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투증권 최고운] 운송 데일리
2025년 4월 7일 기준
● 유가 두바이 $64.6.1/bbl (-8.4%) / WTI $60.7/bbl (-2.1%)
● BDI 1,401p (-88p) / BCI 2,017p (-202p) / BDRYFF 1,366p (-53p)
▶ 항공운송 산업도 '관세 빨간불'…글로벌 교역 침체 어쩌나
https://alie.kr/7bGc5nu
▶ "납품 못할 수 있어"…美항공기 부품사, 관세 조치로 타격을 입을 경우 일부 제품 출하를 중단할 수 있다고 불가항력 상황을 선언
https://alie.kr/AlkFkST
▶ 에어프레미아, 신규 도입 기재도 기체 결함⋯ 7대 중 3대 ‘꽁꽁’
https://alie.kr/5JMlLBY
▶ 티웨이항공, 새 이사회 키워드 '대한항공 출신'… '일단 연임' 정홍근 대표, 대명소노와 '불편한 동거'
대명소노의 사내이사 중에서 티웨이 신임 대표가 곧장 배출될 가능성에는 회의적 시각도
https://alie.kr/2JnsfJB
https://alie.kr/DwDtPBG
▶ 대명소노-티웨이항공 인수, 소액주주들도 '발목'
https://alie.kr/9XKwsjs
▶ 티웨이항공, 1년만에 직원 1,000명 늘려…‘장거리LCC’ 폭풍성장
https://alie.kr/ComtX3
▶ "매출 짭짤하겠네"…새벽배송 1위 중단하자 '분주'해진 롯데·컬리
https://alie.kr/4mcUOmF
▶ 中 알·테·쉬 공습 빨라지는데…韓 유통, '출혈경쟁·종속' 우려
https://alie.kr/4xXFNbM
▶ 산은・해진공, HMM 전환사채 전환 추진…커진 지분에 더 어려워진 매각
https://alie.kr/Gks16Gc
2025년 4월 7일 기준
● 유가 두바이 $64.6.1/bbl (-8.4%) / WTI $60.7/bbl (-2.1%)
● BDI 1,401p (-88p) / BCI 2,017p (-202p) / BDRYFF 1,366p (-53p)
▶ 항공운송 산업도 '관세 빨간불'…글로벌 교역 침체 어쩌나
https://alie.kr/7bGc5nu
▶ "납품 못할 수 있어"…美항공기 부품사, 관세 조치로 타격을 입을 경우 일부 제품 출하를 중단할 수 있다고 불가항력 상황을 선언
https://alie.kr/AlkFkST
▶ 에어프레미아, 신규 도입 기재도 기체 결함⋯ 7대 중 3대 ‘꽁꽁’
https://alie.kr/5JMlLBY
▶ 티웨이항공, 새 이사회 키워드 '대한항공 출신'… '일단 연임' 정홍근 대표, 대명소노와 '불편한 동거'
대명소노의 사내이사 중에서 티웨이 신임 대표가 곧장 배출될 가능성에는 회의적 시각도
https://alie.kr/2JnsfJB
https://alie.kr/DwDtPBG
▶ 대명소노-티웨이항공 인수, 소액주주들도 '발목'
https://alie.kr/9XKwsjs
▶ 티웨이항공, 1년만에 직원 1,000명 늘려…‘장거리LCC’ 폭풍성장
https://alie.kr/ComtX3
▶ "매출 짭짤하겠네"…새벽배송 1위 중단하자 '분주'해진 롯데·컬리
https://alie.kr/4mcUOmF
▶ 中 알·테·쉬 공습 빨라지는데…韓 유통, '출혈경쟁·종속' 우려
https://alie.kr/4xXFNbM
▶ 산은・해진공, HMM 전환사채 전환 추진…커진 지분에 더 어려워진 매각
https://alie.kr/Gks16Gc
Naver
항공운송 산업도 '관세 빨간불'…글로벌 교역 침체 어쩌나
도널드 트럼프 2기 미국 행정부의 수입품 상호관세 조치가 발효되면서 화물 국내 항공사들에도 비상이 걸렸다. 국제 항공 운송사업 비중을 늘려왔는데 미국발 관세 폭풍으로 수출량이 줄어들 시 타격이 불가피해지기 때문이다.
[한투증권 최고운] 3월 항공실적 업데이트
3월에도 FSC와 LCC 간의 차별화는 지속되었습니다. 양대 국적사들의 국제선 여객수는 전년동월대비 9% 증가한 반면 LCC들은 2% 늘어나는데 그쳤습니다. 제주항공이 20% 감소했기 때문입니다. 항공권 가격에서 차이는 더 컸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편 항공화물 물동량은 부진한 흐름을 이어갔습니다. 미국의 소액 면세제도 폐지 영향으로 C커머스 수요가 감소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3월부터 항공시장은 비수기입니다. 2분기까지 LCC들은 무안공항 사고 여파와 국내 내수경기 침체 영향을 피해가기 어려워 보입니다. 결국 2023년 영업이익을 피크로 2년 연속 감익이 예상됩니다.
반면 대한항공 실적은 견조한 모습입니다. 여름 성수기 전에 C커머스 물동량 감소와 공정위 운임 제재만 일단락되면 재평가 여력이 매우 높다고 판단됩니다.
<3월 항공 수송실적 요약(YoY)>
▶ 국제선 여객 +6% (+1% MoM) / 국내선 여객 -12%
- 2019년 대비: 국제선 100% / 국내선 86%
- 1Q25: 국제선 +8% / 국내선 -14%
- 국제선 운항편당 여객수 189명 (-0.5명 YoY, +6명 vs. 2019년)
▶ 항공사별 국제선 여객: FSC +9% / LCC +2% / 외항사 +6%
- FSC: 대한항공 +10% / 아시아나 +8%
- LCC: 제주항공 -20% / 진에어 +12% / 티웨이 +8% / 에어부산 -3% / 에어프레미아 +14% / 이스타 +70% / 에어로케이 +17%
- 2019년 대비: 대한항공 96% / 아시아나 90% / 제주항공 83% / 진에어 118% / 티웨이 134% / 에어부산 111% / 이스타 84% / 외항사 98%
- 1Q25: 대한항공 +11% / 아시아나 +14% / 제주항공 -19% / 진에어 +9%
티웨이 +5% / 에어부산 +5% / 에어프레미아 +7%
▶ 지역별 국제선 여객
- 일본 +8% / 동남아 -3% / 중국 +22% / 미국 +6% / 유럽 +5%
- 2019년 대비: 일본 117% / 동남아 98% / 중국 85% / 미국 131% / 유럽 75%
▶ 항공사별 국내선 여객
- FSC: 대한항공 -4% / 아시아나 -5%
- LCC: 제주항공 -23% / 진에어 -14% / 티웨이 +14% / 에어부산 -34%
▶ 인천공항 화물 물동량 +1% (1Q25 -0.3%)
- 대한항공 -2% (1Q25 -4%) / 아시아나 +2% (1Q25 +6%)
3월에도 FSC와 LCC 간의 차별화는 지속되었습니다. 양대 국적사들의 국제선 여객수는 전년동월대비 9% 증가한 반면 LCC들은 2% 늘어나는데 그쳤습니다. 제주항공이 20% 감소했기 때문입니다. 항공권 가격에서 차이는 더 컸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편 항공화물 물동량은 부진한 흐름을 이어갔습니다. 미국의 소액 면세제도 폐지 영향으로 C커머스 수요가 감소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3월부터 항공시장은 비수기입니다. 2분기까지 LCC들은 무안공항 사고 여파와 국내 내수경기 침체 영향을 피해가기 어려워 보입니다. 결국 2023년 영업이익을 피크로 2년 연속 감익이 예상됩니다.
