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통화 강세로 주식에 13조 뭉칫돈…글로벌 투자자들 순매수 행진
- “신흥국은 경기침체에 잘 대처하지 못한다"
- “거시경제적 둔화에 대한 규모와 범위에 대한 가시성이 더욱 확보되기 전까지 투자자들은 신흥국 시장 랠리를 쫓아서는 안 된다"
https://www.ekn.kr/web/view.php?key=20250511026205486
- “신흥국은 경기침체에 잘 대처하지 못한다"
- “거시경제적 둔화에 대한 규모와 범위에 대한 가시성이 더욱 확보되기 전까지 투자자들은 신흥국 시장 랠리를 쫓아서는 안 된다"
https://www.ekn.kr/web/view.php?key=20250511026205486
에너지경제
아시아 통화 강세로 주식에 13조 뭉칫돈…글로벌 투자자들 순매수 행진
트럼프발(發) 관세전쟁이 지속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투자자들은 아시아 주식에 대한 순매수 행진을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글로벌 투자자들..
<WSJ> U.S. Trade Deficit Hits Record as Companies Front-Load Pharmaceuticals
* 미국 3월 무역적자, 전면 관세 앞두고 의약품 비축 영향으로 사상 최대치 기록
✔️ 무역적자 급증: 3월 미국의 상품 무역적자는 1,405억 달러로 전월 대비 14% 증가하며 월간 기준 역대 최대치를 기록.
✔️ 의약품 비축: 기업들이 트럼프 대통령의 전면 관세 시행(5월 예정)을 앞두고 의약품과 기타 수입 제품을 미리 확보하면서 수입이 급증.
✔️ 수출입 흐름: 3월 미국의 상품 수입은 3,260억 달러로 전월보다 6.5% 증가했으며, 수출은 1.9% 감소한 1,855억 달러를 기록해 수입 증가 폭이 훨씬 더 컸음.
✔️ 정책 불확실성: 기업들은 공급망 혼란과 관세 상승에 대비하기 위해 비축 전략을 활용하고 있으며, 이는 단기적으로 무역수지 악화를 야기함.
✔️ 전문가 시각: 일부 이코노미스트들은 “이러한 적자 확대는 구조적 문제가 아니라 정책 리스크에 따른 일시적 현상”이라고 분석.
wsj.com/economy/trade/u-s-trade-deficit-hits-record-as-companies-front-loaded-pharmaceuticals-5d7a1720
* 미국 3월 무역적자, 전면 관세 앞두고 의약품 비축 영향으로 사상 최대치 기록
✔️ 무역적자 급증: 3월 미국의 상품 무역적자는 1,405억 달러로 전월 대비 14% 증가하며 월간 기준 역대 최대치를 기록.
✔️ 의약품 비축: 기업들이 트럼프 대통령의 전면 관세 시행(5월 예정)을 앞두고 의약품과 기타 수입 제품을 미리 확보하면서 수입이 급증.
✔️ 수출입 흐름: 3월 미국의 상품 수입은 3,260억 달러로 전월보다 6.5% 증가했으며, 수출은 1.9% 감소한 1,855억 달러를 기록해 수입 증가 폭이 훨씬 더 컸음.
✔️ 정책 불확실성: 기업들은 공급망 혼란과 관세 상승에 대비하기 위해 비축 전략을 활용하고 있으며, 이는 단기적으로 무역수지 악화를 야기함.
✔️ 전문가 시각: 일부 이코노미스트들은 “이러한 적자 확대는 구조적 문제가 아니라 정책 리스크에 따른 일시적 현상”이라고 분석.
wsj.com/economy/trade/u-s-trade-deficit-hits-record-as-companies-front-loaded-pharmaceuticals-5d7a1720
WSJ
U.S. Trade Deficit Hits Record as Companies Front-Load Pharmaceuticals
The deficit ballooned to $140.5 billion in March, as businesses stockpiled goods to get ahead of tariffs imposed the following month.
[시그널랩 리서치] 장 전 주목할 만한 주요 뉴스
https://t.me/siglab
바 연준 이사 "트럼프 관세로 연말부터 美 인플레↑ㆍ성장↓"
쿠글러 연준 이사 "美노동시장 최대 고용수준 근접"
뉴욕 연은 총재 "기대 인플레 고정이 중앙은행 기본 역할"
리치먼드 연은 총재 "美 소비자, 거의 한계 도달"
애틀랜타 연은 총재 "美경제, 연초 예상보다 회복력 약할 것"
트럼프 "인플레 없다…연준과 가짜뉴스 기대한 것과 달라"
백악관 "중국 관세 일방인하 없다…中양보 필요"(상보)
美 재무, 8월 디폴트 가능성 경고…"7월 중순까지 해결" 촉구(상보)
"미중 무역협상, 제네바에서 이틀째 재개"(상보)
https://t.me/siglab
바 연준 이사 "트럼프 관세로 연말부터 美 인플레↑ㆍ성장↓"
쿠글러 연준 이사 "美노동시장 최대 고용수준 근접"
뉴욕 연은 총재 "기대 인플레 고정이 중앙은행 기본 역할"
리치먼드 연은 총재 "美 소비자, 거의 한계 도달"
애틀랜타 연은 총재 "美경제, 연초 예상보다 회복력 약할 것"
트럼프 "인플레 없다…연준과 가짜뉴스 기대한 것과 달라"
백악관 "중국 관세 일방인하 없다…中양보 필요"(상보)
美 재무, 8월 디폴트 가능성 경고…"7월 중순까지 해결" 촉구(상보)
"미중 무역협상, 제네바에서 이틀째 재개"(상보)
[시그널랩 리서치] 5/12 (월) 모닝 브리프
https://t.me/siglab
◆ Market
- 다우존스산업: 41,249.38 (-0.29%)
- S&P500: 5,659.91 (-0.07%)
- 나스닥: 17,928.92 (+0.00%)
- S&P500 VIX: 21.90 (-2.58%)
- 달러인덱스: 100.34 (-0.30%)
- WTI선물: 61.02 (+1.85%)
- MSCI 한국 Index Fund: 57.69 (+0.86%)
◆ Comment
- 우리 증시는 대체로 강세 예상. 주말 사이 진행된 미중 무역협상 기대감이 시장을 지배할 전망.
- 관건은 오늘 발표 예정인 무역협상 성명문. 원론적인 내용에 그칠지, 실제 협상 성과가 있었는지에 따라 시장 방향성이 달라질 수 있음.
- 지난주 금요일 미 증시는 제한적 약세로 마감. 미중 무역 협상을 앞두고 관망세가 시장을 지배.
- 미중 양국은 주말 스위스에서 고위급 무역협상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지만, 첫 협상인 만큼 가시적인 성과를 얻기 힘들 것이라는 의견이 시장을 지배.
-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80%의 관세를 부과하는 것이 적절해 보인다고 밝힌 점도 협상 기대감을 낮춘 요소로 작용.
- 연준 위원들은 대체로 현 상황을 우려하는 상황. 마이클 바 연준 이사는 트럼프 관세로 연말부터 인플레 상승, 성장은 낮아졌다고 발언.
- 토마스 바킨 리치먼드 연은 총재는 미국 소비자가 거의 한계에 도달했다고 언급, 라파엘 보스틱 애틀랜타 연은 총재는 미국 경제가 연초 예상보다 회복력이 약할 것이라 발언.
- 그외 아드리아나 쿠글러 연준 이사, 존 윌리엄스 뉴욕 연은 총재는 무난한 내용을 언급.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https://t.me/siglab
◆ Market
- 다우존스산업: 41,249.38 (-0.29%)
- S&P500: 5,659.91 (-0.07%)
- 나스닥: 17,928.92 (+0.00%)
- S&P500 VIX: 21.90 (-2.58%)
- 달러인덱스: 100.34 (-0.30%)
- WTI선물: 61.02 (+1.85%)
- MSCI 한국 Index Fund: 57.69 (+0.86%)
◆ Comment
- 우리 증시는 대체로 강세 예상. 주말 사이 진행된 미중 무역협상 기대감이 시장을 지배할 전망.
- 관건은 오늘 발표 예정인 무역협상 성명문. 원론적인 내용에 그칠지, 실제 협상 성과가 있었는지에 따라 시장 방향성이 달라질 수 있음.
- 지난주 금요일 미 증시는 제한적 약세로 마감. 미중 무역 협상을 앞두고 관망세가 시장을 지배.
- 미중 양국은 주말 스위스에서 고위급 무역협상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지만, 첫 협상인 만큼 가시적인 성과를 얻기 힘들 것이라는 의견이 시장을 지배.
-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80%의 관세를 부과하는 것이 적절해 보인다고 밝힌 점도 협상 기대감을 낮춘 요소로 작용.
