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warded from 사제콩이_서상영
07/21 미 증시, 견조한 지표에도 관세를 빌미로 차익 실현 매물 출회된 가운데 혼조 마감
미 증시는 견조한 실적과 월러 연준이사의 금리인하 언급, 그리고 견조한 경제지표를 바탕으로 상승 출발. 그러나 차익 실현 욕구 또한 높아 개별 종목 중심으로 매물 출회되며 하락 전환. 이후 트럼프가 EU에 대해 15~20% 관세 부과 할 것이라는 보도가 나왔지만 영향은 제한된 가운데 매물 소화 과정이 진행. 결국 시장은 일부 개별 종목 중심으로 매물 출회된 가운데 보합권 등락을 보이며 혼조 마감(다우 -0.32%, 나스닥 +0.05%, S&P500 -0.01%, 러셀2000 -0.61%,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0.09%)
* 변화 요인: 연준위원 발언, 소비자심리지수, 대 EU 관세
월러 연준이사는 고용지표는 양호하지만, 민간부문은 예상보다 부진하다고 언급하며 작은 충격만으로도 경제가 쉽게 둔화될 수 있다고 경고함. 그는 장기 기대 인플레이션에는 뚜렷한 상승 조짐이 없지만, 연준 의장이 시장의 신뢰를 잃을 경우 기대 인플레이션이 급등할 수 있다고 지적함. 또한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을 연준 의장으로 지명할 경우 수락할 것이라고 밝혔으며, 7월 금리 인하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표명함. 관세와 관련해서는 관세가 결국 소비자에게 전가되는 세금이며, 지속적으로 부과될 경우 공급망과 가격 전반에 연쇄적인 파급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고 경고.
굴스비 시카고 연은 총재는 최근 물가 데이터에서 관세가 상품 인플레이션을 끌어올리고 있는 점이 우려스럽다고 언급함. 그는 1년 동안 금리를 상당히 인하할 수 있다는 입장을 제시했으며, 이러한 발언들은 장 초반 국채 금리 하락과 달러 약세, 그리고 미 증시 상승을 견인함.
한편, 미시간대 소비자 심리지수는 지난달 발표된 60.7이나 시장 예상치(61.5)를 상회한 61.8로 발표됨. 현재 상황지수는 64.8에서 66.8로, 기대지수도 58.1에서 58.6으로 개선됨. 더불어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5.0%에서 4.4%로, 5년 기대 인플레이션도 4.0%에서 3.6%로 하락함. 이는 4월 관세 부과 이후 위축됐던 소비 심리가 점차 회복세를 보이고 있음을 시사함. 그렇지만, 근본적인 불확실성은 여전히 높아 8월 관세 시행이 실제로 이뤄질 경우 다시 둔화될 가능성이 크다는 평가가 우세함. 관련 발표에 시장은 제한적으로 반응했으며, 물가 안정 신호를 반영해 국채 금리는 하락세를 보임.
장중에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EU산 제품에 대해 최소 15~20%의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는 보도가 유입됨. 시장은 이번 보도를 8월 1일 시한을 앞둔 협상 타결 압박용 카드로 해석함. EU는 미국이 실제로 고율 관세를 부과할 경우, 즉시 보복 조치를 취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밝혀왔음. 특히 EU 회원국 다수는 미국의 관세 조치가 ‘무례하고 일방적’이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어, 8월 1일까지 협상이 타결되지 않을 경우 미국과 EU 간 보복 관세가 본격화될 가능성이 큼. 관련 보도에 따라 일부 매물이 출회되었지만, TACO 이슈와 관세 협상 기대감이 함께 반영되며 증시는 제한된 등락을 보였음.
