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투증권 박상현] 전기전자📱 pinned «[한투증권 박상현/홍예림] 삼성전기 (009150) 2Q25 Review: 기대에 부응했던 2분기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TechBrayden * 보고서 원문: https://alie.kr/8Tr4hPt ● 긍정적인 제품 Mix 추세 변화 - 2분기 실적은 매출액 2조 7,846억원(+1.7% QoQ, +7.9% YoY), 영업이익 2,130억원(+6.2% QoQ, 2.4% YoY, OPM 7.6%). - 컴포넌트는 Q와 P가 동반…»
[한투증권 박상현/홍예림] 애플(AAPL USA) FY3Q25 Review: 관세 대응력은 인정, AI 경쟁력은 아직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TechBrayden
* 보고서 원문: https://alie.kr/5UICAjH
● 컨센서스를 상회한 호실적 - FY3Q25 매출액과 순이익은 각각 940.4억달러(+9.6% YoY), 214.4억달러(+9.3% YoY)로 컨센서스를 각각 5.3%, 9.3% 상회
- Products 매출액은 666.1억달러(+8.2% YoY). 미국 관세 이슈, 중국 내 경쟁 심화 등의 우려를 아이폰16, 맥북 에어 등 고부가가치 제품 확판으로 극복하고 있음. 다만, 관세로 인한 수익성 훼손은 불가피. 약 8억달러의 관세 관련 비용으로 Product 매출총이익률은 1.4%p QoQ 감소한 34.5%를 기록
- Service 매출액은 274.2억달러(+13.3% YoY). 아이클라우드를 포함한 대부분의 서비스 카테고리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두 자릿수 증가했고, 유료 구독 계정수는 10억개를 넘어섰음
● 다음 분기 가이던스도 예상보다 양호 - 동사는 FY4Q25 매출액 가이던스를 전년 동기 대비 한자릿수 중후반 증가로 제시. 매출총이익률 가이던스는 46~47%로 제시. 다음 분기 관세 관련 비용은 약 11억달러로 3억달러 QoQ 증가할 전망이지만, 고부가가치 Service 매출 확대, 미국향 아이폰은 인도 공장을 최대한 활용하는 등의 방안으로 수익성을 전년 수준 이상으로 확보하겠다는 계획
- 여전히 관세는 불편한 리스크 요인.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에서 판매되는 아이폰은 미국에서 생산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강조하며, 이에 따르지 않을 경우 최소 25%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언급
● 노력이 성과로 이어져야할 것 - AI 기능이 기존 시각 인식, 텍스트 작성 등에서 실시간 통화 스크리닝, 개인화된 Siri 등으로 진화할 전망. AI 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해 동사는 인력 재배치 및 투자를 상당 규모 확대할 것임을 강조. 이에 따른 CAPEX 증가가 동반될 예정이며, 상당 부분이 애플 실리콘 기반의 자사 데이터센터에 투자될 것으로 예상. 이는 단말기의 온디바이스 AI와 데이터센터의 클라우드 AI를 병용하는 하이브리드 AI 경쟁력 개선을 위한 것으로 판단. 또한 자체 기술 경쟁력 확보 노력뿐만 아니라 외부 M&A도 적극 추진할 의지를 밝힘
- 다만, 이러한 노력들은 가시적인 결과물로 증명되어야 할 것. 내년 상반기 공개가 예상되는 개인화된 Siri의 완성도를 확인하기까지는 보수적 접근이 유효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TechBrayden
* 보고서 원문: https://alie.kr/5UICAjH
● 컨센서스를 상회한 호실적 - FY3Q25 매출액과 순이익은 각각 940.4억달러(+9.6% YoY), 214.4억달러(+9.3% YoY)로 컨센서스를 각각 5.3%, 9.3% 상회
- Products 매출액은 666.1억달러(+8.2% YoY). 미국 관세 이슈, 중국 내 경쟁 심화 등의 우려를 아이폰16, 맥북 에어 등 고부가가치 제품 확판으로 극복하고 있음. 다만, 관세로 인한 수익성 훼손은 불가피. 약 8억달러의 관세 관련 비용으로 Product 매출총이익률은 1.4%p QoQ 감소한 34.5%를 기록
- Service 매출액은 274.2억달러(+13.3% YoY). 아이클라우드를 포함한 대부분의 서비스 카테고리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두 자릿수 증가했고, 유료 구독 계정수는 10억개를 넘어섰음
● 다음 분기 가이던스도 예상보다 양호 - 동사는 FY4Q25 매출액 가이던스를 전년 동기 대비 한자릿수 중후반 증가로 제시. 매출총이익률 가이던스는 46~47%로 제시. 다음 분기 관세 관련 비용은 약 11억달러로 3억달러 QoQ 증가할 전망이지만, 고부가가치 Service 매출 확대, 미국향 아이폰은 인도 공장을 최대한 활용하는 등의 방안으로 수익성을 전년 수준 이상으로 확보하겠다는 계획