- 연준 위원들은 대체로 현 상황을 우려하는 상황. 마이클 바 연준 이사는 트럼프 관세로 연말부터 인플레 상승, 성장은 낮아졌다고 발언.
- 토마스 바킨 리치먼드 연은 총재는 미국 소비자가 거의 한계에 도달했다고 언급, 라파엘 보스틱 애틀랜타 연은 총재는 미국 경제가 연초 예상보다 회복력이 약할 것이라 발언.
- 그외 아드리아나 쿠글러 연준 이사, 존 윌리엄스 뉴욕 연은 총재는 무난한 내용을 언급.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시그널랩 리서치] 5/12 오늘의 주요 산업 리포트 요약
https://t.me/siglab
[석유와가스] Weekly Monitor: 미국의 중국산 장갑 수입량 5년 래 최저
하나증권 윤재성,김형준
ㆍ WTI 61.02$/bbl(선/+2.7$, +4.7%), Dubai 63.91$/bbl(현/+1.9$, +3.1%)
ㆍ 사우디 2025년 6월 OSP(Arab Light) 1.4$/bbl(MoM +0.2$)
ㆍ 평균 복합정제마진 9.8$/bbl(-0.2$)
[화학] Weekly Monitor: 미국의 중국산 장갑 수입량 5년 래 최저
하나증권 윤재성,김형준
ㆍ 569$/톤. WoW +1.9%. 1주 상승// US 프로판(↑): 378$/톤. WoW +1.4%. 1주 상승. 사우디 5월 CP 610$/톤(MoM -5$/톤)
ㆍ 에틸렌(보합), 프로필렌(보합), 벤젠(+16$, +2.3%), 톨루엔(+30$, +4.8%), SM(-7$, -0.8%)
ㆍ HDPE(-20$, -2.3%), LDPE(-30$, -2.9%), LLDPE(-30$, -3.5%), PP(-10$, -1.2%), PVC(보합), ABS(-10$, -0.7%)
[건설] 왜 지금 원전에 주목하는가 (3): ‘기술’ 아닌 ‘수행’이 경쟁력이다
KB증권 장문준,강민창
ㆍ 원전 르네상스. 핵심은 ‘예정대로’ 완수할 수 있는가
ㆍ 기술보다 중요한 것: ‘수행력’이 결정하는 원전 사업의 운명
ㆍ 중요해지는 한국의 경험, 한국의 공급망
[조선] 다올 선박: MGC, 중대형 탱커 발주 양호
다올투자증권 최광식
ㆍ 중고선가지수 1p 하락한 176p 기록
ㆍ 가스선 MGC는 강세
ㆍ 탱커 시장 양호
ㆍ 중국의 신조 투자 재개
ㆍ 미국 첫 건조 WTIV 완공 임박
[판매업체] 소비재/플랫폼 Weekly: 중국 프로야 화장품(CH 603605) 1Q25 실적 Review
LS증권 오린아
ㆍ 탑라인은 둔화했지만 수익성은 개선된 1Q25
ㆍ 중국 화장품 시장 구조적 변화 지속
[은행] 은행 Weekly - 환율 모멘텀 아직 충분히 반영되지 않은 상황
하나증권 최정욱,정소영
ㆍ 전주 은행주는 0.8% 하락해 KOSPI 상승률 0.7% 대비 초과하락
ㆍ 전주 특징주는 카카오뱅크와 iM금융. 카카오뱅크는 큰폭 증가한 수신과 양호한 실적으로 인해 실적 발표 당일 주가가 급등하면서 한주간 주가가 2.7% 상승해 은행 중 상승 폭이 가장 컸고, iM금융도 주가가 1.9% 상승해 전통은행 중 유일하게 주가가 상승
ㆍ 은행 4월 대출성장률은 MoM 0.7~0.8% 내외로 추정
[IT서비스] 관세 영향은 축소
대신증권 박강호
ㆍ 2025년 2Q 디램의 고정가격 상승으로 실적 개선을 기대
ㆍ 미,중의 관세 갈등은 완화되나 불확실성은 여전히 존재
ㆍ 반도체 중심으로 IT 업종의 반등을 전망
[전자장비와기기] IT 지형도 살펴보기: ① 미·중 IT 소비의 괴리, ② 관세 위험, ③ AI서버·중국EV
iM증권 고의영,손우성
ㆍ 1] 엇갈리는 미국과 중국의 IT 소비
ㆍ 2] 스마트폰: iPhone 관세 우려
ㆍ 3] PC: 2H22 불황기 수준의 재고레벨
ㆍ 4] 가전: 관세에 따른 경쟁 구도 변화?
[전자장비와기기] SMR, AI 시대의 심장
KB증권 김동원,김세환,유중호
ㆍ SMR x AI, 차세대 전력 생태계 결합점
ㆍ 작지만 강한 원자로 SMR, AI 전력 부족의 현실적 대안
ㆍ SMR, 미국과 유럽은 에너지 안보와 AI 경쟁력 강화 핵심 요소로 인식
ㆍ SMR, AI 전력 공급의 핵심 축: 관련 업체 중장기 성장성 확보 기대
[전자장비와기기] Weekly 이배속 : 채찍과 당근
하나증권 김현수,홍지원
ㆍ 데이터 포인트 해석 및 투자 전략 : 단기 정책 리스크 심화
ㆍ Car : 미국, 영국산 자동차 관세 인하
ㆍ Cell : LG에너지솔루션, 랜싱공장 최종 인수
[반도체와반도체장비] NAND Trend-Monthly
IBK투자증권 김운호
ㆍ 관세 정책 불확실성 속 , 수요 선반영 가능성 주목
[반도체와반도체장비] DDR5, 실 수요가 가격 상승 주도
KB증권 김동원,이의진
ㆍ DDR5 재고 2주에 불과, 계약가 3개월 연속 상승
ㆍ DDR4 가격 상승, 관세 선행 수요에 영향
ㆍ Top picks: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전기제품] 전기전자 Weekly: 실적 발표 일단락. 관세 관련 수요 불확실성은 상존
하나증권 김록호,김영규
ㆍ 가이던스에 연동된 주가 흐름
[방송과엔터테인먼트] K-POP 서양 원정기
현대차증권 김현용
ㆍ K-POP 서구권 모객 올해 600만명: 2~3년 이내 서구권 천만 포함 글로벌 2,500만명 모객 도달할 것
ㆍ 중국 공연시장 재개 시 연간 150만명 모객 더해질 전망
ㆍ 일본 미국 유럽 남미로 뻗어가는 현지화 아이돌
[방송과엔터테인먼트] 합병과 구조조정, 그리고 제작비 절감
신한투자증권 지인해,김지영
ㆍ 상반기 대비 하반기가 좋아보이기는 하지만…
ㆍ OP 시장 기대치 118억원 vs. 잠정 실적 -71억원
ㆍ 이제는 우리가 살길을 찾아야 할 것
[게임엔터테인먼트] 4월 게임시장 Review
유진투자증권 정의훈
ㆍ 4월 모바일 월간 통합 매출 1위는 리니지M이 차지하며 2개월 연속 1위 기록
ㆍ 5월 국내 모바일 게임 시장 주요 신작으로 넷마블의 ‘세븐나이츠 리버스’(5/15일 출시), ‘왕좌의 게임: 킹스로드’ (5/21일 출시) 출시 예정
[복합유틸리티] SMR: First Mover, Fast Follower (공급망 핵심에 투자하기)
하나증권 김시현
ㆍ 글로벌 SMR 시장 동향
ㆍ 빅테크가 SMR에 투자하는 이유(전력 모멘텀 점검)
ㆍ 밸류체인과 투자전략(First Mover, Fast Follower)
https://t.me/siglab
[석유와가스] Weekly Monitor: 미국의 중국산 장갑 수입량 5년 래 최저
하나증권 윤재성,김형준
ㆍ WTI 61.02$/bbl(선/+2.7$, +4.7%), Dubai 63.91$/bbl(현/+1.9$, +3.1%)
ㆍ 사우디 2025년 6월 OSP(Arab Light) 1.4$/bbl(MoM +0.2$)
ㆍ 평균 복합정제마진 9.8$/bbl(-0.2$)
[화학] Weekly Monitor: 미국의 중국산 장갑 수입량 5년 래 최저
하나증권 윤재성,김형준
ㆍ 569$/톤. WoW +1.9%. 1주 상승// US 프로판(↑): 378$/톤. WoW +1.4%. 1주 상승. 사우디 5월 CP 610$/톤(MoM -5$/톤)
ㆍ 에틸렌(보합), 프로필렌(보합), 벤젠(+16$, +2.3%), 톨루엔(+30$, +4.8%), SM(-7$, -0.8%)
ㆍ HDPE(-20$, -2.3%), LDPE(-30$, -2.9%), LLDPE(-30$, -3.5%), PP(-10$, -1.2%), PVC(보합), ABS(-10$, -0.7%)
[건설] 왜 지금 원전에 주목하는가 (3): ‘기술’ 아닌 ‘수행’이 경쟁력이다
KB증권 장문준,강민창
