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그널랩] Signal Lab 리서치
11.1K subscribers
18.2K photos
509 videos
469 files
107K links
📌시그널랩은 증권사/자산운용사와 함께합니다

.투자의 미래를 구독하세요
.투자의 혁신 - visual invest tech
.시그널엔진 글로벌 분석종목 & 리서치 제공
.정부가 지원하는 특허 투자솔루션
.삼성/신한/우리/하이/DB/IBK/BNK증권/한경/KRX 제공

.팀소개: https://naver.me/5wHMEqSk
.솔루션: https://naver.me/FjjdX9Hh
.SNS: moneystation.net/user/siglab
Download Telegram
[KB: FX] 연휴 1,300원대로 하락한 달러/원, 연내 추가 하락 전망

■ 달러/원 연휴 사이 대만달러 절상과 함께 1,370원까지 하락

■ 달러 약세 속에서 원화도 하반기 추가 강세를 보이며 1,300원대 안착 가능성 확대

■ 미-중 간 상호관세 및 합의 가능성은 아시아 통화에 중요 변수, 합의까지는 상당기간 소요 예상

FX/원자재 Analyst 오재영
보고서 링크 : https://bit.ly/4k5l9oR
<WSJ> Fed Warns of Rising Economic Risks as It Leaves Rates Steady

* 연준, 기준금리 동결… 트럼프발 관세 충격에 ‘경제 불확실성’ 경고

✔️ 기준금리 동결 배경: 미 연방준비제도(Fed)는 기준금리를 동결하며, 트럼프 대통령의 대중국 145% 초과 고율 관세로 인한 경제 불확실성 확대를 경고. 제롬 파월 의장은 관세가 물가를 자극하고 성장률을 둔화시키며 실업률을 높일 수 있다고 지적.

✔️ 기업 투자 위축: 비용 예측이 어려워지면서 기업들은 설비 투자와 채용을 지연하고 있음. 일부 경기 둔화 조짐은 보이지만, 고용·소비 등 실물지표는 아직 안정적이라는 평가.

✔️ 금리 인하 기대와 신중론: 시장은 연내 금리 인하를 기대하고 있으나, 파월 의장은 관세발 충격의 영향을 해석하는 데 시간이 필요하다며 "신중한 관망" 기조 유지. 물가 기대심리 고착을 막기 위해 성급한 인하는 피하겠다는 입장.

✔️ 침체 우려와 정책 대응: 1분기 GDP가 일시적으로 역성장하고 수입 급증이 나타났으나, 명확한 경기침체 신호는 부족. 다만, 일부 애널리스트는 연준의 금리 동결이 장기화될 경우 경기 과도 둔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

https://www.wsj.com/economy/central-banking/fed-keeps-rates-steady-as-tariff-uncertainty-roils-outlook-55ebe99f
Media is too big
VIEW IN TELEGRAM
📌 [공지] 운영 텔레그램 채널 소개

1️⃣ 시그널랩
리서치
👉 https://t.me/siglab

2️⃣ 시그널랩 리서치 프리미엄
👉 https://t.me/siglab_premium

3️⃣ 머니스테이션
소셜 투자 콘텐츠
👉 https://t.me/moneystation_best

• The Choice of a New Generation
• '실전성'과 '간결성' 돈 되는 투자 인사이트
• 무한한 집단지성 투자 아이디어 연결
• 앞서가는 투자자의 '새로운 아이콘'
• '공유'는 채널 운영에 이 됩니다
✍️ [속보] 미국-영국 무역협정 요약

핵심 경제 효과

미국의 수출 시장 접근 증가:
미국 기업들은 영국 시장에 대해 5억 달러 규모의 새로운 수출 기회를 확보.

미국 정부의 관세 수입 증가:
6억 달러의 외부 수입(관세 수익) 확보 예상.

관세 조정 내역

영국의 대미 수출에 적용되는 미국 관세
- 기존: 3.4%
- 변경 후: 10%로 인상

미국의 대영 수출에 적용되는 영국 관세
- 기존: 5.1%
- 변경 후: 1.8%로 인하

즉, 미국은 관세 수입을 늘리고, 자국 수출기업에 유리한 조건을 확보한 반면, 영국은 미국 제품에 대한 관세를 대폭 낮춰 시장 개방을 확대한 구조.

