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시 데사이 백악관 부대변인은 대중 관세 인하 검토와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이 미국과 합의해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며 "관세 관련 결정은 대통령이 직접 내릴 것이다. 그 외의 결정은 모두 완전히 추측일뿐"이라고 말했다.
Forwarded from Brain and Body Research
美, 엔비디아 수출 막았지만…“中기업들, 1년치 이미 비축”
- 바이트댄스·텐센트 등 1년치 긴급 주문
- 수십억 달러 상당 규모 H20 이미 확보
- “美 H20 수출 제한, 예상됐던 일”
23일 닛케이 아시아는 소식통을 인용해 틱톡의 모회사 바이트댄스, 알리바바, 텐센트가 지난해부터 미국이 H20 대중 수출을 제한할 가능성에 대비했다고 보도했다. 이들 3개 회사는 엔비디아에 H20 칩 100만개, 즉 1년치 분량을 늦어도 오는 5월까지 가능한 빨리 공급해달라고 요청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이달 H20 대중 수출을 금지하면서 실제 공급된 물량은 이보다 적었다고 소식통은 부연했다.
이 같은 긴급 주문의 가치는 120억 달러(약 17조원) 이상으로, 이미 수십억 달러 상당 규모의 H20이 이들 기업에 공급됐다. 3개 회사 중 바이트댄스가 가능한 한 많은 H20 칩을 확보하기 위해 공격적으로 움직였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217686642139072&mediaCodeNo=257
- 바이트댄스·텐센트 등 1년치 긴급 주문
- 수십억 달러 상당 규모 H20 이미 확보
- “美 H20 수출 제한, 예상됐던 일”
23일 닛케이 아시아는 소식통을 인용해 틱톡의 모회사 바이트댄스, 알리바바, 텐센트가 지난해부터 미국이 H20 대중 수출을 제한할 가능성에 대비했다고 보도했다. 이들 3개 회사는 엔비디아에 H20 칩 100만개, 즉 1년치 분량을 늦어도 오는 5월까지 가능한 빨리 공급해달라고 요청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이달 H20 대중 수출을 금지하면서 실제 공급된 물량은 이보다 적었다고 소식통은 부연했다.
이 같은 긴급 주문의 가치는 120억 달러(약 17조원) 이상으로, 이미 수십억 달러 상당 규모의 H20이 이들 기업에 공급됐다. 3개 회사 중 바이트댄스가 가능한 한 많은 H20 칩을 확보하기 위해 공격적으로 움직였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217686642139072&mediaCodeNo=257
이데일리
美, 엔비디아 수출 막았지만…“中기업들, 1년치 이미 비축”
미국 정부가 엔비디아의 대중(對中) 수출 통제를 강화한 가운데 중국 주요 기술기업들이 일찌감치 수십억 달러 규모의 엔비디아의 중국용 AI 칩인 ‘H20’을 비축해 놓은 것으로 나타났다. 알리바바 사옥.23일 닛케이 아시아는 소식통을 인용해 틱톡의 모회사 바이트댄스...