반면 대한항공 실적은 견조한 모습입니다. 여름 성수기 전에 C커머스 물동량 감소와 공정위 운임 제재만 일단락되면 재평가 여력이 매우 높다고 판단됩니다.
<3월 항공 수송실적 요약(YoY)>
▶ 국제선 여객 +6% (+1% MoM) / 국내선 여객 -12%
- 2019년 대비: 국제선 100% / 국내선 86%
- 1Q25: 국제선 +8% / 국내선 -14%
- 국제선 운항편당 여객수 189명 (-0.5명 YoY, +6명 vs. 2019년)
▶ 항공사별 국제선 여객: FSC +9% / LCC +2% / 외항사 +6%
- FSC: 대한항공 +10% / 아시아나 +8%
- LCC: 제주항공 -20% / 진에어 +12% / 티웨이 +8% / 에어부산 -3% / 에어프레미아 +14% / 이스타 +70% / 에어로케이 +17%
- 2019년 대비: 대한항공 96% / 아시아나 90% / 제주항공 83% / 진에어 118% / 티웨이 134% / 에어부산 111% / 이스타 84% / 외항사 98%
- 1Q25: 대한항공 +11% / 아시아나 +14% / 제주항공 -19% / 진에어 +9%
티웨이 +5% / 에어부산 +5% / 에어프레미아 +7%
▶ 지역별 국제선 여객
- 일본 +8% / 동남아 -3% / 중국 +22% / 미국 +6% / 유럽 +5%
- 2019년 대비: 일본 117% / 동남아 98% / 중국 85% / 미국 131% / 유럽 75%
▶ 항공사별 국내선 여객
- FSC: 대한항공 -4% / 아시아나 -5%
- LCC: 제주항공 -23% / 진에어 -14% / 티웨이 +14% / 에어부산 -34%
▶ 인천공항 화물 물동량 +1% (1Q25 -0.3%)
- 대한항공 -2% (1Q25 -4%) / 아시아나 +2% (1Q25 +6%)
정말 힘든 시기입니다. 운송업종 합산 시총은 한 달 사이 17% 감소했습니다. 운송주 투자심리는 대외 경기요인에 특히 민감한데, 관세인상에 따른 교역량 감소와 환율상승 부담이 우려되는 상황입니다. 실제 펀더멘털에 미치는 피해는 톤마일 증가와 공급병목 등 무역분쟁 시 나타나는 부차적인 왜곡 현상으로 시장 우려만큼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지만, 그건 미국의 통상정책이 어느 정도 이성적이라는 가정 아래 가능한 전망입니다.
어느새 1분기 실적 시즌이 돌아왔지만 이번 실적발표로 이러한 부정적 흐름을 바꾸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1분기 운송업종은 관세인상에 직접적인 피해가 우려되는 현대글로비스/해운/대한항공이 양호하고, 반대로 내수 소비재 성격인 택배/LCC들은 시장 기대를 하회할 전망입니다.
특이사항으로는 올해부터 대한항공/진에어가 잠정실적을 일찍 발표할 예정입니다. 보통 5월초~중순에 냈었는데 이번에는 4/11(금)에 나올 것 같습니다.
어느새 1분기 실적 시즌이 돌아왔지만 이번 실적발표로 이러한 부정적 흐름을 바꾸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1분기 운송업종은 관세인상에 직접적인 피해가 우려되는 현대글로비스/해운/대한항공이 양호하고, 반대로 내수 소비재 성격인 택배/LCC들은 시장 기대를 하회할 전망입니다.
특이사항으로는 올해부터 대한항공/진에어가 잠정실적을 일찍 발표할 예정입니다. 보통 5월초~중순에 냈었는데 이번에는 4/11(금)에 나올 것 같습니다.
[한투증권 최고운] 대한항공 1Q25 프리뷰
1분기 실적은 시장 우려에 비해 견조할 전망입니다. 별도 기준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2% 감소, 연결로는 아시아나 실적 효과로 6% 증가하며 컨센서스에 부합할 전망입니다.
다만 이제 대한항공은 아시아나와 LCC들의 불확실성까지 짊어져야 하는 상황입니다. 상반기까진 관세인상에 따른 화물수요 둔화 우려와 공정위 제재 등 합병 초기 불확실성에서 자유롭기 쉽지 않아 보입니다. 대한항공 역시 미국의 소액 면세제도 폐지로 인해 C커머스 화물이 감소하고 있습니다.
대신 항공업황이 혼란스러울수록 더 힘들어지는 건 경쟁사들입니다. 미중 갈등 심화로 중국 항공사들의 태평양 노선 증편은 더욱 어려워졌습니다. 또한 관세인상으로 보잉의 공급망에 차질이 생기며 신규기재 도입은 또다시 지연될 수 있습니다. 결국 대한항공의 과점적 시장 지배력과 아시아나 인수 효과는 강화될 전망입니다. 여름 성수기가 돌아오면 이익 모멘텀이 대외 변수 우려를 뛰어넘을 것이라는 점에서 매수 의견을 유지합니다.
- 영업이익 5,700억원 (+6% YoY, +23% QoQ) / 별도 기준 4,271억원 (-2% YoY, -10% QoQ)
- 지배주주순이익 3,385억원 (-10% YoY, +14% QoQ)
- 국제선 여객: 매출 +3% / ASK +4% / RPK +5% / L/F 84% / 운임 -2% YoY
- 화물: 매출 +4% / AFTK -6% / FTK -6% / L/F 73% / 운임 +11% YoY
- 영업비용: 유류비 -1% / 정비비 +7% / 감가상각비 +10% / 인건비 +16%
보고서 링크: https://alie.kr/4xXFjuO
1분기 실적은 시장 우려에 비해 견조할 전망입니다. 별도 기준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2% 감소, 연결로는 아시아나 실적 효과로 6% 증가하며 컨센서스에 부합할 전망입니다.
다만 이제 대한항공은 아시아나와 LCC들의 불확실성까지 짊어져야 하는 상황입니다. 상반기까진 관세인상에 따른 화물수요 둔화 우려와 공정위 제재 등 합병 초기 불확실성에서 자유롭기 쉽지 않아 보입니다. 대한항공 역시 미국의 소액 면세제도 폐지로 인해 C커머스 화물이 감소하고 있습니다.
