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그널랩] Signal Lab 리서치
11.1K subscribers
18.2K photos
509 videos
469 files
107K links
📌시그널랩은 증권사/자산운용사와 함께합니다

.투자의 미래를 구독하세요
.투자의 혁신 - visual invest tech
.시그널엔진 글로벌 분석종목 & 리서치 제공
.정부가 지원하는 특허 투자솔루션
.삼성/신한/우리/하이/DB/IBK/BNK증권/한경/KRX 제공

.팀소개: https://naver.me/5wHMEqSk
.솔루션: https://naver.me/FjjdX9Hh
.SNS: moneystation.net/user/siglab
Download Telegram
[시그널랩 리서치] 5/8 (목) 모닝 브리프
https://t.me/siglab

◆ Market

- 다우존스산업: 41,113.97 (+0.70%)
- S&P500: 5,631.28 (+0.43%)
- 나스닥: 17,738.16 (+0.27%)
- S&P500 VIX: 23.55 (-4.89%)
- 달러인덱스: 99.83 (+0.59%)
- WTI선물: 58.07 (-1.73%)
- MSCI 한국 Index Fund: 57.79 (-1.21%)

◆ Comment

- 우리 증시는 대체로 약세 예상. 미국의 5월 FOMC는 대체로 시장 예상대로였으나, 시장 전반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재료가 부재하다는 점이 매물 출회로 연결될 전망.
- 변수는 장중 미중 협상 기대감이 자극될지 여부. 특히 중국에서 협상 관련 긍정적 코멘트가 나온다면, 관련 기대감이 크게 자극될 가능성 높음.
- 어제 미 증시는 상승 마감. 연준이 5월 FOMC에서 기준금리 동결을 결정했지만, 예상되었던 수순이라 영향은 제한적.
- 파월 의장은 명확성이 커지기를 기다릴 수 있는 좋은 위치에 있다며 서두를 팔요가 없다고 발언. 이 역시도 시장에서 상당부분 예상했던 수준의 발언.
-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을 협상 테이블로 끌어내기 위해 관세를 인하할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없다고 답변. 미중 협상 기대감을 낮출 수 있는 답변이었지만, 관세 인하 가능성에 대해서는 시장에서 큰 기대가 없었기에 영향이 제한적.
- 5월 FOMC 성명서는 이전과 비교했을 때 연준 위원들 사이에서 실업률과 인플레이션 우려가 더 커지고, 경제 전망이 더 불확실해진 점이 특징.

◆ 5월 7일 발표 기준 1Q25 실적공시 분석
https://naver.me/FEUDYgld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시그널랩 리서치] 5/8 오늘의 주요 산업 리포트 요약
https://t.me/siglab

[건설] 왜 지금 원전에 주목하는가 (1): 미국 정책 변화
KB증권 장문준,강민창
ㆍ 2025년 우리가 원전을 주목하는 이유 (1): SMR 착공을 겨냥한 미국 정책 변화
ㆍ 미국 SMR 정책: ‘가능성’에 집중한 지난 10여년의 궤적
ㆍ 정책의 전환: 이제는 Deployment (배치)다

[자동차] 미국 자동차 판매 동향: 현대차/기아 합산 +16%. 관세 전 선수요 발생
하나증권 송선재,강민아
ㆍ 현대차/기아: 4월 소매판매: +16% (YoY), DSR로는 +12% (YoY)
ㆍ 미국 시장: 4월 시장 소매판매 +11%, SAAR 1,727만대(+8%). GM/포드/혼다/BMW의 점유율 상승
ㆍ 주요 시사점: 미국 관세 부과에 따른 선수요 영향은 4월에도 지속

[인터넷과카탈로그소매] 1분기 영업이익 레벨 2,000억 원 도달
IBK투자증권 남성현
ㆍ 2025년 1분기 영업이익 전년대비 약 4배 증가
ㆍ 프로덕트 커머스 지배력 확대 중
ㆍ 성장사업 이익 개선세 지속
ㆍ 자사주 매입을 통한 기업가치 상승 노력도 시행

[건강관리장비와용품] 덴탈 르네상스: 기술, 인구, 소비 트렌드가 만드는 새로운 기회
하나증권 한유건,최재호,권태우
ㆍ 숨겨진 성장 엔진을 찾아서
ㆍ 덴탈 산업 현황 및 전망
ㆍ 덴탈 시장 성장을 이끌 구조적 변화

[제약] 미국 정책 불확실성으로 변동성 확대
한국투자증권 위해주,이다용
ㆍ 미국 헬스케어 섹터 약세 지속
ㆍ 한국 KRX 헬스케어 섹터도 약세 지속
ㆍ 변동성 장세 속 괜찮은 선택지

