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그널랩] Signal Lab 리서치
11.1K subscribers
18.5K photos
528 videos
479 files
108K links
📌시그널랩은 증권사/자산운용사와 함께합니다

.투자의 미래를 구독하세요
.투자의 혁신 - visual invest tech
.시그널엔진 글로벌 분석종목 & 리서치 제공
.정부가 지원하는 특허 투자솔루션
.삼성/신한/우리/하이/DB/IBK/BNK증권/한경/KRX 제공

.팀소개: https://naver.me/5wHMEqSk
.솔루션: https://naver.me/FjjdX9Hh
.SNS: moneystation.net/user/siglab
Download Telegram
Media is too big
VIEW IN TELEGRAM
📌 [공지] 운영 텔레그램 채널 소개

1️⃣ 시그널랩
리서치
👉 https://t.me/siglab

2️⃣ 시그널랩 리서치 프리미엄
👉 https://t.me/siglab_premium

3️⃣ 머니스테이션
소셜 투자 콘텐츠
👉 https://t.me/moneystation_best

• The Choice of a New Generation
• '실전성'과 '간결성' 돈 되는 투자 인사이트
• 무한한 집단지성 투자 아이디어 연결
• 앞서가는 투자자의 '새로운 아이콘'
• '공유'는 채널 운영에 이 됩니다
반도체 공급망 '그들만의 리그'...독점으로 시작해 독점으로 끝나

- 채굴부터 설계, 생산, 패키징 등 전 공정이 국가별로 긴밀하게 연결

https://www.chosun.com/economy/weeklybiz/2025/05/22/QOQJ4ZE2DBDVBCUFNQKAIU3J2U/
<Economist> How Walmart became a tech giant—and took over the world

- 월마트, 기술 기업으로 변신하며 세계 유통 지배

✔️ 기술 기반 혁신: 1980년대 입사한 CEO 더그 맥밀런의 지휘 아래 월마트는 자동화와 AI를 접목해 운영을 디지털화. 로봇창고·AI 배송 최적화 등으로 물류 효율을 극대화하며 아마존 위협을 정면 돌파.

✔️ 전자상거래 급성장: 슈퍼센터를 온라인 주문 처리 허브로 전환. 2024년 온라인 매출 1,000억 달러 돌파, 연 20% 성장률로 아마존보다 2배 빠르게 확대.

✔️ 새 수익원 창출: ‘월마트 플러스(Walmart+)’로 프라임 경쟁. 광고사업은 2024년 44억 달러 매출, 2027년까지 영업이익의 16% 차지 전망.

✔️ 스마트 투자 확대: 연간 설비투자(Capex) 240억 달러로 증가. 고객 응대 로봇 ‘스파키(Sparky)’, 상품 분류 로봇 ‘월리(Wally)’ 등 개발에 집중.

✔️ 고소득층 공략: 프리미엄 식품 브랜드 ‘Bettergoods’와 중고 디자이너 상품 판매 확대. 매장 리모델링과 고급 온라인 UX 강화로 중상류층 고객 유입.

✔️ 글로벌 전략 정교화: 중국·멕시코에선 프리미엄, 인도에선 Flipkart·PhonePe 통한 디지털 우선 전략. 부진 시장(영국·아르헨티나)은 철수. 해외 매출 2028년까지 2배 목표.

✔️ 무역·정치 리스크 대응력: 트럼프 관세에도 중국 외 공급망 다변화·미국 내 소싱 강화로 안정적 대응. 식료품 중심 매출(미국 내 60%) 덕분에 경기 변동에도 방어력 우수.

✔️ 아마존과의 경쟁 우위: 오프라인 5,000개 매장 보유, 미국 인구 90%와 근접한 물류 네트워크 기반으로 식료품·배송에서 아마존 압도. 아마존은 오프라인 실험 부진.

