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그널랩] Signal Lab 리서치
11.1K subscribers
18.2K photos
511 videos
469 files
107K links
📌시그널랩은 증권사/자산운용사와 함께합니다

.투자의 미래를 구독하세요
.투자의 혁신 - visual invest tech
.시그널엔진 글로벌 분석종목 & 리서치 제공
.정부가 지원하는 특허 투자솔루션
.삼성/신한/우리/하이/DB/IBK/BNK증권/한경/KRX 제공

.팀소개: https://naver.me/5wHMEqSk
.솔루션: https://naver.me/FjjdX9Hh
.SNS: moneystation.net/user/siglab
Download Telegram
위메이드 “위믹스 거래지원 종료 가처분…늦어도 차주 초 제출 목표”

"위믹스 팀은 “가처분 신청이 단순한 요식행위가 아닌 유의미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도록 철저한 자료 준비를 우선하고 있고 빠르면 이번 주 내 늦어도 다음 주 초까지 법원에 제출하는 것을 목표로 최선을 다하고 있다”라며 “이번 결정에 의해 실질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받고 있는 홀더 커뮤니티에서 함께하며 도움을 주고 계신데 위믹스 팀의 법적 대응 진행에 큰 힘이 되고 있다. 이 자리를 빌어 감사 인사를 전한다”라고 밝혔다."

https://game.mk.co.kr/news/it/11312340
[시그널랩] KOSPI 200 내 주요 스타일 및 Factor 모니터링
https://t.me/siglab

● 최근 1개월 사이 성과가 좋았던 스타일은 가격 모멘텀이라 할 수 있음.
- 3개월 및 12개월전 대비 수익률, 20일 및 60일 이격도 상위 팩터 모두 팩터별 수익률 상위권에 위치.

● 수급 측면에서는 20일 기관 빈집이 유효.
- 기관 및 외국인 수급 팩터 중에서는 20일 기관 빈집 팩터가 유일하게 상위권. 그외 수급 팩터는 그다지 좋지 못했던 모습.

● 최근 1주일 모습을 살펴보면, 가격 모멘텀이 어느정도 유지되는 가운데, 외국인 수급이 중요 포인트.
- 20일 및 60일 이격도 상위가 여전히 팩터별 수익률 상위에 위치.
- 외국인 수급 팩터 중에서는 20일 및 60일 찬집 팩터가 상위권. 이는 최근 시장에서 외국인의 매수가 중요한 키포인트였다는 것을 의미.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FT> Bankers urge US companies to use reprieve in market swings to sell debt

* 은행들, 트럼프발 시장 혼란 재개 전 채권 발행 서두르라 경고

✔️ 시장 환경: 트럼프 전 대통령의 무역전쟁 재점화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최근 채권 시장의 일시적 안정을 활용해 기업들이 자금 조달에 나서야 한다는 경고가 확산.

✔️ 은행권 조언: 골드만삭스, JP모건 등 주요 투자은행들은 미국 기업들에게 지금이 상대적으로 낮은 금리와 안정된 스프레드를 활용할 수 있는 ‘창구’라고 조언.

✔️ 경고 배경: 트럼프가 예고한 대중국 및 멕시코, 캐나다 대상 추가 관세 조치가 시행될 경우 시장 금리와 신용 스프레드의 급등이 우려되며, 자금 조달 비용이 크게 상승할 가능성이 있음.

✔️ 기업 반응: 일부 투자등급 기업들은 이미 자금 조달 시기를 앞당기고 있으며, 하반기 불확실성에 대비해 현금 유동성을 확보하는 흐름이 감지됨.