ㆍ 원전 르네상스. 핵심은 ‘예정대로’ 완수할 수 있는가
ㆍ 기술보다 중요한 것: ‘수행력’이 결정하는 원전 사업의 운명
ㆍ 중요해지는 한국의 경험, 한국의 공급망
[조선] 다올 선박: MGC, 중대형 탱커 발주 양호
다올투자증권 최광식
ㆍ 중고선가지수 1p 하락한 176p 기록
ㆍ 가스선 MGC는 강세
ㆍ 탱커 시장 양호
ㆍ 중국의 신조 투자 재개
ㆍ 미국 첫 건조 WTIV 완공 임박
[판매업체] 소비재/플랫폼 Weekly: 중국 프로야 화장품(CH 603605) 1Q25 실적 Review
LS증권 오린아
ㆍ 탑라인은 둔화했지만 수익성은 개선된 1Q25
ㆍ 중국 화장품 시장 구조적 변화 지속
[은행] 은행 Weekly - 환율 모멘텀 아직 충분히 반영되지 않은 상황
하나증권 최정욱,정소영
ㆍ 전주 은행주는 0.8% 하락해 KOSPI 상승률 0.7% 대비 초과하락
ㆍ 전주 특징주는 카카오뱅크와 iM금융. 카카오뱅크는 큰폭 증가한 수신과 양호한 실적으로 인해 실적 발표 당일 주가가 급등하면서 한주간 주가가 2.7% 상승해 은행 중 상승 폭이 가장 컸고, iM금융도 주가가 1.9% 상승해 전통은행 중 유일하게 주가가 상승
ㆍ 은행 4월 대출성장률은 MoM 0.7~0.8% 내외로 추정
[IT서비스] 관세 영향은 축소
대신증권 박강호
ㆍ 2025년 2Q 디램의 고정가격 상승으로 실적 개선을 기대
ㆍ 미,중의 관세 갈등은 완화되나 불확실성은 여전히 존재
ㆍ 반도체 중심으로 IT 업종의 반등을 전망
[전자장비와기기] IT 지형도 살펴보기: ① 미·중 IT 소비의 괴리, ② 관세 위험, ③ AI서버·중국EV
iM증권 고의영,손우성
ㆍ 1] 엇갈리는 미국과 중국의 IT 소비
ㆍ 2] 스마트폰: iPhone 관세 우려
ㆍ 3] PC: 2H22 불황기 수준의 재고레벨
ㆍ 4] 가전: 관세에 따른 경쟁 구도 변화?
[전자장비와기기] SMR, AI 시대의 심장
KB증권 김동원,김세환,유중호
ㆍ SMR x AI, 차세대 전력 생태계 결합점
ㆍ 작지만 강한 원자로 SMR, AI 전력 부족의 현실적 대안
ㆍ SMR, 미국과 유럽은 에너지 안보와 AI 경쟁력 강화 핵심 요소로 인식
ㆍ SMR, AI 전력 공급의 핵심 축: 관련 업체 중장기 성장성 확보 기대
[전자장비와기기] Weekly 이배속 : 채찍과 당근
하나증권 김현수,홍지원
ㆍ 데이터 포인트 해석 및 투자 전략 : 단기 정책 리스크 심화
ㆍ Car : 미국, 영국산 자동차 관세 인하
ㆍ Cell : LG에너지솔루션, 랜싱공장 최종 인수
[반도체와반도체장비] NAND Trend-Monthly
IBK투자증권 김운호
ㆍ 관세 정책 불확실성 속 , 수요 선반영 가능성 주목
[반도체와반도체장비] DDR5, 실 수요가 가격 상승 주도
KB증권 김동원,이의진
ㆍ DDR5 재고 2주에 불과, 계약가 3개월 연속 상승
ㆍ DDR4 가격 상승, 관세 선행 수요에 영향
ㆍ Top picks: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전기제품] 전기전자 Weekly: 실적 발표 일단락. 관세 관련 수요 불확실성은 상존
하나증권 김록호,김영규
ㆍ 가이던스에 연동된 주가 흐름
[방송과엔터테인먼트] K-POP 서양 원정기
현대차증권 김현용
ㆍ K-POP 서구권 모객 올해 600만명: 2~3년 이내 서구권 천만 포함 글로벌 2,500만명 모객 도달할 것
ㆍ 중국 공연시장 재개 시 연간 150만명 모객 더해질 전망
ㆍ 일본 미국 유럽 남미로 뻗어가는 현지화 아이돌
[방송과엔터테인먼트] 합병과 구조조정, 그리고 제작비 절감
신한투자증권 지인해,김지영
ㆍ 상반기 대비 하반기가 좋아보이기는 하지만…
ㆍ OP 시장 기대치 118억원 vs. 잠정 실적 -71억원
ㆍ 이제는 우리가 살길을 찾아야 할 것
[게임엔터테인먼트] 4월 게임시장 Review
유진투자증권 정의훈
ㆍ 4월 모바일 월간 통합 매출 1위는 리니지M이 차지하며 2개월 연속 1위 기록
ㆍ 5월 국내 모바일 게임 시장 주요 신작으로 넷마블의 ‘세븐나이츠 리버스’(5/15일 출시), ‘왕좌의 게임: 킹스로드’ (5/21일 출시) 출시 예정
[복합유틸리티] SMR: First Mover, Fast Follower (공급망 핵심에 투자하기)
하나증권 김시현
ㆍ 글로벌 SMR 시장 동향
ㆍ 빅테크가 SMR에 투자하는 이유(전력 모멘텀 점검)
ㆍ 밸류체인과 투자전략(First Mover, Fast Follower)
[시그널랩 리서치] 5/12 오늘의 주요 목표주가 상향 및 신규 커버 리포트 요약
https://t.me/siglab
<두산[000150] 달라진 두산, 달라질 주가>
대신증권 양지환
ㆍ 투자의견 매수 유지하며, 목표주가 54만원으로 28.6% 상향
ㆍ 2025년 1분기 전자BG 실적 서프라이즈, 25년~27년까지 성장 지속
ㆍ 2027년 수요까지 감안한 증설 추진. 전자BG 영업이익률 30% 근접할 전망
<CJ[001040] 기업구조개편 가시화로 동사 기업가치 제고 될 듯>
iM증권 이상헌
ㆍ 동사와 CJ올리브영 합병을 통하여 승계를 위한 기업구조개편 가시화 될 듯⇒합병이후 CJ올리브영 기업가치 반영되면서 동사 기업가치 제고될 듯
ㆍ 목표주가 160,000원으로 상향
<미래에셋증권[006800] 분기 최대 기록 부문이 많음>
대신증권 박혜진
ㆍ 브로커리지, WM, 상품운용, 해외법인 실적 사상 최대 달성
ㆍ 해외부동산 감액손실 1,000억원 반영에도 투자자산 평가이익 900억원
ㆍ 1분기와 유사한 이익 흐름 연말까지 이어질 것, 목표주가 상향
<금호석유화학[011780] NB Latex 마저 돌아선다면>
하나증권 윤재성,김형준
ㆍ 1Q25 영업이익 컨센 52% 상회
ㆍ 2Q25 영업이익 QoQ -28% 감익 예상
ㆍ 2024년을 바닥으로 중장기 Up-Cycle 진입. NB Latex 마저 돌아설 가능성
<코웨이[021240] 1Q25 Review: 역대 최대 분기 매출>
LS증권 오린아
ㆍ 1Q25 Review: 역대 최대 분기 매출
ㆍ 렌탈 판매 확대, 주주환원도 확대
<롯데쇼핑[023530] 비용 구조 효율화 노력의 결실>
신한투자증권 조상훈,김태훈
ㆍ 관건은 백화점 개선, 자산재평가로 재무구조 개선 기대
ㆍ 1Q25 Review: 내수 소비 침체 속 비용 구조 효율화 노력
ㆍ Valuation & Risk: 목표주가 상향, 장부가치에 대한 신뢰도 상승
<롯데쇼핑[023530] 주력 사업 개선 기대감 본격화>
키움증권 박상준
ㆍ 1분기 영업이익 1,482억원으로 시장 컨센서스 상회
ㆍ 주력 사업 개선 기대감 본격화
ㆍ 투자의견 BUY 유지, 목표주가 90,000원으로 상향
<롯데쇼핑[023530] 실적 서프라이즈 기록, 현저히 낮은 PBR 지표의 re-rating 가능성 확대>
대신증권 유정현
ㆍ 국내 마트 제외하고 대부분 사업부문에서 의미 있는 실적 개선
ㆍ 구조조정을 통해 실적 가시성 크게 개선
ㆍ 현저히 낮은 PBR re-rating 가능성 확대
<롯데쇼핑[023530] 1Q25 Review: 좋아서 반가운 실적>
LS증권 오린아
ㆍ 1Q25 Review: 좋아서 반가운 실적
ㆍ 실적 흐름 양호 전망
<롯데쇼핑[023530] 1Q25 Review: 좋네요>
한국투자증권 김명주,전유나
ㆍ 영업이익이 시장 기대치를 12.5% 상회
ㆍ 작년보다는 모든 것이 유리
ㆍ 양호한 주가 흐름을 예상
<KT[030200] 남은 분기도 맘 편하게>
IBK투자증권 김태현
ㆍ 1Q25 영업이익, 시장 기대치에 부합
ㆍ 그룹사가 실적 성장 견인
ㆍ 매 분기 큰 폭의 이익 성장 기대
<KT[030200] 실적개선과 주주환원 모두 만족>