✔️ 결론: 월마트는 단순히 따라잡은 것이 아니라 디지털 유통의 선도자로 부상. 오프라인 강점과 기술의 결합으로 글로벌 지배력을 강화 중이며, 전자상거래·광고·글로벌 사업 확대 속도도 가파름.
Media is too big
VIEW IN TELEGRAM
📌 [공지] 운영 텔레그램 채널 소개

1️⃣ 시그널랩
리서치
👉 https://t.me/siglab

2️⃣ 시그널랩 리서치 프리미엄
👉 https://t.me/siglab_premium

3️⃣ 머니스테이션
소셜 투자 콘텐츠
👉 https://t.me/moneystation_best

• The Choice of a New Generation
• '실전성'과 '간결성' 돈 되는 투자 인사이트
• 무한한 집단지성 투자 아이디어 연결
• 앞서가는 투자자의 '새로운 아이콘'
• '공유'는 채널 운영에 이 됩니다
<WSJ> Kering Names Pierpaolo Piccioli Creative Director of Balenciaga

* 케링, 발렌시아가 신임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로 피에르파올로 피치올리 임명

✔️ 임명 배경: 프랑스 명품 그룹 케링(Kering)은 피에르파올로 피치올리를 발렌시아가(Balenciaga)의 새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로 공식 임명하며, 브랜드의 창조적 방향 전환을 예고.

✔️ 인사 이동: 피치올리는 발렌티노(Valentino)에서 25년간 근무하며 2008년부터는 크리에이티브 책임자를 맡아온 인물로, 로맨틱하면서도 구조적인 디자인 언어로 명성을 얻음.

✔️ 브랜드 리포지셔닝: 케링은 최근 발렌시아가의 이미지 회복과 디자인 혁신을 통해 브랜드를 재정비하려는 움직임을 보여왔으며, 이번 인사는 그 일환으로 해석됨.

✔️ 패션 업계 반응: 업계에서는 피치올리의 감성적 스타일이 발렌시아가 특유의 실험적 미학과 결합될 경우 어떤 시너지를 낼지 주목하는 분위기.

✔️ 케링 전략: 케링은 최근 구찌, 생로랑 등 주요 브랜드의 리더십을 교체하며 그룹 전체의 성장 정체 타개를 위한 전방위적 크리에이티브 쇄신에 나서는 중.

wsj.com/business/retail/kering-names-pierpaolo-piccioli-creative-director-of-balenciaga-30a068fe
[시그널랩 리서치] 5/26 (월) 모닝 브리프
https://t.me/siglab

◆ Market

- 다우존스산업: 41,603.07 (-0.61%)
- S&P500: 5,802.82 (-0.67%)
- 나스닥: 18,737.21 (-1.00%)
- S&P500 VIX: 22.29 (+9.91%)
- 달러인덱스: 99.11 (-0.78%)
- WTI선물: 61.53 (+0.54%)
- MSCI 한국 Index Fund: 58.96 (+1.15%)

◆ Comment

- 우리 증시는 대체로 강세 예상. 지난주 금요일 미 증시는 약세를 보였지만, 미국의 EU에 대한 관세협상 시한 연장 소식이 긍정적 요소가 될 전망.
- 다만 장중 움직임은 제한적일 가능성 높음. 오늘 미 증시 휴장에 따른 관망세가 시장을 지배할 전망.
- 지난주 금요일 미 증시는 약세 마감.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관련 발언이 전반적인 투심 악화로 연결.
-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SNS를 통해 6월 1일부터 EU에 대해 50%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 언급.
- 장중 낙폭 회복 흐름 연출했는데,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이 90일 유예 기간 종료에 다가오면서 더 많은 합의를 발표하게 될 것이라 생각한다면서 무역협상의 긍정적인 부분을 밝혔기 때문.
- 연준 위원들의 발언도 대체로 투심 악화로 연결. 오스탄 굴스비 시카고 연은 총재는 금리 인하가 12~16개월 뒤로 밀릴 수 있다고 발언.
- 알베르토 무살렘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는 기업들이 관세 인플레를 대비하고 있다고, 리사 쿡 연준 이사는 채권 시장이 관세 충격에도 질서 있게 작동 중이라 발언.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시그널랩 리서치] 5/26 오늘의 주요 산업 리포트 요약
https://t.me/siglab

[석유와가스] 바이든과 트럼프의 차이
하나증권 윤재성
ㆍ 트럼프의 에너지/외교 정책 변화가 사이클 회복을 견인
ㆍ 유가 전망: 2H25WTI는 60~70$/bbl의 박스권 예상
ㆍ 가스 전망: 미국 천연가스는 4$ 이상에서 안착할 것

