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PB의 생존투자
18.2K subscribers
4.28K photos
23 videos
996 files
2.55K links
치열한 주식시장에서
함께 생존하기 위한 공간입니다.

#Disclaimer
• 업로드 되는 모든 종목은 작성자 및 작성자와 연관된 사람들이 보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 또한 해당 종목 및 상품을 보유 또는 매도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보유하고 있는 경우, 추후 매도할 가능성이 있음을 알립니다.

• 모든 게시글은 외부 압력없이 스스로 작성했으며, 투자에 대한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음을 알립니다.

t.me/Do_PB
Download Telegram
댄 아이브스: 이번 주말의 관세 면제 조치로 인해 빅테크와 시장이 직면했던 종말 시나리오는 사라졌다.

기술주들은 크게 반등할 것이다.

다만, 방금 러트닉 인터뷰에 따르면 백악관은 다음 달에 반도체/기술 분야에 대한 특정 관세를 새롭게 공개할 예정이라고 한다.
이러한 불확실성이 시장에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반도체, 전자제품, 의약품…

나중에는 빤쓰까지 품목별로 관세부과 하겠네
🤩지난주 미국 국채 시장에 대해 웰스파고는 원인을 분석했음.

1. 기대 인플레
2. 외국인 보유 채권 매도
3. 베이시스 트레이드 청산
4. 연준 금리 이하에 대한 프라이싱

위 중 3번의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음.

국채매수- 선물매도 포지션의 청산이 금리 급등에 영향을 주었는데, 이는 시장이 불안할 경우 자산운용사와 헤지펀드가 레버리지 포션을 줄이기 때문이라고 함.

가장 이야기가 많았던 외국인 보유 채권 매도는 오히려 4/2-4/9 간 외국인 국채 보유 규모는 오히려 증가했다고 밟힘.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FDA - 동물 시험 요건 단계적 폐지 계획 발표

1.
FDA는 2025년 4월 10일, ‘단클론 항체 및 기타 약물 개발 과정에서 동물 실험을 단계적으로 폐지”하겠다고 발표했음.

2.
기존 신약개발 체계는 ‘세포실험→동물실험→임상시험’ 의 순차적 구조를 따랐는데, 단계적으로 이루어졌는데 FDA는 AI 기반 독성 예측과 인간 유래 3D 생체모델(오가노이드 등)을 통해, 동물 실험 없이도 임상으로 바로 넘어갈 수 있는 구조를 새롭게 제시했음.

3.
오가노이드는 인간 줄기세포 혹은 체세포를 3D로 배양해 만든 미니장기(Micro Organ)임. 이러한 오가노이드는 동물 없이도 사람 장기 수준의 독성 반응 관찰을 가능하게 하며, 환자 맞춤형 약물 반응을 지원함. 또한 재현이 어려웠던 유전병에 대한 연구가 가능해져 희귀질환에 대한 연구도 가능해짐.

4.
FDA가 동물 실험 요건을 단계적으로 폐지하겠다고 발표 후, 그 대안으로 NAM(New Approach Methodologies)를 도입하겠다는 로드맵을 제시했음.

5.
NAM은 동물 없이 신약의 독성, 약효를 평가하는 차세대 평가 방법 기술임. FDA에서 NAM 도입 로드맵을 제시한 것은, NAM 기반 기술이 과거 ‘보조적’ 단계를 넘어서 공식 평가 근거로 인정받기 시작했다는 것임.
- AI 기반 예측 모델
- 마이크로플루이딕스 기반 장기 칩
- 고해상도 비염색 3D 이미징(토모큐브)
- AI 기반 독성 모델링 → 약물이 인체에 어떤 영향을 줄 지를 AI로 예측
- 사람 유래 세포 기반 3D 시험 → 오가노이드, 라이브 셀, 홀로토모그래피 기반 3D 세포 실험
- 임상시험 전 사전 IND 접수 가능 → NAM 데이터를 IND로 바로 제출 가능(동물 실험 없이 IND 신청 가능)

6.
FDA의 단계별 계획은 아래와 같음
- 1단계
- 즉시 적용, 일부 NAM 기반 데이터를 기존 동물 실험으로 대체할 수 있음.
- 2단계
- 1~2년 내 적용, 항체 및 일부 약물 → IND(임상 시험 계획 신청) 시 NAM 데이터 인정
- 3단계
- 중장기 적용, 동물 실험 요건 폐지, NAM 플랫폼 중심 임상 설계 가능
- 병행전략
- 기존 글로벌 기준과 병행 적용하여 타국 규제 기관도 동시 전환을 유도