✔️ 전문가 의견: 뱅크오브아메리카 전략가는 “시장은 예고된 폭풍 전의 고요다. 지금은 가능한 한 빨리 채권을 찍어야 할 시점”이라고 언급.

on.ft.com/4m2VRtc
[시그널랩 실적속보] 씨앤씨인터내셔널 (352480)
2025 1Q 연결 잠정실적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509000273

● 매출액: 660억원
- YoY: -8.5%
- QoQ: +17.3%
- 컨센대비: -9.5%

● 영업이익: 56억원
- YoY: -44.2%
- QoQ: +20,474.1%
- 컨센대비: -20.6%

● 당기순이익: 41억원
- YoY: -64.2%
- QoQ: +28.6%
- 컨센대비: -38.5%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시그널랩 실적속보] 금호석유화학 (011780)
2025 1Q 연결 잠정실적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509000254

● 매출액: 1조 9,082억원
- YoY: +14.4%
- QoQ: +5.6%
- 컨센대비: -3.2%

● 영업이익: 1,206억원
- YoY: +53.4%
- QoQ: +1,109.5%
- 컨센대비: +44.0%

● 당기순이익: 1,248억원
- YoY: +21.7%
- QoQ: +103.5%
- 컨센대비: +40.6%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시그널랩 리서치] 5/9 (금) 눈 여겨 봐야 할 주요 경제지표
https://t.me/siglab

● (미국) 존 윌리엄스 뉴욕 연은 총재 연설
● (미국)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 연설

# 오늘은 특별한 경제지표 발표가 부재한 가운데, 존 윌리엄스 뉴욕 연은 총재와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의 발언이 예정.
# 5월 FOMC 이후 재개되는 연준 위원들의 발언인 만큼 시장의 관심이 집중될 가능성 높음.
# 5월 FOMC에서의 정책 결정 이유에 대한 설명도 중요하지만, 최근 경제 상황과 관세 정책에 대한 평가가 더 중요. 향후 연준 정책에 대한 힌트가 될 수 있기 때문.
# FOMC가 끝난지 얼마 지나지 않았다는 점을 감안하면, 제롬 파월 연준의 의장의 기자회견 내용과 차이가 있을 가능성은 낮음. 그럼에도 차이점이 존재한다면, 시장은 그 포인트에 주목할 전망.
# 파월 의장은 5월 FOMC 기자회견에서 최근 위치가 정책 대응을 하기에 좋은 위치이며, 대규모 관세 정책이 지속될 경우 인플레이션 및 실업률 상승을 유발할 수 있다고 언급.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시그널랩 리서치] 다음주(5/12~5/16) 눈 여겨 봐야 할 주요 경제지표
https://t.me/siglab

5/12 월요일
● (미국) WASDE 보고서

5/13 화요일
● (독일) 5월 ZEW 경기동향지수
- 이전: -81.2
● (독일) 5월 ZEW 경기기대지수
- 이전: -14.0
● (EU) 5월 ZEW 경기전망지수
- 이전: -18.5
● (미국) 4월 소비자물가지수
- 이전: YoY +2.4%, MoM -0.1%
● (미국) 4월 근원 소비자물가지수
- 이전: YoY +2.8%, MoM +0.1%

5/14 수요일
● (독일) 4월 소비자물가지수
- 이전: YoY +2.2%, MoM +0.3%
● (미국)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 연설

5/15 목요일
● (한국) 4월 실업률
- 이전: 2.9%
● (한국) 4월 무역수지
- 이전: 49억 2천만 달러 흑자
● (EU) 1분기 GDP
- 이전: YoY +1.2%, QoQ +0.2%
● (EU) 3월 산업생산
- 이전: MoM +1.1%
● (미국)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 (미국) 4월 생산자물가지수
- 이전: MoM -0.4%
● (미국) 4월 근원 생산자물가지수
- 이전: MoM -0.1%
● (미국) 5월 뉴욕 엠파이어스테이트 제조업지수
- 이전: -8.1
● (미국) 5월 필라델피아 연은 제조업활동지수
- 이전: -26.4
● (미국) 4월 소매판매
- 이전: MoM +1.4%
● (미국) 4월 근원 소매판매
- 이전: MoM +0.5%
● (미국) 4월 산업생산
- 이전: MoM -0.3%
● (미국) 3월 기업재고
- 이전: MoM +0.2%

5/16 금요일
● (일본) 1분기 GDP
- 이전: YoY +2.2%, QoQ +0.6%
● (일본) 3월 산업생산
- 이전: MoM +2.3%
● (미국) 4월 주택착공건수
- 이전: MoM -11.4%
● (미국) 4월 미시간대 기대 인플레이션
- 이전: 6.5%(1년), 4.4%(5년)
● (미국) 4월 미시간대 소비자지수
- 이전: 47.3(기대지수), 52.2(심리지수)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이런 보릿고개 단군이래 처음”…건설 한파에 신규업체 역대 최저