SK증권 최관순
ㆍ 1Q25: 이익 레벨업
ㆍ 자사주 매입과 배당확대의 투트랙 주주환원 강화
<KT[030200] 든든하고 단단함>
DB증권 신은정
ㆍ 시장 예상치 부합
ㆍ 이익개선도 주주환원도 모두 보여주는 중
ㆍ 목표주가 6.5만원으로 상향, 투자의견 BUY 유지
<현대백화점[069960] 최악의 구간 통과>
신한투자증권 조상훈,김태훈
ㆍ 업종 내 가장 편안한 선택지
ㆍ 1Q25 Review: 백화점 아쉬웠으나 면세점, 지누스 서프라이즈
ㆍ Valuation & Risk: 목표주가 상향, 더 높아진 주주환원 정책 이행 의지
<현대백화점[069960] 1Q25 Review: 무난한 실적>
LS증권 오린아
ㆍ 1Q25 Review: 무난한 실적
ㆍ 투자의견 Buy 및 목표주가 75,000원 상향
<현대백화점[069960] 실적 개선과 주주환원 위한 노력, valuation 향상으로 이어질 것>
대신증권 유정현
ㆍ 1분기 백화점 양호, 면세점과 지누스 대폭 개선
ㆍ 2분기 강한 실적 개선 강도 이어질 것
ㆍ 회사의 실적 개선 및 주주가치 제고 노력 매우 높이 평가
<현대백화점[069960] 이제 면세/지누스가 효자>
DB증권 허제나
ㆍ 면세/지누스에서 기대치 상회
ㆍ 면세 산업구조 재편 효과 확인+지누스 턴어라운드 본격화 전망
ㆍ 목표주가 8만원으로 상향, 업종 최선호주 유지
<씨젠[096530] 영업 레버리지를 목도하라>
다올투자증권 박종현,이정우
ㆍ Pitch1Q25P 영업이익 당사 추정치 대비 큰 폭 상회
ㆍ 비코로나 매출의 견조한 성장(YoY +38%)을 통해 영업 레버리지 발생 구간
<와이지엔터테인먼트[122870] 연속된 서프라이즈, 구조적 개선>
메리츠증권 김민영
ㆍ 1Q25 Review: 2개 분기 연속 서프라이즈
ㆍ 이제 시작이다
ㆍ 투자의견 Buy, 적정주가 85,000원으로 +11.8% 상향
<와이지엔터테인먼트[122870] 베이비몬스터가 이끈 MD 서프라이즈>
한국투자증권 안도영
ㆍ 1분기 영업이익 95억원으로 기대치 상회
ㆍ 블랙핑크 투어급 MD 매출 발생. 적지만 확실한 IP로 MD 매출 극대화
ㆍ 목표주가 85,000원으로 20% 상향
<와이지엔터테인먼트[122870] 1Q25 어닝 서프라이즈, 블랙핑크 MD 기대 Up>
대신증권 임수진
ㆍ 1분기 OP 95억원으로 어닝 서프라이즈 달성, MD 매출 역대 최대 기록
ㆍ 4Q24부터 추진된 MD 전략 변화 효과적이며, 베몬 팬덤 성장세 기대 이상
ㆍ 블랙핑크 월드투어 MD 매출도 기대해볼 포인트. 목표주가 +15% 상향
<와이지엔터테인먼트[122870] 블랙핑크 월드투어보다 MD 매출이 높다고?>
하나증권 이기훈,김현수
ㆍ 목표주가 상향
ㆍ 1Q Review: OP 95억원(흑전)
ㆍ MD 매출에서 확인되는 달라진 YG
<한국콜마[161890] 이익 체력이 달라졌다>
다올투자증권 박종현,이정우
ㆍ 1Q25P Review
ㆍ 1Q25P 한국 및 미국 수익성 호조로 컨센서스 상회. 2Q25E 선크림 효과로 이익률 개선 사이클. 미국/국내 추정치 상향으로 적정주가 13만원 상향
<한국콜마[161890] 썬이 만드는 극강의 레버리지>
신한투자증권 박현진,주지은
ㆍ 분기 실적 컨센서스 지속 상향 전망
ㆍ 1Q25 Review: 국내&해외 모두 썬케어로 호실적
ㆍ Valuation & Risk: 건전하면서 성장도 나오는 기업
<한국콜마[161890] 기대되는 성수기>
대신증권 정한솔
ㆍ 1Q25 영업이익 599억원(YoY 85%, OPM 9.2%)로 컨센서스 상회
ㆍ 국내 선케어 수출 강세 + 중국·미국 개선 주효
ㆍ 2분기 선케어 성수기와 미국 모멘텀 고려 시 여전히 매력적인 투자처
<한국콜마[161890] 1Q25 Re: 2025 년 탄탄대로>
메리츠증권 박종대
ㆍ 1분기 영업이익 599억원(YoY 85%) 호실적 기록
ㆍ 미국/중국 사업 정상화 긍정적
<한국콜마[161890] 국내 호조 + 미국 강세 + 중국 회복>
하나증권 박은정,김다혜
ㆍ 1Q25 Review: 국내 호조 + 미국 강세 + 중국 회복
ㆍ 국내 +11%, 미국 +210%, 중국 +20%
ㆍ 역대 최대 실적 + 해외 외형 확장 본격화
<한국콜마[161890] 한국에서 중국, 미국까지 깔끔한 서프라이즈>
DB증권 허제나
ㆍ 예상치 압도적으로 상회한 실적
ㆍ 미국/중국까지 시장 지배력 빠르게 확대. 하반기 갈수록 탑라인 성장 돋보일 것
ㆍ 25년 영업이익 추정치 8% 상향
<메가스터디교육[215200] 1Q25 Preview: 영업이익 +29.3% YoY>
LS증권 정홍식
ㆍ 1Q25 Review
ㆍ 주주환원에 적극적
ㆍ 투자의견
ㆍ 매수 유지유지, 목표주가 70,000원으로 상향
https://t.me/siglab
<두산[000150] 달라진 두산, 달라질 주가>
대신증권 양지환
ㆍ 투자의견 매수 유지하며, 목표주가 54만원으로 28.6% 상향
ㆍ 2025년 1분기 전자BG 실적 서프라이즈, 25년~27년까지 성장 지속
ㆍ 2027년 수요까지 감안한 증설 추진. 전자BG 영업이익률 30% 근접할 전망
<CJ[001040] 기업구조개편 가시화로 동사 기업가치 제고 될 듯>
iM증권 이상헌
ㆍ 동사와 CJ올리브영 합병을 통하여 승계를 위한 기업구조개편 가시화 될 듯⇒합병이후 CJ올리브영 기업가치 반영되면서 동사 기업가치 제고될 듯
ㆍ 목표주가 160,000원으로 상향
<미래에셋증권[006800] 분기 최대 기록 부문이 많음>
대신증권 박혜진
ㆍ 브로커리지, WM, 상품운용, 해외법인 실적 사상 최대 달성
ㆍ 해외부동산 감액손실 1,000억원 반영에도 투자자산 평가이익 900억원
ㆍ 1분기와 유사한 이익 흐름 연말까지 이어질 것, 목표주가 상향
<금호석유화학[011780] NB Latex 마저 돌아선다면>
하나증권 윤재성,김형준
ㆍ 1Q25 영업이익 컨센 52% 상회
ㆍ 2Q25 영업이익 QoQ -28% 감익 예상
ㆍ 2024년을 바닥으로 중장기 Up-Cycle 진입. NB Latex 마저 돌아설 가능성
<코웨이[021240] 1Q25 Review: 역대 최대 분기 매출>
LS증권 오린아
ㆍ 1Q25 Review: 역대 최대 분기 매출
ㆍ 렌탈 판매 확대, 주주환원도 확대
<롯데쇼핑[023530] 비용 구조 효율화 노력의 결실>
신한투자증권 조상훈,김태훈
ㆍ 관건은 백화점 개선, 자산재평가로 재무구조 개선 기대
ㆍ 1Q25 Review: 내수 소비 침체 속 비용 구조 효율화 노력
ㆍ Valuation & Risk: 목표주가 상향, 장부가치에 대한 신뢰도 상승
<롯데쇼핑[023530] 주력 사업 개선 기대감 본격화>
키움증권 박상준
ㆍ 1분기 영업이익 1,482억원으로 시장 컨센서스 상회
ㆍ 주력 사업 개선 기대감 본격화
ㆍ 투자의견 BUY 유지, 목표주가 90,000원으로 상향
<롯데쇼핑[023530] 실적 서프라이즈 기록, 현저히 낮은 PBR 지표의 re-rating 가능성 확대>
대신증권 유정현
ㆍ 국내 마트 제외하고 대부분 사업부문에서 의미 있는 실적 개선
ㆍ 구조조정을 통해 실적 가시성 크게 개선
ㆍ 현저히 낮은 PBR re-rating 가능성 확대
<롯데쇼핑[023530] 1Q25 Review: 좋아서 반가운 실적>
LS증권 오린아
ㆍ 1Q25 Review: 좋아서 반가운 실적
ㆍ 실적 흐름 양호 전망
<롯데쇼핑[023530] 1Q25 Review: 좋네요>
한국투자증권 김명주,전유나
ㆍ 영업이익이 시장 기대치를 12.5% 상회
ㆍ 작년보다는 모든 것이 유리
ㆍ 양호한 주가 흐름을 예상
<KT[030200] 남은 분기도 맘 편하게>
IBK투자증권 김태현
ㆍ 1Q25 영업이익, 시장 기대치에 부합