- 여전히 관세는 불편한 리스크 요인.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에서 판매되는 아이폰은 미국에서 생산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강조하며, 이에 따르지 않을 경우 최소 25%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언급
● 노력이 성과로 이어져야할 것 - AI 기능이 기존 시각 인식, 텍스트 작성 등에서 실시간 통화 스크리닝, 개인화된 Siri 등으로 진화할 전망. AI 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해 동사는 인력 재배치 및 투자를 상당 규모 확대할 것임을 강조. 이에 따른 CAPEX 증가가 동반될 예정이며, 상당 부분이 애플 실리콘 기반의 자사 데이터센터에 투자될 것으로 예상. 이는 단말기의 온디바이스 AI와 데이터센터의 클라우드 AI를 병용하는 하이브리드 AI 경쟁력 개선을 위한 것으로 판단. 또한 자체 기술 경쟁력 확보 노력뿐만 아니라 외부 M&A도 적극 추진할 의지를 밝힘
- 다만, 이러한 노력들은 가시적인 결과물로 증명되어야 할 것. 내년 상반기 공개가 예상되는 개인화된 Siri의 완성도를 확인하기까지는 보수적 접근이 유효
Telegram
[한투증권 박상현] 전기전자📱
커버리지: LG전자, 삼성전기, LG이노텍, 이수페타시스, 대덕전자, 심텍, 리노공업, ISC
[한투증권 박상현] 전기전자📱 pinned «[한투증권 박상현/홍예림] 애플(AAPL USA) FY3Q25 Review: 관세 대응력은 인정, AI 경쟁력은 아직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TechBrayden * 보고서 원문: https://alie.kr/5UICAjH ● 컨센서스를 상회한 호실적 - FY3Q25 매출액과 순이익은 각각 940.4억달러(+9.6% YoY), 214.4억달러(+9.3% YoY)로 컨센서스를 각각 5.3%, 9.3% 상회 - Products 매출액은…»
[한투증권 박상현/홍예림] 전기전자 Daily News
2025.8.4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TechBrayden
▶ Siri, Chat GPT와 같은 검색 능력 탑재 전망
https://alie.kr/7FRmurI
▶ 애플, 부정적 전망 타개하려면 AI 아닌 중국이 필요
https://alie.kr/58Sh95k
▶ 갤폴드7, 美서도 통했다…초판 50% 늘며 역대 최고 기록
https://alie.kr/6XmkzZI
▶ 전 세계 스마트폰 매출, 2Q25에 처음으로 1,000억 달러 초과
https://alie.kr/CpTgAC
▶ LG그룹, 4개 계열사 역할 분담해 글래스 기판 사업 전개
https://alie.kr/9BW7hnB
2025.8.4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TechBrayden
▶ Siri, Chat GPT와 같은 검색 능력 탑재 전망
https://alie.kr/7FRmurI
▶ 애플, 부정적 전망 타개하려면 AI 아닌 중국이 필요
https://alie.kr/58Sh95k
▶ 갤폴드7, 美서도 통했다…초판 50% 늘며 역대 최고 기록
https://alie.kr/6XmkzZI
▶ 전 세계 스마트폰 매출, 2Q25에 처음으로 1,000억 달러 초과
https://alie.kr/CpTgAC
▶ LG그룹, 4개 계열사 역할 분담해 글래스 기판 사업 전개
https://alie.kr/9BW7hnB
Telegram
[한투증권 박상현] 전기전자📱
커버리지: LG전자, 삼성전기, LG이노텍, 이수페타시스, 대덕전자, 심텍, 리노공업, ISC
[한투증권 박상현/홍예림] 전기전자 Daily News
2025.8.5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TechBrayden
▶ OpenAI, ChatGPT에 휴식 알림 및 정신 건강 기능 추가
https://alie.kr/GE8RImr
▶ 애플, 아이폰용 자체 커스텀 이미지 센서 개발 중
https://alie.kr/3YDsg7V
▶ ‘가성비’ 삼성 vs ‘프리미엄’ 애플…9월 신형 스마트폰 맞대결
https://alie.kr/3u3Odnt
▶ 주요 모바일 AP 제공 업체, 관세를 앞두고 초기 수요 급증에 힘입어 고급 시장 주시
https://alie.kr/9tB9zZq
▶ "100인치 TV 필요없겠네"…LG전자 신제품, 대화면 한손에
https://alie.kr/FLYeOfA
▶ 삼성전기, 북미 휴머노이드 로봇에 카메라 공급
https://alie.kr/3YDsg1V
2025.8.5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TechBrayden
▶ OpenAI, ChatGPT에 휴식 알림 및 정신 건강 기능 추가