Forwarded from AWAKE 플러스
📌 삼성바이오로직스(시가총액: 75조 8,715억)
📁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2025.04.23 15:36:57 (현재가 : 1,066,000원, 0%)
매출액 : 12,983억(예상치 : 12,108억+/ 7%)
영업익 : 4,867억(예상치 : 3,550억/ +37%)
순이익 : 3,756억(예상치 : 2,843억+/ 32%)
**최근 실적 추이**
매출/영업익/순익/예상대비 OP
2025.1Q 12,983억/ 4,867억/ 3,756억/ +37%
2024.4Q 12,564억/ 3,257억/ 3,215억/ +13%
2024.3Q 11,871억/ 3,386억/ 2,645억/ +11%
2024.2Q 11,569억/ 4,345억/ 3,180억/ +42%
2024.1Q 9,469억/ 2,213억/ 1,794억/ 0%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3800326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207940
📁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2025.04.23 15:36:57 (현재가 : 1,066,000원, 0%)
매출액 : 12,983억(예상치 : 12,108억+/ 7%)
영업익 : 4,867억(예상치 : 3,550억/ +37%)
순이익 : 3,756억(예상치 : 2,843억+/ 32%)
**최근 실적 추이**
매출/영업익/순익/예상대비 OP
2025.1Q 12,983억/ 4,867억/ 3,756억/ +37%
2024.4Q 12,564억/ 3,257억/ 3,215억/ +13%
2024.3Q 11,871억/ 3,386억/ 2,645억/ +11%
2024.2Q 11,569억/ 4,345억/ 3,180억/ +42%
2024.1Q 9,469억/ 2,213억/ 1,794억/ 0%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3800326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207940
Forwarded from [하나 이준호] 인터넷/게임
EU, 애플에게 5억 유로, 메타에게 2억 유로 벌금 부과
DMA에 의거하여 진행. 애플은 앱 스토어에 대한 규정의 규칙을 위반하여 5억 유로 벌금, 메타는 EU 사용자가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의 광고 없는 버전에 접근하기 위해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유료 또는 동의" 광고 모델에 대해 2억 유로의 벌금
벌금에 더해, 애플에는 6월 말까지 추가 변경 요구하는 시정 명령. 메타는 변경 사항을 평가중
https://www.politico.eu/article/eu-fines-apple-meta-breaking-europe-digital-markets-act-dma/
DMA에 의거하여 진행. 애플은 앱 스토어에 대한 규정의 규칙을 위반하여 5억 유로 벌금, 메타는 EU 사용자가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의 광고 없는 버전에 접근하기 위해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유료 또는 동의" 광고 모델에 대해 2억 유로의 벌금
벌금에 더해, 애플에는 6월 말까지 추가 변경 요구하는 시정 명령. 메타는 변경 사항을 평가중
https://www.politico.eu/article/eu-fines-apple-meta-breaking-europe-digital-markets-act-dma/
POLITICO
EU fines Apple €500M and Meta €200M for breaking Europe’s digital rules – POLITICO
The highly anticipated penalties are the first to be issued under the bloc’s Digital Markets Act.
Forwarded from [하나 채권 김상훈] 후니본(Bond)
< 하루 사이에 시장은 롤러코스터 >
1️⃣ 트럼프는 중국에 대한 관세가 145%로 높지 않을 것이며 "상당히 낮아질 것 (will come down substantially)"이라 언급
2️⃣ 베센트는 "중국과의 긴장 완화 (de-escalation with China)"가 다가오고 있다고 언급
3️⃣ WSJ는 중국에 대한 관세가 50~65%로 낮아질 것이라고 보도
4️⃣ 베센트는 “미국이 우선"이라는 말은 미국 혼자라는 뜻이 아니다 (first does not mean America alone)”라고 언급
5️⃣ 베센트는 3️⃣ WSJ 보도에 대한 코멘트를 거부
6️⃣ 베센트는 트럼프가 중국에 대한 관세를 일방적으로 인하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밝힘
7️⃣ 베센트는 미중 무역협상이 2~3년 걸릴 것이라 언급
1️⃣ 트럼프는 중국에 대한 관세가 145%로 높지 않을 것이며 "상당히 낮아질 것 (will come down substantially)"이라 언급
2️⃣ 베센트는 "중국과의 긴장 완화 (de-escalation with China)"가 다가오고 있다고 언급
3️⃣ WSJ는 중국에 대한 관세가 50~65%로 낮아질 것이라고 보도
4️⃣ 베센트는 “미국이 우선"이라는 말은 미국 혼자라는 뜻이 아니다 (first does not mean America alone)”라고 언급
5️⃣ 베센트는 3️⃣ WSJ 보도에 대한 코멘트를 거부
6️⃣ 베센트는 트럼프가 중국에 대한 관세를 일방적으로 인하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밝힘
7️⃣ 베센트는 미중 무역협상이 2~3년 걸릴 것이라 언급
Forwarded from 하나증권 건설 김승준
중동 경제 전문 매체 MEED는 타카가 GS이니마 스페인 본사에 GS이니마 매입을 목표로 하는 구속력 있는 인수 제안서(binding offer)를 제출했다고 2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제안한 인수 가격은 8억3천600만∼14억 달러(약 1조1천895억∼1조9천925억원)로 전해졌다.