ㆍ 그룹사가 실적 성장 견인
ㆍ 매 분기 큰 폭의 이익 성장 기대
<KT[030200] 실적개선과 주주환원 모두 만족>
SK증권 최관순
ㆍ 1Q25: 이익 레벨업
ㆍ 자사주 매입과 배당확대의 투트랙 주주환원 강화
<KT[030200] 든든하고 단단함>
DB증권 신은정
ㆍ 시장 예상치 부합
ㆍ 이익개선도 주주환원도 모두 보여주는 중
ㆍ 목표주가 6.5만원으로 상향, 투자의견 BUY 유지
<현대백화점[069960] 최악의 구간 통과>
신한투자증권 조상훈,김태훈
ㆍ 업종 내 가장 편안한 선택지
ㆍ 1Q25 Review: 백화점 아쉬웠으나 면세점, 지누스 서프라이즈
ㆍ Valuation & Risk: 목표주가 상향, 더 높아진 주주환원 정책 이행 의지
<현대백화점[069960] 1Q25 Review: 무난한 실적>
LS증권 오린아
ㆍ 1Q25 Review: 무난한 실적
ㆍ 투자의견 Buy 및 목표주가 75,000원 상향
<현대백화점[069960] 실적 개선과 주주환원 위한 노력, valuation 향상으로 이어질 것>
대신증권 유정현
ㆍ 1분기 백화점 양호, 면세점과 지누스 대폭 개선
ㆍ 2분기 강한 실적 개선 강도 이어질 것
ㆍ 회사의 실적 개선 및 주주가치 제고 노력 매우 높이 평가
<현대백화점[069960] 이제 면세/지누스가 효자>
DB증권 허제나
ㆍ 면세/지누스에서 기대치 상회
ㆍ 면세 산업구조 재편 효과 확인+지누스 턴어라운드 본격화 전망
ㆍ 목표주가 8만원으로 상향, 업종 최선호주 유지
<씨젠[096530] 영업 레버리지를 목도하라>
다올투자증권 박종현,이정우
ㆍ Pitch1Q25P 영업이익 당사 추정치 대비 큰 폭 상회
ㆍ 비코로나 매출의 견조한 성장(YoY +38%)을 통해 영업 레버리지 발생 구간
<와이지엔터테인먼트[122870] 연속된 서프라이즈, 구조적 개선>
메리츠증권 김민영
ㆍ 1Q25 Review: 2개 분기 연속 서프라이즈
ㆍ 이제 시작이다
ㆍ 투자의견 Buy, 적정주가 85,000원으로 +11.8% 상향
<와이지엔터테인먼트[122870] 베이비몬스터가 이끈 MD 서프라이즈>
한국투자증권 안도영
ㆍ 1분기 영업이익 95억원으로 기대치 상회
ㆍ 블랙핑크 투어급 MD 매출 발생. 적지만 확실한 IP로 MD 매출 극대화
ㆍ 목표주가 85,000원으로 20% 상향
<와이지엔터테인먼트[122870] 1Q25 어닝 서프라이즈, 블랙핑크 MD 기대 Up>
대신증권 임수진
ㆍ 1분기 OP 95억원으로 어닝 서프라이즈 달성, MD 매출 역대 최대 기록
ㆍ 4Q24부터 추진된 MD 전략 변화 효과적이며, 베몬 팬덤 성장세 기대 이상
ㆍ 블랙핑크 월드투어 MD 매출도 기대해볼 포인트. 목표주가 +15% 상향
<와이지엔터테인먼트[122870] 블랙핑크 월드투어보다 MD 매출이 높다고?>
하나증권 이기훈,김현수
ㆍ 목표주가 상향
ㆍ 1Q Review: OP 95억원(흑전)
ㆍ MD 매출에서 확인되는 달라진 YG
<한국콜마[161890] 이익 체력이 달라졌다>
다올투자증권 박종현,이정우
ㆍ 1Q25P Review
ㆍ 1Q25P 한국 및 미국 수익성 호조로 컨센서스 상회. 2Q25E 선크림 효과로 이익률 개선 사이클. 미국/국내 추정치 상향으로 적정주가 13만원 상향
<한국콜마[161890] 썬이 만드는 극강의 레버리지>
신한투자증권 박현진,주지은
ㆍ 분기 실적 컨센서스 지속 상향 전망
ㆍ 1Q25 Review: 국내&해외 모두 썬케어로 호실적
ㆍ Valuation & Risk: 건전하면서 성장도 나오는 기업
<한국콜마[161890] 기대되는 성수기>
대신증권 정한솔
ㆍ 1Q25 영업이익 599억원(YoY 85%, OPM 9.2%)로 컨센서스 상회
ㆍ 국내 선케어 수출 강세 + 중국·미국 개선 주효
ㆍ 2분기 선케어 성수기와 미국 모멘텀 고려 시 여전히 매력적인 투자처
<한국콜마[161890] 1Q25 Re: 2025 년 탄탄대로>
메리츠증권 박종대
ㆍ 1분기 영업이익 599억원(YoY 85%) 호실적 기록
ㆍ 미국/중국 사업 정상화 긍정적
<한국콜마[161890] 국내 호조 + 미국 강세 + 중국 회복>
하나증권 박은정,김다혜
ㆍ 1Q25 Review: 국내 호조 + 미국 강세 + 중국 회복
ㆍ 국내 +11%, 미국 +210%, 중국 +20%
ㆍ 역대 최대 실적 + 해외 외형 확장 본격화
<한국콜마[161890] 한국에서 중국, 미국까지 깔끔한 서프라이즈>
DB증권 허제나
ㆍ 예상치 압도적으로 상회한 실적
ㆍ 미국/중국까지 시장 지배력 빠르게 확대. 하반기 갈수록 탑라인 성장 돋보일 것
ㆍ 25년 영업이익 추정치 8% 상향
<메가스터디교육[215200] 1Q25 Preview: 영업이익 +29.3% YoY>
LS증권 정홍식
ㆍ 1Q25 Review
ㆍ 주주환원에 적극적
ㆍ 투자의견
ㆍ 매수 유지유지, 목표주가 70,000원으로 상향
Forwarded from DS 경제 김준영
준클리_최악은_아니지만_아직은_안심하기_이르다.pdf
913.3 KB
[DS 경제 김준영] 준클리 05/12(월)
최악은 아니지만 아직은 안심하기 이르다
■ 경기 둔화를 조심해야 할 시기
- PMI는 이미 바닥. 서비스 PMI와 제조업 PMI 모두 역사적 하단 수준
- 소비자 신용은 줄었고 정부의 부채 부담이 부각되는 가운데 지출은 제자리 (정부 지출 성장은 없음)
- 관세 협상이 지지부진하면 미국 내 재고 감소 우려 (공급자 우위 시장으로 전환 우려)
■ 그럼에도 유가 덕에 스태그 우려는 덜어냄
- 지역 연은 서베이 등 물가 우려가 커지는 중
- 일부 물가 서베이 데이터는 실제 물가 경로를 후행해서 따라가기도
- 유가 상방 압력이 크지 않아 스태그로 이어지진 않을 가능성
- 사우디는 감산 이행률이 낮아 증산으로 선회
■ 주식시장의 회복은 채권 시장의 악몽
- 증시 회복은 인하 기대감 축소로 작용
- 관세 불확실성 해소에도 실물 경제에는 타격이 있을 것. 연준 인사들, 코멘트에는 경기 둔화와 인플레 불확실성 재차 언급
- 경기 회복 국면이 아님에도 금리와 증시는 동시에 높은 상황. 절대적으로 높은 금리가 부담이 될 수 있을 것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https://t.me/DSInvResearch
최악은 아니지만 아직은 안심하기 이르다
■ 경기 둔화를 조심해야 할 시기
- PMI는 이미 바닥. 서비스 PMI와 제조업 PMI 모두 역사적 하단 수준
- 소비자 신용은 줄었고 정부의 부채 부담이 부각되는 가운데 지출은 제자리 (정부 지출 성장은 없음)
- 관세 협상이 지지부진하면 미국 내 재고 감소 우려 (공급자 우위 시장으로 전환 우려)
■ 그럼에도 유가 덕에 스태그 우려는 덜어냄
- 지역 연은 서베이 등 물가 우려가 커지는 중
- 일부 물가 서베이 데이터는 실제 물가 경로를 후행해서 따라가기도
- 유가 상방 압력이 크지 않아 스태그로 이어지진 않을 가능성
- 사우디는 감산 이행률이 낮아 증산으로 선회
■ 주식시장의 회복은 채권 시장의 악몽
- 증시 회복은 인하 기대감 축소로 작용
- 관세 불확실성 해소에도 실물 경제에는 타격이 있을 것. 연준 인사들, 코멘트에는 경기 둔화와 인플레 불확실성 재차 언급
- 경기 회복 국면이 아님에도 금리와 증시는 동시에 높은 상황. 절대적으로 높은 금리가 부담이 될 수 있을 것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https://t.me/DSInvResearch
Forwarded from SK증권 리서치 자산전략팀
[SK 증권 강대승, 조준기] ROE UP - R UP, E DOWN