미 증시는 견조한 실적과 월러 연준이사의 금리인하 언급, 그리고 견조한 경제지표를 바탕으로 상승 출발. 그러나 차익 실현 욕구 또한 높아 개별 종목 중심으로 매물 출회되며 하락 전환. 이후 트럼프가 EU에 대해 15~20% 관세 부과 할 것이라는 보도가 나왔지만 영향은 제한된 가운데 매물 소화 과정이 진행. 결국 시장은 일부 개별 종목 중심으로 매물 출회된 가운데 보합권 등락을 보이며 혼조 마감(다우 -0.32%, 나스닥 +0.05%, S&P500 -0.01%, 러셀2000 -0.61%,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0.09%)
* 변화 요인: 연준위원 발언, 소비자심리지수, 대 EU 관세
월러 연준이사는 고용지표는 양호하지만, 민간부문은 예상보다 부진하다고 언급하며 작은 충격만으로도 경제가 쉽게 둔화될 수 있다고 경고함. 그는 장기 기대 인플레이션에는 뚜렷한 상승 조짐이 없지만, 연준 의장이 시장의 신뢰를 잃을 경우 기대 인플레이션이 급등할 수 있다고 지적함. 또한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을 연준 의장으로 지명할 경우 수락할 것이라고 밝혔으며, 7월 금리 인하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표명함. 관세와 관련해서는 관세가 결국 소비자에게 전가되는 세금이며, 지속적으로 부과될 경우 공급망과 가격 전반에 연쇄적인 파급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고 경고.
굴스비 시카고 연은 총재는 최근 물가 데이터에서 관세가 상품 인플레이션을 끌어올리고 있는 점이 우려스럽다고 언급함. 그는 1년 동안 금리를 상당히 인하할 수 있다는 입장을 제시했으며, 이러한 발언들은 장 초반 국채 금리 하락과 달러 약세, 그리고 미 증시 상승을 견인함.
한편, 미시간대 소비자 심리지수는 지난달 발표된 60.7이나 시장 예상치(61.5)를 상회한 61.8로 발표됨. 현재 상황지수는 64.8에서 66.8로, 기대지수도 58.1에서 58.6으로 개선됨. 더불어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5.0%에서 4.4%로, 5년 기대 인플레이션도 4.0%에서 3.6%로 하락함. 이는 4월 관세 부과 이후 위축됐던 소비 심리가 점차 회복세를 보이고 있음을 시사함. 그렇지만, 근본적인 불확실성은 여전히 높아 8월 관세 시행이 실제로 이뤄질 경우 다시 둔화될 가능성이 크다는 평가가 우세함. 관련 발표에 시장은 제한적으로 반응했으며, 물가 안정 신호를 반영해 국채 금리는 하락세를 보임.
장중에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EU산 제품에 대해 최소 15~20%의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는 보도가 유입됨. 시장은 이번 보도를 8월 1일 시한을 앞둔 협상 타결 압박용 카드로 해석함. EU는 미국이 실제로 고율 관세를 부과할 경우, 즉시 보복 조치를 취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밝혀왔음. 특히 EU 회원국 다수는 미국의 관세 조치가 ‘무례하고 일방적’이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어, 8월 1일까지 협상이 타결되지 않을 경우 미국과 EU 간 보복 관세가 본격화될 가능성이 큼. 관련 보도에 따라 일부 매물이 출회되었지만, TACO 이슈와 관세 협상 기대감이 함께 반영되며 증시는 제한된 등락을 보였음.
뉴욕증시, 美·EU 협상 난항에 위험 회피…보합 마감 | 연합뉴스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보합권에서 혼조로 마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유럽연합(EU)에 최소 15%의 관세를 요구하고 있다는 소식이 나오자 위험 회피 심리가 우위를 점했다.
주요 외신은 트럼프가 EU에 모든 협상 품목에서 최소 15~20% 관세를 요구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마로시 셰프초비치 EU 무역 담당 집행위원도 EU 대사에 협상이 어렵다는 점을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 정부 측 관료는 양측이 합의에 도달하더라도 트럼프는 10% 이상의 상호관세를 고려하고 있다고 언론에 밝혔다.
앞서 트럼프는 8월 1일부터 EU의 모든 수입품에 3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최소 15%의 관세는 이보다 낮은 수준이다.
하지만 시장은 애초 30% 관세를 협상용으로 여겼다는 점에서 15%라는 숫자도 부담스럽게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크리스토퍼 월러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이사는 7월에 기준금리를 인하해야 한다고 공개적으로 거듭 촉구했다.
그는 언론 인터뷰와 공개 행사에서 연달아 "금리인하를 미룰 만한 실질적인 이유가 없다"며 "2주 후에 연방 공개시장위원회(FOMC)가 정책 금리를 25bp 인하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주장했다.