https://naver.me/x8t543Ut
제안한 인수 가격은 8억3천600만∼14억 달러(약 1조1천895억∼1조9천925억원)로 전해졌다.
https://naver.me/x8t543Ut
Naver
"UAE 국영기업, GS건설 자회사 GS이니마에 인수제안서 제출"
중동 매체 보도…인수 금액 1조2천억∼2조원 제안 GS건설이 매각을 검토 중인 수처리 자회사 GS이니마에 대해 아랍에미리트(UAE) 국영 석유회사 타카(TAQA)가 인수 제안서를 낸 것으로 전해졌다. 중동 경제 전문
Forwarded from [메리츠 Tech 김선우, 양승수, 김동관]
[메리츠증권 전기전자/IT부품 양승수]
LG이노텍(011070): 끝나지 않는 경사
- 1Q25 연결 매출액(4.9조원)과 영업이익(1,251억원)은 각각 시장 컨센서스를 11.7%, 17.5% 상회
- 관세 부과 전 재고 비축 수요와 긍정적인 환율 효과에 힘입어 광학솔루션 외형이 기대를 상회한 영향
- 다만 컨센서스는 상회했으나 전년부터 높아진 원재료 부담이 지속되며 외형 성장에 비해 다소 아쉬운 수익성을 기록
- 2분기는 래거시 모델에 대한 재고조정이 진행되는 전형적인 애플 공급망의 비수기로, 올해는 1분기 중 발생한 재고 비축 수요 영향으로 예년 대비 강도 높은 재고조정을 예상
- 이를 반영하여 2Q25 영업이익은 시장 컨센서스를 9.8% 하회하는 730억원을 전망
- 관세 영향으로 하반기 IT 세트 수요의 불확실성이 확대 중. 이는 관세 부과 전 조기 구매가 발생하였고, 관세 전가에 따른 소비 위축 가능성이 높기 때문
- 특히 북미 지역 중심의 IT 수요 둔화가 우려되는 가운데, 2024년 고객사 출하량의 28%를 북미가 차지했다는 점은 큰 부담 요인
- 또한 다른 핵심 시장인 중국에서도 수요 부진이 심화되는 중(그림7).
- 올해 기대요인이었던 Apple Intelligence의 업데이트마저 지연되었기 때문에 하반기 고객사 출하 전망에 대한 보수적인 접근이 필요한 시점이라 판단
- 주가가 역사적 저점에 위치한 만큼, 단기 트레이딩 기회는 존재
- 예를 들어 5월 2일 오전 6시(한국시간) 예정된 애플 실적 발표에서 2Q25 및 하반기(2H25)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이 제시될 경우, 주가의 단기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
- 다만 동사를 둘러싼 구조적인 시장 우려는 여전히 해소되기 어려운 상황으로 판단
- 투자의견은 Buy를 유지하나, 적정주가는 12MF BPS 253,406원에 ‘24년 저점 P/B 0.69배를 부여, 18만원으로 하향 제시
https://vo.la/nppjiH (링크)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LG이노텍(011070): 끝나지 않는 경사
- 1Q25 연결 매출액(4.9조원)과 영업이익(1,251억원)은 각각 시장 컨센서스를 11.7%, 17.5% 상회
- 관세 부과 전 재고 비축 수요와 긍정적인 환율 효과에 힘입어 광학솔루션 외형이 기대를 상회한 영향
- 다만 컨센서스는 상회했으나 전년부터 높아진 원재료 부담이 지속되며 외형 성장에 비해 다소 아쉬운 수익성을 기록
- 2분기는 래거시 모델에 대한 재고조정이 진행되는 전형적인 애플 공급망의 비수기로, 올해는 1분기 중 발생한 재고 비축 수요 영향으로 예년 대비 강도 높은 재고조정을 예상
- 이를 반영하여 2Q25 영업이익은 시장 컨센서스를 9.8% 하회하는 730억원을 전망
- 관세 영향으로 하반기 IT 세트 수요의 불확실성이 확대 중. 이는 관세 부과 전 조기 구매가 발생하였고, 관세 전가에 따른 소비 위축 가능성이 높기 때문
- 특히 북미 지역 중심의 IT 수요 둔화가 우려되는 가운데, 2024년 고객사 출하량의 28%를 북미가 차지했다는 점은 큰 부담 요인
- 또한 다른 핵심 시장인 중국에서도 수요 부진이 심화되는 중(그림7).