대신 항공업황이 혼란스러울수록 더 힘들어지는 건 경쟁사들입니다. 미중 갈등 심화로 중국 항공사들의 태평양 노선 증편은 더욱 어려워졌습니다. 또한 관세인상으로 보잉의 공급망에 차질이 생기며 신규기재 도입은 또다시 지연될 수 있습니다. 결국 대한항공의 과점적 시장 지배력과 아시아나 인수 효과는 강화될 전망입니다. 여름 성수기가 돌아오면 이익 모멘텀이 대외 변수 우려를 뛰어넘을 것이라는 점에서 매수 의견을 유지합니다.
- 영업이익 5,700억원 (+6% YoY, +23% QoQ) / 별도 기준 4,271억원 (-2% YoY, -10% QoQ)
- 지배주주순이익 3,385억원 (-10% YoY, +14% QoQ)
- 국제선 여객: 매출 +3% / ASK +4% / RPK +5% / L/F 84% / 운임 -2% YoY
- 화물: 매출 +4% / AFTK -6% / FTK -6% / L/F 73% / 운임 +11% YoY
- 영업비용: 유류비 -1% / 정비비 +7% / 감가상각비 +10% / 인건비 +16%
보고서 링크: https://alie.kr/4xXFjuO
[한투증권 최고운] 진에어 1Q25 프리뷰
1분기 영업이익은 국제선 운임 하락과 전반적인 비용부담 증가로 전년동기대비 31% 감소할 전망입니다. 다만 다른 LCC 대비 가장 선방할 것이라는 점에서 컨센서스는 무리없어 보입니다. 1분기 국제선 여객수가 9% 증가하며 가장 양호했지만 운임은 10% 하락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무안공항 사고 여파로 근거리 여행심리가 위축되었고, 제주항공이 항공권 가격을 크게 낮추면서 LCC 전반적인 운임이 내려온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연간 영업이익은 2023년을 피크로 2년 연속 감소할 전망입니다. 대외 불확실성이 높고 2분기는 적자가 우려되는 비수기인 만큼 주가는 좀더 쉬어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올해 영업이익 추정치를 18% 하향조정하고 이를 반영해 목표주가 역시 11% 낮췄습니다. 대신 지금의 혼란이 새로운 LCC 1위인 진에어의 차별성을 오히려 강화시킬 것이라는 점에서 매수 의견은 유지합니다. 통합 관련 모멘텀에는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합니다.
- 영업이익 679억원 (-31% YoY, +188% QoQ)
- 국제선 매출 -2% / ASK +11% / RPK +9% / L/F 89% / 운임 -10% YoY
- 영업비용: 유류비 +2% / 인건비 +16% / 공항관련비 +4% YoY
보고서 링크: https://alie.kr/4QmynUF
1분기 영업이익은 국제선 운임 하락과 전반적인 비용부담 증가로 전년동기대비 31% 감소할 전망입니다. 다만 다른 LCC 대비 가장 선방할 것이라는 점에서 컨센서스는 무리없어 보입니다. 1분기 국제선 여객수가 9% 증가하며 가장 양호했지만 운임은 10% 하락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무안공항 사고 여파로 근거리 여행심리가 위축되었고, 제주항공이 항공권 가격을 크게 낮추면서 LCC 전반적인 운임이 내려온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연간 영업이익은 2023년을 피크로 2년 연속 감소할 전망입니다. 대외 불확실성이 높고 2분기는 적자가 우려되는 비수기인 만큼 주가는 좀더 쉬어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올해 영업이익 추정치를 18% 하향조정하고 이를 반영해 목표주가 역시 11% 낮췄습니다. 대신 지금의 혼란이 새로운 LCC 1위인 진에어의 차별성을 오히려 강화시킬 것이라는 점에서 매수 의견은 유지합니다. 통합 관련 모멘텀에는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합니다.
- 영업이익 679억원 (-31% YoY, +188% QoQ)
- 국제선 매출 -2% / ASK +11% / RPK +9% / L/F 89% / 운임 -10% YoY
- 영업비용: 유류비 +2% / 인건비 +16% / 공항관련비 +4% YoY
보고서 링크: https://alie.kr/4QmynUF
[한투증권 최고운] 운송 데일리
2025년 4월 8일 기준
● 유가 두바이 $65.2/bbl (+1.0%) / WTI $59.6/bbl (-1.8%)
● BDI 1,342p (-59p) / BCI 1,915p (-102p) / BDRYFF 1,368p (+2p)
▶ 델타항공, 인천 허브화에… 대한항공 수익 기대감 '솔솔'
https://alie.kr/58S0j0Y
▶ 김해공항 1분기 국제선 여객 증가율 ‘전국 공항 1위’
https://alie.kr/FWSib8Q
▶ 노선 늘리는 에어프레미아, 비행기 7대 중 4대가 ‘결함’
https://alie.kr/H6hXQUE
▶ HJ중공업·대한항공, 해상 무인기·함정 기술 협력
https://alie.kr/1c8r6gh
▶ 신세계·CJ “멤버십 통일하시죠”…이재현·정용진 전방위 혈맹 맺는다
https://alie.kr/3NIQurY
▶ 중국 대미 보복 관세, 파나막스・수프라막스에 영향
https://alie.kr/6Xm4ZYF
▶ 美 상호관세로 세계 교역량 4% 감소, 컨테이너 물동량은 1% 감소
https://alie.kr/EziRftF
▶ 안병길 해진공 사장 "HMM 전환사채 주식전환 할 것"
https://alie.kr/1c8r7mD
2025년 4월 8일 기준
● 유가 두바이 $65.2/bbl (+1.0%) / WTI $59.6/bbl (-1.8%)
● BDI 1,342p (-59p) / BCI 1,915p (-102p) / BDRYFF 1,368p (+2p)
▶ 델타항공, 인천 허브화에… 대한항공 수익 기대감 '솔솔'
https://alie.kr/58S0j0Y
▶ 김해공항 1분기 국제선 여객 증가율 ‘전국 공항 1위’
https://alie.kr/FWSib8Q
▶ 노선 늘리는 에어프레미아, 비행기 7대 중 4대가 ‘결함’
https://alie.kr/H6hXQUE
▶ HJ중공업·대한항공, 해상 무인기·함정 기술 협력
https://alie.kr/1c8r6gh
▶ 신세계·CJ “멤버십 통일하시죠”…이재현·정용진 전방위 혈맹 맺는다
https://alie.kr/3NIQurY
▶ 중국 대미 보복 관세, 파나막스・수프라막스에 영향
https://alie.kr/6Xm4ZYF
▶ 美 상호관세로 세계 교역량 4% 감소, 컨테이너 물동량은 1% 감소
https://alie.kr/EziRftF
▶ 안병길 해진공 사장 "HMM 전환사채 주식전환 할 것"
https://alie.kr/1c8r7mD
www.pinpointnews.co.kr
[이슈분석] 델타항공, 인천 허브화에… 대한항공 수익 기대감 '솔솔' - 핀포인트뉴스
대한항공과 긴밀한 협력관계를 맺어온 미국 최대항공사 델타항공의 인천국제공항허브화가 임박했다. 그간 협력관계를 맺어온 대한항공은 더욱 강화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시너지를 극대화할 전망이다.8일 항공업...