[철강] 한국 철강 시장에서 기대되는 3대 개선 요인
하나증권 박성봉
ㆍ 2025년 상반기 아시아 철강시장 침체. 중국 철강산업 관련 구조조정 정책 발표 기대
ㆍ 한국, 중국 및 일본산 철강 수입 규제 강화. 국내 건설용 강재 수요 올해를 바닥으로 단계별로 회복 예상
ㆍ Top Picks: 현대제철(004020.KS/TP 43,000원), 세아베스틸지주(001430.KS/TP 31,000원), 동국제강(460860.KS/TP 15,000원)

[철강] 10년 평행 이론
한국투자증권 최문선
ㆍ 10년 만에 다가오는 투자 기회
ㆍ 현대제철이 Must Have 1순위
ㆍ 동(銅)은 ‘Super Shortage’ 상황

[건설] 정상화(正常化), 정상화(政商化)
상상인증권 김진범
ㆍ 건설산업 투자의견 OVERWEIGHT 제시
ㆍ K-건설, 수익성 개선 및 점진적 업황 반등 전망
ㆍ 조기 대선 이후 SOC 지출 확대 및 정책 기대
ㆍ TOP-PICKS: HDC현대산업개발, DL이앤씨

[건설] [2025 하반기 산업전망] Build-Up
한화투자증권 송유림,김예인
ㆍ [2025년 상반기 리뷰] 건설업의 아웃퍼폼
ㆍ [2025년 하반기 전망] 긴 그림의 시작에 불과
ㆍ [투자전략] 방향성에 투자하자

[건설] 확산되는 온기
다올투자증권 박영도
ㆍ 2024년 중 다수 건설사에 손실 발생 이후, 1Q25 전반적인 손익 개선 관찰. 이는 대형사들의 실적에서도 드러났듯 업종 전반에 걸친 원가 개선 흐름을 반영
ㆍ 채권회수 사이클에 들어가면서 영업현금흐름도 개선 추세. 부실 사업장 유무에 따른 잠재적 손실 가능성도 상존하나 업황은 개선 사이클 진행 중
ㆍ 당초 예상된 수익성 개선 시기, 2025년 하반기가 목전

[건설] 마침내 시대정신이 된 원전. 세계가 한국을 볼 차례
KB증권 장문준,정혜정,한제윤,강민창
ㆍ 원전 부활. 이제는 ‘누가 어떻게 지을 것인가’가 핵심
ㆍ 미국. 원자력 부흥을 향한 강력한 움직임
ㆍ 유럽. 원자력 정책의 근본적 전환

[건설] 인터벌(3Q 느리게, 4Q 빠르게)
하나증권 김승준
ㆍ 2025년 전국 부동산 전망: 매매가 YoY +0.5%, 전세가 YoY +1.8%
ㆍ 2025년 주택 지표 전망: 착공 25만호(YoY -18.1%), 준공 38만호(YoY -15.5%), 미분양 6.5만호(YoY -7.4%), 매매거래량 65만건(YoY +1.2%)
ㆍ 2026년 주택 지표 전망: 착공 38만호(YoY +52.0%), 준공 29만호(YoY -23.7%), 미분양 4.0만호(YoY -38.5%), 매매거래량 78만건(YoY +20.0%)

[복합기업] 지주회사 하반기 전망: 저PBR의 재평가
SK증권 최관순
ㆍ 25 년 상반기 양호했던 지주회사 주가. 하반기에도 유효
ㆍ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위한 노력 → 대표적 저 PBR 주식인 지주회사 리레이팅 견인
ㆍ 탑픽: SK → 리밸런싱 통한 재무구조 개선 가시화

[조선] [2025년 하반기 전망] 길게 이어질 사이클
SK증권 한승한
ㆍ 1H25 리뷰: 올해 상반기 수주 규모 큰 폭 감소. 하지만 국내 조선 3 사의 놀라운 실적과 양호한 수주
ㆍ 신조선가지수 소폭의 하락세 전망, 하지만 조선 3 사의 실제 수주단가는 괜찮다
ㆍ 과거 제 2 차 슈퍼사이클과 많이 상이한 상승사이클. 길게 이어질 모멘텀들이 많다