- 올해 기대요인이었던 Apple Intelligence의 업데이트마저 지연되었기 때문에 하반기 고객사 출하 전망에 대한 보수적인 접근이 필요한 시점이라 판단
- 주가가 역사적 저점에 위치한 만큼, 단기 트레이딩 기회는 존재
- 예를 들어 5월 2일 오전 6시(한국시간) 예정된 애플 실적 발표에서 2Q25 및 하반기(2H25)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이 제시될 경우, 주가의 단기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
- 다만 동사를 둘러싼 구조적인 시장 우려는 여전히 해소되기 어려운 상황으로 판단
- 투자의견은 Buy를 유지하나, 적정주가는 12MF BPS 253,406원에 ‘24년 저점 P/B 0.69배를 부여, 18만원으로 하향 제시
https://vo.la/nppjiH (링크)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Forwarded from AWAKE - 실시간 주식 공시 정리채널
2025.04.24 07:43:04
기업명: SK하이닉스(시가총액: 131조 7,684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176,391억(예상치 : 173,839억+/ 1%)
영업익 : 74,405억(예상치 : 66,324억/ +12%)
순이익 : 81,071억(예상치 : 53,761억+/ 51%)
**최근 실적 추이**
2025.1Q 176,391억/ 74,405억/ 81,071억
2024.4Q 197,670억/ 80,828억/ 80,065억
2024.3Q 175,731억/ 70,300억/ 57,534억
2024.2Q 164,233억/ 54,685억/ 41,200억
2024.1Q 124,296억/ 28,860억/ 19,170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4800003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00660
기업명: SK하이닉스(시가총액: 131조 7,684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176,391억(예상치 : 173,839억+/ 1%)
영업익 : 74,405억(예상치 : 66,324억/ +12%)
순이익 : 81,071억(예상치 : 53,761억+/ 51%)
**최근 실적 추이**
2025.1Q 176,391억/ 74,405억/ 81,071억
2024.4Q 197,670억/ 80,828억/ 80,065억
2024.3Q 175,731억/ 70,300억/ 57,534억
2024.2Q 164,233억/ 54,685억/ 41,200억
2024.1Q 124,296억/ 28,860억/ 19,170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4800003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00660
Forwarded from 신한 리서치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KS) - 1Q25 서프라이즈, 전년비 40% 이상 성장』
기업분석부 엄민용 ☎️02-3772-1546
▶️ 신한생각: 관세 우려 불식시키는 연간 가이던스 유지!