https://alie.kr/GE8RImr
▶ 애플, 아이폰용 자체 커스텀 이미지 센서 개발 중
https://alie.kr/3YDsg7V
▶ ‘가성비’ 삼성 vs ‘프리미엄’ 애플…9월 신형 스마트폰 맞대결
https://alie.kr/3u3Odnt
▶ 주요 모바일 AP 제공 업체, 관세를 앞두고 초기 수요 급증에 힘입어 고급 시장 주시
https://alie.kr/9tB9zZq
▶ "100인치 TV 필요없겠네"…LG전자 신제품, 대화면 한손에
https://alie.kr/FLYeOfA
▶ 삼성전기, 북미 휴머노이드 로봇에 카메라 공급
https://alie.kr/3YDsg1V
Telegram
[한투증권 박상현] 전기전자📱
커버리지: LG전자, 삼성전기, LG이노텍, 이수페타시스, 대덕전자, 심텍, 리노공업, ISC
[한투증권 박상현/홍예림] ISC(095340) NDR 후기: 본업 정상 궤도 재안착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TechBrayden
* 보고서 원문: https://alie.kr/4biQZJt
● 곱씹어보면 나쁘지 않았던 2분기
- 2분기 실적은 매출액 517억원(+63.1% QoQ, +3.8% YoY), 영업이익 137억원(96.1% QoQ, -8.0% YoY, OPM 26.5%)으로 컨센서스를 각각 3.2%, 5.6% 하회
- 환율 이슈로 외형 대비 수익성이 다소 부진했지만, 세부적으로 들여다보면 내용은 양호. 첫째, 소켓 매출 내 고부가가치 비메모리 비중이 전분기 80.2%에서 85.6%로 증가. 둘째, 데이터센터향 매출액이 93.5% QoQ, 65.2% YoY 증가. 특히, AI 가속기(GPU, ASIC 포함) 관련 소켓 매출액이 213.3% QoQ, 101.4% YoY 급증하며 실적 개선을 견인
● 분기 역대 최고 매출이 예상되는 3분기
- 동사는 3분기 실적 가이던스 범위를 매출액 660~720억원, 영업이익 165~209억원을 제시. GPU 고객사 다변화, 북미 빅테크향 ASIC 매출 증가 등 요인으로 현재 수주 현황을 고려할 때 데이터센터향 매출 성장이 다음 분기에도 이어질 것이라는 판단. 국내 및 대만의 스마트폰 AP 제조사향 양산 소켓 수주도 최근 늘어나는 추세
- 지난 6월부터 반영되기 시작한 자회사 아이세미(소재장비)/테크드림(PCB 중개) 매출액은 3분기부터 온전히 실적에 반영될 예정. 위 신규 사업의 3분기 실적 가이던스는 매출액 약 100억원, 영업이익 약 15억원으로 제시
● 추가적인 M&A로 외형 성장 가속할 계획
- 아이세미/테크드림에 이어, 반도체 후공정 기업을 추가로 인수하는 방안을 검토 중. 보유중인 현금성자산 약 3,500억원 중 최대 1,500억원을 활용해 연매출액 800~1,000억원 규모의 기업 인수를 목표. 신규 사업 추진으로 전사 OPM은 감소할 가능성이 크지만, 절대적인 영업이익 확대 관점에서 위 전략은 충분히 합리적. 또한, 베트남 공장의 자동화 및 국내 생산라인의 송도 이전 등을 통한 비용 효율화 작업 성과에 따라서 전사 수익성 하락폭은 최소화될 수 있음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TechBrayden
* 보고서 원문: https://alie.kr/4biQZJt
● 곱씹어보면 나쁘지 않았던 2분기
- 2분기 실적은 매출액 517억원(+63.1% QoQ, +3.8% YoY), 영업이익 137억원(96.1% QoQ, -8.0% YoY, OPM 26.5%)으로 컨센서스를 각각 3.2%, 5.6% 하회
- 환율 이슈로 외형 대비 수익성이 다소 부진했지만, 세부적으로 들여다보면 내용은 양호. 첫째, 소켓 매출 내 고부가가치 비메모리 비중이 전분기 80.2%에서 85.6%로 증가. 둘째, 데이터센터향 매출액이 93.5% QoQ, 65.2% YoY 증가. 특히, AI 가속기(GPU, ASIC 포함) 관련 소켓 매출액이 213.3% QoQ, 101.4% YoY 급증하며 실적 개선을 견인
● 분기 역대 최고 매출이 예상되는 3분기
- 동사는 3분기 실적 가이던스 범위를 매출액 660~720억원, 영업이익 165~209억원을 제시. GPU 고객사 다변화, 북미 빅테크향 ASIC 매출 증가 등 요인으로 현재 수주 현황을 고려할 때 데이터센터향 매출 성장이 다음 분기에도 이어질 것이라는 판단. 국내 및 대만의 스마트폰 AP 제조사향 양산 소켓 수주도 최근 늘어나는 추세
- 지난 6월부터 반영되기 시작한 자회사 아이세미(소재장비)/테크드림(PCB 중개) 매출액은 3분기부터 온전히 실적에 반영될 예정. 위 신규 사업의 3분기 실적 가이던스는 매출액 약 100억원, 영업이익 약 15억원으로 제시
● 추가적인 M&A로 외형 성장 가속할 계획
- 아이세미/테크드림에 이어, 반도체 후공정 기업을 추가로 인수하는 방안을 검토 중. 보유중인 현금성자산 약 3,500억원 중 최대 1,500억원을 활용해 연매출액 800~1,000억원 규모의 기업 인수를 목표. 신규 사업 추진으로 전사 OPM은 감소할 가능성이 크지만, 절대적인 영업이익 확대 관점에서 위 전략은 충분히 합리적. 또한, 베트남 공장의 자동화 및 국내 생산라인의 송도 이전 등을 통한 비용 효율화 작업 성과에 따라서 전사 수익성 하락폭은 최소화될 수 있음