7.
따라서 향후 기존 제약사들의 실험 구조가 바뀌고, AI와 실험 장비 업체가 신약개발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게 될 것임. 또한 SW 수요 또한 급증할 것으로 예상됨.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Forwarded from 아레테 PC방
#TMDX
도XX님 차트 돌파했다고 좋아할 모습이 눈에 선하다
Forwarded from 루팡
Wedbush, 팔란티어 목표주가 120달러 유지 – “아웃퍼폼” 의견 재확인

나토(NATO)와의 AI 계약

Wedbush의 긍정적 평가에는 Palantir가 NATO와 체결한 새로운 AI 기반 군사 시스템 공급 계약이 크게 작용했습니다.
이 시스템은 Maven Smart System으로, 범용 AI, 머신러닝, 대형 언어 모델(LLM)을 결합하여 정보 융합, 전장 상황 인식, 데이터 관리 및 빠른 의사결정을 지원합니다.

Wedbush의 Dan Ives 애널리스트는 이 계약을 "Palantir의 연방 정부 내 영향력 확대"를 상징하는 중대한 성과로 평가하며, AI 기반 방산 기술에서의 독보적 입지를 강조했습니다.

NATO와의 계약이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 솔루션에 대한 강력한 수요를 보여준다고 강조. 이는 팔란티어가 각국 정부기관으로부터 더 많은 계약을 수주할 것이라는 전망을 지지.

NATO의 시스템 구매 계약은 구체적인 사항이 공개되지 않았지만, 국방 부문에서 강력한 인공지능 솔루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그러한 관심이 팔란티어의 수주로 연결되고 있음을 보여줌

Ives는 특히 정부 및 민간 부문 모두에서 AI 수요가 폭증할 것으로 전망하며, Palantir가 보안이 요구되는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특화된 소프트웨어를 통해 이를 선도할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

또한 Ives는 Palantir가 "AI 연방 지출의 물결(tidal wave)"에 있어 전략적으로 최적의 위치에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유럽의 재무장 X Palantir MSS NATO

팔란티어의 MSS NATO는 NATO 회원국별 전장 시스템에 순차 적용될 예정이며, 향후 EU 방위기금을 통한 추가 채택, 각국의 디지털 군 개혁 프로그램과의 연계가 가능함. 또한 이 모델은 인도, 일본, 호주 등 민주주의 안보 협력국으로 확산될 수 있는 글로벌 표준 전장 OS가 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음.

팔란티어의 CEO인 Alex Carp는 이렇게 이야기 했음.

"팔란티어는 중국/러시아 공산당과의 어떠한 판매 기회도 고려하지 않으며, 자사의 플랫폼을 중국 내에서 호스팅하지 않을 것"

어쩌면 이번 협력은 서방 진영과 반서방 진영의 이념이 더욱 뚜렷해진 계기가 될수도 있음.

https://blog.naver.com/survivaldopb/223833632067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변동성 축소에 집중해야 할 타이밍.

끝나지 않았을 수 있지만, 변동성은 고점을 찍고 내려오는 그림입니다.

문제는 여전히 관세에 대한 노이즈가 끝나지 않았다는 거겠죠.

전일도 잘 가던 나스닥이 의약품 관세 빔이 나오면서 일부 밀렸습니다. 그나마 다행인건 시장의 반응이 조금은 덜해졌다는 것이겠죠.

그래서 지금은 방향성 그 자체보다는 변동성이 줄어드는 것 자체에 집중해야 할 타이밍이라고 생각합니다.

https://blog.naver.com/survivaldopb/223833844511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테슬라:
“어느 날 그것은(Unsupervised FSD) 당신의 집까지 직접 운전해 올 것입니다.”

일론:
“This year”
Forwarded from 루팡
트럼프, 메디케어 약가 개혁 관련 행정명령 서명 - 블룸버그

• 백악관, 언론에 보건의료 관련 조치 브리핑
• 노동부, 중개 수수료 공개 규정 마련 지시
• 의회에 IRA(인플레이션 감축법) 약가 협상 개혁 촉구
• FDA, 의약품 수입 승인 절차 가속화 지시
• 메디케어 약가를 병원 할인 수준에 맞추도록 행정명령 추진
• 약가 인하를 목표로 하는 여러 정책 변경 시행
Forwarded from 루팡
엔비디아는 미국 정부가 H20 칩이 중국의 슈퍼컴퓨터에 사용될 가능성 등 국가 안보 위험을 이유로 해당 칩의 대(對)중국 수출을 무기한 금지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NVIDIA는 4월 27일 마감되는 회계연도 1분기에 H20 관련 재고, 구매 계약, 관련 충당금과 관련해 최대 55억 달러의 손실을 반영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미국 반도체 장비 제조업체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로 연간 10억 달러 이상 손실 예상

소식통에 따르면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AMAT), 램 리서치(LRCX), KLA 코퍼레이션(KLAC) 각각 연간 3억 5천만 달러의 관세 부담 추정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엔비디아, 중국 수출에 대한 새로운 제한으로 55억 달러의 비용 발생

Nvidia Corp.는 미국 정부가 자사의 H20 칩의 중국 수출을 제한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로 인해 회사가 이전의 규제를 충족하기 위해 설계한 제품 라인이 타격을 입게 되었습니다.