영국 시장에서 미국 제품의 신규 접근 품목

• 농축산물 및 식음료: 에탄올, 쇠고기, 곡물, 과일, 채소, 동물 사료, 담배, 탄산음료, 조개류

• 산업재: 섬유, 화학제품, 기계, 기타

특별 조항

• 철강 및 알루미늄 무역연합 구성: 관세 + 쿼터
• 의약품 공급망 보장: 공급망 안정성 강화
• 영국산 자동차에 대한 수입 쿼터 부여: 10만 대까지 10% 관세 적용
• 항공기 부품 조달: 보잉사가 100억 달러 규모 구매 예정

이 협정은 미국의 수출 촉진, 관세 수입 증가, 전략 산업 보호 등을 도모한 반면, 영국 입장에서는 미국 시장에서의 수출 기회를 유지하거나 확대하려는 타협적 접근으로 해석

[속보] 美상무 "영국, 소고기·기계류·농산물 시장 개방 동의"

- 관세 10%로 합의, 기본 상호관세 유지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2/0000738672
<WSJ> Trump Is Threatening Big Pharma With Tariffs. Tax Changes Might Work Better

* 트럼프의 관세 위협보다 세제 개편이 제약 산업 유턴에 더 효과적

✔️ 관세의 한계: 트럼프 대통령의 고율 관세에도 불구하고 의류·완구 등 저임금 의존 산업은 미국으로 돌아오기 어렵고, 제약 산업 역시 노동력보다는 조세 회피가 해외 이전의 핵심 요인이었음. 최근 관세와 연방 수사로 미국 내 재고 축적과 투자 확대는 있었으나, 구조적 변화는 세금 정책에 달려 있음.

✔️ 2017년 세제 개편의 영향: 트럼프 행정부의 세제 개편으로 법인세율이 낮아지고 해외 소득에 대한 최소세(GILTI)가 도입되면서 미국 내 생산이 매력적으로 변함. 그러나 일라이 릴리, 화이자, 존슨앤드존슨, 머크 등의 CEO들은 국내 제조에 대해 15% 세율 적용, R\&D 공제 부활 등 추가 세제 혜택을 요구하고 있음.

✔️ 제약 산업의 분포: 미국은 여전히 고부가가치 브랜드 의약품 생산에 강점을 가지고 있으나, 복제약 생산은 인도·중국에 집중되고 있음. 단순한 관세 인상은 품질 문제와 공급 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으며, 효과를 보려면 보조금이 병행되어야 함.

✔️ 세제 중심 해법 논의: 의회는 현재 전액 자본 지출 비용 처리(capital expensing) 같은 유인책과 GILTI 강화 같은 규제책을 검토 중이며, 이러한 접근이 제약 산업의 본격적 리쇼어링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는 평가. 최근 대규모 국내 투자 발표도 이러한 구조적 변화의 일부로 풀이됨.

https://www.wsj.com/health/pharma/trump-is-threatening-big-pharma-with-tariffs-tax-changes-might-work-better-e543ecbb
[시그널랩 리서치] 5/9 (금) 모닝 브리프
https://t.me/siglab

◆ Market

- 다우존스산업: 41,368.45 (+0.62%)
- S&P500: 5,663.94 (+0.58%)
- 나스닥: 17,928.14 (+1.07%)
- S&P500 VIX: 22.48 (-4.54%)
- 달러인덱스: 100.60 (+0.99%)
- WTI선물: 59.91 (+3.17%)
- MSCI 한국 Index Fund: 57.20 (-1.02%)