Telegram
[한투증권 박상현] 전기전자📱
커버리지: LG전자, 삼성전기, LG이노텍, 이수페타시스, 대덕전자, 심텍, 리노공업, ISC
[한투증권 박상현] 전기전자📱 pinned «[한투증권 박상현/홍예림] ISC(095340) NDR 후기: 본업 정상 궤도 재안착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TechBrayden * 보고서 원문: https://alie.kr/4biQZJt ● 곱씹어보면 나쁘지 않았던 2분기 - 2분기 실적은 매출액 517억원(+63.1% QoQ, +3.8% YoY), 영업이익 137억원(96.1% QoQ, -8.0% YoY, OPM 26.5%)으로 컨센서스를 각각 3.2%, 5.6% 하회 - 환율…»
[한투증권 박상현/홍예림] 전기전자 Daily News
2025.8.6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TechBrayden
▶ "아이폰17 에어 배터리 두께, 17프로의 절반…2.49mm"
https://alie.kr/4mdBtyf
▶ 아이폰 17 출시일 유출, 9월 9일 유력
https://alie.kr/8elrMKp
▶ 갤럭시S25 시리즈, 최단기간 300만대 판매 돌파
https://alie.kr/6XmliNN
▶ 글로벌 스마트폰 매출 1000억 돌파…프리미엄 수요 타고 날았다
https://alie.kr/CB516Fi
▶ 폭스콘, 테코와 손잡고 AI 데이터 센터 공략
https://alie.kr/ChpHv43
▶ 샤오미, 자동차 및 스마트 홈 시장 진출 위해 음성 AI 모델 오픈소스화
https://alie.kr/NkFFyS
2025.8.6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TechBrayden
▶ "아이폰17 에어 배터리 두께, 17프로의 절반…2.49mm"
https://alie.kr/4mdBtyf
▶ 아이폰 17 출시일 유출, 9월 9일 유력
https://alie.kr/8elrMKp
▶ 갤럭시S25 시리즈, 최단기간 300만대 판매 돌파
https://alie.kr/6XmliNN
▶ 글로벌 스마트폰 매출 1000억 돌파…프리미엄 수요 타고 날았다
https://alie.kr/CB516Fi
▶ 폭스콘, 테코와 손잡고 AI 데이터 센터 공략
https://alie.kr/ChpHv43
▶ 샤오미, 자동차 및 스마트 홈 시장 진출 위해 음성 AI 모델 오픈소스화
https://alie.kr/NkFFyS
Telegram
[한투증권 박상현] 전기전자📱
커버리지: LG전자, 삼성전기, LG이노텍, 이수페타시스, 대덕전자, 심텍, 리노공업, ISC
[한투증권 박상현/홍예림] 전기전자 Daily News
2025.8.7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TechBrayden
▶ 트럼프, 미국 반도체 수입품에 대해 100% 관세 부과 발표
https://alie.kr/7x6pvd4
▶ 애플, 미국 제조 프로그램 발표, 6000억 달러 투자 약속
https://alie.kr/AaqCdme
▶ Apple의 기존 미국 제조 파트너가 새로운 1000억 달러 투자의 주요 수혜자
https://alie.kr/AF0gg2H
▶ iPhone 16e 출시로 계절별 평균 iPhone 판매 침체 완화
https://alie.kr/7FRo0Fh
▶ 애플, 인도 관세 인상에 영향 받지 않을 듯
https://alie.kr/Alkxcc8
▶ LG전자, 차량 전면 유리에 홀로그램 구현한다
https://alie.kr/H6iEvzv
2025.8.7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TechBrayden
▶ 트럼프, 미국 반도체 수입품에 대해 100% 관세 부과 발표
https://alie.kr/7x6pvd4
▶ 애플, 미국 제조 프로그램 발표, 6000억 달러 투자 약속
https://alie.kr/AaqCdme
▶ Apple의 기존 미국 제조 파트너가 새로운 1000억 달러 투자의 주요 수혜자
https://alie.kr/AF0gg2H
▶ iPhone 16e 출시로 계절별 평균 iPhone 판매 침체 완화
https://alie.kr/7FRo0Fh
▶ 애플, 인도 관세 인상에 영향 받지 않을 듯
https://alie.kr/Alkxcc8
▶ LG전자, 차량 전면 유리에 홀로그램 구현한다
https://alie.kr/H6iEvzv
Telegram
[한투증권 박상현] 전기전자📱
커버리지: LG전자, 삼성전기, LG이노텍, 이수페타시스, 대덕전자, 심텍, 리노공업, ISC
[한투증권 박상현/홍예림] 아리스타 네트웍스(ANET USA) 2Q25 Review- 프론트엔드 네트워크로도 확대되는 고대역폭 추세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TechBrayden