[한투증권 최고운] 운송 데일리
2025년 4월 9일 기준
● 유가 두바이 $61.9/bbl (-5.1%) / WTI $62.4/bbl (+4.6%)
● BDI 1,259p (-83p) / BCI 1,732p (-183p) / BDRYFF 1,334p (-35p)
▶ 트럼프 관세 앞두고 상하이-미국 항공 화물 운임 40% 급등
https://alie.kr/6igpupT
▶ 진에어, 日서 대한항공 비행기 정비한다
일본 기타큐슈 공항에서 화물기 정비를 위한 인가를 추진
https://alie.kr/BeK3Nfy
▶ 아시아나 화물사업 매각 승인 '통합 에어인천' 7월 출범 순항
https://alie.kr/611nzZV
▶ 소시어스 컨소, '1500억' 아시아나화물 펀딩 속도
https://alie.kr/BpEoMUn
▶ 제주항공, 한투證 1500억 대출 수혈
https://alie.kr/Edsw3XD
▶ 티웨이항공, '적자탈출' 묘수 있을까
https://alie.kr/FhNTwRD
▶ 항공사가 기상청에 내는 기상정보 사용료 7년만에 27% 오른다
https://alie.kr/AapVUlh
▶ 택배노조 "한진이 주7일 배송 일방적 강행…건강권 보장해달라"
https://alie.kr/EziS1BN
▶ 이커머스, CJ대한통운 ‘매일 오네(O-NE)’로 물류 레벨업…’反 쿠팡연대’ 반격 본격화
https://alie.kr/AEzzX9p
▶ 트럼프, 中소포관세 3배높여 90%…“저가물류 가격경쟁력 잃어”
https://alie.kr/Conceq
▶ 팬오션, 5033억원 규모 철광석 운송계약 2건 체결
https://alie.kr/4bhk93b
▶ 트럼프, 對中관세 125%로 올리며 韓 비롯 70여개국은 90일 유예
https://alie.kr/7FR6rIR
2025년 4월 9일 기준
● 유가 두바이 $61.9/bbl (-5.1%) / WTI $62.4/bbl (+4.6%)
● BDI 1,259p (-83p) / BCI 1,732p (-183p) / BDRYFF 1,334p (-35p)
▶ 트럼프 관세 앞두고 상하이-미국 항공 화물 운임 40% 급등
https://alie.kr/6igpupT
▶ 진에어, 日서 대한항공 비행기 정비한다
일본 기타큐슈 공항에서 화물기 정비를 위한 인가를 추진
https://alie.kr/BeK3Nfy
▶ 아시아나 화물사업 매각 승인 '통합 에어인천' 7월 출범 순항
https://alie.kr/611nzZV
▶ 소시어스 컨소, '1500억' 아시아나화물 펀딩 속도
https://alie.kr/BpEoMUn
▶ 제주항공, 한투證 1500억 대출 수혈
https://alie.kr/Edsw3XD
▶ 티웨이항공, '적자탈출' 묘수 있을까
https://alie.kr/FhNTwRD
▶ 항공사가 기상청에 내는 기상정보 사용료 7년만에 27% 오른다
https://alie.kr/AapVUlh
▶ 택배노조 "한진이 주7일 배송 일방적 강행…건강권 보장해달라"
https://alie.kr/EziS1BN
▶ 이커머스, CJ대한통운 ‘매일 오네(O-NE)’로 물류 레벨업…’反 쿠팡연대’ 반격 본격화
https://alie.kr/AEzzX9p
▶ 트럼프, 中소포관세 3배높여 90%…“저가물류 가격경쟁력 잃어”
https://alie.kr/Conceq
▶ 팬오션, 5033억원 규모 철광석 운송계약 2건 체결
https://alie.kr/4bhk93b
▶ 트럼프, 對中관세 125%로 올리며 韓 비롯 70여개국은 90일 유예
https://alie.kr/7FR6rIR
글로벌이코노믹
트럼프 관세 앞두고 상하이-미국 항공 화물 운임 40% 급등
트럼프 행정부의 새로운 관세 부과를 앞두고 미국행 항공 화물 운임이 급등하고 있다. 수입업자들이 높은 관세를 피하기 위해 해상 운송에서 항공 운송으로 전환하면서 상하이에서 미국으로 향하는 항공 화물 운임은 한 달 만에 약 40%나 상승했다고 9일(현지시각) 일본의 경제신문 닛케이 아시아
[한투증권 최고운] 운송 데일리
2025년 4월 10일 기준
● 유가 두바이 $65.4/bbl (+5.7%) / WTI $60.1/bbl (-3.7%)
● BDI 1,269p (+10p) / BCI 1,781p (+49p) / BDRYFF 1,447p (+113p)
▶ 항공업계, 노선 다변화 '분주'…中·日 여객수요 대응
https://alie.kr/6BwZKrb
▶ 美, 중국발 소액소포 관세 90%에 항공화물 시장 '비상'
https://alie.kr/8TqQ5St
▶ BBB급 한진칼…홈플러스 사태 이후 첫 비우량채 조달
https://alie.kr/3YDCccm
▶ 티웨이 '11시간 지연 출발' 승객 150명에 손해액 지급 확정
https://alie.kr/BTPIlL8
▶ 제주항공, 보잉과 조종사 역량 기반 훈련·평가체계 강화 '맞손'
https://alie.kr/1xyNnGD
▶ 일반택배 '우체국소포'·기업택배 '합동택배', 작년 서비스 1위
https://alie.kr/HSX474z
▶ COSCO, 1분기 순이익 73% 증가...실적 예상 발표
https://alie.kr/28t8m6p
▶ 미중 무역전쟁 속 입항수수료 더해지나… HMM 특수 기대감
https://alie.kr/4FsEXtg
▶ 트럼프, 美조선업 재건 및 중국 해운 견제 행정명령 서명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10일 미국의 ‘해양 지배력 회복’ 행정명령과 관련해 “미국무역대표부(USTR)가 앞서 밝힌 중국 해운사, 중국산 선박에 대한 입항 수수료 부과 방안은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https://alie.kr/FAdDMTY
https://alie.kr/FWSjKOE
2025년 4월 10일 기준
● 유가 두바이 $65.4/bbl (+5.7%) / WTI $60.1/bbl (-3.7%)
● BDI 1,269p (+10p) / BCI 1,781p (+49p) / BDRYFF 1,447p (+113p)
▶ 항공업계, 노선 다변화 '분주'…中·日 여객수요 대응
https://alie.kr/6BwZKrb
▶ 美, 중국발 소액소포 관세 90%에 항공화물 시장 '비상'
https://alie.kr/8TqQ5St
▶ BBB급 한진칼…홈플러스 사태 이후 첫 비우량채 조달
https://alie.kr/3YDCccm
▶ 티웨이 '11시간 지연 출발' 승객 150명에 손해액 지급 확정
https://alie.kr/BTPIlL8
▶ 제주항공, 보잉과 조종사 역량 기반 훈련·평가체계 강화 '맞손'
https://alie.kr/1xyNnGD
▶ 일반택배 '우체국소포'·기업택배 '합동택배', 작년 서비스 1위
https://alie.kr/HSX474z
▶ COSCO, 1분기 순이익 73% 증가...실적 예상 발표
https://alie.kr/28t8m6p
▶ 미중 무역전쟁 속 입항수수료 더해지나… HMM 특수 기대감
https://alie.kr/4FsEXtg