[부동산] 부동산 월간 지표 Review
LS증권 김세련
ㆍ 낮아진 금리 레벨, 정책효과로 서울을 필두로 3월 아파트 매매거래량 일시적 슈팅
ㆍ 3월 착공, 인허가 모두 증가하며 바닥을 다지는 모습, 공사비 상승속도 둔화 지속

[반도체와반도체장비] DRAM Trend-Monthly
IBK투자증권 김운호
ㆍ 中이구환신 · AI 투자 확산으로 수요 회복
ㆍ 단종 이슈와 긴급 발주로 단기 가격 반등세
ㆍ 수요 선반영으로 인한 하반기 수요 둔화 가능성
[시그널랩 리서치] 5/8 오늘의 주요 목표주가 상향 및 신규 커버 리포트 요약
https://t.me/siglab

<현대건설[000720] 아메리칸 트윈 터보 장착. 달려보자 원자력 하이웨이>
KB증권 장문준,강민창
ㆍ Beyond 팀코리아. 글로벌 기업과의 장기 파트너십 기반의 시장 확대. 명실상부 한국 원전 대표주
ㆍ 2025년 하반기부터 확인될 SMR 분야에서의 성과 (Feat. 홀텍)
ㆍ 그 뒤에는 더 큰 게 온다. 2025년말~2026년부터 본격화될 대형원전 모멘텀 (Feat. 웨스팅하우스)

<한화[000880] 현주가 NAV 대비 할인율 80%>
대신증권 양지환
ㆍ 25년 1분기 별도 기준 영업이익 1,519억원으로 당사 추정을 하회
ㆍ 에어로스페이스와 솔루션 등 자회사 지분가치 증가 반영해 TP 6.7% 상향
ㆍ 자회사 지분가치 증가 대비 지주사 주가 상승률 저조해 절대적인 저평가

<에스엠[041510] 일회성 매출 제외해도 기대치 이상>
한국투자증권 안도영
ㆍ 1Q25 Review: 일회성 음원 매출과 공연 호조로 서프라이즈 기록
ㆍ 물 들어올 때 노 젓기
ㆍ 목표주가 150,000원으로 15% 상향 조정

<에스엠[041510] 2분기부터 가파른 이익 성장>
하나증권 이기훈,김현수
ㆍ 목표주가 상향
ㆍ 1Q OP 339억원(+276%)
ㆍ 2분기부터 가파른 실적 개선 나타날 것

<엠씨넥스[097520] 나홀로 호황>
메리츠증권 양승수
ㆍ 1Q25 영업이익 컨센서스 27.8% 상회
ㆍ 2분기에도 양호한 실적 흐름 예상
ㆍ 투자의견 Buy 유지, 적정주가 38,000원으로 상향 제시

<엠씨넥스[097520] 1Q 호실적, 삼성전자내 점유율 확대>
대신증권 박강호
ㆍ 투자의견 매수(BUY) 유지, 목표주가 37,000원 상향(8.8%)
ㆍ 2025년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라인 업 확대에 수혜

<와이씨켐[112290] 변곡점 임박!>
SK증권 권민규
ㆍ 반도체 소재 및 유리기판 소재 업체
ㆍ 유리기판, 포트폴리오 확대(EUV 린스 등), 펀더멘탈 회복
ㆍ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31,000원 제시

<LS에코에너지[229640] 1Q 실적은 예상을 상회!>
대신증권 박강호
ㆍ 1Q25 매출과 영업이익은 26.9%(yoy), 58.1%(yoy) 증가, 컨센서스 상회
ㆍ 초고압 전선 및 UTP(통신선) 등 고부가 매출 증가, 믹스 개선
ㆍ 신성장으로 해저케이블 확대, 2025년 실적 성장 지속

<카카오페이[377300] 상장 이래 첫 연결 영업흑자 달성>
신한투자증권 임희연
ㆍ 해외주식 시장 지배력 확장에 따른 이익 개선세 지속
ㆍ 1Q25P Review: 영업이익 44억원(흑전 YoY), 기대치 상회
ㆍ Valuation & Risk: 중장기 리레이팅 요인은 증권 이익 체력 개선

<HD현대마린솔루션[443060] 잘났다 정말>
한국투자증권 강경태,남채민
ㆍ 목표주가 240,000원으로 커버리지 개시
ㆍ 투자포인트: 오버행 해소, 선박 개조 수요 증가, 배당 매력도
[하나증권 채권 김상훈] [5월 FOMC] 조기 금리인하는 없다 (T.3771-7511)