* 보고서 원문: https://alie.kr/CWuXRcN
● AI 수요에 기반한 호실적
- 2분기 실적은 매출액 22.0억달러(+10.0% QoQ, +30.4% YoY), 조정 EPS 0.73달러로 컨센서스를 각각 4.6%, 12.3% 상회
- 무엇보다 전체 매출의 40~45%를 차지하는 AI 데이터센터향 네트워크 수요가 견조한 것으로 파악. 데이터센터 내 AI 트래픽 증가가 일반 서버간의 연결인 프론트엔드 네트워크의 대역폭 확대로까지 이어지고 있음. 400G, 800G 등으로의 기술 이전이 관측되기 때문
● 상향되는 연간 매출액 가이던스
- 견조한 AI 네트워크 수요를 고려해 동사는 연간 매출액 가이던스를 기존 82.0억달러(+17.0% YoY)에서 87.5억달러(+25% YoY)로 상향 조정. 영업이익률 가이던스는 작년 42.0% 대비 6.0%p 증가한 48%로 제시
- 올해 전체 데이터센터향 매출액 가이던스는 15억달러에서 15억달러 이상으로 소폭 상향 조정. 캠퍼스향 연간 매출 가이던스도 기존 7.5억달러에서 8억달러로 상향 조정. AI 데이터센터뿐만이 아니라 약 35% 매출 비중을 차지하는 엔터프라이즈향 네트워크 수요도 견조하기 때문
● 숫자로 입증되는 기술 경쟁력
- 데이터센터 내 AI 트래픽 증가는 지속될 것. 이에 따라, AI 컴퓨팅 노드간의 연결을 담당하는 고대역폭 네트워크 스위치 수요도 동반 증가할 것. 동사는 Etherlink 로 대표되는 경쟁력 있는 제품 포트폴리오를 갖추고 있을 뿐 아니라, EOS(Extensible Operating System)이라는 자사 네트워크 장비 최적화에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경쟁력도 보유중
- 북미 주요 빅테크 기업모두가 자사 데이터센터에 동사 제품을 활용하고 있고, 경쟁사의 시장 점유율을 지속적으로 탈환하는 모습 등에서 동사의 기술 경쟁력은 증명되고 있음. AI 인프라 수요 지속, 견고한 고객사 포트폴리오, 확대되는 점유율 등을 고려해 동사에 대한 긍정적인 의견을 유지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TechBrayden
* 보고서 원문: https://alie.kr/CWuXRcN
● AI 수요에 기반한 호실적
- 2분기 실적은 매출액 22.0억달러(+10.0% QoQ, +30.4% YoY), 조정 EPS 0.73달러로 컨센서스를 각각 4.6%, 12.3% 상회
- 무엇보다 전체 매출의 40~45%를 차지하는 AI 데이터센터향 네트워크 수요가 견조한 것으로 파악. 데이터센터 내 AI 트래픽 증가가 일반 서버간의 연결인 프론트엔드 네트워크의 대역폭 확대로까지 이어지고 있음. 400G, 800G 등으로의 기술 이전이 관측되기 때문
● 상향되는 연간 매출액 가이던스
- 견조한 AI 네트워크 수요를 고려해 동사는 연간 매출액 가이던스를 기존 82.0억달러(+17.0% YoY)에서 87.5억달러(+25% YoY)로 상향 조정. 영업이익률 가이던스는 작년 42.0% 대비 6.0%p 증가한 48%로 제시
- 올해 전체 데이터센터향 매출액 가이던스는 15억달러에서 15억달러 이상으로 소폭 상향 조정. 캠퍼스향 연간 매출 가이던스도 기존 7.5억달러에서 8억달러로 상향 조정. AI 데이터센터뿐만이 아니라 약 35% 매출 비중을 차지하는 엔터프라이즈향 네트워크 수요도 견조하기 때문
● 숫자로 입증되는 기술 경쟁력
- 데이터센터 내 AI 트래픽 증가는 지속될 것. 이에 따라, AI 컴퓨팅 노드간의 연결을 담당하는 고대역폭 네트워크 스위치 수요도 동반 증가할 것. 동사는 Etherlink 로 대표되는 경쟁력 있는 제품 포트폴리오를 갖추고 있을 뿐 아니라, EOS(Extensible Operating System)이라는 자사 네트워크 장비 최적화에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경쟁력도 보유중
- 북미 주요 빅테크 기업모두가 자사 데이터센터에 동사 제품을 활용하고 있고, 경쟁사의 시장 점유율을 지속적으로 탈환하는 모습 등에서 동사의 기술 경쟁력은 증명되고 있음. AI 인프라 수요 지속, 견고한 고객사 포트폴리오, 확대되는 점유율 등을 고려해 동사에 대한 긍정적인 의견을 유지
Telegram
[한투증권 박상현] 전기전자📱
커버리지: LG전자, 삼성전기, LG이노텍, 이수페타시스, 대덕전자, 심텍, 리노공업, ISC
[한투증권 박상현] 전기전자📱 pinned «[한투증권 박상현/홍예림] 아리스타 네트웍스(ANET USA) 2Q25 Review- 프론트엔드 네트워크로도 확대되는 고대역폭 추세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TechBrayden * 보고서 원문: https://alie.kr/CWuXRcN ● AI 수요에 기반한 호실적 - 2분기 실적은 매출액 22.0억달러(+10.0% QoQ, +30.4% YoY), 조정 EPS 0.73달러로 컨센서스를 각각 4.6%, 12.3% 상회 - 무엇보다 전체…»
[한투증권 박상현/홍예림] 전기전자 Daily News