▶ 트럼프, 美조선업 재건 및 중국 해운 견제 행정명령 서명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10일 미국의 ‘해양 지배력 회복’ 행정명령과 관련해 “미국무역대표부(USTR)가 앞서 밝힌 중국 해운사, 중국산 선박에 대한 입항 수수료 부과 방안은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https://alie.kr/FAdDMTY
https://alie.kr/FWSjKOE
뷰어스
항공업계, 노선 다변화 '분주'…中·日 여객수요 대응 - 뷰어스
국내 항공사들이 신규 노선을 취항하며 수익성 개선을 위한 노력에 분주하다. 트럼프 발 관세 등 대외 불안 요소가 커지는 가운데, 여객 사업을 통해 새 돌파구를 모색하는 모양새다.10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하계 기간(3월 30일~10월 25일) 국적 항공사가 운항하는 중국‧일본 노선은 총 128개로 작년 115개보다 13개 늘었다. 특히 장거리 노선을 주력으로 삼은 에어프레미아를 제외한 대부분의 항공사가 중국‧일본 노선을 증편, 혹은 신규 취항한 것으로…
<대한항공 1Q25 컨센서스 하회>
매출액 3조 9,599억원 (-1.8% QoQ)
영업이익 3,509억원 (-19.4% QoQ)
순이익 1,932억원 (-23.2% QoQ)
영업이익 컨센서스(4,333억원) 대비 19% 하회
오랜만에 실적 쇼크네요..
매출액 3조 9,599억원 (-1.8% QoQ)
영업이익 3,509억원 (-19.4% QoQ)
순이익 1,932억원 (-23.2% QoQ)
영업이익 컨센서스(4,333억원) 대비 19% 하회
오랜만에 실적 쇼크네요..
[한국투자 최고운] 운송
오늘이 중국 휴일인걸 깜빡했습니다... 이번주 SCFI는 어제 발표되었는데, 2주 연속으로 상승했습니다. 지난주에 비해서 상승폭은 축소되었지만 여전히 미주 쪽 강세가 부각되었습니다. 이번주까지는 4월 GRI 효과가 컸습니다. 관세인상에 대한 시장 우려는 다음주 운임을 통해 확인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SCFI 1,393p (+2.6%) 미서안 2,313 (+6.2%) 미동안 3,306 (+3.5%) 유럽 1,336 (+1.4%) …
이번주에도 SCFI는 빠지지 않았습니다. 미주 항로가 관세인상 우려로 하락했지만 유럽 운임은 3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보통 관세인상 등 무역 분쟁은 단기 혼란을 야기하더라도 실질적인 해운 물동량 감소 영향이 크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이번 트럼프 2기는 일반적인 통상정책과는 달라도 너무 다른게 문제입니다. 1기 때와도 비교가 어렵다보니 ’제 2의 대공황‘까지 거론될 정도로 불확실성이 큽니다.
해운업계도 당연히 걱정하고 있는데 당장 시황은 또 침착한거 같습니다. 물론 1분기에 이미 빠질만큼 빠졌고 단기 결항이 빠르게 늘어나면서 바닥을 잡을 모습이지만, 예전과 다르게 선사들이 그냥 손 놓고 피해를 보는게 아니라는 점은 분명해 보입니다.
SCFI 1,395p (+0.1%)
미서안 2,202 (-4.8%)
미동안 3,226 (-2.4%)
유럽 1,356 (+1.5%)
지중해 2,144 (+5.7%)
CCFI 1,107p (+0.4%)
https://n.news.naver.com/article/421/0008188103?sid=103
보통 관세인상 등 무역 분쟁은 단기 혼란을 야기하더라도 실질적인 해운 물동량 감소 영향이 크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이번 트럼프 2기는 일반적인 통상정책과는 달라도 너무 다른게 문제입니다. 1기 때와도 비교가 어렵다보니 ’제 2의 대공황‘까지 거론될 정도로 불확실성이 큽니다.
해운업계도 당연히 걱정하고 있는데 당장 시황은 또 침착한거 같습니다. 물론 1분기에 이미 빠질만큼 빠졌고 단기 결항이 빠르게 늘어나면서 바닥을 잡을 모습이지만, 예전과 다르게 선사들이 그냥 손 놓고 피해를 보는게 아니라는 점은 분명해 보입니다.
SCFI 1,395p (+0.1%)
미서안 2,202 (-4.8%)
미동안 3,226 (-2.4%)
유럽 1,356 (+1.5%)
지중해 2,144 (+5.7%)
CCFI 1,107p (+0.4%)
https://n.news.naver.com/article/421/0008188103?sid=103
Naver
'트럼프 관세' 여파 글로벌 해운운임 美노선만 하락…3주 연속↑
글로벌 해운운임이 3주 연속 상승했지만 미국 노선 운임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해운업계에 따르면 이번 주 글로벌 해상운송 항로의 운임 수준을 나타내는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전주(1392.78)
이 타이밍에 IMO는 오랜만에 열일한 것 같습니다. 제83차 MEPC에서 중기조치(Mid-Term Measure)를 승인했습니다. 2028년부터 온실가스 배출 기준을 초과하는 선박은 초과 배출량 1톤당 100∼380달러를 지불해야 합니다.
보호 무역주의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 재편은 긴 시간이 필요할텐데, 교역루트가 축소되어 해운 수요가 줄게되면 그만큼 해운업계는 환경규제를 강행해서 선박 공급량을 함께 줄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해운업계는 관세인상으로 경기와 증시가 나빠지는 만큼 함께 피해를 입겠지만, 공급과잉 또는 경기민감주라고 해서 특별히 더 크게 나빠지는건 아니라고 판단됩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325715?sid=101
보호 무역주의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 재편은 긴 시간이 필요할텐데, 교역루트가 축소되어 해운 수요가 줄게되면 그만큼 해운업계는 환경규제를 강행해서 선박 공급량을 함께 줄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해운업계는 관세인상으로 경기와 증시가 나빠지는 만큼 함께 피해를 입겠지만, 공급과잉 또는 경기민감주라고 해서 특별히 더 크게 나빠지는건 아니라고 판단됩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325715?sid=101
Naver
IMO, 美반대 속 '탄소 비용' 등 해운 온실가스 감축조치 의결(종합)
5천t 이상 선박 연료유 감축기준 초과분 t당 최소 100달러…거래 가능 10월 총회 채택시 2027년 시행…미, 논의 이탈 "美선박 피해시 상호조치" 김지연 특파원 전재훈 기자 = 국제해사기구(IMO) 회원국들이
[한투증권 최고운] 대한항공 1Q25 실적 리뷰
대한항공의 1분기 실적은 예상보다 부진했습니다. 매출은 화물 물동량이 6% 감소한 것을 빼면 모두 좋았습니다. 화물 운임은 기저효과 덕분에 10% 이상 올랐고 국제선 여객도 기대 이상으로 작년 수준을 유지했습니다.
