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PB의 금융시장 생존기
1.52K subscribers
11.1K photos
87 videos
185 files
15.4K links
해외 / 국내 경제, 증시 및 다양한 이슈를 전달합니다!

협업 문의 : yeominyoon1981@gmail.com

Disclaimer

- 본 채널/유튜브에서 업로드 되는 모든 종목은 작성자 및 작성자와 연관된 사람들이 보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해당 종목 및 상품은 언제든 매도할 수 있습니다.

- 본 게시물에 올라온 종목 및 상품에 대한 투자 의사 결정 시, 전적으로 투자자의 책임과 판단하에 진행됨을 알립니다.
Download Telegram
Oracle & Bloom energy, 미국 내 Oracle Cloud Infrastructure 데이터센터에 Bloom의 연료전지 시스템을 설치하기로 발표

• 설치 시점은 약 90일 내로 계획되어 있으며, AI·클라우드 워크로드 증가로 급격히 늘어난 전력 수요를 현장에서 직접 공급하기 위한 것

• Bloom Energy의 연료전지는 대기오염물질 배출이 거의 없고 물을 사용하지 않으며, 전력망 증설 없이 빠르게 전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 Bloom Energy는 이미 글로벌 데이터센터 사업자들에게 400MW 이상의 연료전지를 공급한 경험이 있고, 전 세계적으로 1.5GW 이상 설치

• 이번 발표로 Bloom Energy의 주가가 20% 급등

• 산업적으로는 데이터센터의 전력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는 상황에서 분산형 전력 공급(온사이트 발전)이 중요한 해결책으로 부상하고 있음을 보여줌

• Oracle은 AI 인프라를 강화하면서 탄소 저감과 안정적인 전력 확보를 동시에 추구할 수 있고, Bloom Energy는 데이터센터 시장에서 입지를 확대하는 기회를 얻음
Oklo, 데이터센터·산업 전력 수요 대응 위해 Liberty Energy·Vertiv와 제휴

1. Liberty Energy와 제휴

· 초기에는 Liberty의 천연가스 발전 설비로 데이터센터·산업시설에 즉각적 전력 공급

· 이후 Oklo의 Aurora 원자로가 가동되면 무탄소 원자력 전력으로 전환

· 빠른 전력 공급과 장기적인 비용 안정, 무탄소화 실현을 목표로 함

2. Vertiv와 제휴

· 데이터센터 냉각 문제 해결을 위한 공동 개발

· Aurora 원자로의 전기와 증기를 활용해 Vertiv의 냉각 시스템을 구동

· AI·고성능 컴퓨팅(HPC) 등 고부하 데이터센터에 적합한 솔루션 제공

3. Aurora 원자로 개발 현황

• 1.5MW 소형 원자로에서 15MW·50MW·75MW급으로 확대 계획

• 미국 규제 절차(NRC)에 따라 단계적 허가 진행 중

• 상업 운전 목표 시점은 2027년 말

4. 핵심 포인트

데이터센터와 산업용 전력 시장을 겨냥한 하이브리드(천연가스→원자력) 공급 전략

냉각·전력 통합 솔루션으로 AI 시대의 에너지 수요 대응

2027년 이후 Aurora 원자로 상업화가 본격적 성장 포인트로 기대됨
OKLO가 11.38% 상승하며 신고가 경신했습니다. 뉴스케일파워도 6.65% 상승하며 신고가 경신했으며, 센트러스 에너지도 5.59% 상승하며 원전주들이 강세 마감했습니다.
📄 Nomura Korea Strategy (2025년 7월 23일자)

📈 KOSPI 전망 상향 (3,800~4,000 목표)
* 12개월 KOSPI 목표치를 기존 2,900 → 3,800\~4,000**으로 대폭 상향 (현재 3,170).
* **PER 15~~16배, P/B 1.2~~1.3배, ROE 8.7%
기준.
* “Korea Discount”(글로벌 대비 27% 낮은 PER) 완화 전망:
* 상법 개정, Corporate Value-Up 프로그램, 지배구조 개선 → 배당·자사주 소각 등 주주환원 확대 예상.
* EPS 전망: 2025년 +28%, 2026년 +18% 성장 (2024년 +44%).