ROE UP - R UP, E DOWN
1. R Up
> 미국의 관세 전쟁으로 인해 국가간 무역 관계 변화 가능성 상승. 무역 의존도가 높은 한국에 수출 역학 변화는 위기이자 기회 요인이 될 수 있다고 판단
> 미국과 중국간의 무역 감소는 한국에 기회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 미국과 중국의 무역 분쟁은 단기간에 해결되기 어려움. 수입 비중이 높았던 품목은 단기적으로 다른 국가에서 수입할 확률이 높음
> 한국의 수출 가격 경쟁은 크게 심화되지 않을 것. 높은 관세, 내수 부양 등을 고려했을 때 위안화의 절하 정도가 제한적일 것이기 때문
> 중장기적으로 한국 제조산업의 미국 생산 설비 투자 확대로 인한 수출 증가가 국내 증시의 R 상승에 기여할 것
> 미국과 중국의 교역 감소에 따른 한국의 반사수혜 예상 업종은 화학(폴리에틸렌), 2차전지 등
> 한국 제조산업의 미국 생산 설비 투자 확대로 실적 개선이 기대되는 산업은 조선, 전기부품 등
2. E Down
> 명목적인 이익 성장 없이도 주가는 오를 수 있다는 사례로 애플이 있음. 애플은 이익 수준이 정체되거나 줄어드는 상황 속에서도 자사주 매입과 소각 등 적극적인 주주환원 정책을 통해 EPS 상승 패턴을 보임
> 국내 증시 측면에서 ROE의 장기 우하향은 분명히 비우호적인 상황. R의 문제도 있으나 E의 문제 또한 지속적으로 영향을 끼쳤으며, 시가총액 증가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지수 상황이 이를 대변함. 이러한 상황 이어질 경우 국내 증시 밸류에이션 상승 제한될 것
> 최근 나타나고 있는 정책 및 민간 측면에서의 변화들은 국내 증시에 대한 선호도가 중장기적으로 개선될 수 있는 여지를 제공하고 있음. 작년 자사주 매입 및 소각 규모는 증시 부진에도 역대 최대 수준을 기록했으며 올해에도 이러한 추세는 계속 강화되고 있음
> 2012년 이후 6,000여건에 달하는 자사주 매입 사례와 작년부터 시작된 밸류업 공시에 대한 가격 반응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구간에서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 앞으로도 밸류업 공시 & 주주가치 제고 여력 높은 기업 비중 확대는 확률상 우위 제공
> E의 감소 측면에서 유망 업종은 은행, 증권, 지주회사, 통신서비스를 제시
보고서 원문: https://buly.kr/3CNru3J
* SK증권 자산전략부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_Research_Asset
*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ROE UP - R UP, E DOWN
1. R Up
> 미국의 관세 전쟁으로 인해 국가간 무역 관계 변화 가능성 상승. 무역 의존도가 높은 한국에 수출 역학 변화는 위기이자 기회 요인이 될 수 있다고 판단
> 미국과 중국간의 무역 감소는 한국에 기회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 미국과 중국의 무역 분쟁은 단기간에 해결되기 어려움. 수입 비중이 높았던 품목은 단기적으로 다른 국가에서 수입할 확률이 높음
> 한국의 수출 가격 경쟁은 크게 심화되지 않을 것. 높은 관세, 내수 부양 등을 고려했을 때 위안화의 절하 정도가 제한적일 것이기 때문
> 중장기적으로 한국 제조산업의 미국 생산 설비 투자 확대로 인한 수출 증가가 국내 증시의 R 상승에 기여할 것
> 미국과 중국의 교역 감소에 따른 한국의 반사수혜 예상 업종은 화학(폴리에틸렌), 2차전지 등
> 한국 제조산업의 미국 생산 설비 투자 확대로 실적 개선이 기대되는 산업은 조선, 전기부품 등
2. E Down
> 명목적인 이익 성장 없이도 주가는 오를 수 있다는 사례로 애플이 있음. 애플은 이익 수준이 정체되거나 줄어드는 상황 속에서도 자사주 매입과 소각 등 적극적인 주주환원 정책을 통해 EPS 상승 패턴을 보임
> 국내 증시 측면에서 ROE의 장기 우하향은 분명히 비우호적인 상황. R의 문제도 있으나 E의 문제 또한 지속적으로 영향을 끼쳤으며, 시가총액 증가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지수 상황이 이를 대변함. 이러한 상황 이어질 경우 국내 증시 밸류에이션 상승 제한될 것
> 최근 나타나고 있는 정책 및 민간 측면에서의 변화들은 국내 증시에 대한 선호도가 중장기적으로 개선될 수 있는 여지를 제공하고 있음. 작년 자사주 매입 및 소각 규모는 증시 부진에도 역대 최대 수준을 기록했으며 올해에도 이러한 추세는 계속 강화되고 있음
> 2012년 이후 6,000여건에 달하는 자사주 매입 사례와 작년부터 시작된 밸류업 공시에 대한 가격 반응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구간에서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 앞으로도 밸류업 공시 & 주주가치 제고 여력 높은 기업 비중 확대는 확률상 우위 제공
> E의 감소 측면에서 유망 업종은 은행, 증권, 지주회사, 통신서비스를 제시
보고서 원문: https://buly.kr/3CNru3J
* SK증권 자산전략부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_Research_Asset
*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Telegram
SK증권 Research
SK증권 지식서비스 부문 Telegram 채널
Forwarded from 유진 IT/Auto/Media/Game/Consumer
[유진 IT/전기전자 이주형]
안녕하세요. 유진투자증권에서 IT/전기전자 섹터를 담당하게 된 이주형입니다.
앞으로도 좋은 자료로 자주 찾아뵙겠습니다. 잘 부탁드립니다.
▶ IT/전기전자(Initiation)
[AI, 제 5의 유틸리티]
1) 딥시크-V3 출현 이후 하드웨어 제약 해소 및 비용 효율성이 제고된 AI 산업은 경제성과 접근성을 바탕으로 필수 유틸리티로 전환되고 있음
2) 효율성 개선은 자원 소비의 증가로 귀결되며, 이는 인프라와 엣지 디바이스에서 AI와 하드웨어의 결합을 가속화
3) AI의 유틸리티화에 따라, IT/전기전자 섹터 내 MLCC와 FC-BGA의 구조적 성장 전망
4) Appendix: 중국 로컬 MLCC 업체 경쟁력 분석, 유리기판 기술 분석
▶ Top-pick: 삼성전기(BUY, 160,000원)
[성장 시장 위주의 제품믹스 다변화]
1) 컴포넌트, 패키지솔루션 각각 산업 내 가장 빠른 시장 규모 성장이 예상되는 자동차, AI서버용 시장 내 유의미한 경쟁력을 확보했다고 판단
2) 서버, 자동차, 기타 산업용 매출 비중 증가에 따라 전사 Non-IT 매출 비중 '27F 50% 상회 전망
3) 최대 고객사 삼성전자향 매출 비중 '16 57% > '24 29% 로 하향 안정화
▶ 보고서 링크: https://buly.kr/D3eIpnJ
* 본 내용은 당사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받아 발송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유진투자증권에서 IT/전기전자 섹터를 담당하게 된 이주형입니다.