다만 문제는 비용 증가였습니다. 아시아나 인수 확정 직후 비용관리가 잘 안된게 맘에 걸리네요. 특히 감가상각비가 21%나 급증했는데, 작년에 그만큼 capex 투자도 많았습니다. 이렇게 돈을 잘버는데 배당확대에 보수적인 이유일 겁니다.
서비스 차별화를 위한 투자인 만큼 장기적인 전략 방향성은 좋고, 최근 관세분쟁으로 수요는 줄겠지만 그만큼 경쟁사 대비 반사수혜가 예상된다는 점에서 현재 대한항공 주가는 지나치게 저평가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단기 불확실성은 더 커지고 있어, 일단 비용이슈와 공정위 제재를 지켜보면서 여름 성수기까지 기다릴 필요가 있습니다.
- 국제선 여객: 매출 +4% YoY / ASK +3% / RPK +5% / L/F +1.6%p / 운임 -0.1%
- 국내선 여객: 매출 -5% YoY / ASK -2% / RPK -3% / L/F -0.2%p / 운임 -3%
- 노선별: 미주 +4% YoY / 유럽 -9% / 일본 +14% / 중국 +23% / 동남아 +5% / 국내선 -5%
- 화물: 매출 +6% YoY / AFTK -3% / FTK -6% / L/F -1.7%p / 운임 +12%
- 별도 영업비용 +6% YoY: 유류비 -6% / 인건비 +13% / 공항관련비 +8% / 감가상각비 +21%
IR 자료: https://alie.kr/jZ55nT
대한항공의 1분기 실적은 예상보다 부진했습니다. 매출은 화물 물동량이 6% 감소한 것을 빼면 모두 좋았습니다. 화물 운임은 기저효과 덕분에 10% 이상 올랐고 국제선 여객도 기대 이상으로 작년 수준을 유지했습니다.
다만 문제는 비용 증가였습니다. 아시아나 인수 확정 직후 비용관리가 잘 안된게 맘에 걸리네요. 특히 감가상각비가 21%나 급증했는데, 작년에 그만큼 capex 투자도 많았습니다. 이렇게 돈을 잘버는데 배당확대에 보수적인 이유일 겁니다.
서비스 차별화를 위한 투자인 만큼 장기적인 전략 방향성은 좋고, 최근 관세분쟁으로 수요는 줄겠지만 그만큼 경쟁사 대비 반사수혜가 예상된다는 점에서 현재 대한항공 주가는 지나치게 저평가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단기 불확실성은 더 커지고 있어, 일단 비용이슈와 공정위 제재를 지켜보면서 여름 성수기까지 기다릴 필요가 있습니다.
- 국제선 여객: 매출 +4% YoY / ASK +3% / RPK +5% / L/F +1.6%p / 운임 -0.1%
- 국내선 여객: 매출 -5% YoY / ASK -2% / RPK -3% / L/F -0.2%p / 운임 -3%
- 노선별: 미주 +4% YoY / 유럽 -9% / 일본 +14% / 중국 +23% / 동남아 +5% / 국내선 -5%
- 화물: 매출 +6% YoY / AFTK -3% / FTK -6% / L/F -1.7%p / 운임 +12%
- 별도 영업비용 +6% YoY: 유류비 -6% / 인건비 +13% / 공항관련비 +8% / 감가상각비 +21%
IR 자료: https://alie.kr/jZ55nT
주말간 운송업종 관련 뉴스 정리해서 보내드립니다.
2025년 4월 11일 기준(전주대비 증감)
● 유가 두바이 $64.9/bbl (-7.9%) / WTI $61.5/bbl (-0.8%)
● SCFI 1,395p (+2p) / CCFI 1,107p (+5p)
● BDI 1,274p (-215p) / BCI 1,803p (-416p) / BDRYFF 1,440p (+21p) / BDTI 1,132p (+20p)
● 1주간 주간수익률: 티웨이홀딩스 -0.9% / 한진칼 -1.4% / HMM -1.4% / 팬오션 -1.8% / 대한항공 -2.6% / 대한해운 -2.6% / 티웨이항공 -2.9% / 에어부산 -4.2% / 아시아나항공 -4.4% / 한진 -5.1% / 제주항공 -6% / CJ대한통운 -7.5% / 현대글로비스 -8.1% / 진에어 -8.5%
▶ 최장 6일 휴가? ‘장미 대선’에 해외여행 꿈틀
https://alie.kr/CsjNhhW
▶ 엔화 1천 원 시대, 일본 노선 확대해온 저비용항공사 '괜찮을까' 긴장 고조
https://alie.kr/58S2XoS
▶ “해외에서 미국 어떻게 볼지 걱정”…트럼프 관세 정책에 여행마저 불안
https://alie.kr/DwDvab7
▶ "미국 안 가요" 항공 예약 '70%' 줄더니…'무서운 경고'
https://alie.kr/uTr0EO
▶ 에어프레미아, B787-9 예비엔진 추가 구매…연말까지 4기 보유
https://alie.kr/7FR8JbY
▶ “에어프레미아 때문에 여행 망쳐”… 무리한 확장에 쏟아지는 불만
https://alie.kr/2JnuqlP
▶ 현대글로비스, 현금곳간 넉넉…투자 실탄 장전
https://alie.kr/EI3RYF0
▶ 글로비스 이어 현대차그룹 금융 계열사들도 에어인천 출자 검토
https://alie.kr/D3e8gX4
▶ IMO, 美반대 속 '탄소 비용' 등 해운 온실가스 감축조치 의결
https://alie.kr/2qYBnDX
▶ 허치슨, 파나마 항만 매각 난항...계약 불이행 둘러싸고 당국과 대립
https://alie.kr/DEYtfMI
▶ 이번주 HMM 7,200억 전환사채 전환권 행사된다
https://alie.kr/D3e8gXK
2025년 4월 11일 기준(전주대비 증감)
● 유가 두바이 $64.9/bbl (-7.9%) / WTI $61.5/bbl (-0.8%)
● SCFI 1,395p (+2p) / CCFI 1,107p (+5p)
● BDI 1,274p (-215p) / BCI 1,803p (-416p) / BDRYFF 1,440p (+21p) / BDTI 1,132p (+20p)
● 1주간 주간수익률: 티웨이홀딩스 -0.9% / 한진칼 -1.4% / HMM -1.4% / 팬오션 -1.8% / 대한항공 -2.6% / 대한해운 -2.6% / 티웨이항공 -2.9% / 에어부산 -4.2% / 아시아나항공 -4.4% / 한진 -5.1% / 제주항공 -6% / CJ대한통운 -7.5% / 현대글로비스 -8.1% / 진에어 -8.5%
▶ 최장 6일 휴가? ‘장미 대선’에 해외여행 꿈틀