# 🔑 주요 상승 촉매 (Catalysts)
1. 상법 개정 2차 통과 (8월 예정)
* 누적투표제 도입, 감사위원 분리선출 확대 → 이사회 독립성 강화.
2. 배당소득 분리과세 (35% 이상 배당률 기업)
* 고배당주에 투자 유인, 배당 확대 압력.
3. 자사주 의무소각 (9월 예정)
* 주주가치 개선.
4. Corporate Value-Up 프로그램의 ‘의무화’ 가능성.

🏭 추천 투자 테마
1. 상법 개정 수혜주 (지주사·고배당·자사주 보유 기업)
* POSCO Holdings, LG Chem, Hyundai Mobis, LS Electric, Hanwha Aerospace 등.
2. 섹터 포커스
* AI/HBM 밸류체인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
* 방산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K-브랜드 (화장품, 엔터).

📊 Top Picks & Upside
* 삼성전자 (005930): 목표 8만 (Upside +20%).
* SK하이닉스 (000660): 목표 36만 (Upside +34%).
* 삼성바이오로직스 (207940): Upside +31%.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012450): Upside +23%.
* HYBE (352820): Upside +37%.
* LS Electric (010120): Upside +26%.

⚠️ 리스크 요인
* 국회 개정안(상법, 세법) 승인 지연·무산 가능성.
* Corporate Value-Up 프로그램이 자율적 수준에 머무를 경우 상승 여력 제한.
* 정치적 불확실성과 집권당/금융당국의 개혁 속도.
🇰🇷 한국 (차익 실현 권고)
KOSPI 200
3개월간 +30% 상승했으나, **모멘텀 다이버전스(6~7월)**와 2020/21 고점(441-450) 저항 → 조정 위험 확대.
20DMA(424) 하향 이탈 시 400-404까지 추가 하락 가능.
중국으로 자금 회전 권고 (MCHI US 우위).
EWY/MCHI 비율: +2σ 과매수 → 최소 8% EWY 언더퍼폼 가능성.

=========

아 형님,,,
[한올바이오파마(009420)/ BUY(유지)/ TP 4만원(유지) / 다올투자증권 박종현]

★ 볼만한 시점

[바토클리맙]

3Q25E GD PoC 임상 추가 데이터, 2H25E MG, TED 3상 탑라인. 특히나, GD와 TED 임상에서 Treat-free remission(6개월 이상 정상 갑상선 기능 유지, 관해)에 대한 결과 확인 가능

[HL161ANS(IMVT-1402)]

2026E RA 등록임상 초기 데이터, CLE 임상 2상 탑라인, 2027E RA, GD, MG 등록임상 탑라인, 2028E SjD, CIDP 등록임상 탑라인 확인 예정

[HL036]

2Q24 3번째 임상 3상 개시, Primary Endpoint를 Schirmer’s test로 변경. 2번째 3상에서 위약 대비 통계적 개선 확인. 안구건조증 품목 허가 받은 Restasis와 Xiidra는 각각 임상 3상 2회, 4회 진행. 다회 임상 3상 요구하는 적응증 특징 상 기술이전 논의 진척이 시장 기대 대비 다소 더딘 점은 불가피. 2H26E VELOS-4 탑라인 데이터 확인 예정

[HL192 및 기타 파이프라인]

Nurr1을 활성화하여 체내 도파민 수치를 높이며, 염증으로 인한 신경 세포 파괴를 막는 기전. Turn Bio로부터 안과와 귀 질환에 대한 ERA 플랫폼에 대한 독점적 LI 체결. 노화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에 대한 전임상 연구 진행 중

[투자의견]

적정 주가 4.0만원 유지. Argenx와 J&J, UCB에 이은 4번째 FcRn 치료제 업체로 MS 15% 내외 유지 가능하다면, 기업 가치 업사이드가 높은 구간. 2H25E 들어 바이오텍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는 와중 동사 GD/TED 임상 데이터 확인 기대

* 보고서 원문 및 컴플라이언스 < https://bit.ly/3GBrjiH >

* 텔레그램 채널 링크 < https://t.me/alexppark >
[단독] 한·미 관세 협상카드로 군산항 미해군 MRO 기지 만든다

한미 관세 협상이 초미 관심사로 떠오르는 가운데, 우리 정부가 ‘군산항에 미해군 MRO(Maintenance·유지, Repair·보수, Operation·운영) 기지 건설’을 협상카드로 꺼내든 것으로 전해졌다.

