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PB의 금융시장 생존기
1.52K subscribers
11.2K photos
89 videos
185 files
15.6K links
해외 / 국내 경제, 증시 및 다양한 이슈를 전달합니다!

협업 문의 : yeominyoon1981@gmail.com

Disclaimer

- 본 채널/유튜브에서 업로드 되는 모든 종목은 작성자 및 작성자와 연관된 사람들이 보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해당 종목 및 상품은 언제든 매도할 수 있습니다.

- 본 게시물에 올라온 종목 및 상품에 대한 투자 의사 결정 시, 전적으로 투자자의 책임과 판단하에 진행됨을 알립니다.
Download Telegram
Forwarded from BUYagra
Apple 시긴외 +3%
-실적 기대치 상회: 아이폰, 서비스 매출 기대치 상회 및 GPM도 컨센 상회
-AI투자 확대, M&A도 열려있다고


• Earnings per share: $1.57 vs. $1.43 expected
• Revenue: $94.04 billion vs. $89.53 billion expected
• iPhone revenue: $44.58 billion vs. $40.22 billion expected
• Mac revenue: $8.05 billion vs. $7.26 billion expected
• iPad revenue: $6.58 billion vs. $7.24 billion expected
• Other Products revenue: $7.40 billion vs. $7.82 billion expected
• Services revenue: $27.42 billion vs. $26.80 billion expected
• Gross margin: 46.5% vs. 45.9% expected


• Apple CEO Tim Cook said that Apple would “significantly grow” its AI investments, adding that the company is “open to M&A that accelerates our roadmap.”


Apple reports biggest revenue growth since December 2021 https://www.cnbc.com/2025/07/31/apple-aapl-q3-earnings-report-2025.html?__source=iosappshare%7Ccom.apple.UIKit.activity.CopyToPasteboard
Forwarded from 루팡
Apple 2025 회계연도 3분기 어닝콜 중 CapEx, AI 투자 관련

"상당한 투자 증가 요인 중 하나는 Tim이 언급했듯이 AI에 대한 투자 확대입니다. 우리는 프라이빗 클라우드 컴퓨트 인프라에 투자하고 있으며, 이는 우리의 자체 데이터센터에서 운용됩니다.

우리는 하이브리드 전략을 구사하고 있고, 제3자가 자본을 투자하는 경우도 있지만 우리가 직접 자본 지출(CapEx)을 통해 투자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때문에 CapEx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시설과 장비에 대한 주기적 투자가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로서는 AI 관련 투자가 CapEx 증가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Tim Cook (CEO): AI 전략 및 투자
"우리는 보다 개인화된 Siri 개발에 상당한 진전을 보이고 있으며, 내년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Apple의 AI 전략은 개인화되고, 사생활을 보호하며, 플랫폼 전반에 깊게 통합된 기능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지금까지 Apple Intelligence 기능을 20개 이상 출시했으며, 이미지 인식, 클린업(이미지 정리), 문서 작성 도구 등 다양한 기능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6월 분기와 9월 분기 모두에서 AI 투자를 크게 확대하고 있으며, 내부 인력도 AI 기능 개발에 재배치하고 있습니다.

구체적인 수치를 밝히진 않겠지만, 실적 가이던스에서도 투자 증가가 반영되어 있다는 점은 알 수 있을 것입니다."


Kevan Parekh: CapEx 전망
"CapEx는 계속 증가할 예정이며,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진 않겠지만 ‘상당한 수준의 증가’는 지속될 것입니다.

이는 AI 투자 때문이며, 그 외에도 시설, 소매점 등에 대한 투자도 포함됩니다.

Apple은 자체 인프라(1st-party infra)와 외부 인프라(3rd-party infra)를 함께 활용하는 하이브리드 모델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도 다시 강조하고 싶습니다."


Tim Cook: 미국 내 AI 및 제조 투자
"우리는 미국 내에서 더 많은 것을 생산할 계획입니다. 향후 4년간 5천억 달러를 미국에 투자하겠다고 발표했고, 이는 AI, 반도체 설계, 첨단 제조 분야에서의 일자리와 혁신을 창출할 것입니다.