2025.8.8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TechBrayden
▶ 애플과 삼성의 독자 노선 강화에 Qualcomm의 스마트폰 사업은 더욱 어려워지는 중
https://alie.kr/9XLf7Il
▶ "아이폰17 프로, 더 비싸진다...기본 용량 늘리고 50달러 인상
https://alie.kr/9BW99Pg
▶ 아이폰 첨단칩 설계부터 생산까지…삼성, 10년만에 애플과 협력
https://alie.kr/DEZZiAf
▶ LG전자, 지포스 RTX 5050 탑재 '그램 프로' 출시
https://alie.kr/9XLf73O
▶ 제품 교체와 관세 풀인 수요로 2Q25 태블릿 시장이 13.1% 성장
https://alie.kr/2qYrqO6
2025.8.8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TechBrayden
▶ 애플과 삼성의 독자 노선 강화에 Qualcomm의 스마트폰 사업은 더욱 어려워지는 중
https://alie.kr/9XLf7Il
▶ "아이폰17 프로, 더 비싸진다...기본 용량 늘리고 50달러 인상
https://alie.kr/9BW99Pg
▶ 아이폰 첨단칩 설계부터 생산까지…삼성, 10년만에 애플과 협력
https://alie.kr/DEZZiAf
▶ LG전자, 지포스 RTX 5050 탑재 '그램 프로' 출시
https://alie.kr/9XLf73O
▶ 제품 교체와 관세 풀인 수요로 2Q25 태블릿 시장이 13.1% 성장
https://alie.kr/2qYrqO6
Telegram
[한투증권 박상현] 전기전자📱
커버리지: LG전자, 삼성전기, LG이노텍, 이수페타시스, 대덕전자, 심텍, 리노공업, ISC
[한투증권 박상현/홍예림] 전기전자 Daily News
2025.8.11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TechBrayden
▶ iPhone 17 모델 가격 상승 가능성 높아
미국의 관세 부과에 기인
https://alie.kr/9BWAEKF
▶ 애플의 1000억 달러 투자는 미국 아이폰 제조와 무관할 것
https://alie.kr/ChpJqhZ
▶ 한숨돌린 K반도체…진짜 문제는 스마트폰
스마트폰, 노트북, 서버 등 ‘반도체 파생 제품’의 품목관세에 대한 미국 정부 방침은 미확정
https://alie.kr/NkHByx
▶ 눈 다음 과제는 '두뇌'…갤럭시 S26에 '엑시노스' 탑재 안간힘
https://alie.kr/9BWAEsz
▶ 중국산 ‘아이폰’은 무관세, 베트남산 ‘갤럭시’는 관세?…커지는 우려
https://alie.kr/4Fswm3S
▶ AI 인프라 시대 도래: 전 분야에서 분기별 Capex가 신기록 달성
https://alie.kr/58Sjg4o
▶ 'IFA 2025 동반 출격'…삼성·LG전자, 'AI 홈' 앞세워 유럽 시장 홀릴까
https://alie.kr/9BWAEID
2025.8.11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TechBrayden
▶ iPhone 17 모델 가격 상승 가능성 높아
미국의 관세 부과에 기인
https://alie.kr/9BWAEKF
▶ 애플의 1000억 달러 투자는 미국 아이폰 제조와 무관할 것
https://alie.kr/ChpJqhZ
▶ 한숨돌린 K반도체…진짜 문제는 스마트폰
스마트폰, 노트북, 서버 등 ‘반도체 파생 제품’의 품목관세에 대한 미국 정부 방침은 미확정
https://alie.kr/NkHByx
▶ 눈 다음 과제는 '두뇌'…갤럭시 S26에 '엑시노스' 탑재 안간힘
https://alie.kr/9BWAEsz
▶ 중국산 ‘아이폰’은 무관세, 베트남산 ‘갤럭시’는 관세?…커지는 우려
https://alie.kr/4Fswm3S
▶ AI 인프라 시대 도래: 전 분야에서 분기별 Capex가 신기록 달성
https://alie.kr/58Sjg4o
▶ 'IFA 2025 동반 출격'…삼성·LG전자, 'AI 홈' 앞세워 유럽 시장 홀릴까
https://alie.kr/9BWAEID
Telegram
[한투증권 박상현] 전기전자📱
커버리지: LG전자, 삼성전기, LG이노텍, 이수페타시스, 대덕전자, 심텍, 리노공업, ISC
[한투증권 박상현/홍예림] 대덕전자(353200) NDR 후기: 이번 턴어라운드는 진짜입니다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TechBrayden
* 보고서 원문: https://alie.kr/1ulEaY
● MLB: AI 가속기부터 네트워크, 방산까지 전 응용처 양호
- 2분기 41억원을 기점으로 북미 AI 고객사향 양산 매출 인식이 시작. 차세대 AI 서버 PCB 레이아웃은 기존 UBB, OAM 구조에서 이 둘을 통합한 형태로 변화할 전망. 현재 기술력 기준, 동사는 이러한 흐름에 대응할 수 있는 국내 유일 기업
- 기존 응용처인 네트워크, 방산 등으로부터의 MLB 수요도 견조. 네트워크는 데이터센터 백엔드 스위치(800G 포함) 등으로 응용처가 확대되고 있고, 방산은 레이더 시스템 등의 신규 프로젝트 수주에 성공. AI 가속기향 물량 Ramp-up이 없는 상황에도 가동률은 80% 후반일 정도로 타이트함. 견조한 수요를 근거로 동사는 현재 450억원의 분기 캐파를 내년 상반기 900억원으로 늘릴 계획