7월 금리인하를 주장하는 연준 인사는 월러와 미셸 보먼 연준 금융감독 부의장 정도다. 7월 인하는 연준 내 소수 의견이다.
하지만 차기 연준 의장 후보 중 한 명으로 거론되는 월러가 거듭 조기 금리인하를 주장하자 선물시장도 호응하는 분위기다.
https://www.yna.co.kr/view/AKR20250719009000009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보합권에서 혼조로 마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유럽연합(EU)에 최소 15%의 관세를 요구하고 있다는 소식이 나오자 위험 회피 심리가 우위를 점했다.
주요 외신은 트럼프가 EU에 모든 협상 품목에서 최소 15~20% 관세를 요구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마로시 셰프초비치 EU 무역 담당 집행위원도 EU 대사에 협상이 어렵다는 점을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 정부 측 관료는 양측이 합의에 도달하더라도 트럼프는 10% 이상의 상호관세를 고려하고 있다고 언론에 밝혔다.
앞서 트럼프는 8월 1일부터 EU의 모든 수입품에 3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최소 15%의 관세는 이보다 낮은 수준이다.
하지만 시장은 애초 30% 관세를 협상용으로 여겼다는 점에서 15%라는 숫자도 부담스럽게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크리스토퍼 월러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이사는 7월에 기준금리를 인하해야 한다고 공개적으로 거듭 촉구했다.
그는 언론 인터뷰와 공개 행사에서 연달아 "금리인하를 미룰 만한 실질적인 이유가 없다"며 "2주 후에 연방 공개시장위원회(FOMC)가 정책 금리를 25bp 인하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주장했다.
7월 금리인하를 주장하는 연준 인사는 월러와 미셸 보먼 연준 금융감독 부의장 정도다. 7월 인하는 연준 내 소수 의견이다.
하지만 차기 연준 의장 후보 중 한 명으로 거론되는 월러가 거듭 조기 금리인하를 주장하자 선물시장도 호응하는 분위기다.
https://www.yna.co.kr/view/AKR20250719009000009
연합뉴스
뉴욕증시, 美·EU 협상 난항에 위험 회피…보합 마감 | 연합뉴스
(뉴욕=연합뉴스) 진정호 연합인포맥스 특파원 =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보합권에서 혼조로 마감했다.
Forwarded from 루팡
다음주 일정
(20일): 일본 참의원 선거
21일: 버라이즌,도미노피자 실적(장전), NXP 실적(장후)
22일: 파월 연설(워싱턴DC 컨퍼런스 은행규제 관련), 미셸 보먼 부의장+샘알트먼(AI와 은행시스템 논의), 록히드마틴, 코카콜라, GM, RTX 실적(장전), 인튜이티브서지컬,텍사스인스트루먼츠 실적(장후)
23일: GE 버노바 실적(장전), 테슬라, 알파벳, 서비스나우, IBM 실적(장후)
24일: 인텔, 덱커스 실적(장후)
25일: 7월 제조업,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최종)
(20일): 일본 참의원 선거
21일: 버라이즌,도미노피자 실적(장전), NXP 실적(장후)
22일: 파월 연설(워싱턴DC 컨퍼런스 은행규제 관련), 미셸 보먼 부의장+샘알트먼(AI와 은행시스템 논의), 록히드마틴, 코카콜라, GM, RTX 실적(장전), 인튜이티브서지컬,텍사스인스트루먼츠 실적(장후)
23일: GE 버노바 실적(장전), 테슬라, 알파벳, 서비스나우, IBM 실적(장후)
24일: 인텔, 덱커스 실적(장후)
25일: 7월 제조업,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최종)
Forwarded from 루팡
트럼프
스테이블코인 법안에 서명해 법률로 제정
조만간 CBDC 금지 명령을 법률로 확정짓는 입법안에 서명할 것이다.
올해 암호화폐 시장 관련 법안 서명에 전념하고 있다.
만약 BRICS가 실질적인 방식으로 형성된다면, 그것은 곧 끝날 것이다.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는 미국에서 절대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달러가 기축통화 지위를 잃는 것은 전쟁에서 지는 것과 같다.