◆ Comment

- 우리 증시는 어제에 이어 강세 이어갈 전망. 미국과 영국의 무역 협상 타결에 따른 기대감이 우리 증시에도 긍정적일 전망.
-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 중국의 반응이 변수. 화답하는 반응을 보인다면 협상 기대감을 더욱 자극하면서 증시 전반적인 호재가 될 가능성이 높음.
- 어제 미 증시는 미국의 무역 협상 관련 기대감이 시장을 지배하면서 상승 마감.
- 미국은 영국과 개고라적으로 무역 협상을 타결. 미국은 영국에 대해 큰 틀에서 기본관세 10%를 유지한 가운데, 자동차 관세 25%를 철회하는 등의 내용이 담김.
- 트럼프 대통령은 이후 미국과 중국의 고위급 회담이 실질적인 것이라 언급하기도 했는데, 이 역시 미국의 무역 협상 관련 기대감을 높인 요소로 작용.
- 미국의 경제지표는 대체로 무난.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는 22만 8천 건으로 시장 예상(23만 1천)을 소폭 하회했으며, 애틀랜타 연은의 2분기 GDPNow는 2.3%로 시장 예상치(2.2%)를 소폭 상회.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시그널랩 실적속보] NAVER (035420)
2025 1Q 연결 잠정실적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509000009

● 매출액: 2조 7,868억원
- YoY: +10.3%
- QoQ: -3.4%
- 컨센대비: -0.5%

● 영업이익: 5,053억원
- YoY: +15.0%
- QoQ: -6.8%
- 컨센대비: -0.5%

● 당기순이익: 4,237억원
- YoY: -23.8%
- QoQ: -17.6%
- 컨센대비: +1.9%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시그널랩 리서치] 자사주 매매(직접취득) 모니터링
https://t.me/siglab

5월 8일 기준 자사주 매매 직접취득 기준 체결내역입니다.

● 체결비율 = 누적체결량 / 신고수량

체결비율이 높다는 것은 그만큼 자사주매매가 많이 진행되었다는 의미(체결비율 100% = 자사주 매매 완료)입니다.

평균 거래량 대비 잔여수량은 최근 평균 거래량 대비 현재 남은 자사주 취득예정 물량이 몇 배인지를 의미합니다. 높을 수록 자사주 취득이 완료될 때까지 남은 기간이 길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평균 거래량 대비 신청수량은 최근 거래량 대비 하루 기준 취득 예정 자사주 물량이 몇 배인지를 의미합니다. 신청수량 배수가 높다는 것은 최근 보여주는 거래량에서 자사주가 관여하는 비율이 높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시그널랩 리서치] 5/9 오늘의 주요 산업 리포트 요약
https://t.me/siglab

[자동차] 완성차 지역별 판매 동향(2025년 4월): 미국 소매판매가 증가. 기아는 인도 회복도 기여
하나증권 송선재,강민아
ㆍ 현대차: 4월 글로벌 도매판매 +2% (YoY), 소매판매 +1% (YoY). 도매 EV/HEV +27%/+52%
ㆍ 기아: 4월 글로벌 도매판매 +4% (YoY), 소매판매 +9% (YoY). 소매 EV/HEV +20%/+33%
ㆍ 주요 시사점: 선수요 효과로 미국 소매판매 호조. 6월 이후 수요 대응 전략과 미국 외 판매 중요

[전자장비와기기] 1Q25 배터리 시장 Review
한국투자증권 최문선
ㆍ 글로벌 BEV 판매량은 양호, 그러나 자세히 보면 보이는 균열
ㆍ 중국은 올라가고, 한국은 내려가고
ㆍ 한국업체들의 독일 3사 점유율 하락이 문제
ㆍ 투자의견 ‘중립’ 유지

[양방향미디어와서비스] 검색은 정말 위기일까?
한국투자증권 정호윤,황인준
ㆍ 5월 7일 주가가 7.5% 하락한 구글
ㆍ AI와 검색, 끝없을 논쟁
ㆍ 검색의 위기론은 꾸준했지만 여전히 건재한 검색
[시그널랩 리서치] 5/9 오늘의 주요 목표주가 상향 및 신규 커버 리포트 요약
https://t.me/siglab

<미래에셋증권[006800] 18년의 장기 하락 추세 끝. 이제 상승 추세 초입일 뿐>
키움증권 안영준
ㆍ 1Q25 지배순이익 59% (YoY) 증가, 컨센서스 6% 상회
ㆍ 해외법인 이익 기여도 대폭 향상
ㆍ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15,000원 상향, Top Pick 유지