연결 기준 1분기 영업이익 4,867억원 달성하며 기존 추정치 크게 상회. 최근 미국 관세 영향 우려로 미국 내 제조시설 보유한 CDMO 계약 증가 추세이나 이를 불식시키는 실적. 내부거래 감소 및 우호적 환율 효과 지속
▶️ 1Q25 Review: 내부거래 줄고 해외 매출 증가로 높은 수익성 달성
연결 기준 매출액 1조 2,983억원(+37%, 이하 전년 동기 대비) 및 영업이익 4,867억원(+120%, OPM 37.5%)으로 역대 최대 실적 기록. 로직스의 내부거래 감소와 4공장의 안정적 Ramp-up에 기반한 매출 증가, 에피스의 바이오시밀러 판매 호조와 높은 환율까지 우호적인 상황 지속
별도 기준 로직스는 전년비 매출 49% 성장해 연간 매출 가이던스 20~25% 성장 부합할 것으로 예상. 에피스는 기존 제품 매출 성장 및 신제품 SB17 미국 출시로 전년비 매출 43% 증가. 바이오시밀러 제품 매출(마일스톤 제외) 20% 성장 전망하며 양사 모두 우호적 실적 성장 기대
4월 22일 리제네론이 미국 내 제조시설 보유한 일본 후지필름과 4.3조원 규모 제조 및 공급 계약을 체결하며 미국 관세를 의식하는 듯한 의사결정. 그러나, 로직스는 미국 내 제조시설 없이도 지난 1월 유럽 소재 제약사와 2조원 수준의 역대 최대 규모 수주 계약 체결하며 총 누적 수주 178억달러 달성. 미국 관세 우려 불식 및 의약품 품목 관세 지속 모니터링 중
▶️ Valuation & Risk
4공장 매출의 고속 성장, ADC 생산시설 가동 및 4월 완공된 제2바이오캠퍼스의 5공장 가동 개시 등을 고려해 실적 전망치 상향. 목표주가 1,350,000원으로 상향 및 투자의견 매수 유지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4789
위 내용은 2025년 4월 24일 07시 17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기업분석부 엄민용 ☎️02-3772-1546
▶️ 신한생각: 관세 우려 불식시키는 연간 가이던스 유지!
연결 기준 1분기 영업이익 4,867억원 달성하며 기존 추정치 크게 상회. 최근 미국 관세 영향 우려로 미국 내 제조시설 보유한 CDMO 계약 증가 추세이나 이를 불식시키는 실적. 내부거래 감소 및 우호적 환율 효과 지속
▶️ 1Q25 Review: 내부거래 줄고 해외 매출 증가로 높은 수익성 달성
연결 기준 매출액 1조 2,983억원(+37%, 이하 전년 동기 대비) 및 영업이익 4,867억원(+120%, OPM 37.5%)으로 역대 최대 실적 기록. 로직스의 내부거래 감소와 4공장의 안정적 Ramp-up에 기반한 매출 증가, 에피스의 바이오시밀러 판매 호조와 높은 환율까지 우호적인 상황 지속
별도 기준 로직스는 전년비 매출 49% 성장해 연간 매출 가이던스 20~25% 성장 부합할 것으로 예상. 에피스는 기존 제품 매출 성장 및 신제품 SB17 미국 출시로 전년비 매출 43% 증가. 바이오시밀러 제품 매출(마일스톤 제외) 20% 성장 전망하며 양사 모두 우호적 실적 성장 기대
4월 22일 리제네론이 미국 내 제조시설 보유한 일본 후지필름과 4.3조원 규모 제조 및 공급 계약을 체결하며 미국 관세를 의식하는 듯한 의사결정. 그러나, 로직스는 미국 내 제조시설 없이도 지난 1월 유럽 소재 제약사와 2조원 수준의 역대 최대 규모 수주 계약 체결하며 총 누적 수주 178억달러 달성. 미국 관세 우려 불식 및 의약품 품목 관세 지속 모니터링 중
▶️ Valuation & Risk
4공장 매출의 고속 성장, ADC 생산시설 가동 및 4월 완공된 제2바이오캠퍼스의 5공장 가동 개시 등을 고려해 실적 전망치 상향. 목표주가 1,350,000원으로 상향 및 투자의견 매수 유지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4789
위 내용은 2025년 4월 24일 07시 17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Forwarded from [신한 인터넷/게임 강석오]
[신한투자증권 인터넷/게임 강석오, 고준혁]