우리는 달러가 하락하도록 내버려 두지 않을 것입니다
송금은 비용이 많이 들고 시간이 많이 걸립니다.
스테이블코인을 핀테크의 '혁명'이라고 칭찬
암호화폐는 어떤 주식보다 더 많이 올랐습니다. 암호화폐는 달러를 멋지게 보이게 합니다. 암호화폐는 달러와 국가에 좋습니다.
무역 협정과 관련해 곧 큰 발표가 있을 것이다. 몇 건의 대형 무역 서한이 곧 발송된다.
모든 EU 상품에 대해 15%-20%의 최소 관세를 추진합니다.
트럼프의 암호화폐 담당 Sacks: GENIUS 법안은 미 국채 수요를 창출할 것이다.
스테이블코인 법안에 서명해 법률로 제정
조만간 CBDC 금지 명령을 법률로 확정짓는 입법안에 서명할 것이다.
올해 암호화폐 시장 관련 법안 서명에 전념하고 있다.
만약 BRICS가 실질적인 방식으로 형성된다면, 그것은 곧 끝날 것이다.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는 미국에서 절대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달러가 기축통화 지위를 잃는 것은 전쟁에서 지는 것과 같다.
우리는 달러가 하락하도록 내버려 두지 않을 것입니다
송금은 비용이 많이 들고 시간이 많이 걸립니다.
스테이블코인을 핀테크의 '혁명'이라고 칭찬
암호화폐는 어떤 주식보다 더 많이 올랐습니다. 암호화폐는 달러를 멋지게 보이게 합니다. 암호화폐는 달러와 국가에 좋습니다.
무역 협정과 관련해 곧 큰 발표가 있을 것이다. 몇 건의 대형 무역 서한이 곧 발송된다.
모든 EU 상품에 대해 15%-20%의 최소 관세를 추진합니다.
트럼프의 암호화폐 담당 Sacks: GENIUS 법안은 미 국채 수요를 창출할 것이다.
Forwarded from 루팡
도널드 J. 트럼프
"나는 미국의 자유와 리더십을 되찾고, 미국을 세계의 암호화폐 수도로 만들겠다고 약속했다—GENIUS 법안은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의 막대한 가능성을 실현하고 해방시키기 위해 명확하고 단순한 규제 프레임워크를 제시한다..."
"나는 미국의 자유와 리더십을 되찾고, 미국을 세계의 암호화폐 수도로 만들겠다고 약속했다—GENIUS 법안은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의 막대한 가능성을 실현하고 해방시키기 위해 명확하고 단순한 규제 프레임워크를 제시한다..."
Forwarded from CTT Research
Trump signs stablecoin law as crypto industry aims for mainstream adoption - Reuters
U.S. President Donald Trump on Friday signed a law to create a regulatory regime for U.S.-dollar-pegged cryptocurrencies known as stablecoins, a milestone that could pave the way for the digital assets to become an everyday way to make payments and move money.
https://www.reuters.com/legal/government/trump-signs-stablecoin-law-crypto-industry-aims-mainstream-adoption-2025-07-18/
U.S. President Donald Trump on Friday signed a law to create a regulatory regime for U.S.-dollar-pegged cryptocurrencies known as stablecoins, a milestone that could pave the way for the digital assets to become an everyday way to make payments and move money.
https://www.reuters.com/legal/government/trump-signs-stablecoin-law-crypto-industry-aims-mainstream-adoption-2025-07-18/
Reuters
Trump signs stablecoin law as crypto industry aims for mainstream adoption
U.S. President Donald Trump on Friday signed a law to create a regulatory regime for dollar-pegged cryptocurrencies known as stablecoins, a milestone that could pave the way for the digital assets to become an everyday way to make payments and move money.