25일 알파경제의 취재를 종합하면 이재명 정부는 트럼프 행정부의 요청에 발맞춰 우리나라 군산항에 구축함이나 순양함, 잠수함 등을 포함한 미 해군의 함정 수리와 정비 등이 가능한 MRO 전용 기지를 조성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관세 협상을 잘 아는 복수의 정부 관계자는 통화에서 "트럼프 정부에서 서해에 미해군 MRO 기지 조성이 가능한 항구를 요구했다"면서 "최종적으로 조성 가능한 서해항이 군산으로 결정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미국은 오랜 숙원 사업인 조선업 재건을 위해 한국과의 협력 강화에 힘을 쏟는 분위기다. 특히 한·미 간 군함 분야(MRO) 협력 강화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최근 한화오션은 미국 해군 군함 3척에 대한 MRO(유지·보수·정비) 사업을 연달아 수주한 바 있다.

미 상·하원은 전투함 및 지원함 건조에 사용할 국방예산 200억달러(약 28조원) 세부 집행을 논의 중이다.

무엇보다 미국이 서해에 미해군 MRO 기지 조성을 요청한 건 중국의 군사적 부상을 견제하는 동시에 동남국해에 이르는 해상루트(Sea lane)를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미·중간 해양패권 다툼이 더해지는 상황에서 군산항에 미해군 MRO 기지 건설을 관세 협상카드로 활용하는 건 신의 한수가 될 수 있다는 평가다.

이재명 대통령은 대선 공약으로 군산 특수목적선 선진화 단지에 특수목적선 및 정비산업(MRO) 육성, 중소 조선사 지원 강화 등을 여러 차례 강조한 바 있다.

현재 전북도와 군산시가 군산항 7부두 일대에 구축을 추진 중인 ‘특수목적선 선진화 단지 조성 사업’과 연계, 활용할 가능성도 점쳐진다.

다만, 군산항에 미해군 MRO 기지 건설이 현실화할 경우 중국의 거센 반발이 우려된다

강관우 전 모건스탠리 이사 겸 더프레미어 대표이사는 "군산에 미해군용 MRO 기지가 들어선다는 것은 HD현대 등이 선체만 수리 건조한 뒤 군사기밀인 무기체계나 운용시스템 등은 미국 측이 직접 운용하는 구조가 유력하다"면서 "이 같은 이원화 구조는 미 해군함정 정비와 건조를 더 신속하고, 대량으로 추진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고 분석했다

https://alphabiz.co.kr/news/view/1065611755682456
Forwarded from 문서진의 캐시메이커 (메이커 캐시)
일단 조선섹터는 긍정적으로 움직이네요
Citadel: 개인투자자, 2021년 이후 최장 연속 순매수

개인투자자는 최근 19거래일 연속 현물 주식을 순매수하고 있으며, 이는 2021년 3월 이후 최장 기록이자 전체 집계 기준으로 다섯 번째로 긴 매수 흐름에 해당함. 마지막 순매도일은 6월 24일로, 약 한 달 전임.

주간 기준으로도 최근 14주 중 12주간 순매수 기조가 유지되고 있으며, ‘Liberation Day’ 이후에도 매수세는 꾸준히 지속되는 중.

옵션 시장에서도 리테일 수급은 뚜렷한 강세 흐름을 보이고 있음. 최근 13거래일 연속 콜옵션 중심의 순매수가 나타났으며, 주간 기준으로는 12주 연속 강세 포지셔닝이 이어지고 있음. 해당 흐름은 2020년 이후 Citadel 집계 기준 일곱 번째 사례에 해당하며, 과거 6회의 평균 지속 기간이 18주였다는 점에서, 이번 사이클 역시 평균적으로 9월 초까지 연장될 가능성이 존재함.

반면, 기관투자자는 전반적으로 보수적 스탠스를 유지 중임. 최근 10주 중 8주간 옵션 시장에서 풋옵션 중심의 베어리시 포지션을 구축하고 있으며, 이는 전반적인 시장 경계심을 반영하는 흐름으로 해석됨.

한편, 시스템 트레이딩 전략인 CTA는 현재 주식 익스포저 확대 여력이 충분한 상태로 판단됨. 포지션이 과도하게 쏠려 있지 않으며, 향후 1개월간 점진적인 익스포저 증가 가능성 존재.

중기 기준으로 CTA의 전환 트리거(flip threshold)는 현재 지수 대비 여유가 있음. Citadel 추정에 따르면 S&P500 선물(ES1)의 중기 플립 레벨은 6106pt로, 현재 지수(6370pt)보다 약 4% 하단에 위치함. 이는 단기 하락 시에도 CTA의 매도 전환까지 여유 구간이 존재하며, 하방 경직성이 높다는 점을 시사함.

