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그널랩] Signal Lab 리서치
11.1K subscribers
18.5K photos
528 videos
479 files
108K links
📌시그널랩은 증권사/자산운용사와 함께합니다

.투자의 미래를 구독하세요
.투자의 혁신 - visual invest tech
.시그널엔진 글로벌 분석종목 & 리서치 제공
.정부가 지원하는 특허 투자솔루션
.삼성/신한/우리/하이/DB/IBK/BNK증권/한경/KRX 제공

.팀소개: https://naver.me/5wHMEqSk
.솔루션: https://naver.me/FjjdX9Hh
.SNS: moneystation.net/user/siglab
Download Telegram
영국브리핑 40: 대법원이 '여성'의 정의를 확정했다

- 노동당이 변했어요!(?)
- 딜레마,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 영국 대법원, '여성'의 정의에 '생물학적 성별' 확정

"이번 판결은 여성 전용 공간 운영, 스포츠 경기 참가 자격 등 다양한 사회적 영역에서 논쟁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예상되지만, 영국 사회가 추구하는 다양성과 포용이라는 가치와, 오랫동안 지켜온 법률적 기준 사이의 균형점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나타난 중요한 사건으로 기록"

https://www.ddanzi.com/ddanziNews/844147374
<WSJ> Supreme Court Allows Trump to Strip Legal Status From Venezuelan Migrants

* 미 대법원, 트럼프의 베네수엘라인 임시 보호 철회 허용

✔️ 판결 내용: 미국 대법원은 트럼프 행정부가 베네수엘라 출신 이민자 수천 명에 대해 부여했던 임시 보호 신분(TPS)을 박탈하는 조치를 일시적으로 허용함으로써, 해당 조치의 시행을 막아온 하급심 판결을 뒤집음.

✔️ 정책 배경: TPS는 내전, 자연재해 등으로 자국에 돌아갈 수 없는 외국인에게 미국 내 임시 체류를 허용하는 제도이며, 베네수엘라 출신 약 20만 명이 이에 따라 보호받고 있었음.

✔️ 트럼프 행정부 조치: 트럼프는 2021년 해당 보호 지위를 종료하려 했으나 법적 소송에 직면했고, 이번 대법원 결정으로 일단 종료가 가능해짐.

✔️ 법적·정치적 파장: 이 결정은 향후 대선 국면에서 이민 정책을 둘러싼 트럼프와 바이든 간 차별화를 더욱 심화시킬 가능성이 있음.

✔️ 인권단체 반응: 인권 단체들은 해당 조치가 수만 명의 베네수엘라인에게 생계와 안전을 위협한다고 반발하며, 향후 법적 대응을 예고함.

wsj.com/us-news/law/supreme-court-migrant-legal-status-a2fc2f8d
채굴자들이 많이 몰리는 암호화폐들은?

# 비트코인(BTC), 가장 많이 채굴되는 암호화폐
# 라이트코인(LTC), 스크립트 채굴로 확장성 유지
# 모네로(XMR), 프라이버시 강화로 주목받는 채굴자들
# 도지코인(DOGE), 빠른 블록 타임으로 채굴 유지
# 제트캐시(ZEC), 선택적 거래 프라이버시 지원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911743
UBS: 기술주 랠리 이후 변동성 확대 우려… 소프트웨어 비중 확대

글로벌 기술주는 3~4월 급락 이후 반등에 성공했으나, 최근 흐름을 고려할 때 단기적으로 변동성 확대 가능성 존재함. 무디스의 미국 신용등급 강등, 중국 기술 및 반도체 장비업체들의 엇갈린 실적 발표, 그리고 미국의 수출 통제 강화 우려가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 특히 미국 정부가 화웨이 Ascend AI 칩의 글로벌 사용을 제한하겠다는 강경한 입장을 밝힌 데 이어, 중국 메모리 및 반도체 기업들을 수출 통제 목록에 추가할 수 있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기술 섹터 전반에 부담 요인이 됨.

단기적으로 기술 섹터는 뚜렷한 실적 기반 모멘텀이 부재한 상태이며, 다음 분기 실적 시즌까지 시간이 남아 있어 조정 국면에 진입할 가능성 높음. 지난 한 달간 기술주는 견조한 실적과 완화적인 거시환경 기대에 힘입어 반등했으며, 나스닥 지수는 4월 저점 대비 25% 이상 상승한 상태임. 그러나 과거 사례(예: 2018~2019년)를 볼 때, 단기간 20~30% 이상 급등한 이후에는 일부 조정 및 차익 실현 흐름이 뒤따르는 것이 일반적임. 특히 하이베타 및 경기민감 섹터 중심으로 조정 가능성 상존함.

반면, 소프트웨어처럼 방어적인 성격이 강한 업종은 펀더멘털이 여전히 견조함. 최근 클라우드 실적에서도 AI 수익화가 본격화되고 있다는 긍정적 신호가 확인됨. 이에 따라 당사는 AI 관련 포트폴리오 구성을 조정함. 최근 강하게 상승한 경기민감 업종의 비중은 축소하고, 상대적으로 부진했던 종목들과 소프트웨어 업종 중심으로 비중을 확대함. 기술주 전반에 대한 전략은 중립적 시각을 유지하되, 구조적 성장 가능성이 높은 종목에 선별적 접근 필요함

* 당사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받아 발송되었습니다
금호타이어, 화재 보험금 5000억 어디에 쓸까

- 보험금 수령시 현금성 자산 총 7200억, 광주공장 이전자금으로 활용 가능성

- DB손보, 현대해상, 삼성화재, 한화손보, 메리츠화재, KB손보 등 6개사에 가입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505191233571080106374
<WSJ> Jamie Dimon’s Would-Be Successors Audition for the Top Job at JPMorgan

* JP모건 차기 CEO 후보군, 투자자의 날 무대서 공개 리더십 시험대 올라

✔️ 행사 개요: JP모건 체이스는 연례 투자자의 날을 개최하고, 최고경영자 제이미 다이먼의 잠재적 후계자들이 주요 사업 전략을 직접 설명하는 자리를 가짐.