Forwarded from Rafiki research
주말 칼럼 “관세가 스테이블코인에 미치는 영향”
트럼프 관세의 풍선 효과는 이상하게 크립토에서 나오고 있습니다. 관세가 상승하면서 국경간 무역 비용이 증가하고 있는데, 결제 비용이라도 아껴보자는 한계 수요가 생기고 있습니다.
https://rafikiresearch.blogspot.com/
트럼프 관세의 풍선 효과는 이상하게 크립토에서 나오고 있습니다. 관세가 상승하면서 국경간 무역 비용이 증가하고 있는데, 결제 비용이라도 아껴보자는 한계 수요가 생기고 있습니다.
https://rafikiresearch.blogspot.com/
Blogspot
Rafiki Research
글로벌 매크로와 한국 주식 투자 관련 정보, 데이터, 분석을 제공하는 리서치입니다.
트럼프, '지니어스법' 서명…스테이블코인 규제 첫발
https://naver.me/G8hZ1yIb
지니어스법 통과는 디지털 자산이 일상적인 결제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여는 전환점이라고 로이터는 전했다.
암호화폐 3법 중 나머지 클래러티 법안과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발행 금지 법안은 상원을 통과해야 트럼프 대통령의 책상으로 넘어갈 수 있다.
https://naver.me/G8hZ1yIb
지니어스법 통과는 디지털 자산이 일상적인 결제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여는 전환점이라고 로이터는 전했다.
암호화폐 3법 중 나머지 클래러티 법안과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발행 금지 법안은 상원을 통과해야 트럼프 대통령의 책상으로 넘어갈 수 있다.
Naver
트럼프, '지니어스법' 서명…스테이블코인 규제 첫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8일(현지시간) '지니어스법'에 서명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다. 로이터에 따르면 트럼프는 이날 여러 암호화폐 기업 경영진이 참석한 서명식에서 "이번 서명은 여러분의 노력과 개척 정신
Forwarded from [한투증권 이동연] 글로벌 기업(IT S/W)
- 트럼프, 지니어스 법안 서명. 차익실현 매물 출회로 서클(-4.8%), 마이크로 스트래티지 (-6.2%) 주가 하락. 비트코인 가격도 다소 하락 전환
- 반면 타 크립토 거래 노출도가 큰 코인베이스(+2.2%) 주가는 상승. 로빈후드(+4.1%)도 상승 마감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516669?sid=104
- 반면 타 크립토 거래 노출도가 큰 코인베이스(+2.2%) 주가는 상승. 로빈후드(+4.1%)도 상승 마감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516669?sid=104
Forwarded from [하나증권 해외채권] 허성우
트럼프는 국가별 관세+품목별 관세로 이중 타격을 노리는 중
트럼프는 미국 내 산업을 강화하고 글로벌 무역 관계를 재편하기 위한 관세 부과 계획을 추진 중
국가별 관세와 더불어 구리, 목재, 칩, 중요 광물, 의약품 등 특정 산업별 관세를 부과할 예정
8월 1일 이전에 구리 관세가 발표될 것으로 보이며, 이는 수입품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려는 정책의 시작점
품목별 관세가 부과되면 국가 수입의 30~70%에 적용될 예정이며, 나머지는 국가별 관세가 적용됨. 현재는 주요 품목별 관세를 검토중
- 의약품는 낮은 관세부터 시작해 1년 후 매우 높게 책정할 예정
- 반도체는 올해 초 미국이 별도의 관세를 부과할 시간을 벌기 위해 중국에 대한 관세에서 면제됐음. 자동차, 선박, 암호화폐 기업들까지 관세 부과에 대한 우려 표명 중
- 구리는 자동차, 건축자재, 가전제품 등 여러 제품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소비자 가격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 미국 구리 구매자는 더 높은 가격에 직면하게 될 것
- 목재는 캐나다산을 가장 많이 수입. 현재 진행되고 있는 관세 검토는 캐나다산이랑 별개로 진행 중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5-07-18/trump-aims-tariff-double-whammy-at-industries-nations-by-aug-1
트럼프는 미국 내 산업을 강화하고 글로벌 무역 관계를 재편하기 위한 관세 부과 계획을 추진 중
국가별 관세와 더불어 구리, 목재, 칩, 중요 광물, 의약품 등 특정 산업별 관세를 부과할 예정
8월 1일 이전에 구리 관세가 발표될 것으로 보이며, 이는 수입품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려는 정책의 시작점
품목별 관세가 부과되면 국가 수입의 30~70%에 적용될 예정이며, 나머지는 국가별 관세가 적용됨. 현재는 주요 품목별 관세를 검토중
- 의약품는 낮은 관세부터 시작해 1년 후 매우 높게 책정할 예정
- 반도체는 올해 초 미국이 별도의 관세를 부과할 시간을 벌기 위해 중국에 대한 관세에서 면제됐음. 자동차, 선박, 암호화폐 기업들까지 관세 부과에 대한 우려 표명 중
- 구리는 자동차, 건축자재, 가전제품 등 여러 제품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소비자 가격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 미국 구리 구매자는 더 높은 가격에 직면하게 될 것
- 목재는 캐나다산을 가장 많이 수입. 현재 진행되고 있는 관세 검토는 캐나다산이랑 별개로 진행 중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5-07-18/trump-aims-tariff-double-whammy-at-industries-nations-by-aug-1
Bloomberg.com
Trump Aims Tariff Double Whammy at Industries, Nations by Aug. 1
President Donald Trump is readying plans for industry-specific tariffs to kick in alongside his country-by-country duties in two weeks, ramping up his push to reshape the US’s standing in the global trading system by penalizing purchases from abroad.