이미 미국 내 12개 주의 24개 공장에서 반도체를 제조하고 있고, 최근 MP Materials와 함께 희토류 리사이클링 공급망 강화를 위한 5억 달러 투자도 발표했습니다.

또 곧 디트로이트에 Apple Manufacturing Academy를 설립하여 미국 제조업 교육 인프라도 구축합니다."
Forwarded from 루팡
레딧(Reddit) 2025년 2분기 실적 (시간외 +13%)

매출: 4억 9,960만 달러 (예상: 4억 2,700만 달러) – 전년 대비 78% 증가

희석 주당순이익(EPS): 0.45달러 (예상: 0.20달러)

일간 활성 이용자(DAUq): 1억 1,040만 명 – 전년 대비 21% 증가

3분기 가이던스

매출: 5억 3,500만 ~ 5억 4,500만 달러 (예상: 4억 7,270만 달러)

조정 EBITDA: 1억 8,500만 ~ 1억 9,500만 달러 (예상: 1억 5,950만 달러)

2분기 매출 구성

미국 매출: 4억 900만 달러 – 전년 대비 79% 증가

국제 매출: 9,100만 달러 – 전년 대비 71% 증가

광고 매출: 4억 6,500만 달러 – 전년 대비 84% 증가

기타 매출: 3,500만 달러 – 전년 대비 24% 증가

기타 핵심 지표

순이익: 8,900만 달러 (전년 동기: -1,000만 달러)

총마진: 90.8% (전년 대비 130bp 증가)

조정 EBITDA: 1억 6,700만 달러 (전년 대비 1억 2,700만 달러 증가)

영업현금흐름: 1억 1,100만 달러 (전년 대비 8,300만 달러 증가)

잉여현금흐름: 1억 1,100만 달러 (전년 대비 8,400만 달러 증가)

완전 희석 주식 수: 2억 660만 주 (전 분기 대비 0.3% 증가)

CEO 발언

“레딧은 지금 이 순간을 위해 존재합니다. 연결이 점점 더 희귀해지는 세상에서, 우리의 커뮤니티는 인간의 대화와 지식이 얼마나 가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우리는 글로벌 성장, 지속 가능한 확장, 그리고 레딧을 인터넷에서 가장 신뢰받는 공간으로 만드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Forwarded from BUYagra
Reddit 시간외 +15%
-2분기 실적 기대치 대폭 상회
-3분기 매출 가이던스 컨센 씹어먹음

-Earnings per share: 45 cents vs. 19 cents expected
-Revenue: $500 million vs. $426 million expected

-The company said third-quarter revenue will be in the range of $535 million to $545 million, ahead of Wall Street estimates of $473 million.


Reddit shares jump 20% on second-quarter sales and guidance beat https://www.cnbc.com/2025/07/31/reddit-rddt-q2-2025.html?__source=iosappshare%7Ccom.apple.UIKit.activity.CopyToPasteboard
미국 개미들의 성지 레딧 깜작 실적으로 20% 폭등(상보) - 뉴스1

레딧은 이날 장 마감 직후 실적 발표에서 지난 분기 매출이 5억달러, 주당 순익은 92센트라고 밝혔다. 이는 시장의 예상치 4억2500만달러, 72센트를 크게 상회하는 것이다.

특히 매출은 전년 대비 78% 급증해 3년래 가장 좋은 매출 성장률을 기록했다.

일일 활성 사용자는 1억1040만 명으로, 예상치 1억1000만 명을 상회했다.
https://www.news1.kr/world/usa-canada/5865854
[퍼스트솔라(FSLR US) 2Q25 실적발표]

미래에셋증권 이진호, 김태형

* 장 마감 후 실적발표. 애프터마켓 +4.5% 기록 중(한국시간 6:54분 기준)
* 자세한 내용은 보고서로 말씀드리겠습니다

2Q25 실적:
EPS $3.18 vs 컨센 $2.66 vs 미래에셋 $2.99
매출액 $1.10B vs 컨센 $1.04B vs 미래에셋 $1.13B
수주: 1월~6월: -0.2GW, 7월: 2.1GW