"공사비 급등과 부동산 침체 속에 정치 혼란 등 대외적 변수까지 겹치면서 건설업을 새로 시작하는 사람은 줄어든 데 비해, 경영난을 이기지 못하고 문을 닫는 건설사는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문제는 주요 건설 지표 역시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 1∼2월 건설 수주는 총 21조7000억원(한국건설산업연구원 자료)으로 전년 동기보다 14.9% 감소했다. 공공부문와 민간부문 수주는 각각 -26.9%, -9.0%를 기록했다."

https://www.mk.co.kr/news/business/11312543
美, 입항료 부과에도… 中에 컨테이너선 발주 이어져

"일각에선 미·중 관세 협상 진전에 따라 미국의 입항료 정책이 바뀔 수도 있어 최종 부과 전까지는 중국산 선박 발주가 이어질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의 성향상 언제든 정책 기조를 바꿀 수 있어 입항 수수료가 영구적이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전망도 있다.

해운업계 한 관계자는 “이미 중국산 선박을 많이 보유했거나 발주 잔량이 많은 해외 선사는 정책적 불확실성이 큰 상황에서 중국 선박의 가격적 매력을 놓기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https://biz.chosun.com/industry/company/2025/05/09/JYHE3J6FMZFVZENIYDWYPQ6YJY
[시그널랩 리서치] 5/9 (금) 마감 리뷰
https://t.me/siglab

◆ Market

- KOSPI: 2,577.27 (-0.09%)
- KOSDAQ: 722.52 (-0.97%)
- NIKKEI 225: 37,503.33 (+1.56%)
- 상해종합지수: 3,342.00 (-0.30%)
- 대만 가권: 20,915.04 (+1.81%)
- 원달러: 1,402.40 (-0.32%)
- 코스피 수급 동향: 개인(+633억), 기관(-1,872억), 외국인(+680억)
- 코스닥 수급 동향: 개인(+3,770억), 기관(-820억), 외국인(-2,658억)
- 선물 수급 동향: 개인(-1,132억), 기관(+249억), 외국인(+911억)
- KOSPI 프로그램 동향: 차익(-125억), 비차익(-209억)

◆ Comment

- 우리 증시는 양 시장 하락 마감. 어제 미 증시가 무역 협상 관련 기대감으로 강세를 보였음에도, 우리 증시는 상당 부분 선반영되었다는 인식에 따라 매물 출회한 점이 약세 요인으로 작용.
- 그외에 중국의 수출입 지표가 예상을 상회한 점도 부담 요인으로 작용. 중국 수출 호조의 이유로 타지역을 통한 우회 및 환적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 점이 무역 협상 경계감을 다소 자극.
- 개인이 KOSPI와 KOSDAQ 등 현물 중심으로 순매수를 보인 가운데, 기관은 KOSPI200 선물을, 외국인은 KOSPI와 KOSPI200 선물에서 순매수를 기록.
- KOSPI에서 개인은 전기전자 업종을 중심으로 제약, 의료정밀기기 업종 등, 외국인은 운송장비부품, 화학, 금융, 금속 업종 등을 순매수. 기관은 전체적으로 순매도한 가운데 음식료담배, 유통, 금속 업종 등 일부 업종을 순매수.
- KOSDAQ에서 개인은 기계장비, 전기전자 업종을 중심으로 제약, 화학 등 대부분의 업종을 순매수. 외국인과 기관은 대부분의 업종을 순매도한 가운데, 외국인은 유통, 기관은 의료정밀기기, 유통 등 일부 업종은 순매수.
- 시장이 전반적으로 약세를 보이면서 하락 섹터가 다수를 차지한 가운데, AI 챗봇, 게임 섹터 정도가 강세.
- 아시아 증시는 혼조세로 마감. 일본 니케이225(+1.56%), 중국 상해종합(-0.30%), 대만 가권(+1.81%) 등.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