● 패키지 기판: 다져진 수요의 바닥
- 메모리 기판은 DDR5, GDDR7, LPDDR5 등 전 응용처에서의 수요 회복이 관측됨. 신제품 차별화 포인트 부재, 온디바이스 AI 완성도 부족 등으로 하반기 컨슈머 IT 세트 수요 둔화 우려는 있지만 양호할 서버 수요(DDR5), 세대 전환 효과 (GDDR7), SoCAMM/LPCAMM으로의 응용처 확대(LPDDR5) 등으로 메모리 매출액은 분기별 계단식 성장이 예상. 현재 90% 초반대 가동률을 고려할 때, 고객사 기판 재고 이슈는 일단락되었다고 판단
- 비메모리 기판도 최악은 지난 것으로 보임. 적자를 지속하고 있는 FC-BGA 수요 회복세가 관측되기 때문. 하반기부터는 전장(ADAS, 센서 등), 데이터센터 버퍼칩 등으로의 응용처 확대도 예상. FC-BGA 가동률은 아직 50% 미만으로 파악되나, 현재 구축한 파이프라인 및 수주 현황을 고려할 때 기업은 26년 상반기면 BEP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
● 양호한 수요와 낮은 기저가 만들어낼 주가 모멘텀
- 3분기 실적 가이던스는 매출액 2,500억원 이상, 영업이익 120억원 이상. 그러나 우리는 매출액 2,715억원(+10.4% QoQ, +16.7% YoY), 영업이익 157억원(+727.9% QoQ, +70.6% YoY, OPM 5.8%)으로 이보다 긍정적으로 3분기를 전망
- MLB는 AI 가속기 물량이 증가하면서 매출액이 15.3% QoQ, 24.2% YoY 증가할 것이고, 패키지 기판은 IT 성수기 진입, 응용처 다변화 등으로 매출액이 9.4% QoQ, 7.8% YoY 늘어날 것. 메모리 고객사 재고 이슈 해소, 응용처 다변화에 따른 비메모리 수요 증가, AI 가속기라는 MLB 신규 응용처 등장 등을 고려할 때 이번 실적 턴어라운드는 구조적으로 안정적이라는 판단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TechBrayden
* 보고서 원문: https://alie.kr/1ulEaY
● MLB: AI 가속기부터 네트워크, 방산까지 전 응용처 양호
- 2분기 41억원을 기점으로 북미 AI 고객사향 양산 매출 인식이 시작. 차세대 AI 서버 PCB 레이아웃은 기존 UBB, OAM 구조에서 이 둘을 통합한 형태로 변화할 전망. 현재 기술력 기준, 동사는 이러한 흐름에 대응할 수 있는 국내 유일 기업
- 기존 응용처인 네트워크, 방산 등으로부터의 MLB 수요도 견조. 네트워크는 데이터센터 백엔드 스위치(800G 포함) 등으로 응용처가 확대되고 있고, 방산은 레이더 시스템 등의 신규 프로젝트 수주에 성공. AI 가속기향 물량 Ramp-up이 없는 상황에도 가동률은 80% 후반일 정도로 타이트함. 견조한 수요를 근거로 동사는 현재 450억원의 분기 캐파를 내년 상반기 900억원으로 늘릴 계획
● 패키지 기판: 다져진 수요의 바닥
- 메모리 기판은 DDR5, GDDR7, LPDDR5 등 전 응용처에서의 수요 회복이 관측됨. 신제품 차별화 포인트 부재, 온디바이스 AI 완성도 부족 등으로 하반기 컨슈머 IT 세트 수요 둔화 우려는 있지만 양호할 서버 수요(DDR5), 세대 전환 효과 (GDDR7), SoCAMM/LPCAMM으로의 응용처 확대(LPDDR5) 등으로 메모리 매출액은 분기별 계단식 성장이 예상. 현재 90% 초반대 가동률을 고려할 때, 고객사 기판 재고 이슈는 일단락되었다고 판단
- 비메모리 기판도 최악은 지난 것으로 보임. 적자를 지속하고 있는 FC-BGA 수요 회복세가 관측되기 때문. 하반기부터는 전장(ADAS, 센서 등), 데이터센터 버퍼칩 등으로의 응용처 확대도 예상. FC-BGA 가동률은 아직 50% 미만으로 파악되나, 현재 구축한 파이프라인 및 수주 현황을 고려할 때 기업은 26년 상반기면 BEP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
● 양호한 수요와 낮은 기저가 만들어낼 주가 모멘텀
- 3분기 실적 가이던스는 매출액 2,500억원 이상, 영업이익 120억원 이상. 그러나 우리는 매출액 2,715억원(+10.4% QoQ, +16.7% YoY), 영업이익 157억원(+727.9% QoQ, +70.6% YoY, OPM 5.8%)으로 이보다 긍정적으로 3분기를 전망
- MLB는 AI 가속기 물량이 증가하면서 매출액이 15.3% QoQ, 24.2% YoY 증가할 것이고, 패키지 기판은 IT 성수기 진입, 응용처 다변화 등으로 매출액이 9.4% QoQ, 7.8% YoY 늘어날 것. 메모리 고객사 재고 이슈 해소, 응용처 다변화에 따른 비메모리 수요 증가, AI 가속기라는 MLB 신규 응용처 등장 등을 고려할 때 이번 실적 턴어라운드는 구조적으로 안정적이라는 판단
Telegram
[한투증권 박상현] 전기전자📱
커버리지: LG전자, 삼성전기, LG이노텍, 이수페타시스, 대덕전자, 심텍, 리노공업, ISC