2025 가이던스 변화:
EPS $13.50-16.50 vs 이전 $12.50-17.50 (보합)
매출액 $4.9-5.7B vs 이전 $4.5-5.5B (상향)
CAPEX $1.0-1.5B (변화없음)
순현금 $1.3-2.0B vs 이전 $0.4-0.9B (상향)
판매량 16.7-19.3GW vs 이전 15.5-19.3GW (상향)

텔레그램: t.me/miraeoillee
Forwarded from BUYagra
First Solar 시간외 +4%

-연간 매출 가이던스 상향
-First Solar now expects current-year net sales to be between $4.9 billion and $5.7 billion, compared with its previous projection of $4.5 billion and $5.5 billion.


https://finance.yahoo.com/news/first-solar-stock-looks-cheap-151823172.html
⚡️⚡️⚡️⚡️⚡️⚡️
ANNEX I: Reciprocal Tariff, Adjusted

Afghanistan: 15%

Algeria: 30%

Angola: 15%

Bangladesh: 20%

Bolivia: 15%

Bosnia and Herzegovina: 30%

Botswana: 15%

Brazil: 10%

Brunei: 25%

Cambodia: 19%

Cameroon: 15%

Chad: 15%

Costa Rica: 15%

Côte d'Ivoire: 15%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15%

Ecuador: 15%

Equatorial Guinea: 15%

European Union (Goods with Column 1 Duty Rate > 15%): 0%

European Union (Goods with Column 1 Duty Rate < 15%): 15% minus Column 1 Duty Rate

Falkland Islands: 10%

Fiji: 15%

Ghana: 15%

Guyana: 15%

Iceland: 15%

India: 25%

Indonesia: 19%

Iraq: 35%

Israel: 15%

Japan: 15%

Jordan: 15%

Kazakhstan: 25%

Laos: 40%

Lesotho: 15%

Libya: 30%

Liechtenstein: 15%

Madagascar: 15%

Malawi: 15%

Malaysia: 19%

Mauritius: 15%

Moldova: 25%

Mozambique: 15%

Myanmar (Burma): 40%

Namibia: 15%

Nauru: 15%

New Zealand: 15%

Nicaragua: 18%

Nigeria: 15%

North Macedonia: 15%

Norway: 15%

Pakistan: 19%

Papua New Guinea: 15%

Philippines: 19%

Serbia: 35%

South Africa: 30%

South Korea: 15%

Sri Lanka: 20%

Switzerland: 39%

Syria: 41%

Taiwan: 20%

Thailand: 19%

Trinidad and Tobago: 15%

Tunisia: 25%

Turkey: 15%

Uganda: 15%

United Kingdom: 10%

Vanuatu: 15%

Venezuela: 15%

Vietnam: 20%

Zambia: 15%

Zimbabwe: 15%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코스피는 3200, 코스닥은 800 깨짐.
[1보] 7월 수출 5.9% 증가…반도체 역대 7월 최대치

미국의 대한국 상호관세 예고로 인한 불확실성 속에서도 한국의 7월 수출이 작년보다 6% 가까이 증가하면서 두 달 연속 '수출 플러스' 흐름이 이어졌다.

최대 수출품인 반도체 수출액이 역대 7월 중 최대 실적을 기록했고, 자동차 수출은 관세 영향으로 주력 시장인 대미 수출이 부진했지만 유럽연합(EU) 등 다른 지역으로의 수출 호조 덕분에 두 달 연속 수출 증가 흐름을 이어 나갔다.

7월 수출액은 608억2천만달러로 작년 같은 달보다 5.9% 증가했다.

월간 수출 증감률은 지난 5월 잠시 마이너스권(-1.3%)에 내려갔다가 6월(4.3%) 이후로는 두 달 연속 플러스 흐름을 유지 중이다.

반도체의 7월 수출은 147억1천만달러로 작년보다 31.6% 증가하면서 역대 7월 중 최대치를 기록했다.

미국의 25% 관세 부과 여파로 대미 수출이 감소한 자동차 수출도 7월 58억3천만달러로 작년 같은 달보다 8.8% 증가했다. 자동차 수출은 지난달에 이어 두 달 연속으로 작년 동월 대비 증가 흐름을 이어갔다.

