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그널랩] Signal Lab 리서치
11.1K subscribers
18.5K photos
529 videos
480 files
108K links
📌시그널랩은 증권사/자산운용사와 함께합니다

.투자의 미래를 구독하세요
.투자의 혁신 - visual invest tech
.시그널엔진 글로벌 분석종목 & 리서치 제공
.정부가 지원하는 특허 투자솔루션
.삼성/신한/우리/하이/DB/IBK/BNK증권/한경/KRX 제공

.팀소개: https://naver.me/5wHMEqSk
.솔루션: https://naver.me/FjjdX9Hh
.SNS: moneystation.net/user/siglab
Download Telegram
📊 2025년 1분기 제약·바이오 기업 54.4% 매출 성장…10곳 중 6곳은 '흑자'

- [제약바이오 1Q 실적] 영업이익 평균 58.6% 증가…하지만 적자기업 48곳 여전히 존재

- 평균 매출 628억원 이상 달성한 기업은? 삼성바이오·셀트리온·유한양행 등 25개사

- 평균 영업이익 58.6% 성장했지만…적자전환 12개사, 적자지속 36개사

https://www.medigatenews.com/news/1985125252
<Economist> The myths of corporate innovation

- 기업 혁신은 ‘천재의 번뜩임’보다 꾸준한 협업의 산물

✔️ 혁신의 현실: 기업 혁신은 종종 ‘순간의 영감’과 ‘외로운 천재’로 미화되지만, 실제로는 장기적인 노력과 팀워크, 환경 적응의 결과임.

✔️ 사례 1 - Wayve: 영국 자율주행 스타트업 Wayve는 기존 규칙 기반 코드 대신 AI로 주행을 학습하는 방식을 채택. 8년간의 꾸준한 개발 끝에 닛산과의 협업으로 결실을 맺음. 초기에는 이단적이었지만 이제는 업계 주류로 자리잡음.

✔️ 사례 2 - Google 지도 리뷰: 구글 지도 내 레스토랑 리뷰 기능은 아이디어 자체보다 ‘시기와 인프라’가 성공 요인. 위치 데이터와 사용자 타이밍 알림 기능이 갖춰지며 활성화됨. 좋은 아이디어도 조건이 맞아야 빛을 발함.

✔️ 사례 3 - Monumental: 네덜란드 스타트업 Monumental은 벽돌 쌓기 로봇을 개발 중. 하청업체로 직접 참여하며 실제 데이터를 수집해 반복 개선. 고객과의 밀착 협업이라는 팔란티어식 접근이 핵심.

✔️ 결론: 혁신은 영화처럼 드라마틱한 ‘유레카’ 순간보다, 반복과 개선, 협력의 누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을 인식해야 함.

https://www.economist.com/business/2025/05/12/the-myths-of-corporate-innovation
Media is too big
VIEW IN TELEGRAM
📌 [공지] 운영 텔레그램 채널 소개

1️⃣ 시그널랩
리서치
👉 https://t.me/siglab

2️⃣ 시그널랩 리서치 프리미엄
👉 https://t.me/siglab_premium

3️⃣ 머니스테이션
소셜 투자 콘텐츠
👉 https://t.me/moneystation_best

• The Choice of a New Generation
• '실전성'과 '간결성' 돈 되는 투자 인사이트
• 무한한 집단지성 투자 아이디어 연결
• 앞서가는 투자자의 '새로운 아이콘'
• '공유'는 채널 운영에 이 됩니다
반도체 공급망 '그들만의 리그'...독점으로 시작해 독점으로 끝나

- 채굴부터 설계, 생산, 패키징 등 전 공정이 국가별로 긴밀하게 연결

https://www.chosun.com/economy/weeklybiz/2025/05/22/QOQJ4ZE2DBDVBCUFNQKAIU3J2U/
<Economist> How Walmart became a tech giant—and took over the world

- 월마트, 기술 기업으로 변신하며 세계 유통 지배

✔️ 기술 기반 혁신: 1980년대 입사한 CEO 더그 맥밀런의 지휘 아래 월마트는 자동화와 AI를 접목해 운영을 디지털화. 로봇창고·AI 배송 최적화 등으로 물류 효율을 극대화하며 아마존 위협을 정면 돌파.

✔️ 전자상거래 급성장: 슈퍼센터를 온라인 주문 처리 허브로 전환. 2024년 온라인 매출 1,000억 달러 돌파, 연 20% 성장률로 아마존보다 2배 빠르게 확대.

✔️ 새 수익원 창출: ‘월마트 플러스(Walmart+)’로 프라임 경쟁. 광고사업은 2024년 44억 달러 매출, 2027년까지 영업이익의 16% 차지 전망.

✔️ 스마트 투자 확대: 연간 설비투자(Capex) 240억 달러로 증가. 고객 응대 로봇 ‘스파키(Sparky)’, 상품 분류 로봇 ‘월리(Wally)’ 등 개발에 집중.

✔️ 고소득층 공략: 프리미엄 식품 브랜드 ‘Bettergoods’와 중고 디자이너 상품 판매 확대. 매장 리모델링과 고급 온라인 UX 강화로 중상류층 고객 유입.

✔️ 글로벌 전략 정교화: 중국·멕시코에선 프리미엄, 인도에선 Flipkart·PhonePe 통한 디지털 우선 전략. 부진 시장(영국·아르헨티나)은 철수. 해외 매출 2028년까지 2배 목표.

✔️ 무역·정치 리스크 대응력: 트럼프 관세에도 중국 외 공급망 다변화·미국 내 소싱 강화로 안정적 대응. 식료품 중심 매출(미국 내 60%) 덕분에 경기 변동에도 방어력 우수.

✔️ 아마존과의 경쟁 우위: 오프라인 5,000개 매장 보유, 미국 인구 90%와 근접한 물류 네트워크 기반으로 식료품·배송에서 아마존 압도. 아마존은 오프라인 실험 부진.

✔️ 결론: 월마트는 단순히 따라잡은 것이 아니라 디지털 유통의 선도자로 부상. 오프라인 강점과 기술의 결합으로 글로벌 지배력을 강화 중이며, 전자상거래·광고·글로벌 사업 확대 속도도 가파름.
Media is too big
VIEW IN TELEGRAM
📌 [공지] 운영 텔레그램 채널 소개

1️⃣ 시그널랩
리서치
👉 https://t.me/siglab

2️⃣ 시그널랩 리서치 프리미엄
👉 https://t.me/siglab_premium

3️⃣ 머니스테이션
소셜 투자 콘텐츠
👉 https://t.me/moneystation_best

• The Choice of a New Generation
• '실전성'과 '간결성' 돈 되는 투자 인사이트
• 무한한 집단지성 투자 아이디어 연결
• 앞서가는 투자자의 '새로운 아이콘'
• '공유'는 채널 운영에 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