[운송인프라] 걱정하지 않는다
하나증권 안도현
ㆍ 운송 산업 특성상 기업별 차별화가 어려운 구조, 경쟁 심화 국면에서는 운임 하락+비용 증가로 인한 산업 전반 수익성 하락은 불가피
ㆍ But 운송업자 우위의 시장이 조성될 가능성 대두: 2027년 국내 유일 FSC 탄생 + 벌크선 공급 순감 전환
ㆍ Valuation 부담은 없다. 산업 내 경쟁격화에서 빗겨나 실적 모멘텀 이어갈 종목을 매수할 시점

[자동차] 관세와 자율주행의 격랑(激浪)
SK증권 윤혁진
ㆍ 관세에 대한 우려는 지금이 가장 높은 시점
ㆍ 자율주행: 가깝지만 먼 미래 Fast Follower 기대

[자동차] 관세가 있고, 관세가 없고
하나증권 송선재
ㆍ 관세가 있고) 관세의 Worst Scenario를 선반영하며 낮아진 주가. 이익 방어력에 대한 신뢰성 회복되면서 주가 반등이 가능
ㆍ 관세가 없고) 이익 증가 및 Multiple 상향의 근거는 약한 편
ㆍ 박스권 하단에서 반등할 것으로 예상하지만, 이후 박스권을 돌파하고 추세 상승을 위한 동력까지는 기다림이 필요하다는 판단

[화장품] 해외 진출 다변화, 기회 요인 확대
하나증권 박은정
ㆍ 화장품 업종 투자의견 ‘비중확대’, 2025년 하반기 K-뷰티는 글로벌로 또 한 번의 도약을 보여줄 전망
ㆍ 2020년 일본 → 2023년 미국 → 2025년 유럽 시장까지 침투 + 중국 소비 반등 등으로, 업종은 구조적이고 지속적인 성장 구현 예상
ㆍ Top picks는 글로벌 판로 개척하는 실리콘투, 압도적 해외 성장을 구현하는 에이피알, 구조적 성장기에 있는 코스맥스, 한국콜마

[제약] 비만과 항암은 간다
다올투자증권 이지수,임도영
ㆍ 미국 제약 산업의 정책 변화
ㆍ 투자 방향은 여전히 신규 모달리티
ㆍ 비만 치료제: 하반기 시장의 핵심 축

[제약] 2025년 하반기 전망: 이제는 본질적 가치에 주목해야 할 때
SK증권 이선경
ㆍ 빅파마들의 재정적 불확실성에도 불구, 기술이전 수요 증가
ㆍ 정책적 불확실성으로 미국 내 투심 악화 지속
ㆍ 정책적 리스크의 과도한 선반영, 불확실성 해소에 따른 상승 반전 가능성 주목

[제약] 이벤트가 많은 하반기
하나증권 김선아
ㆍ ’25년 상반기: 의약품 약가 인하, 관세 등 미국 정책 방향에 따라 코스피와 코스닥의 디커플링 현상 관찰됨
ㆍ 코스닥은 바이오텍 비중이 높아 약가나 관세와 무관한 기술이전, 라이선스 수익 기대감과 성과가 크게 작용한 결과
ㆍ 전체 제약☞바이오에서 미국 정책 방향은 계속 주시할 것/기술이전 기대감을 일으킬 이벤트가 하반기에 몰려 있으니 타임라인 확인

[IT서비스] 환율하락, 스마트폰 관세 등 부정적인 이슈 부각
대신증권 박강호
ㆍ 미국내 판매에서 해외 생산의 스마트폰에 25% 관세 부과 언급
ㆍ 최근 원달러 하락 폭은 예상을 상회. 하반기 실적에 둔화 우려
ㆍ 단기적인 트레이딩 전략 속에서 약세 구간 전망

[전자장비와기기] 2025년 하반기 전망: AI vs 관세전쟁 쇼티지 부품 주목
SK증권 박형우
ㆍ 25 년 상반기 리뷰: 불확실성에 재고 축적 의심
ㆍ 25 년 하반기 전망: 실적추정치 하향조정 부담

