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PB의 금융시장 생존기
1.52K subscribers
11.3K photos
90 videos
185 files
15.6K links
해외 / 국내 경제, 증시 및 다양한 이슈를 전달합니다!

협업 문의 : yeominyoon1981@gmail.com

Disclaimer

- 본 채널/유튜브에서 업로드 되는 모든 종목은 작성자 및 작성자와 연관된 사람들이 보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해당 종목 및 상품은 언제든 매도할 수 있습니다.

- 본 게시물에 올라온 종목 및 상품에 대한 투자 의사 결정 시, 전적으로 투자자의 책임과 판단하에 진행됨을 알립니다.
Download Telegram
“HBM speed bump in 2026; downgrade to Neutral”

🔻 [투자의견 하향 조정]
기존 의견: Buy → 변경 후: Neutral
목표주가: ₩310,000 (기존 대비 5% 업사이드)
현재주가: ₩296,000
업사이드: +4.7%


🔍 [리포트 핵심 요약]

1. 📉 2026년 HBM 가격 하락 우려 → 투자의견 하향
• AI 고객(GPU/ASIC) 중심으로 HBM 수요는 지속 증가할 것이나,
2026년 첫 HBM 가격 하락 예상:
• 주요 고객 중심으로 가격 협상력이 커지고 있으며,
하이닉스는 특정 고객에 대한 익스포저가 크기 때문에 리스크 부각.

2. 📈 2025년 실적은 상향
• HBM 및 일반 D램 수요 모두 2025년 실적 추정치는 상향 조정.

3. 📉 하지만 2026년은 부정적
• HBM 가격이 double-digit 하락 예상 → 2026년 실적 하향:
• 영업이익(Operating Profit)은 컨센서스 대비 19% 낮게 추정.
• 이는 현재 시장 컨센서스가 이미 낙관적 HBM 시나리오를 반영한 것임.

=====

👋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DS 반도체 이수림] SK하이닉스 주가 급락 관련 코멘트

금일 SK하이닉스 장중 주가 -9%까지 하락했습니다. HBM 시장 내 경쟁 심화에 대한 우려가 재부각되며 차익실현이 나타난 것이 주요 원인으로 보입니다.

결론적으로 하이닉스의 밸류에이션과는 별개로 HBM 우려로 인한 금일 주가하락은 과하다는 판단입니다. 세가지 내용 점검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1) HBM 시장 내 경쟁 심화 여부?

아직까지 HBM 시장 내 SK하이닉스의 경쟁력은 흔들리지 않고 있다는 판단입니다. HBM4 샘플을 하이닉스는 3월, 마이크론은 6월 제출하였습니다. 삼성전자는 1c 공정을 적용한 HBM4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HBM4가 시장 기대 대비 ASP 상승폭이 적을 것이라는 우려 역시 삼성전자가 NVIDIA 인증을 통과하고 유의미한 공급을 시작해야 현실화 될 것입니다.

2) HBM 공급 과잉?

대중 수출 규제 완화로 2H25부터 HBM3e의 수요는 더욱 증가할 전망입니다. 추론용 서버 ASIC 시장의 개화 역시 2026년~2027년 본격화 될 전망입니다. 공급업체들은 여전히 수요를 확인하며 Capa를 디자인하고 있어 공급과잉을 논하기에는 이르다는 판단입니다.

3) 가격 하락에 따른 2026년 SK하이닉스 실적 리스크

HBM4의 가격 인상분을 아주 보수적으로 20%로 잡는다고 하더라도 전체 ASP 역성장이 나타나지는 않을 것이라는 판단입니다. 또한 HBM4는 원가 상승분이 3~40%로 알려져있습니다. 이를 감안할 때 하이닉스 이외 공급사들이 20% 미만의 가격 프리미엄에 HBM을 공급하게 되면, 마진율이 일반 DRAM 수준까지 내려와 생산 유인이 떨어질 것입니다.

SK하이닉스의 2026년 영업이익 45조원 수준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아직까지 내년 추정치를 하향할 만한 포인트는 찾지 못했고, 가격 협상이나 경쟁 심화는 여전히 변수의 영역으로 남아있습니다. 또한 올해 하반기 순현금 상태로 전환할 것으로 전망합니다.

최근 주가상승으로 인해 밸류에이션 부담이 증가한 것은 사실이나, 시장 상황과 동사 경쟁력이 달라지지 않았음을 고려할 때 여전히 매수 의견을 유지합니다.
[한투증권 채민숙] SK하이닉스 주가 하락 코멘트

SK하이닉스 주가는 장중 최대 8.47%까지 하락

26년 HBM 가격 인하 우려가 제기하며 중립의견으로 하향 조정한 리포트에 주가가 크게 반응

주가가 단기간에 급등해 밸류에이션 부담이 확대된 가운데, 상대적으로 주가 수준이 낮은 삼성전자로의 수급 이동이 SK하이닉스 주가에 추가 부담으로 작용

동사의 HBM 매출 비중은 2분기 디램 내 50% 이상 차지할 것으로 추정, 높아진 기저로 인해 HBM 탑라인 성장이 크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 확산

26년 HBM 시장 환경과 경쟁 구도가 23~25년 구간과 달라지는 것은 사실

그러나 경쟁사 대비 유리한 HBM 원가 구조와 높은 수율을 바탕으로 동사 실적은 25년 연내 분기 최대 실적을 매 분기 경신해갈 것으로 추정

7월 24일 발표 예정인 2분기 실적은 시장 기대치를 상회할 전망, 이를 바탕으로 25년 실적 컨센서스 역시 상향 조정될 것

단기적으로 주가의 변동성 확대될 수 있으나 2분기 실적 시즌을 지나며 주가 회복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

7월 말 AMD를 시작으로 8월 말 엔비디아, 브로드컴까지 이어지는 실적 시즌 중 AI 수요 기대감을 재확인 할 수 있을 것

삼성전자는 실적과 주가의 바닥을 확인, 그러나 아직 본업이 본격적으로 턴어라운드 했다고 보기에는 이른 시점

SK하이닉스 목표주가 34만원과 투자의견 매수, 섹터 내 탑픽 의견 유지함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거래대금 1,2위순위입니다.