시프트업; 신규 매출 기대감과 공백 우려 공존
▶️ 신한생각: 주요 이벤트 2Q25에 집중되어 주가 변동성 확대 전망
- 5~6월 지역/플랫폼 확장 기대감에 트레이딩 수요 증가, 주가 반등
- 2Q 이후 공백에 대한 우려 해소하지 못하면 추가 주가 상승 제한적일 것
▶️ 1Q25 Preview: <승리의여신:니케> 과금 강도 조절
- 1분기 영업수익 410억원, 영업이익 265억원 전망 ( vs 컨센 259억)
- <니케>는 2분기 2.5주년 업데이트를 앞두고 1분기 과금 강도 조절
- 5월 <니케> 중국, 6월 <스텔라블레이드> PC 출시 확정
- <니케> 중국은 일매출 8~10억원 수준 추정, 미래시와 디자인 리스크 존재
- <스텔라블레이드> PC 출시 후 1년간 약 170만장 이상 판매량 기록 전망
▶️Valuation & Risk: 지역/플랫폼 확장 기대감과 신작 공백 우려 공존
- 투자의견 '매수’ , 목표주가 66,000원 유지
- 개발력과 흥행 성공률에서 높은 평가, 2분기 이후 공백에 대한 우려 해소 필요
- <스텔라블레이드> 시퀄과 <프로젝트 위치스>에 대한 콘텐츠 및 출시시기 정보 공개되어야 할 것
- 일정 수준의 흥행이 컨센서스에 이미 반영, 추가 주가 상승을 위해서는 서프라이즈 수준의 성과 필요
신한 인터넷/게임 텔레 채널
https://t.me/seokokang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4796
위 내용은 2025년 4월 24일 07시 35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시프트업; 신규 매출 기대감과 공백 우려 공존
▶️ 신한생각: 주요 이벤트 2Q25에 집중되어 주가 변동성 확대 전망
- 5~6월 지역/플랫폼 확장 기대감에 트레이딩 수요 증가, 주가 반등
- 2Q 이후 공백에 대한 우려 해소하지 못하면 추가 주가 상승 제한적일 것
▶️ 1Q25 Preview: <승리의여신:니케> 과금 강도 조절
- 1분기 영업수익 410억원, 영업이익 265억원 전망 ( vs 컨센 259억)
- <니케>는 2분기 2.5주년 업데이트를 앞두고 1분기 과금 강도 조절
- 5월 <니케> 중국, 6월 <스텔라블레이드> PC 출시 확정
- <니케> 중국은 일매출 8~10억원 수준 추정, 미래시와 디자인 리스크 존재
- <스텔라블레이드> PC 출시 후 1년간 약 170만장 이상 판매량 기록 전망
▶️Valuation & Risk: 지역/플랫폼 확장 기대감과 신작 공백 우려 공존
- 투자의견 '매수’ , 목표주가 66,000원 유지
- 개발력과 흥행 성공률에서 높은 평가, 2분기 이후 공백에 대한 우려 해소 필요
- <스텔라블레이드> 시퀄과 <프로젝트 위치스>에 대한 콘텐츠 및 출시시기 정보 공개되어야 할 것
- 일정 수준의 흥행이 컨센서스에 이미 반영, 추가 주가 상승을 위해서는 서프라이즈 수준의 성과 필요
신한 인터넷/게임 텔레 채널
https://t.me/seokokang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4796
위 내용은 2025년 4월 24일 07시 35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Forwarded from RSS
제이브이엠, 1Q25 Preview_IBK투자증권
https://blog.naver.com/knpu87/223844588443?fromRss=true&trackingCode=rss
https://blog.naver.com/knpu87/223844588443?fromRss=true&trackingCode=rss
NAVER
제이브이엠, 1Q25 Preview_IBK투자증권
제이브이엠의 1분기 매출은 428억원(YoY +7%), 영업이익 86억원(YoY +18.2%)으로 추정된다. 매출 대비 영업이익 성장이 두드러지는 이유는 좋은 수출 실적 덕분이다. 4분기는 동사의 계절적 성수기로 최근 2년 동안 4분기 실적은 수출이 내수를 앞서며 이익률 개선세가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