Forwarded from [하나증권 해외채권] 허성우
트럼프는 EU와의 무역 협상이 어떻게 되든 최소 15%에서 20%의 관세를 부과해야 한다는 입장
EU도 보복 관세를 계획했지만, 8/1까지 관세 부과일을 미뤄왔음. 미국은 EU 최대 단일 시장으로, EU 전체 수출액의 20%를 차지
EU가 고려 중인 보복관세 조치
1️⃣ 닭고기, 청바지를 포함한 연간 210억 유로 규모의 미국산 제품 관세 8/6부터 발효
2️⃣ 협상이 결렬될 경우 보잉 항공기와 위스키를 포함한 연간 720억 유로 규모의 미국산 제품 보복 조치 고려 중
3️⃣ 디지털 서비스와 온라인 광고 수익에 대한 세금 부과도 고려 중
https://on.ft.com/4lN2mzO
EU도 보복 관세를 계획했지만, 8/1까지 관세 부과일을 미뤄왔음. 미국은 EU 최대 단일 시장으로, EU 전체 수출액의 20%를 차지
EU가 고려 중인 보복관세 조치
1️⃣ 닭고기, 청바지를 포함한 연간 210억 유로 규모의 미국산 제품 관세 8/6부터 발효
2️⃣ 협상이 결렬될 경우 보잉 항공기와 위스키를 포함한 연간 720억 유로 규모의 미국산 제품 보복 조치 고려 중
3️⃣ 디지털 서비스와 온라인 광고 수익에 대한 세금 부과도 고려 중
https://on.ft.com/4lN2mzO
Ft
Donald Trump pushes for 15%-20% minimum tariff on all EU goods
US president also rejects reducing 25% sectoral duties on cars from the bloc, say diplomats
Forwarded from [삼성 전종규] 차이나는 투자전략
트럼프는 관세 얼마를 원하는가?
대 EU 관세 15~20%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유럽연합에 최소한 15~20% 관세율을 요구하고 있다고 영국 파이낸셜 타임스가 보도했습니다.
유럽연합과 최근 협상에서 대부분 품목에 10%의 기본 관세를 유지하는 내용을 논의해 왔지만, 다시 높은 수준의 관세를 요구했다는 겁니다.
EU와 무역협상을 지속하면서도 요구조건을 강화하는 것은 EU가 견딜 수 있는 최대한도까지 관세율을 끌어올리기 위한 의도로 풀이됩니다.
<코멘트>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전쟁을 시작할때 투자자들은 의심했지만 보편적 관세 10% + 알파를 진심으로 파악했었습니다. 미국의 재정수입 증가와 적절한 인플레이션 관리를 위한 눈높이가 10% 였던 겁니다.