상대적으로 자리가 높았던 SK하이닉스에서 바닥권이었던 삼성전자쪽으로 수급이 이동되는 모습.
👏1
그동안 코스피가 상승하는 흐름 속에서도 상대적으로 지지부진했던 삼성전자가 이재용 회장의 10년 만의 사법리스크 해소로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습니다.

대외 불확실성 완화와 함께 그룹 경영 정상화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향후 코스피 상승을 견인할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코스피 상승장 속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가능성.

삼성전자가 지수를 끌어올리면서 간다면 더욱 시장분위기는 탄력받을수있습니다.
👍1
Forwarded from 루팡
TSMC, 2분기 순이익 시장 예상 상회

2분기 주요 실적:

순이익: NT$3,983억 (전년 동기 대비 +61%)
  • Bloomberg 컨센서스 예상: NT$3,764.2억

매출: NT$9,337.9억 (전년 동기 대비 +39%)
  • 예상: NT$9,284.8억

영업이익: NT$4,634.2억 (전년 동기 대비 +62%)
  • 예상: NT$4,446.7억


영업이익률: 49.6%
  • 전분기: 48.5%
  • 예상: 47.8%


매출총이익률(Gross Margin): 58.6%
  • 전분기: 58.8%
  • 예상: 57.9%
Forwarded from 루팡
TSMC 2025년 2분기 실적

매출: 300억 7,000만 달러 (전년 동기 대비 +44%)
매출총이익률(Gross Margin): 58.6% (전년 53.2%)
영업이익률(Operating Margin): 49.6% (전년 42.5%)

설비투자(CapEx): 96억 달러 (전년 대비 +51%)

웨이퍼 출하량: (미공개)

TSMC는 환율 역풍(FX impact)에도 불구하고 매출 가이던스 상단 초과 달성.

총이익률은 가이던스 상단에 근접, 영업이익률(OPM)은 상단 초과 달성.

고급 공정 (N7 이하) 매출:
총 193억 달러, 전분기 대비 +19%, 전년 대비 +59%

N3 (3나노): +29% q/q

N5 (5나노): +18% q/q

N7 (7나노): +10% q/q

Android가 N3 공정 성장 견인, 애플 계절성 영향 상쇄

엔드 마켓별 실적:
모든 분야에서 매출 증가

HPC(고성능 컴퓨팅): 전분기 대비 +30억 달러 증가,
                                전분기 대비 +20%, 전년 대비 +67%

스마트폰: 약 10억 달러 증가

자동차 분야: 2개 분기 연속 역대 최고치 경신

총이익률(Gross Margin) 관련 분석:
58.6%로 강세 유지, 환율 역풍에도 불구


가격 결정력, 생산설비 가동률, 원가 구조 개선이 수익성 유지에 기여

그러나 다수의 역풍 요인 존재:

N3 수율 희석 영향

차세대 N2(2나노) 공정 초기 투자비용

해외 공장 부담 증가

인플레이션 비용 및 유틸리티 요금 인상 등

https://x.com/SKundojjala/status/1945726060399931597
1
한화에서.. 오늘 하이닉스 주가 급락이후..

하이닉스 P/B 1.5배까지 조정 가능성 열어둬야

HBM 경쟁심화 불가피

이렇게 레폿을 내심..
이 레폿은 불과 2주전에 하이닉스 TP를 36만원으로 상향하며,

“하반기는 선두의 품격을 재확인하는 구간.. 경쟁강도는 심화될수 있으나, 선두업체로서의 주도권이 지속된다는점에 무게를 둘 필요가 있다.. ”

라고 하셨거늘..

2주만에 갑자기 뭔일이 있었나봅니다...
관세는 아직까지는 경제에 큰 타격을 주지 않았음. 6월 누적 관세 수입액은 큰 폭으로 증가

공급망 병목 관련 지표인 LA와 LB(롱지치) 항구 수입량은 5월 급감 후 6월에 회복. 소매업체들이 개학 시즌과 연말연시를 준비하면서 해상 컨테이너 수입은 7월에도 강세를 보이는 중

상하이-LA 노선의 해상 운송료는 2주 동안 40피트 컨테이너당 5,000달러를 상회하다가 3,000달러 미만으로 하락

가을과 12월에 빈 매장이 생길 것을 우려한 대형 소매업체들이 미중 무역전쟁 휴전을 강력히 요구했을 가능성

https://www.bloomberg.com/opinion/articles/2025-07-17/tariff-disruption-skips-the-shipping-industry-for-now
8/1 관세 협상 마감일 이전 3가지 시나리오를 생각해볼 수 있음

1️⃣ 마감일을 다시 연기하는 경우
2️⃣ 관세를 인상하는 경우
3️⃣ 협상을 성사시키는 경우

하지만 어떤 경로로든 소비자들은 내년까지는 실질적인 영향을 받지 않을 가능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