*채권 텔레그램: https://t.me/hanabondview
*자료: https://bit.ly/4daVpVZ
높아진 금리인하 문턱
- 5월 FOMC, 정책금리 만장일치 동결 (4.25~4.50%). QT 역시 3월에 발표한 축소된 규모로 지속
- 성명서는 3월과 대동소이한 가운데 2가지 변화에 주목. 1) 경제전망 불확실성 정도를 상향조정했고 2) 이중책무 위험이 모두 증가했다고 판단
- 시장 참여자들은 기자회견을 통해 통화정책에 대한 힌트를 얻으려 했지만 파월은 3월과 마찬가지로 ‘Wait and see’의 신중한 입장을 유지. 이에 금융시장 반응도 크지 않았음. OIS 내재금리는 올해 7월을 시작으로 연말까지 3차례, 내년 3월까지 4차례 인하를 반영 중
- 단, 기자회견이 성명서보다는 매파적으로 해석됨. 3월 FOMC 기자회견에서 관세발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이라는 표현들을 사용했지만 이번에는 일시적 용어가 배제되면서 인플레이션 억제에 집중하는 모습
- 실업률 상승을 어느 정도까지 감내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도 구체적인 수치를 제시할 수 없다고 답변. 그러면서 노동참가율은 좋은 수준에 도달했다고 평가해 조기 인하 장벽이 예상보다 높음을 시사

금리 반등 시 분할매수 전략 권고:
- 하나증권은 스태그플레이션 자료를 통해 미국채 10년물 금리 분할매수 구간을 4.3% 초중반으로 제시. 이는 성장과 물가로 추정한 4.26%와도 유사한 레벨. 즉, 4.3% 부근에서 매수 의견 유지
- 베센트 재무장관은 FOMC 결과 발표 직전 SLR 규제 완화를 최우선 순위로 삼고 있다고 밝혔음. 이는 SLR 산식의 분모에서 미국 국채 제외 가능성을 의미. 이렇게 되면 은행들은 미국 국채를 더 많이 보유해도 SLR이 낮아지지 않아 규제 부담이 줄어들고, 트럼프 행정부가 강조한 10년물 금리 하향 안정화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음
- 위 조치 시행 시 10년물 금리는 재차 4.0% 하회를 시도할 것으로 예상되며 본드스왑 스프레드도 역전 폭 축소 포지션이 구축될 전망
- 미국 3월 물가가 낮게 발표됐음에도 불구하고 클리브랜드 연은 Nowcast와 연준은 4월 근원 물가가 여전히 높은 수준에 머물러 있을 것으로 예상. 이에 연준은 이중책무 중 기대인플레이션 등 물가 억제를 우선시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 단기 커브플랫 요인
- 4월 중순 미국 납세 기간 영향으로 연준 지급준비금은 3조 달러까지 빠르게 감소하며 납세 기간 전후 지급준비금이 큰 폭 감소했던 지난 3년 패턴에 부합. 또한 재무부는 세수 확보로 TGA 잔고를 늘리게 됨. 이는 시장 유동성을 줄이는 요인. 더불어 X-date가 8월 초로 예상되는 만큼 정부는 현금 잔고를 늘려야 하는 상황
- 물론 납세 기간이라는 계절성을 감안할 필요. 그럼에도 연준은 이미 3월에 QT 규모를 줄였고, 뉴욕 연준도 QT 중단 또는 감속 시나리오로 1차: 지준 3조달러, 2차 2.5조달러라고 공개시장조작 보고서를 작성한 바 있음
- 트럼프 정책의 하드데이터 반영 확인 또는 규제 완화 발표 전까지 미국 장기 국채의 극적인 방향성 베팅보다는 금리 반등 시 분할매수 대응이 적절하다고 판단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득함)
[KB증권 건설/REITs 장문준]


[원전/건설] 왜 지금 원전에 주목하는가 (1): 미국 정책 변화

KB증권 건설 장문준 (02-6114-2928)


* KB증권은 글로벌 원전 산업이 구조적 회복의 초입에 들어섰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 과거 국가 주도의 일원화된 수주 방식을 넘어 글로벌 기업과의 연대를 통해 시장과 상품을 확대해갈 한국 원자력 공급망에 대한 관심이 필요한 이유입니다.

* 원전산업에 주목하는 첫번째 이유로 미국의 정책변화를 꼽고자 합니다.

* 미국 SMR 정책은 정권별로 초점이 달랐습니다. 지난 10여년은 ‘가능성’에 집중한 시기였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이제는 ‘가능성’이 아닌 ‘실행’입니다. 트럼프 재집권 이후 미국 SMR 정책 은 기존 '설계' 중심 지원을 넘어 '배치 (deployment)' 중심으로 초점을 확실히 전환했습니다. 그 중심에는 '3.5세대 (Generation III+) 경수로 기반 SMR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 미국이 어떤 SMR 지원정책을 펴왔는지 지금 어떻게 달라졌는지 그 의미는 무엇인지에 집중해 봅니다.

