이상 감소

GLP-1 단독제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뛰어난 심혈관 보호 효과 입증

📌GLP-1/GIP 마운자로 심혈관 질환 환자에서의 임상적 중요성
당뇨병 환자는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이 높은데, 기존 약물은 대개 혈당 조절에 집중

마운자로는 혈당 조절 + 체중 감량 + 심혈관 보호를 동시에 입증한 약물로, 다중 질환 타깃 치료제

향후 당뇨병 및 심장 질환 동반 환자에 대한 표준 치료제 역할 가능성

💊미국 Medicare/Medicaid 등 보험 등재 확대에 유리하며 경쟁사인 노보노디스크(GLP-1 단독) 대비 차별화된 포지션 확보가 됨.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미국 정부, GLP-1 비만 치료제에 메디케어·메디케이드 적용 시범 사업 추진 (WP 보도)

📌핵심 내용 요약
트럼프 행정부가 비만 치료제(GLP-1 계열)에 대한 메디케어·메디케이드 시범 보장 프로그램을 계획 중.

CMS(메디케어·메디케이드 서비스센터) 내부 문서에 따르면
1. 2026년 4월부터 메디케이드,

2. 2027년 1월부터 메디케어에서 시범 적용 시작.

📌보장 대상 약물
Novo Nordisk: Wegovy, Ozempic

Eli Lilly: Zepbound, Mounjaro

📌약가와 정책 변화
해당 약물은 연간 $5,000~$7,000의 고가 치료제.

현재 메디케어는 ‘비만 치료만을 목적으로 한 약물’은 보장하지 않음.

그러나 13개 주는 메디케이드에서 이미 일부 약물을 보장 중.

이번 시범 사업은 연방 차원의 중대한 정책 전환으로 평가됨.

📌각 기업별 영향
📈일라이 릴리 : 시범사업 수혜 기대. 향후 경구용 GLP-1 치료제 출시되면 더 큰 수혜 예상

📈노보노디스크 : 미국 공공 보험 적용 확대 시 매출 증가 가능성

📉힘스앤허스 : 저가 복제 GLP-1 처방 플랫폼. 공공 보험으로 브랜드 약물 접근이 쉬워지면 수요 급감 우려

공공 보험 확대가 된다면 수백만 명이 비용 부담 없이 오리지널 GLP-1 약물에 접근 가능해짐.

즉 현재 컴파운디드제형 저가 대체제 플랫폼(예: HIMS)은 경쟁력 약화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Forwarded from 루팡
빠른 매출 성장으로 인해 OpenAI는 2025년 예상 현금 소진 규모를 10억 달러 증가시켰으며, 이는 자사의 기술을 구동하기 위한 서버 지출이 증가할 가능성을 시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