* 당사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받아 발송되었습니다
묘하게 힘들다 싶었는데 ADR보니 그럴만도 했다라는 생각
이재명 정부가 증권거래세율을 현행 0.15%에서 0.2%까지 인상하는 방안을 유력 검토하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당초 0.18%까지 인상할 거란 관측이 나왔지만 이보다 0.02%p 높은 0.2%까지 올리겠다는 계획입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449/0000315933
Forwarded from KB시황 하인환
[KB증권 하인환, 박준우] 글로벌 금융 빅뱅: 정부부채와 금융자본주의 시대의 투자전략

자료 링크: https://bit.ly/46WOYoc

안녕하세요, KB증권 하인환, 박준우입니다.
지난주 미국에서 Genius Act (스테이블 코인) 법안이 통과됐습니다.

이것이 미국 경제와 금융시장에 어느 정도의 파급력을 가진 것일지는 시간이 지나서 알 수 있겠지만, 제도가 안착될 경우에는
1879년 금본위제 채택, 1971년 닉슨 쇼크 (금-달러 불태환 선언)에 버금가는 변화가 될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 거대한 전환에 대해, 부채와 금융자본이라는 관점에서 분석했습니다. 화폐제도의 대전환 시기에는 부채 구조의 변화와 금융자본주의의
태동이 항상 함께 했기 때문이며, 이번에도 그러한 가능성을 열어둘 필요가 있겠습니다.

투자전략은 채권과 주식에 대한 내용을 나눠서 제시했습니다.
주식에서는 정부지출이 확대되는 분야와 금융자본주의 시대의 부활을 주목합니다.

세부적인 업종 전략도 담았으니, 보고서 참고 부탁드립니다.

1) 산업 정책
- 미국 정책의 방향성: 바이오, 우주/방산, 조선
- 한국 정책의 방향성: 바이오, 원전, 2차전지
2) 자본시장 구조 개혁
- 8월은 모멘텀 부재할 시기
- 9월 이후부터 관심 재개

■ Part Ⅰ. 화폐제도 대전환: 부채와 금융자본주의의 혁신
■ Part Ⅱ. 정부부채의 시대: 위기와 생존 전략
■ Part Ⅲ. 채권전략: ‘부채’가 아니라 ‘정책’에 답이 있다
■ Part Ⅳ. 주식전략: 정부부채의 시대 ≒ 정부지출의 시대

자세한 내용은 보고서 참고해주시고, 세미나 필요하신 분들은 담당 브로커 또는 저한테 연락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KB증권 내부 컴플라이언스 점검을 완료했습니다. 단순 참고자료로 법적 책임의 근거가 되지 않습니다.)
폴리마켓. 8월 1일 25% 관세 부과 확률은? 시황맨

2+2 회담이 밀린 후 협상 일정이 아직 나오지 않은 가운데 여전히 합의가 될 것이라는 분석이 우세하긴 합니다.

중요한 현안 관련 확률 사이트로 유명한 폴리 마켓을 보면 8월 1일 이 후 한국에 25% 관세가 적용될 가능성은 14% 전후에서 움직이고 있습니다.

캐나다, 브라질, EU 등과 비교해 보면 상대적으로 더 낮은 확률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물론 참고용으로 활용하기도 애매한 확률 사이트로 볼수는 있지만 일반적인 시각이 현재 이렇구나 정도는 읽어 볼만 하죠.

https://polymarket.com/event/25-south-korea-tariff-in-effect-by-august-1?tid=1753413858275
Forwarded from 주식 급등일보🚀급등테마·대장주 탐색기 (텔레그램)
창업 3년만에 6조 밸류 ... 엔비디아·삼성·LG 동시 투자 ‘美로봇회사’ 어디?
최근 국내외 빅테크 기업의 뜨거운 러브콜을 한몸에 받으며 단숨에 45억 달러(약 6조 2,638억 원)의 기업 가치를 인정받은 미국 로봇 스타트업이 있어 화제다. 그 주인공은 스킬드 AI(Skild AI)다. 소프트뱅크, 제프 베조스, 엔비디아 등 세계적인 투자자는 물론 올해 6월에는 삼성전자, LG CNS가 동시에 전략적 투자를 단행하며 더욱 눈길을 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4/00000987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