미국 정부는 월요일에 Nvidia에 H20이 “무기한” 동안 중국으로 수출하려면 라이선스가 필요하다고 통보했다고 회사는 규제 신고에서 밝혔습니다.

화요일. 정부는 새로운 규칙이 “해당 제품이 중국의 슈퍼컴퓨터에 사용되거나 중국으로 유출될 수 있다는 우려를 해소한다”고 말했다.

엔비디아는 H20 라인과 관련된 “재고, 구매 약정 및 관련 준비금”으로 인해 회계연도 1분기 동안 약 55억 달러의 비용이 발생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발표 후 늦은 거래에서 주가는 약 5% 하락했다.

블룸버그 뉴스는 지난 1월 트럼프 행정부가 이러한 조치를 모색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H20은 인공지능 소프트웨어와 서비스를 개발하고 실행하는 데 사용할 수 있지만, 너무 강력하지 않도록 특별히 설계된 축소판 제품입니다.

엔비디아는 규제를 더욱 강화하면 중국이 미국 기술로부터 독립하려는 의지를 강화하고 미국 기업을 약화시킬 뿐이라고 주장했습니다.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C풋 럼프
🤩금 vs 미국채, 자본은 어디로 흐를 것인가?

https://blog.naver.com/survivaldopb/223835822594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차트 와이라노
중국,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존중을 보인다면 대화에 열려 있다

내각 구성원 통제를 요구하고 일관성 있는 태도 촉구

대화에서 대만과 제재에 대한 우려를 다루길 원해

Bloomberg
도PB의 생존투자
차트 와이라노
음.. 정신 못차릴 만 했구나
도PB의 생존투자
중국,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존중을 보인다면 대화에 열려 있다 내각 구성원 통제를 요구하고 일관성 있는 태도 촉구 대화에서 대만과 제재에 대한 우려를 다루길 원해 Bloomberg
중국 정부, “트럼프 대통령이 존중 보이면 협상 응할 것”… 대표 협상가 지정도 요구 - 블룸버그

중국 정부는 미국과의 무역 협상에 응하기 전, 트럼프 행정부가 몇 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사안에 정통한 관계자에 따르면, 중국은 협상에 앞서 미국 측이 먼저 “존중”을 보여야 한다고 보고 있으며, 이를 위해 트럼프 행정부 내 각료들의 모욕적 발언을 자제시키는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이 외에도 중국은 미국 측이 대(對)중국 정책에서 일관성을 보이고, 중국이 제기해온 제재 및 대만 문제와 관련한 우려사항들을 협상 테이블에서 진지하게 다룰 의지가 있어야 한다고 보고 있다. 중국은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신뢰할 수 있는 공식 대표 협상가를 지정해, 향후 시진핑 주석과의 정상회담에서 합의에 이를 수 있도록 준비할 수 있는 인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관계자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이 시 주석에 대해 직접적으로는 비교적 온건한 태도를 보여온 반면, 행정부 고위 인사들은 보다 강경한 발언을 일삼아 중국 내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고 한다. 특히, 부통령 J.D. 밴스가 최근 한 연설에서 “중국 농민”을 비하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 발언을 하자, 중국 외교부는 “무지하고 무례하다”며 공식 반발한 바 있다.

중국은 또한 미국이 자국의 현대화와 기술 발전을 억제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다는 인식을 강하게 갖고 있으며, 최근 미국이 엔비디아의 H20 칩에 대한 대중 수출을 전면 금지한 조치 역시 이러한 맥락의 연장선으로 보고 있다.

대만 문제 역시 협상의 핵심 쟁점 중 하나다. 중국은 대만을 자국의 영토로 간주하며, 필요할 경우 무력 사용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중국은 먼저 도발하지는 않겠지만, 도발이 있을 경우 반드시 대응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끝으로 중국은 미국이 공식 협상 대표를 지명하길 원하고 있다. 이는 특정 인물을 지정하라는 요구가 아니라, 트럼프 대통령의 전폭적인 신뢰와 권한을 부여받은 인물이 협상을 주도해야 한다는 의미다. 물론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협상을 이끌고 싶어한다면 중국은 이를 영광으로 받아들일 것이지만, 실무협상을 통해 정상회담의 실질적 성과를 도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