[전자장비와기기] 징비록
하나증권 김현수
ㆍ 지난 20년간 한국 주식 시장에서 강한 상승 보여줬던 다른 사례들과 비교했을 때 유례 없던 배터리 버블의 흔적
ㆍ 조선업(상승 기간 30개월, 주도주 상승폭 2,450%), 중국 내수주(23개월, 570%), 바이오(15개월, 1,012%)
ㆍ 상승기간(최대 96개월)과 주도주의 상승폭(에코프로 11,546%, 포스코퓨처엠 4,853%), 합산 시총 규모(300조원) 모두 유례없는 수준

[반도체와반도체장비] 있어야 할 그곳으로
SK증권 한동희
ㆍ 상반기 리뷰: 펀더멘털보다 강했던 관세 우려
ㆍ 하반기 전망: 견고한 펀더멘털에 대한 인정, 차별화
ㆍ Top picks: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반도체와반도체장비] 2Q25초 DRAM 재고 업데이트: 2H25 가격 상승세 둔화 전망
LS증권 차용호
ㆍ Pull-In 기반 가격 상승 이후 2H25 가격 상승세 둔화 전망
ㆍ 중국 AI Chip 규제로 인한 공급 증가 우려

[반도체와반도체장비] DDR4 생산 종료, 가격 상승 요인
KB증권 김동원,이의진,도상우
ㆍ 2026년 상반기 DDR4 생산 종료 계획
ㆍ DDR4 가격 추가 상승 이어질 전망
[반도체와반도체장비] 오랜만이야
하나증권 김록호
ㆍ 2025년 하반기 중에 SK하이닉스의 15x 완공시 3년여만의 신규 투자가 시작될 것으로 전망
ㆍ 장비 셋업 기간은 2025년 4분기~2026년 1분기 중 예상. 신규 라인을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전방위적으로 장비 업체들의 수혜 기대
ㆍ SK하이닉스 DARM향 매출 비중 높은 업체들에 대한 투자 아이디어 필요

[디스플레이패널] 2025년 하반기 전망: 불확실성에도 솟아날 구멍은 있다
SK증권 권민규
ㆍ 상반기 리뷰: 패널 출하량은 증가, 세트 회복략은 회복 지연
ㆍ 하반기 전망: 불확한 환경 속 단단한 실적 & 이벤트에 주목할 시점
ㆍ Top picks: 덕산네오룩스, 와이씨켐

[무선통신서비스]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하나증권 김홍식
ㆍ 2025년 통신3사 연결 영업이익 YoY 53% 증가한 5조 3,456억원 전망, 1분기 실적 호전에 이어 2분기/4분기에도 높은 이익 성장 전망
ㆍ 통신사 분기 배당금 상향 조정과 더불어 자사주 매입/소각 이벤트 발표 예상, 밸류업 기대감 높아질 것
ㆍ 통신장비주는 미국/한국 주파수 경매가 주가 상승 촉매제 역할 수행할 전망, 주파수 할당 로드맵에 주목

[방송과엔터테인먼트] 놓치지 말아야 할 역대급 증식 싸이클
하나증권 이기훈
ㆍ 기획사는 BTS/블랙핑크 컴백으로 역대 최대 이익 전망. 미디어/드라마는 산업 내 합병 등 구조조정 시작되며 하반기부터 이익 개선
ㆍ 카지노는 1분기 실적 서프라이즈와 하반기 중국 단체관광 무비자 기대감. 여행은 10월 황금연휴 등 기대
ㆍ 하이브/SM 최선호, YG/파라다이스 차선호. 롯데관광개발/SBS도 관심 종목으로 추천

[게임엔터테인먼트] 하반기, 숫자로 증명
하나증권 이준호
ㆍ 인터넷/게임: AI 에이전트 도입으로 생산성 증가 기대. 2026년 이후 수익성 개선 확인될 것
ㆍ 인터넷: 광고 및 커머스 업황 개선으로 실적 개선 기대. AI 에이전트 출시 및 도입으로 디레이팅 해소하며 우상향 전망
ㆍ 게임: 검증된 라이브 서비스 게임의 지배력 강화, 패키지의 시리즈화로 기업 가치 상승이 확인될 전망