https://alie.kr/CsjNhhW
▶ 엔화 1천 원 시대, 일본 노선 확대해온 저비용항공사 '괜찮을까' 긴장 고조
https://alie.kr/58S2XoS
▶ “해외에서 미국 어떻게 볼지 걱정”…트럼프 관세 정책에 여행마저 불안
https://alie.kr/DwDvab7
▶ "미국 안 가요" 항공 예약 '70%' 줄더니…'무서운 경고'
https://alie.kr/uTr0EO
▶ 에어프레미아, B787-9 예비엔진 추가 구매…연말까지 4기 보유
https://alie.kr/7FR8JbY
▶ “에어프레미아 때문에 여행 망쳐”… 무리한 확장에 쏟아지는 불만
https://alie.kr/2JnuqlP
▶ 현대글로비스, 현금곳간 넉넉…투자 실탄 장전
https://alie.kr/EI3RYF0
▶ 글로비스 이어 현대차그룹 금융 계열사들도 에어인천 출자 검토
https://alie.kr/D3e8gX4
▶ IMO, 美반대 속 '탄소 비용' 등 해운 온실가스 감축조치 의결
https://alie.kr/2qYBnDX
▶ 허치슨, 파나마 항만 매각 난항...계약 불이행 둘러싸고 당국과 대립
https://alie.kr/DEYtfMI
▶ 이번주 HMM 7,200억 전환사채 전환권 행사된다
https://alie.kr/D3e8gXK
문화일보
최장 6일 휴가? ‘장미 대선’에 해외여행 꿈틀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으로 6월 ‘장미대선’이 확정되면서 대선일 앞뒤로 휴가를 내고 해외여행을 떠나려는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다. 14일 여행업계에 따르면 제21대 대통령 선거일이 6월3일로 결정되며 2일(월) 하루 휴가를 내면 ‘4일간’ 쉴 수 있는 황금연휴가 만들어진다. 또 4~5일 이틀 휴가를 쓰면 현충일인 6일(금), 주말을 껴서 ‘6일간’ 연휴를 보낼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주요 여행사들은 해외여행 수요를 전망하며 일본, 대만, 중국, 동남아…
[한투증권 최고운] 운송 데일리
2025년 4월 14일 기준
● 유가 두바이 $66.2/bbl (+2.0%) / WTI $61.5/bbl (+0.0%)
● BDI 1,282p (+8p) / BCI 1,827p (+24p) / BDRYFF 1,479p (+39p)
▶ 티웨이항공 산 대명소노… 수익성 개선·주주 반발 극복 ‘과제’
https://alie.kr/uTrMFZ
▶ 찜찜했던 한진칼 주총
https://alie.kr/15OcLgP
▶ LCC, 엔고에 수익성 '빨간불'···일본 노선 전략 수정 불가피
https://alie.kr/E78gvRN
▶ CJ대한통운, 홈쇼핑 협력 확대…주말배송 효과 나오나
https://alie.kr/3j7z3JR
▶ LX판토스, 유럽·美·中 물류 네트워크 확장 '잰걸음'
https://alie.kr/2UigBbk
▶ 트럼프 관세 전쟁에 해운업계 위기…신규 노선·사업 다각화로 돌파구 모색
https://alie.kr/AlkIHxI
https://alie.kr/AapXJ8a
▶ 해진공 "해운업계 '잠재적 리스크' 여전…전략 수립 필요"
https://alie.kr/YeLOdk
▶ 관세 불확실성으로 미국행 아시아발 화물 예약 급감
https://alie.kr/15OcL5b
2025년 4월 14일 기준
● 유가 두바이 $66.2/bbl (+2.0%) / WTI $61.5/bbl (+0.0%)
● BDI 1,282p (+8p) / BCI 1,827p (+24p) / BDRYFF 1,479p (+39p)
▶ 티웨이항공 산 대명소노… 수익성 개선·주주 반발 극복 ‘과제’
https://alie.kr/uTrMFZ
▶ 찜찜했던 한진칼 주총
https://alie.kr/15OcLgP
▶ LCC, 엔고에 수익성 '빨간불'···일본 노선 전략 수정 불가피
https://alie.kr/E78gvRN
▶ CJ대한통운, 홈쇼핑 협력 확대…주말배송 효과 나오나
https://alie.kr/3j7z3JR
▶ LX판토스, 유럽·美·中 물류 네트워크 확장 '잰걸음'
https://alie.kr/2UigBbk
▶ 트럼프 관세 전쟁에 해운업계 위기…신규 노선·사업 다각화로 돌파구 모색
https://alie.kr/AlkIHxI
https://alie.kr/AapXJ8a
▶ 해진공 "해운업계 '잠재적 리스크' 여전…전략 수립 필요"
https://alie.kr/YeLOdk
▶ 관세 불확실성으로 미국행 아시아발 화물 예약 급감
https://alie.kr/15OcL5b
Naver
티웨이항공 산 대명소노… 수익성 개선·주주 반발 극복 ‘과제’
저비용항공사(LCC·Low Cost Carrier) 티웨이항공의 경영권 인수 계약을 맺은 대명소노그룹이 다음 달 이사회 진입을 위한 임시 주주총회를 열 예정이다. 국내 1위 리조트 기업 대명소노는 올 2월 티웨이항공
[한투증권 최고운] 운송 데일리
2025년 4월 15일 기준
● 유가 두바이 $66.6/bbl (+0.6%) / WTI $61.3/bbl (-0.3%)
● BDI 1,263p (-19p) / BCI 1,753p (-74p) / BDRYFF 1,469p (-10p)
▶ 5월초에 6월초까지 '더블 황금연휴'…조기대선에 웃는 여행업계 속내
https://alie.kr/1c8te2R
▶ "中, 자국 항공사에 美보잉 항공기 인도 중단 명령"
https://alie.kr/C09bWB9
▶ 1분기 항공 정비지연율 0.81%, 1년새 0.07%↑…에어프레미아 1위
https://alie.kr/CopnWy
▶ '박병률 체제 2기' 진에어, '피크아웃' 극복 시험대
https://alie.kr/6Bwb9Gy
▶ 박춘희 대명소노 명예회장, 지주사 이사회서 물러나…2세 서준혁 체제 본격화
https://alie.kr/CB4MV0q
▶ 하늘에서 즐기는 ‘파인 다이닝’… CI 바꾼 대한항공, 기내식도 리뉴얼
https://alie.kr/ChodRRy
▶ 쿠팡, 택배업계 1위 등극…유통 이어 물류도 뒤집었다
https://alie.kr/FhNW7KZ