<미래에셋증권[006800] It's Showtime>
신한투자증권 임희연
ㆍ 고질적 손실 요소 정상화와 동시에 수급 개선 기대감 유효
ㆍ 1Q25 Review: 지배주주순이익 2,587억원(+57.1% YoY), 기대치 부합
ㆍ Valuation & Risk: 2025F ROE 6.7%, PBR 0.55x

<미래에셋증권[006800] 1Q25 Review: 실적 호조에 리레이팅 요인 추가>
한국투자증권 백두산,안현빈
ㆍ 순이익 2,587억원으로 컨센서스 6% 상회
ㆍ 트레이딩 관련 손익 크게 개선. WM 수익도 양호
ㆍ 목표주가를 14,000원으로 상향. 트레이딩과 브로커리지 호조 반영

<기업은행[024110] 대손비용률 하락 배당수익률 상승 기대>
유안타증권 우도형
ㆍ 1Q25 순이익 컨센서스 상회
ㆍ 배당성향은 35%로 커버리지 평균 26.3% 대비 높음
ㆍ 투자의견 Hold, 목표주가 160,000원 3.2% 상향

<LG유플러스[032640] 예상대로 순조로운 출발>
IBK투자증권 김태현
ㆍ 비용 효율화, 영업이익이 시장 기대치를 5% 상회
ㆍ 전 사업부문 매출 개선
ㆍ 기대 요인 많아, 견조한 주가 상승세 이어질 듯

<LG유플러스[032640] 턴어라운드 성공, 목표주가 상향>
SK증권 최관순
ㆍ 1Q25: 턴어라운드 성공
ㆍ 연간 실적개선 및 주주환원 확대에 대한 기대감
ㆍ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15,000원(상향)

<LG유플러스[032640] 1Q부터 제대로 보여드렸습니다>
대신증권 김회재
ㆍ 1Q25 Review: 예상대로 개선된 실적
ㆍ 1Q 이익 개선 확인, 2Q 보유 자사주 소각, 3Q 추가 자사주 취득

<LG유플러스[032640] 드디어 턴어라운드>
DB증권 신은정
ㆍ 시장 기대치 부합하며, 7개 분기만에 턴어라운드
ㆍ 이익 개선 보여줬고, 이제 주주환원 차례
ㆍ TP 1.6만원으로 상향, 투자의견 BUY 유지

<KT&G[033780] 기대 이상의 해외 실적>
IBK투자증권 김태현
ㆍ 1Q25 영업이익이 시장 기대치 6% 상회
ㆍ 건기식 부문 부진, 담배부동산 부문이 상쇄
ㆍ 해외 궐련 성장세 지속 전망

<KT&G[033780] 지속되는 해외 영토 확장>
신한투자증권 조상훈,김태훈
ㆍ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의 선봉장
ㆍ 1Q25 Review: 일회성 비용에도 양호한 본업이 이끈 서프라이즈
ㆍ Valuation & Risk: 목표주가 상향, 곳간에서 인심난다

<KT&G[033780] GOAT!>
iM증권 이경신
ㆍ 1Q25 Review: 일회성 반영에도 담배사업 호조에 따라 시장기대치 상회
ㆍ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160,000원으로 상향

<KT&G[033780] 해외 궐련이 이끈 서프라이즈>
대신증권 정한솔
ㆍ 투자의견 BUY 유지하며, 목표주가 140,000원(+7%) 상향 조정
ㆍ 1Q25 Review: 해외 궐련이 이끈 서프라이즈

<KT&G[033780] 1Q25 Review: 담배도 K>
상상인증권 김혜미
ㆍ 1Q25 매출액 yoy +15.4%, 영업이익 yoy +20.7%
ㆍ 투자의견 BUY 유지 및 목표주가 140,000원 상향