[양방향미디어와서비스] 2025년 인터넷 하반기 전망: AI 적용 확대로 수익화 시작
SK증권 남효지
ㆍ 하반기는 네이버의 on-service AI 적용 본격화, 카카오의 AI agent 공개 앞두고 있음
ㆍ 기존 서비스에 AI를 적용함에 따라 서비스 효율과 수익이 얼마나 개선되는지 확인할 수 있는 시기
ㆍ 발견/탐색 영역 강화로 광고 매출의 안정적 성장세가 지속되고 커머스 수수료 개편 효과가 본격적으로 나타날 NAVER를 업종 top-pick으로 유지

[양방향미디어와서비스] 덴탈, 로봇, AI/반도체
하나증권 한유건
ㆍ 산업 조사 기관에 따르면 글로벌 덴탈 시장은 2025년 410억달러에서 2032년 876억달러로 연평균 11.5% 성장할 전망
ㆍ 덴탈 시장 성장의 핵심 품목은 전체 산업 비중의 30% 이상 차지하는 ①임플란트 및 보철재와 ②CAD/CAM 및 디지털 덴탈 영상 장비
ㆍ 2024년 기준 덴탈 시장은 ①임플란트(17%), ②교정(18%), ③치과영상장비(22%), ④보철(30%), ⑤기타(13%)로 형성되어 있음

[복합유틸리티] 전력기기, 다시 보는 방향성: Global Top Leader, 미국 시장을 중심으로
LS증권 성종화
ㆍ 글로벌 전력기기 업황 Review
ㆍ 전력기기, 다시 보는 방향성(미국시장을 중심으로)
ㆍ 주요 ETF 소개 & 유니버스 종목 통합 밸류에이션

[복합유틸리티] 선수가 심판의 가족
하나증권 유재선
ㆍ 2024년 4분기 전기요금 인상과 최근 에너지 가격 하락으로 2025년 실적은 영업이익 기준 역대 최대 규모 달성 가능
ㆍ 추가 개선 여지는 매크로 상황에 따라 달려있음. 현재 환율, 석탄, 원유 및 LNG 가격 추이를 감안하면 예상 바깥의 성장 개연성 충분
ㆍ 미국 주도의 매크로 불확실성으로 인한 것. 경기 둔화 우려가 지속되는 동안 한국전력에게 우호적인 상황 조성
[시그널랩 리서치] 5/26 오늘의 주요 목표주가 상향 및 신규 커버 리포트 요약
https://t.me/siglab

<KCC[002380] 순이익 급증으로 재평가를 받을 시점>
IBK투자증권 이동욱
ㆍ 삼성물산 및 HD한국조선해양 주가 상승으로 인한 금융수익 급등 전망
ㆍ 재무구조 개선세 지속

<산일전기[062040] 슈퍼사이클 기업의 매수 찬스>
신한투자증권 최승환,이병화
ㆍ 슈퍼사이클 중장기 지속, 노이즈를 기회로
ㆍ 전력 인프라 투자 확대와 에너지 전환으로 구조적 성장

<현대로템[064350] 지금이라도, 닥치고 매수!>
KB증권 정동익,서준모
ㆍ 1분기는 어닝 서프라이즈 기록, 2분기 이후에도 실적호조 이어질 것
ㆍ 1분기 방산수출 영업이익률 40% 근접
ㆍ K2전차 생산량을 최대 2배 이상으로 늘리기 위한 준비 시작

<코미코[183300] 자회사 성장에 가려진 본업 성장세>
한화투자증권 김광진
ㆍ 2분기에도 성장 지속 전망
ㆍ 자회사 성장에 가려진 본업 성장세
ㆍ 목표주가 7.6만원으로 상향

<SK이터닉스[475150] 태양광 PPA 확대+ 신안우이 해상풍력 재개>
DS투자증권 안주원,김진형
ㆍ 빨라지는 태양광 PPA(전력구매계약)
ㆍ 신안우이 해상풍력 사업도 순조로울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