✔️ 후보군 부각: 상업은행 부문 대표 매리얼 레이크(Marianne Lake), 소비자 금융 부문 대표 제니퍼 피프잭(Jennifer Piepszak) 등이 차기 CEO 후보로 주목받으며, 전략 발표를 통해 리더십 역량을 과시.

✔️ 다이먼의 입장: 제이미 다이먼은 아직 퇴임 시점을 명확히 밝히지 않았으나, “후계자 육성은 계획대로 진행 중이며, 예측 가능한 전환이 될 것”이라고 언급.

✔️ 시장 기대: 투자자들은 경영진의 발표에서 리스크 관리, AI 전략, 소비자금융 성장 방향 등에 주목했으며, 후보군이 어떻게 다이먼의 리더십을 계승할지에 관심 집중.

✔️ 전문가 평가: 금융업계에서는 JP모건이 ‘승계계획 모범 사례’로 평가되며, 이번 투자자의 날은 내부 후보 중심의 안정적 리더십 이양 가능성을 더욱 부각시켰다는 분석.

wsj.com/finance/banking/jpmorgan-chase-ceo-search-annual-investor-day-985dfba6
This media is not supported in your browser
VIEW IN TELEGRAM
📌 SignalLab - 프리미엄 콘텐츠 채널

시그널랩은 '실전성'과 '간결성' 있는 투자를 위한 데이터 분석 기반의 글로벌 금융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콘텐츠] 월 30건+
• 경제지표, 글로벌 매크로 방향성 분석
• 산업/테크 트렌드 및 투자전략 소개
• 특징 섹터/주식/테마 모니터링
• 특허 투자솔루션 분석 주식/ETF 공유

[소개] 시그널랩 - 네이버 프리미엄
https://naver.me/5wHMEqSk

[소개] 시그널랩 프리미엄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iglab_premium

👍 시그널랩은 전직 기관투자자 등 전문 필진이 함께 합니다. 월 커피 한잔 가격으로 무제한 이용하세요!

- SignalLab Research
📊 2025년 1분기 제약·바이오 기업 54.4% 매출 성장…10곳 중 6곳은 '흑자'

- [제약바이오 1Q 실적] 영업이익 평균 58.6% 증가…하지만 적자기업 48곳 여전히 존재

- 평균 매출 628억원 이상 달성한 기업은? 삼성바이오·셀트리온·유한양행 등 25개사

- 평균 영업이익 58.6% 성장했지만…적자전환 12개사, 적자지속 36개사

https://www.medigatenews.com/news/1985125252
<Economist> The myths of corporate innovation

- 기업 혁신은 ‘천재의 번뜩임’보다 꾸준한 협업의 산물

✔️ 혁신의 현실: 기업 혁신은 종종 ‘순간의 영감’과 ‘외로운 천재’로 미화되지만, 실제로는 장기적인 노력과 팀워크, 환경 적응의 결과임.

✔️ 사례 1 - Wayve: 영국 자율주행 스타트업 Wayve는 기존 규칙 기반 코드 대신 AI로 주행을 학습하는 방식을 채택. 8년간의 꾸준한 개발 끝에 닛산과의 협업으로 결실을 맺음. 초기에는 이단적이었지만 이제는 업계 주류로 자리잡음.

✔️ 사례 2 - Google 지도 리뷰: 구글 지도 내 레스토랑 리뷰 기능은 아이디어 자체보다 ‘시기와 인프라’가 성공 요인. 위치 데이터와 사용자 타이밍 알림 기능이 갖춰지며 활성화됨. 좋은 아이디어도 조건이 맞아야 빛을 발함.

✔️ 사례 3 - Monumental: 네덜란드 스타트업 Monumental은 벽돌 쌓기 로봇을 개발 중. 하청업체로 직접 참여하며 실제 데이터를 수집해 반복 개선. 고객과의 밀착 협업이라는 팔란티어식 접근이 핵심.

✔️ 결론: 혁신은 영화처럼 드라마틱한 ‘유레카’ 순간보다, 반복과 개선, 협력의 누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을 인식해야 함.

https://www.economist.com/business/2025/05/12/the-myths-of-corporate-innovation
Media is too big
VIEW IN TELEGRAM
📌 [공지] 운영 텔레그램 채널 소개

1️⃣ 시그널랩
리서치
👉 https://t.me/siglab

2️⃣ 시그널랩 리서치 프리미엄
👉 https://t.me/siglab_premium

3️⃣ 머니스테이션
소셜 투자 콘텐츠
👉 https://t.me/moneystation_best

• The Choice of a New Generation
• '실전성'과 '간결성' 돈 되는 투자 인사이트
• 무한한 집단지성 투자 아이디어 연결
• 앞서가는 투자자의 '새로운 아이콘'
• '공유'는 채널 운영에 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