[한투증권 박상현] 전기전자📱 pinned «[한투증권 박상현/홍예림] 대덕전자(353200) NDR 후기: 이번 턴어라운드는 진짜입니다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TechBrayden * 보고서 원문: https://alie.kr/1ulEaY ● MLB: AI 가속기부터 네트워크, 방산까지 전 응용처 양호 - 2분기 41억원을 기점으로 북미 AI 고객사향 양산 매출 인식이 시작. 차세대 AI 서버 PCB 레이아웃은 기존 UBB, OAM 구조에서 이 둘을 통합한 형태로 변화할 전망.…»
[한투증권 박상현/채민숙/홍예림/황준태] IT H/W – 8월 대만 IT: 갈리는 옥석
● AI 서버 업황은 좋지만, 높아진 기저는 부담 요소
-AI 서버 밸류체인 전반의 실적 흐름은 여전히 견조하게 이어지고 있으나, 기술 경쟁력 및 제품 포트폴리오 차이에 따라 개별 기업의 성장세에는 격차가 나타나는 중
-기판의 핵심 원재료인 CCL 업종도 기업별로 명암이 갈리는 중
-여러 제품군 중 가장 수급이 우호적인 우호적인 제품은 HDI/MLB
-GB300 Ramp-up 등으로 하반기에도 AI 서버 업황은 견조할 것으로 예상되나, 높아진 기저를 극복하고 매출 성장세를 유지할 수 있는 기업의 범위는 점차 좁아지는 중
● 반도체: 대표선수 풀(pool)이 좁아지는 중
-AI서버 관련 밸류체인들의 실적 차별화는 7월에도 지속
- AI 제품 라인업이 없는 레거시 밸류체인들의 실적은 모두 전월대비, 전년동기대비 감소세 지속
-ODM 중 상대적으로 PC 매출 비중이 높은 Inventec 역시 전월대비, 전년동기대비 매출이 감소
-25년 상반기보다는 월별 매출액 증가세를 이어가는 기업의 범위가 점점 좁아지는 중
● 전기전자: 현 시점 기판 대장은 HDI/MLB
-북미 빅테크의 AI 데이터센터 투자 확대에 따른 대만 PCB 기업의 수혜는 지속
-AI 서버 메인보드 등에 활용되는 HDI(or MLB)의 올해 상반기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42% 증가하며 세부 제품 중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임
-Gold Cicuit(국내 이수페타시스 Peer)의 실적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AI 서버 내에서도 가장 수급이 양호한 기판은 메인보드라는 판단
-기판의 핵심 원재료 CCL 공급 3사(국내 두산전자 Peer)의 7월 실적은 고부가가치 대응여부에 따라 기업별로 엇갈림
-AI 서버, 전장용 MLCC 수요 확대는 긍정적이지만 IT MLCC 판가 인하가 MLCC 업황 회복의 걸림돌로 작용하는 중
본문: https://alie.kr/1n4L30T
텔레그램: https://t.me/TechBrayden
● AI 서버 업황은 좋지만, 높아진 기저는 부담 요소
-AI 서버 밸류체인 전반의 실적 흐름은 여전히 견조하게 이어지고 있으나, 기술 경쟁력 및 제품 포트폴리오 차이에 따라 개별 기업의 성장세에는 격차가 나타나는 중
-기판의 핵심 원재료인 CCL 업종도 기업별로 명암이 갈리는 중
-여러 제품군 중 가장 수급이 우호적인 우호적인 제품은 HDI/MLB
-GB300 Ramp-up 등으로 하반기에도 AI 서버 업황은 견조할 것으로 예상되나, 높아진 기저를 극복하고 매출 성장세를 유지할 수 있는 기업의 범위는 점차 좁아지는 중
● 반도체: 대표선수 풀(pool)이 좁아지는 중
-AI서버 관련 밸류체인들의 실적 차별화는 7월에도 지속
- AI 제품 라인업이 없는 레거시 밸류체인들의 실적은 모두 전월대비, 전년동기대비 감소세 지속
-ODM 중 상대적으로 PC 매출 비중이 높은 Inventec 역시 전월대비, 전년동기대비 매출이 감소
-25년 상반기보다는 월별 매출액 증가세를 이어가는 기업의 범위가 점점 좁아지는 중
● 전기전자: 현 시점 기판 대장은 HDI/MLB
-북미 빅테크의 AI 데이터센터 투자 확대에 따른 대만 PCB 기업의 수혜는 지속
-AI 서버 메인보드 등에 활용되는 HDI(or MLB)의 올해 상반기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42% 증가하며 세부 제품 중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임
-Gold Cicuit(국내 이수페타시스 Peer)의 실적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AI 서버 내에서도 가장 수급이 양호한 기판은 메인보드라는 판단
-기판의 핵심 원재료 CCL 공급 3사(국내 두산전자 Peer)의 7월 실적은 고부가가치 대응여부에 따라 기업별로 엇갈림
-AI 서버, 전장용 MLCC 수요 확대는 긍정적이지만 IT MLCC 판가 인하가 MLCC 업황 회복의 걸림돌로 작용하는 중
본문: https://alie.kr/1n4L30T
텔레그램: https://t.me/TechBrayd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