앞으로도 좋은 자료로 자주 찾아뵙겠습니다. 잘 부탁드립니다.
▶ IT/전기전자(Initiation)
[AI, 제 5의 유틸리티]
1) 딥시크-V3 출현 이후 하드웨어 제약 해소 및 비용 효율성이 제고된 AI 산업은 경제성과 접근성을 바탕으로 필수 유틸리티로 전환되고 있음
2) 효율성 개선은 자원 소비의 증가로 귀결되며, 이는 인프라와 엣지 디바이스에서 AI와 하드웨어의 결합을 가속화
3) AI의 유틸리티화에 따라, IT/전기전자 섹터 내 MLCC와 FC-BGA의 구조적 성장 전망
4) Appendix: 중국 로컬 MLCC 업체 경쟁력 분석, 유리기판 기술 분석
▶ Top-pick: 삼성전기(BUY, 160,000원)
[성장 시장 위주의 제품믹스 다변화]
1) 컴포넌트, 패키지솔루션 각각 산업 내 가장 빠른 시장 규모 성장이 예상되는 자동차, AI서버용 시장 내 유의미한 경쟁력을 확보했다고 판단
2) 서버, 자동차, 기타 산업용 매출 비중 증가에 따라 전사 Non-IT 매출 비중 '27F 50% 상회 전망
3) 최대 고객사 삼성전자향 매출 비중 '16 57% > '24 29% 로 하향 안정화
▶ 보고서 링크: https://buly.kr/D3eIpnJ
* 본 내용은 당사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받아 발송되었습니다.
Forwarded from SK증권 스몰캡 리서치
Analyst 나승두 (nsdoo@sks.co.kr/3773-8891)
▶️ 먹고, 자고, 노는 것들에 대한 이야기
우리나라 많이 놀러오네요 (월 외국인 입국자 수 기록 경신)
- 4월소비자심리지수소폭반등성공, 여행비지출및교양/오락/문화생활비지출전망반등
- 단기적큰고비였던정치적불확실성해소되었고, 오히려정책적경쟁을통한정책기대감기대할수있는국
- 1월이후연휴효과사라지며출국자줄었지만, 우리나라찾는외국인은기록경신중
- 우리나라국민, 동남아보다중국및일본찾는비중증가중
- 올해1분기중국향출국자+48.8% 증가, 같은기간일본은+6.7%, 태국및필리핀등은오히려감소
- 3월외국인입국자167만명, 코로나19 팬데믹이후최고수준, 중국/일본/동남아입국자고른성장
- 올해1분기중국출발우리나라입국자YoY +11.4% 증가, 일본은+19.1% 증가, 동남아도평균+10% 이상증가, 인바운드여행객호텔실적반등주목
- 제주도내국인입도객빠르게반등중이고, 외국인입도객도최고치경신임박
- 이제는코로나19 팬데믹기간이아닌, THAAD 배치로인한영향있었던2016년수준으로눈높이높여야할시점
▶️ 5월먹.자.놀.Top pick - 하나투어, 롯데관광개발, 서부T&D, JTC
▶️ 보고서 원문: https://buly.kr/YeVBb8
SK증권 미드스몰캡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_smallcap
SK증권 리서치센터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sresearch
※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 먹고, 자고, 노는 것들에 대한 이야기
우리나라 많이 놀러오네요 (월 외국인 입국자 수 기록 경신)
- 4월소비자심리지수소폭반등성공, 여행비지출및교양/오락/문화생활비지출전망반등
- 단기적큰고비였던정치적불확실성해소되었고, 오히려정책적경쟁을통한정책기대감기대할수있는국
- 1월이후연휴효과사라지며출국자줄었지만, 우리나라찾는외국인은기록경신중
- 우리나라국민, 동남아보다중국및일본찾는비중증가중
- 올해1분기중국향출국자+48.8% 증가, 같은기간일본은+6.7%, 태국및필리핀등은오히려감소
- 3월외국인입국자167만명, 코로나19 팬데믹이후최고수준, 중국/일본/동남아입국자고른성장
- 올해1분기중국출발우리나라입국자YoY +11.4% 증가, 일본은+19.1% 증가, 동남아도평균+10% 이상증가, 인바운드여행객호텔실적반등주목
- 제주도내국인입도객빠르게반등중이고, 외국인입도객도최고치경신임박
- 이제는코로나19 팬데믹기간이아닌, THAAD 배치로인한영향있었던2016년수준으로눈높이높여야할시점
▶️ 5월먹.자.놀.Top pick - 하나투어, 롯데관광개발, 서부T&D, JTC
▶️ 보고서 원문: https://buly.kr/YeVBb8
SK증권 미드스몰캡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_smallcap
SK증권 리서치센터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sresearch
※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Forwarded from 현대차증권_리서치센터_채널
[현대차증권 인터넷/게임/엔터/통신 김현용]
엔터 산업(Overweight)
<K-POP 서양 원정기>
■ K-POP 서구권 모객 올해 600만명: 2~3년 이내 서구권 천만 포함 글로벌 2,500만명 모객 도달할 것
-2025년 K-POP 서구권 모객수는 600만명(YoY +148%)으로 전망되며, 서구권 공연 시장점유율은 올해 약 4%에 달할 것으로 예상. 지역별로는 미국 300만명(YoY +88%), 유럽 150만명(YoY +733%), 남미/호주 150만명(YoY +83%)으로 전망. 여기에 아시아 모객수 1,150만명(YoY +6%) 을 더한 2025년 예상 K-POP 글로벌 모객수는 1,750만명(YoY +32%). 현시점 기확정 모객수는 1,124만명이며 아시아 689만명(61%), 서구권 435만명(39%)으로 구성. 서구권 모객수는 올해 전고점을 강하게 돌파한 상황이기 때문에 연간 천만대 모객까지는 가파른 상승이 예상되며, 서구 권, 아시아, 중국을 모두 포함한 K-POP 연간 모객수는 2~3년 안에 2,500만명에 도달할 것
■ 중국 공연시장 재개 시 연간 150만명 모객 더해질 전망
-한한령 해제 분위기가 무르익으며, 이르면 하반기 또는 늦어도 내년 상반기에는 K-POP 아티스트 의 중국 내륙 공연이 기대되는 상황으로 판단됨.4월 12일 한국 국적 3인조 힙합 그룹 호미들이 우 한에서 공연을 진행했고, 전원 한국 국적의 8인조 보이그룹 EPEX(소속사 C9엔터)가 5월 31일 푸 저우에서 공연이 예정된 상태. 다만, 아레나급 이상의 합동 콘서트, 아레나급 이상의 단독 콘서트 등 아직은 확인을 거쳐야 하는 과정이 남아 있음. 중국 공연시장 재개 시 효과는 연간 150만명으 로 기대되며, 한한령 이전(2014~2016) 연평균 중국 모객수가 약 70만명이었던 점 및 K-POP 모 객 시장 성장률(당시 연평균 650만 시장에서 올해 1,750만 시장으로 2.7배증)을 고려하여 추정
■ 일본 → 미국 → 유럽 → 남미로 뻗어가는 현지화 아이돌 일본 현지화 아이돌은 2020년 JO1, NiziU를 시작으로 2021년 INI, 2022년 &TEAM을 거쳐 2025 년 아오엔(6월 데뷔)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시장 안착. 그리고 미국에서는 하이브 KATSEYE(2024), 유럽에서는 에스엠 DearALICE(2025), 남미에서는 하이브 오디션이 6월 8일부터 방영 계획
* URL: https://buly.kr/CLzGuvW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 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엔터 산업(Overweight)
<K-POP 서양 원정기>
■ K-POP 서구권 모객 올해 600만명: 2~3년 이내 서구권 천만 포함 글로벌 2,500만명 모객 도달할 것
-2025년 K-POP 서구권 모객수는 600만명(YoY +148%)으로 전망되며, 서구권 공연 시장점유율은 올해 약 4%에 달할 것으로 예상. 지역별로는 미국 300만명(YoY +88%), 유럽 150만명(YoY +733%), 남미/호주 150만명(YoY +83%)으로 전망. 여기에 아시아 모객수 1,150만명(YoY +6%) 을 더한 2025년 예상 K-POP 글로벌 모객수는 1,750만명(YoY +32%). 현시점 기확정 모객수는 1,124만명이며 아시아 689만명(61%), 서구권 435만명(39%)으로 구성. 서구권 모객수는 올해 전고점을 강하게 돌파한 상황이기 때문에 연간 천만대 모객까지는 가파른 상승이 예상되며, 서구 권, 아시아, 중국을 모두 포함한 K-POP 연간 모객수는 2~3년 안에 2,500만명에 도달할 것