▶ ‘로켓 vs 오네’ 구도 본격화… 대반전 노리는 이커머스
https://alie.kr/9tAVkPX
▶ CJ대한통운, 회사채 수요예측서 ‘1조3000억 원’ 이상 자금 확보
https://alie.kr/HHcKwg4
▶ 롯데글로벌로지스, 다음주 기관 수요예측 돌입…우리사주 청약도 '훈풍'
https://alie.kr/3u2kOg4
▶ 현대글로비스, 신사업 광폭행보…수소는 '신중모드'
https://alie.kr/4mcXIl7
2025년 4월 15일 기준
● 유가 두바이 $66.6/bbl (+0.6%) / WTI $61.3/bbl (-0.3%)
● BDI 1,263p (-19p) / BCI 1,753p (-74p) / BDRYFF 1,469p (-10p)
▶ 5월초에 6월초까지 '더블 황금연휴'…조기대선에 웃는 여행업계 속내
https://alie.kr/1c8te2R
▶ "中, 자국 항공사에 美보잉 항공기 인도 중단 명령"
https://alie.kr/C09bWB9
▶ 1분기 항공 정비지연율 0.81%, 1년새 0.07%↑…에어프레미아 1위
https://alie.kr/CopnWy
▶ '박병률 체제 2기' 진에어, '피크아웃' 극복 시험대
https://alie.kr/6Bwb9Gy
▶ 박춘희 대명소노 명예회장, 지주사 이사회서 물러나…2세 서준혁 체제 본격화
https://alie.kr/CB4MV0q
▶ 하늘에서 즐기는 ‘파인 다이닝’… CI 바꾼 대한항공, 기내식도 리뉴얼
https://alie.kr/ChodRRy
▶ 쿠팡, 택배업계 1위 등극…유통 이어 물류도 뒤집었다
https://alie.kr/FhNW7KZ
▶ ‘로켓 vs 오네’ 구도 본격화… 대반전 노리는 이커머스
https://alie.kr/9tAVkPX
▶ CJ대한통운, 회사채 수요예측서 ‘1조3000억 원’ 이상 자금 확보
https://alie.kr/HHcKwg4
▶ 롯데글로벌로지스, 다음주 기관 수요예측 돌입…우리사주 청약도 '훈풍'
https://alie.kr/3u2kOg4
▶ 현대글로비스, 신사업 광폭행보…수소는 '신중모드'
https://alie.kr/4mcXIl7
Naver
5월초에 6월초까지 '더블 황금연휴'…조기대선에 웃는 속내
어수선한 정세에 대형 산불, 경기 불황 등으로 침체에 빠진 여행업계가 다가오는 황금연휴에 기대를 걸고 있다. 다음달 초 예정된 연휴에다 6월 초 조기 대선이 치러지면서 또 하나의 황금연휴가 생기면서다. 15일 업계에
[한투증권 최고운] 운송 데일리
2025년 4월 16일 기준
● 유가 두바이 $66.6/bbl (+0.0%) / WTI $62.5/bbl (+1.9%)
● BDI 1,241p (-22p) / BCI 1,656p (-97p) / BDRYFF 1,476p (+7p)
▶ "대한항공과 임금체계 맞춰달라"… 아시아나 화물 조종사 노동조합, 단체협약 관련 노동쟁의 조정 신청
https://alie.kr/3NIToi1
▶ 두산에너빌리티-대한항공, 무인기용 항공엔진 개발 '맞손'
https://alie.kr/CWtsp86
▶ “가족여행 다시 생각해야겠어요”…미친 환율에 해외여행 포기하는 한국인들
https://alie.kr/9BVUBcl
▶ 소노인터내셔널 IPO, 상장 닻 올린다…6월 예심청구 가닥
https://alie.kr/CWtsp8U
▶ CJ대한통운 AA+급 금리로 회사채 완판
https://alie.kr/C09bsgu
▶ 지그재그, '직진배송' 주7일 적용…CJ대한통운과 협업
https://alie.kr/7FR9OfM
▶ 한진택배 노조, 17일 '주 7일 배송' 반대 기자회견
https://alie.kr/3j7zmLs
▶ 홍콩 "미국 소포 면세 폐지는 괴롭힘…미국향 소포 접수 중단"
https://alie.kr/ESyDc7a
▶ 현대글로비스, 에어인천 품고 종합물류 날개달까
https://alie.kr/6igsSEM
▶ HMM, SK해운 인수로 사업 포트폴리오 다각화 추진
https://alie.kr/1c8u0Ze
▶ 해수부, 해운물류 통상현안 비상대응반 가동…미 관세부과 대응
https://alie.kr/2UigueF
2025년 4월 16일 기준
● 유가 두바이 $66.6/bbl (+0.0%) / WTI $62.5/bbl (+1.9%)
● BDI 1,241p (-22p) / BCI 1,656p (-97p) / BDRYFF 1,476p (+7p)
▶ "대한항공과 임금체계 맞춰달라"… 아시아나 화물 조종사 노동조합, 단체협약 관련 노동쟁의 조정 신청
https://alie.kr/3NIToi1
▶ 두산에너빌리티-대한항공, 무인기용 항공엔진 개발 '맞손'
https://alie.kr/CWtsp86
▶ “가족여행 다시 생각해야겠어요”…미친 환율에 해외여행 포기하는 한국인들
https://alie.kr/9BVUBcl
▶ 소노인터내셔널 IPO, 상장 닻 올린다…6월 예심청구 가닥
https://alie.kr/CWtsp8U
▶ CJ대한통운 AA+급 금리로 회사채 완판
https://alie.kr/C09bsgu
▶ 지그재그, '직진배송' 주7일 적용…CJ대한통운과 협업
https://alie.kr/7FR9OfM
▶ 한진택배 노조, 17일 '주 7일 배송' 반대 기자회견
https://alie.kr/3j7zmLs
▶ 홍콩 "미국 소포 면세 폐지는 괴롭힘…미국향 소포 접수 중단"
https://alie.kr/ESyDc7a
▶ 현대글로비스, 에어인천 품고 종합물류 날개달까
https://alie.kr/6igsSEM
▶ HMM, SK해운 인수로 사업 포트폴리오 다각화 추진
https://alie.kr/1c8u0Ze
▶ 해수부, 해운물류 통상현안 비상대응반 가동…미 관세부과 대응
https://alie.kr/2UigueF
Naver
"대한항공과 임금체계 맞춰달라"… 아시아나 화물 매각 난항
아시아나항공이 조종사 노조와 임금협상 난항 끝에 화물사업부 매각에 대한 별도 협상에 들어간다. 이르면 이번 주 1차 조정 회의가 열린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아시아나항공 조종사 노동조합(APU)은 최근 서울지방노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