그런데 시간이 가면서 트럼프 관세정책이 TACO로 조롱당하면서 강도가 올라갑니다. 실제 종료된 관세협상은 베트남 20%, 인도네시아 19%입니다. EU 마저 15% 이상 관세 폭탄을 떨어뜨릴수도 있는데요,
시장 불안감을 올릴수 있겠습니다. 4.2 관세폭탄(liberation day) 주가는 전세계가 다 회복한 상황입니다. 고관세의 최대 피해국가는 미국이 포함되고 중국은 상대적으로 수혜(?)에 가깝습니다.
t.me/jkc123
대 EU 관세 15~20%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유럽연합에 최소한 15~20% 관세율을 요구하고 있다고 영국 파이낸셜 타임스가 보도했습니다.
유럽연합과 최근 협상에서 대부분 품목에 10%의 기본 관세를 유지하는 내용을 논의해 왔지만, 다시 높은 수준의 관세를 요구했다는 겁니다.
EU와 무역협상을 지속하면서도 요구조건을 강화하는 것은 EU가 견딜 수 있는 최대한도까지 관세율을 끌어올리기 위한 의도로 풀이됩니다.
<코멘트>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전쟁을 시작할때 투자자들은 의심했지만 보편적 관세 10% + 알파를 진심으로 파악했었습니다. 미국의 재정수입 증가와 적절한 인플레이션 관리를 위한 눈높이가 10% 였던 겁니다.
그런데 시간이 가면서 트럼프 관세정책이 TACO로 조롱당하면서 강도가 올라갑니다. 실제 종료된 관세협상은 베트남 20%, 인도네시아 19%입니다. EU 마저 15% 이상 관세 폭탄을 떨어뜨릴수도 있는데요,
시장 불안감을 올릴수 있겠습니다. 4.2 관세폭탄(liberation day) 주가는 전세계가 다 회복한 상황입니다. 고관세의 최대 피해국가는 미국이 포함되고 중국은 상대적으로 수혜(?)에 가깝습니다.
t.me/jkc123
Forwarded from US Stocks Insider 🇺🇸 (미국 주식 인사이더)
미국을 디지털 자산 분야의 선두로 만들겠다는 공약 아래, 도널드 J. 트럼프 대통령이 오늘 ‘지니어스법(GENIUS Act)’에 서명함. 이 법은 미국이 글로벌 디지털 화폐 혁명을 주도할 수 있는 길을 열겠다는 목표 아래 제정된 역사적인 입법임.
주요 내용:
1. 소비자 보호와 디지털 시장 규율 강화
사기성 금융 행위로부터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한 연방 차원의 최초 스테이블코인 규제 체계 도입
모든 스테이블코인은 100% 준비금을 갖춰야 하며, 이 준비금은 미 달러나 단기 국채 등 유동성 자산으로 구성되어야 함
준비금 구성은 매월 공개해야 하며, 연방 정부가 보증하거나 법정화폐처럼 오해하게 만드는 광고는 금지
주정부와 연방정부의 스테이블코인 규제가 일치하도록 조율
발행사가 파산할 경우, 스테이블코인 보유자의 권리가 최우선으로 보호됨
2. 달러의 기축통화 지위 강화
스테이블코인 발행 시 미 국채 및 달러 기반 준비금 요구를 통해 미 국채 수요 확대
이는 달러의 국제 기축통화 지위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됨
명확한 규제 기반 마련으로 미국 내 디지털 자산 시장 활성화와 책임 있는 혁신 유도
3. 불법 디지털 자산 활동 대응
스테이블코인 발행사를 은행비밀법(Bank Secrecy Act) 적용 대상으로 명시
자금세탁 방지(AML)와 제재 준수를 위한 내부통제 체계 의무화
법적 명령 시 스테이블코인의 동결, 소각, 압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술적 수단 확보 의무 부여
재무부의 제재 회피 및 불법 자금 흐름 단속 능력 강화
4. 디지털 자산 초강대국 구상
트럼프 대통령은 후보 시절부터 “미국을 세계 디지털 자산의 수도로 만들겠다”고 공언
취임 첫 주에 디지털 자산 주도권 확보를 위한 행정명령 서명
3월에는 ‘비트코인 전략 비축’ 및 ‘미국 디지털 자산 국가 비축계획’을 위한 행정명령 발표
트럼프 대통령은 지니어스법을 “미국을 디지털 자산 분야의 확고한 1위로 만들 역사적 입법”이라 평가하며 “이 법은 순수한 천재성의 산물이며, 대규모 투자와 혁신을 미국에 가져올 것”이라 밝힘.