주요 국가별 수출을 보면, 미국 정부의 관세 정책 영향을 받는 대미 수출도 7월 103억3천만달러로 1.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대 교역국인 대중국 수출은 110억5천만달러로 3.0% 감소했고, 아세안 수출은 반도체 수출 호조 속에서 10.1% 증가한 109억1천만달러를 기록했다.

한국의 7월 수입액은 542억1천만달러로 작년보다 0.7% 증가했다.

이로써 7월 무역수지는 66억1천만달러 흑자를 나타냈다.

월간 무역수지는 올해 1월 한때 적자를 기록한 것을 빼면 2023년 6월 이후 계속 흑자를 유지 중이다.

https://www.yna.co.kr/view/AKR20250801032500003?input=1195m
Forwarded from [DAOL퀀트 김경훈] 탑다운 전략 (경훈 김)
# 3% 확률의 KOSPI 🙄

지난 6월 이후 모든 밴드 상단을 뚫은 KOSPI, 이는 거래 빈도상 3%도 채 안되는 확률

+ FYI, 모든 밴드를 뚫었던건 과거 경함상 추세적인 증시 리레이팅 (e.g. 글로발 호황기)의 막바지 국면에 해당

👉 결론: 기존 뷰 (i.e. 빨간 박스 내 KOSPI 횡보) 아직 변함 없는 가운데, 증시단에서는 이제 소소한 악재에, 종목단에서는 그간 눌려있던 종목들 기준 호재에 민감해져 있는 더 빠른 순환매 장 대비 태세
[8/1, 장 초반 급락에 대한 생각, 키움 한지영]

장중 급락 코멘트를 굉장히 오랜만에 쓰는거 같습니다.

국내 증시가 모처럼(?) 분위기가 험악해지고 있는 거 같네요.

장 시작한지 1시간채도 되지 않았는데,

코스피 -2%대 코스닥 -3%대를 기록 중입니다.

2%나 빠졌어도 코스피는 아직 3,170pt 대이긴 하지만,

그래도 왜 빠지는지를 찾아보자면

——

1) 미국의 캐나다 35%, 대만 20% 관세 부과

2) 연준의 9월 금리인하 기대감 후퇴

3) 아마존 3분기 가이던스 부진으로 인한 시간외 주가 급락 및 그외 엔비디아 등 여타 AI 주 시간외 동반 약세

4) 한-미 상호관세 협상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

5) 세제개편안 실망감

6) 그간 워낙 많이 올랐던 만큼 한번씩 눌림목 형태의 숨고르기 조정 성격 일부 내재

——

이정도 인거 같고, 미국 나스닥 선물이나 닛케이 본장이 그리 빠지지 않은걸 보면,

4~6)에 해당하는 국내 요인이 큰거 같습니다.

특히 이번 세제개편안아아네 대주주 양도세 요건을 강화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보니,

개인 수급들이 많이 몰린 코스피 대형주, 기본적으로 개인 비중이 높은 코스닥을 중심으로 부진한 흐름을 보이고 있네요.

단기적으로 과세 발 변동성에 노출되는 것은 불가피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증시활성화, 코리아디스카운트 해소 정책의 진정성에 크리티컬한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정부에서도 시장 반응, 투자자 의견을 수렴해가면서, 과세 리스크를 완화시키는 쪽으로 바꿔가지 않을까 하, 이런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8월 첫거래일부터 살벌 하지만, 이럴 때일 수록 멘탈과 스트레스 관리 잘하시길 바랍니다.

추후 시장 상화 변화 있을 때 또 코멘트 드리겠습니다.

키움 한지영
Forwarded from [하나 Global ETF] 박승진 (박승진 하나증권)
» 달러인덱스는 100pt 상향 돌파
제한적...