<한국항공우주[047810] 다수의 수주 모멘텀 보유>
키움증권 이한결
ㆍ 1분기 영업이익 468억원, 어닝 쇼크
ㆍ FA-50, 수리온 그리고 KF-21
ㆍ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115,000원으로 상향

<LIG넥스원[079550] 탄탄한 내수 기반에 더해지는 수출 사업>
키움증권 이한결
ㆍ 1분기 영업이익 1,136억원 달성, 어닝 서프라이즈
ㆍ 국내 사업 수익성 개선과 수출 비중 확대 기대감
ㆍ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450,000원 상향

<LIG넥스원[079550] 1Q25 Review: 지속 가능한 것에 주목하자>
한국투자증권 장남현
ㆍ 영업이익 컨센서스 73% 상회
ㆍ 이익 추정치 상향 조정
ㆍ 가장 꾸준히 성장하는 기업

<LIG넥스원[079550] 1Q25: 궁금하지만 믿을 수밖에>
iM증권 변용진
ㆍ 1Q25 매출 9,076억원, 영업이익 1,136억원
ㆍ 가이던스 유지, 아직은 좀더 지켜봐야
ㆍ 투자의견 BUY유지, 목표주가 444,000원으로 상향

<LIG넥스원[079550] 일감 6년치 보유하며 장기 성장 국면 진입>
DS투자증권 양형모,강태호
ㆍ 1분기 실적 당사 추정치 및 컨센서스 상회
ㆍ 매출액 대비 수주잔고 증가 사이클
ㆍ 올해부터 수출 비중 본격화

<LIG넥스원[079550] [1Q25 Review] 국내 양산의 볼륨 증가로 서프라이즈>
한화투자증권 배성조
ㆍ 1Q25 Review: 영업이익 시장 기대치 크게 상회
ㆍ 국내 양산의 볼륨 증가로 서프라이즈
ㆍ 투자의견 Buy 유지, 목표주가 460,000원으로 상향

<LIG넥스원[079550] 1Q25 Re 익숙한 상고하저, 핵심은 질적 성장>
신한투자증권 이동헌,이지한
ㆍ 깜짝 실적과 익숙한 구조, 길어질 성장
ㆍ 1Q25 Review 국내사업 성장으로 서프라이즈
ㆍ Valuation & Risk: 연간 비용 증가, 해외사업 속도 변수

<LIG넥스원[079550] 1Q25 Review: 깜짝 놀란 내수 마진율>
LS증권 최정환
ㆍ 1Q25 실적 추정치 대비 상회
ㆍ 26, 27년 중동향 수출 비중 증가
ㆍ 목표주가 430,000원으로 상향, 투자의견 Buy 유지

<LIG넥스원[079550] 1Q25 Review: 내수 방산 마진 양호. 그러나 보수적 안내>
다올투자증권 최광식
ㆍ 1Q25 서프라이즈. 그러나 또 보수적인 가이던스 유지
ㆍ 1Q에 내수방산의 두 자릿수 마진(추정) 호조로 실적 서프라이즈 시현
ㆍ 그러나 사측은 개발사업, 환 등의 이유로 연간 하이싱글 OPM 가이던스를 유지
ㆍ 천궁 등 수출 마진도 양호했는데 2H26부터 수출이 크게 늘면서 방산 업종 내에서 가장 늦게 턴어라운드 하는 종목

<휴젤[145020] 누군가 실적을 묻거든 고개를 들어 2분기를 보게 하라>
키움증권 신민수
ㆍ 아쉬운 톡신, 선방한 필러, 만족스러운 화장품
ㆍ 자사주 30만 주 소각까지, 목표주가 +4.7% 상향 조정

<메가스터디교육[215200] 한다면 한다>
NH투자증권 정지윤
ㆍ 현 시가총액의 10%를 주주환원으로
ㆍ 1Q25 Review: 영업이익 컨센서스 상회

<넷마블[251270] 재평가 확신>
신한투자증권 강석오,고준혁
ㆍ 실적 증명으로 시장의 인식 개선되며 주가 우상향 전망
ㆍ 1Q25 Review: 신작과 기존작 모두 긍정적 성과 기록
ㆍ Valuation & Risk: 실적 증명 통해 저평가 해소 전망