■ 중국 공연시장 재개 시 연간 150만명 모객 더해질 전망
-한한령 해제 분위기가 무르익으며, 이르면 하반기 또는 늦어도 내년 상반기에는 K-POP 아티스트 의 중국 내륙 공연이 기대되는 상황으로 판단됨.4월 12일 한국 국적 3인조 힙합 그룹 호미들이 우 한에서 공연을 진행했고, 전원 한국 국적의 8인조 보이그룹 EPEX(소속사 C9엔터)가 5월 31일 푸 저우에서 공연이 예정된 상태. 다만, 아레나급 이상의 합동 콘서트, 아레나급 이상의 단독 콘서트 등 아직은 확인을 거쳐야 하는 과정이 남아 있음. 중국 공연시장 재개 시 효과는 연간 150만명으 로 기대되며, 한한령 이전(2014~2016) 연평균 중국 모객수가 약 70만명이었던 점 및 K-POP 모 객 시장 성장률(당시 연평균 650만 시장에서 올해 1,750만 시장으로 2.7배증)을 고려하여 추정
■ 일본 → 미국 → 유럽 → 남미로 뻗어가는 현지화 아이돌 일본 현지화 아이돌은 2020년 JO1, NiziU를 시작으로 2021년 INI, 2022년 &TEAM을 거쳐 2025 년 아오엔(6월 데뷔)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시장 안착. 그리고 미국에서는 하이브 KATSEYE(2024), 유럽에서는 에스엠 DearALICE(2025), 남미에서는 하이브 오디션이 6월 8일부터 방영 계획
* URL: https://buly.kr/CLzGuvW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 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Forwarded from [머니스테이션] 베스트 피드
[주간베스트] $와이바이오로직스 - 탄탄한 경쟁력과 풍부한 모멘텀
https://www.moneystation.net/post/101490
https://www.moneystation.net/post/101490
www.moneystation.net
머니스테이션(MoneyStation)
@IV리서치: [IV Research] 와이바이오로직스(338840)-탄탄한 경쟁력과 풍부한 모멘텀 기업개요 동사는 자체적으로 구축한 완전 인간항체 및 인간 나노바디 라이브러리를 기반으로 다중항체 융합체와 pH-감응항체 ADC 신약을 개발하는 항체 전문 신약개발 기업이다. 또한 국내외 파트너 기업과 항체가 포함되는 다수의 바이오의약품 신약도 공동개발하... $와이바이오로직스
[시그널랩 실적속보] 케이카 (381970)
2025 1Q 개별 잠정실적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512000040
● 매출액: 6,047억원
- YoY: +0.0%
- QoQ: +14.4%
- 컨센대비: -3.6%
● 영업이익: 215억원
- YoY: +21.8%
- QoQ: +40.5%
- 컨센대비: +7.9%
● 당기순이익: 144억원
- YoY: +22.5%
- QoQ: +54.6%
- 컨센대비: +9.8%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2025 1Q 개별 잠정실적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512000040
● 매출액: 6,047억원
- YoY: +0.0%
- QoQ: +14.4%
- 컨센대비: -3.6%
● 영업이익: 215억원
- YoY: +21.8%
- QoQ: +40.5%
- 컨센대비: +7.9%
● 당기순이익: 144억원
- YoY: +22.5%
- QoQ: +54.6%
- 컨센대비: +9.8%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우리 증시는 개장 초반 양 시장 상승 출발했지만, 매물 출회하며 KOSPI는 상승폭 반납, KOSDAQ은 하락 전환하였습니다. 주말 사이 있었던 미중 협상과 관련한 기대감과 함께 오늘 발표될 것으로 알려진 미중 공동성명에 대한 경계심이 동시에 작용한 모습으로 볼 수 있습니다.
섹터별로는 상승 섹터가 다수인 가운데, 우크라이나 재건 섹터가 특히 강세를 보이는 점이 특징입니다. 이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정상이 15일 튀르키예에서 직접 만나 평화회담에 나설 것으로 알려지면서 휴전 기대감이 높아졌기 때문입니다.
섹터별로는 상승 섹터가 다수인 가운데, 우크라이나 재건 섹터가 특히 강세를 보이는 점이 특징입니다. 이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정상이 15일 튀르키예에서 직접 만나 평화회담에 나설 것으로 알려지면서 휴전 기대감이 높아졌기 때문입니다.
[상보] 러-우 평화회담 개최⋯젤렌스키 "15일 튀르키예서 푸틴 만날 것"
- 푸틴 "조건 없는 협상 다시 제안"
- 젤렌스키 "협상보다 휴전 먼저"
- 15일 이스탄불서 개전 후 첫 대면
https://www.etoday.co.kr/news/view/2469382
- 푸틴 "조건 없는 협상 다시 제안"
- 젤렌스키 "협상보다 휴전 먼저"
- 15일 이스탄불서 개전 후 첫 대면
https://www.etoday.co.kr/news/view/2469382
이투데이
[상보] 러-우 평화회담 개최⋯젤렌스키 "15일 튀르키예서 푸틴 만날 것"
푸틴 "조건 없는 협상 다시 제안"젤렌스키 "협상보다 휴전 먼저"15일 이스탄불서 개전 후 첫 대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정상이 오는 15일 튀르키예에
[단독] '메타 출신 영입'…삼성, 하드웨어 넘어 ‘소프트웨어 전면전’ 나선다
- 메타 리얼리티랩 호라이즌 OS 개발 이끈 기술 전문가
- 스마트 TV에 탑재되는 OS '타이젠' 담당 상무로 영입
https://www.fnnews.com/news/202505120849187442
- 메타 리얼리티랩 호라이즌 OS 개발 이끈 기술 전문가
- 스마트 TV에 탑재되는 OS '타이젠' 담당 상무로 영입
https://www.fnnews.com/news/202505120849187442
파이낸셜뉴스
[단독] '메타 출신 영입'…삼성, 하드웨어 넘어 ‘소프트웨어 전면전’ 나선다
삼성전자가 글로벌 빅테크 기업 메타에서 운영체제(OS) 개발 실무를 총괄했던 기술 전문가를 자체 운영체제(OS)인 타이젠 담당 임원으로 영입한 것으로 확인됐다. 스마트TV 등 가전에 들어가는 타이젠 OS를 전면 재정비하겠다는 신호로 풀이된다. 12일 업계..
Forwarded from [머니스테이션] 베스트 피드
[주간베스트] 천연가스 가격 코멘트 & 전망
https://www.moneystation.net/post/101440
https://www.moneystation.net/post/101440
www.moneystation.net
머니스테이션(MoneyStation)
@커머더티은둔고수: 3달러에서 탈출할까? 천연가스, 여름 냉방·수출 호재에 재상승 기대 1) 계절성 반등 구간 진입 천연가스 가격, 봄철 비수기로 3달러 중반대 고전 6월 재고 피크 이후 7월물 전환(5월 20일 이후)로 가격 상방 모멘텀 예상 2) 미국 LNG 수출 호조 Freeport 등 수출 터미널 가동률↑, 러시아 수출 차질 속 유럽 Re-sto... $EQNR $FLNG $KB블룸버그레버리지천연가스선물ETN $KB인버스천연가스선물ETN $LNG…
[시그널랩 리서치] CFD(차액결제거래) 모니터링
https://t.me/siglab
5월 9일 기준 CFD 매수잔고율, 신규매수주식수, 신규매수금액 상위 20개 종목 리스트입니다.
● CFD 매수잔고율 = CFD 매수잔고주식수 / 결제일의 상장주식수
CFD 매수잔고율이 높다는 것은 상장주식수 대비 CFD 매수 물량이 많다는 의미로, CFD 투자자들이 매수 관점에서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https://t.me/siglab
5월 9일 기준 CFD 매수잔고율, 신규매수주식수, 신규매수금액 상위 20개 종목 리스트입니다.
● CFD 매수잔고율 = CFD 매수잔고주식수 / 결제일의 상장주식수
CFD 매수잔고율이 높다는 것은 상장주식수 대비 CFD 매수 물량이 많다는 의미로, CFD 투자자들이 매수 관점에서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