출처: https://www.whitehouse.gov/fact-sheets/2025/07/fact-sheet-president-donald-j-trump-signs-genius-act-into-law/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Forwarded from 우주방산AI로봇 아카이브
탈렌에너지가 천연가스 발전소 2곳 인수라는 호재로 24.47% 급등했습니다.
그 외에 뉴스케일파워도 7.30%, 콘스텔레이션 에너지도 4.31%, OKLO도 2.69% 상승하는 등 원전주 전반이 강세 마감했습니다.
그 외에 뉴스케일파워도 7.30%, 콘스텔레이션 에너지도 4.31%, OKLO도 2.69% 상승하는 등 원전주 전반이 강세 마감했습니다.
Forwarded from 우주방산AI로봇 아카이브
NuScale Power, 전략적 개발 속 에너지 혁신 진전
NuScale Power Corporation의 주가는 모듈형 원자로 기술의 상당한 발전에 따라 7.37% 상승했습니다.
https://stockstotrade.com/news/nuscale-power-corporation-smr-news-2025_07_18/
NuScale Power Corporation의 주가는 모듈형 원자로 기술의 상당한 발전에 따라 7.37% 상승했습니다.
주요 내용
이 회사는 독특한 소형 모듈형 반응기 기술을 활용해 깨끗한 물 생산과 수소 생산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연구 이니셔티브를 시작하고 있습니다.
샤람 가세미안이 새로운 최고법무책임자로 임명되어, 특히 규제 문제에 대한 귀중한 경험을 제공하여 전략적 입지를 강화할 것입니다.
SMR과 같은 혁신적 기업을 타겟으로 하는 ETF와 같은 상품을 활용함으로써, 부문에 대한 신뢰가 유지되면서 강력한 투자 기회가 계속해서 나타나고 있습니다.
주요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수소 생산 및 에너지 효율 솔루션 분야의 기술적 발전이 촉진되고 있으며, NuScale은 해당 분야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https://stockstotrade.com/news/nuscale-power-corporation-smr-news-2025_07_18/
StocksToTrade
NuScale Power Advances in Energy Innovation Amid Strategic Developments
NuScale Power Corporation’s stocks have been trading up by 7.37 percent following significant advancements in modular reactor technology. Key Takeaways The company is launching research initiatives to create a system for clean water production and hydrogen…
Forwarded from 우주방산AI로봇 아카이브
Saab가 조금 전 2Q 실적 발표 후 11.85% 급등하며 신고가 경신 중입니다.
방산은 30년만에 30년짜리 큰 패러다임의 변화 초입이라는게 새삼 느껴집니다.
앞서거니 뒷서거니 유럽과 한국의 방산주들이 Saab 따라갈 걸로 생각합니다. 아니 기도합니다!
방산은 30년만에 30년짜리 큰 패러다임의 변화 초입이라는게 새삼 느껴집니다.
앞서거니 뒷서거니 유럽과 한국의 방산주들이 Saab 따라갈 걸로 생각합니다. 아니 기도합니다!
Forwarded from 퀀텀 알고리즘
❤️ NuScale Power 주간 차트 (2025년7월19일)
1) SMR 대장주 NuScale Power가 역사적 고가를 경신하며 $50 돌파
2) 작년 3월 초 $5 아래에서 "중기 추세가 상승으로 전환될 가능성"을 언급 후 10 배 이상 상승
❤️ NuScale Power 주간 차트 (2024년3월6일) :
NuScale Power는 작년 11월과 올해 1월에 바닥을 형성하고 중기 추세가 상승으로 전환될 가능성
https://t.me/quantum_ALGO/57687
#NuScalePower
1) SMR 대장주 NuScale Power가 역사적 고가를 경신하며 $50 돌파
2) 작년 3월 초 $5 아래에서 "중기 추세가 상승으로 전환될 가능성"을 언급 후 10 배 이상 상승
❤️ NuScale Power 주간 차트 (2024년3월6일) :
NuScale Power는 작년 11월과 올해 1월에 바닥을 형성하고 중기 추세가 상승으로 전환될 가능성
https://t.me/quantum_ALGO/57687
#NuScalePow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