<넷마블[251270] 이제 진짜 볼 시점>
DS투자증권 최승호
ㆍ 1Q25 Review: 비용통제와 견조한 매출이 만들어 낸 서프라이즈
ㆍ 비용은 통제되고 있고, 탑라인 성장에 따른 증익 예상

<펌텍코리아[251970] 재평가 구간 진입>
한화투자증권 한유정
ㆍ 기대치를 상회한 1분기
ㆍ 투자의견 BUY 유지, 목표주가 74,000원으로 상향 조정(+23%)

<에이피알[278470] 메디큐브, 글로벌 탑티어 브랜드로 재평가 시점>
LS증권 조은애
ㆍ 글로벌 확장 초입임을 증명하는 어닝 서프라이즈
ㆍ 실적 상향 조정과 글로벌 브랜드로서의 멀티플 재평가가 타당한 시점

<에이피알[278470] 성장성 폭발, 주가 폭발>
신한투자증권 박현진,주지은
ㆍ 기대보다 더 큰 이익 레버리지 효과
ㆍ 1Q25 Review: 흠 잡을 데 없는 분기 실적, 2Q25도 견조
ㆍ Valuation & Risk: 성장성 생각하면 PER 20배 어렵지 않아…

<에이피알[278470] 1Q25 Review: 기대 이상의 호실적>
한국투자증권 김명주,전유나
ㆍ 영업이익이 시장 기대치를 32.5% 상회
ㆍ 현명한 B2B 활용
ㆍ 디바이스까지 올라온다면 한 번 더 레벨업
<에이피알[278470] 해외 매출 약 3배 성장, 비중 70% 돌파>
하나증권 박은정,김다혜
ㆍ 1Q25 Review: 해외 매출 약 3배 성장, 비중 70% 돌파
ㆍ 해외 +186% = 미국 +187%, 일본 +198%, 기타 +440%, 중화권 +40%
ㆍ 해외 확장 초입 + 압도적 성장 동반 → 보여줄 전략이 더 많다

<에이피알[278470] A+>
NH투자증권 정지윤
ㆍ 해외 매출 비중 71%, 앞으로도 기대되는 글로벌 성적표
ㆍ 1Q25 Preview: 어닝 서프라이즈
[Web발신]
안녕하십니까
유진투자증권 허재환입니다.

=미국 증시의 컴백=

* S&P500은 4/2일 해방의 날 이전 수준을 거의 회복했습니다(연초 대비 S&P500 -3.7% 하락, M7-12.4%).

* 4/9일 이후 무역협상 기대와 양호한 1Q 실적 시즌 덕분입니다. 여기에 실질적으로는 미국 기업들의 자사주 매입 행렬이 기여했습니다.

* 언론에 따르면, 4월 미국 기업들의 자사주 매입 규모는 2,338억 달러로, 월간 기준 역대 두번째입니다(1Q 1,812억 달러).

* 반면 IPO 규모는 2~3년래 최저로 감소했습니다. 상황은 불안했지만, 증시 수급 측면은 우호적이었던 것입니다.

* 문제는 지금부터입니다.

* 1) 미영 관세 협상 내용은 그다지 환호할 만 하지 않습니다.

* 미국의 대영 공산품 수입 규모는 2% 밖에 되지 않습니다. 그런데도 관세율이 별로 인하되지 않았습니다. 미중 무역 합의가 속시원히 진행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

* 2) 자사주를 매입한 미국 기업들은 투자를 미루고, 자사주를 샀습니다. 지속 가능하지 않습니다.

* 3) 미국 금리 수준을 감안할 때(10년물 4.37%), S&P500 12개월 예상 실적 PER은 다시 20배로 올랐습니다(20배).

* 자사주 매입 규모를 보면, 미국은 역시 미국입니다. 그렇다고 미국 증시의 추가 상승 여력은 높지 않습니다.

* 올해 한자릿수대 이익증가를 예상하면, S&P500 기준 6,000pt 정도가 한계로 예상됩니다.

평안한 주말 되십시오.
https://t.me/huhja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