[2025년 세제개편안] [문답풀이] 주식 양도세 대주주 기준 완화.. "시장영향 제한적"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123/0002365025?sid=101

Q. 양도세 회피를 위한 연말 매도 증가 등 시장 불안정은 없는지?
기존 조세회피에 따라 대주주를 회피하기 위한 개인투자자의 연말 매도 완화 효과는 불분명. 기준이 변경되지 않은 연도 간에도 순매수·매도 일관성이 없으며 기준이 강화된 17년, 19년에 순매도가 전년 대비 증가한 경우가 있으나 기준이 강화된 23년도 순매도가 전년보다 증가. 따라서 시장 수익률에 매도 영향이 더 크며, 기준 변경이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
빠지긴 하지만 상대적으로 고요한 옆나라 시장들
Forwarded from 사제콩이_서상영
08/01 한국 증시 큰 폭 하락 이유

1. 상법 개정 후퇴: 정부가 추진하던 상법 개정이 사실상 후퇴하면서, 이에 따른 정책 기대감으로 주가가 상승했던 종목들에서 외국인과 기관의 실망 매물이 대거 출회됨.

2. 미국의 대외 관세 부과 본격화
-브라질: 미국이 철강·농산물 등에 최대 50%의 고율 관세를 부과함에 따라, 원자재 가격 상승이 예상됨. 브라질은 수출 타격을 우려해 중국·EU로 수출 다변화 시도 중.
-캐나다: 알루미늄·목재 등에 35% 관세를 부과해 미국 내 건설 및 제조 비용이 상승하고 있으며, 캐나다는 보복 관세를 예고함.
-대만: 반도체 장비·IT 부품 등에 20% 관세가 오늘부터 적용되어 미국 전자·반도체 산업의 생산 비용 상승과 글로벌 투자 심리 위축 우려가 제기됨.
-공급망 대체 어려움: 이들 3개국은 미국의 주요 무역 파트너로, 수입 대체가 단기간 내 어려워 물가 상승 및 제조업 부담 확대가 예상됨.

3. 연준의 금리인하 기대 약화: 6월 PCE 물가 지수에서 관세 영향을 받는 품목을 중심으로 상승세가 나타남. 시장은 여름 중 파월 의장이 경고한 대로 물가가 3% 이상 상승할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연준의 조기 금리 인하 기대가 약화됨.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외국인을 중심으로 매도세가 강화되며 한국 증시가 큰 폭으로 하락함
[한투 시황/전략 박기훈/김대준] 코스피 하락 코멘트

- 코스피는 전일대비 2.9% 하락한 3,152.5p, 코스닥은 3.2% 내린 779.7p로 확인(10시 55분 기준)

- 1) 트럼프 관세 이벤트 소멸 및 2) 코리아 밸류업 모멘텀 기대 약화가 차익실현 압력을 가중

- 트럼프 대통령은 8/1관세 부과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무역협상 결과를 공식화

- 상호관세율이 확정되면서 투자자들은 불확실성 해소보다 고율 관세 악영향에 집중

- 신정부 세법 개편안 공개. 1) 배당성향 40% 이상 상장법인은 배당소득 구간 별 분리과세 가능. 3억 원 초과 시 35%. 2) 대주주 양도소득세 기준 완화(50억 원→10억 원) 3) 법인세 1%p인상 4) 증권거래세 0.05%p 인상 등 포함

- 신정부 자본시장 활성화 기대와 달리 투자자 세액 부담을 높이는 정책 발표에 실망 매물 출회

- 7월 FOMC에서 기준금리 인하 기대 후퇴. 7월 PCE 물가도 인플레이션 재상승 우려 자극

- Fed watch 기준 9월 인하 가능성이 38.7%로 급락하면서 원/달러 환율이 1,400원 돌파 시도

- 6~7월 코스피의 랠리는 멀티플 상승에 기인. EPS보다는 PER 개선이 지수 상승을 견인

- 상승 모멘텀이 모두 소멸되면서 하방 압력 가중. 외국인은 선현물 합계 1조 원 가량 순매도

- 금융, 지주, 방산, 원전 등 주도주 전반 급락. 조선기자재와 통신, 음식료 등 방어주는 낙폭 제한

- 상승 탄력 약화에 당분간 하방 압력 우세할 것. 12MF PER 기준 10년 평균인 10.3배인 3,063.98p를 1차 지지선으로 고려

- 다만 펀더멘털은 견고해 가격 조정 이후 저가 매수 접근 추천. 반도체, 조선에 긍정적인 의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