* 미국의 SMR 본격화 기조 속 누가 ‘퍼스트 무버’가 될 것인가가 중요해졌습니다.

* KB증권이 2025년 하반기 미국 SMR 시장의 게임 체인저로 부상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홀텍과 현대건설에 주목하는 이유입니다.


* 자세한 내용은 리포트를 참고 부탁드립니다.


리포트 클릭: https://bit.ly/4m4fdyg

KB증권 건설 장문준 텔레그램 채널 링크 클릭: https://t.me/KB_EPC_MJ


* 위 내용은 금일 발간된 리포트에 포함된 내용입니다.
☞무료수신거부 0808886611
[신한투자증권 인터넷/게임 강석오, 고준혁]

인터넷; 5월 온라인 광고/커머스 지표 확인

▶️ 신한생각: 역성장 벗어났지만 다가오는 저성장 우려
- 광고/커머스 저점 지났지만 인터넷 기업들에게 한자릿대 성장률은 밸류에이션에 부담
- 하반기 서비스별 성과 차이 예상해 기업들의 전략 점검 필요

▶️ 5월 광고경기전망지수(KAI) “100.2”, 4월 동향지수 “101.1”
- 5월 광고경기전망지수 100.2로 전월 100.7 대비 소폭 하락. 4월 동향지수는 101.1로 전월 101.2 대비 0.1p 하락
- 온라인채널 전망지수 100으로 종합지수 대비 낮았고, 4월 대비 5월 온라인 광고 시장 분위기는 유사할 것으로 전망
- 업종별로 초여름 성수기 대비하는 음식료 및 기호식품 강세, 패션, 건설/건재/부동산 경기불황으로 광고 예산 축소 예상
- 2024년 6월 이후 전년대비 전망지수는 100을 하회하는 중, 연초 광고 시장 회복세를 보였으나 최근 경기 침체 우려 부각으로 하반기 불확실성 확대

▶️ 3월 소매판매액 YoY +2.1%, 온라인 쇼핑 거래액 YoY +2.6%
- 3월 한국 전체소매판매액 약 49.5조원, 온라인 쇼핑 거래액 약 22.4조원 기록
- 소매판매액은 역성장세를 회복한 것은 긍정적이나, 온라인 쇼핑 거래액이 한자릿대 성장 둔화는 e커머스 기업 실적에 우려
- e쿠폰 서비스는 티메프 사태 영향 이어지며 24년 8월부터 지난 2월까지 전년대비 -38~48% 기록
- 컴퓨터 및 주변기기, 의복/신발/가방은 약세를 보이며, 물가 상승에 따른 음식료 거래액은 증가 추세 지속

▶️ 결론: 기업별 성과 차이 보일 것, 상반기보다 하반기 성과에 주목
- 최악이었던 2024년을 지나 2025년 회복세 진입
- 시장 성장 둔화된 가운데 기업들의 역량에 따라 성과 차이가 부각될 전망
- 미국 관세 정책이 경기 침체 가능성을 높이나, 하반기 국내 경기 부양 가능성도 공존해 관찰 필요

신한 인터넷/게임 텔레 채널:
https://t.me/seokokang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5202

위 내용은 2025년 5월 8일 07시 30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Forwarded from 허혜민의 제약/바이오 소식통 (Jonghyun Kim)
★ [키움 허혜민] ★ 제약바이오 인싸이트 – 리쇼어링, FDA 인사 논란, 약가 정책 삼중고

[키움 제약/바이오 / 허혜민]

◆ 애널리스트 코멘트
트럼프 대통령의 자국 생산 확대를 유도하는 행정명령과 관세 및 메디케어 약가 책정 계획 발표 예고로 미국 제약·바이오 산업은 리쇼어링과 제조 투자 확대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음.

게다가, FDA 인사 교체와 규제 강화 기조는 신약 개발 속도 저하 우려를 키우고 있음.

이에 따라, 빅파마는 신약 파이프라인 확보를 위해 외부 기술에 더 의존할 수 있음.

다만, 당분간 정책 관망 필요. 이미 승인 받은 약물 또는 모멘텀을 보유한 승인 타겟/약물의 제형 변경 개발 바이오텍 등 안전지대로 판단.

K-BIO는 이러한 시기를 기회 삼아 R&D 투자 확대, 적극적인 정책적 지원 등을 통해 제약/바이오 산업 발전 모색 필요

키움 제약/바이오 소식통 → https://t.me/huhpharm


★ 보고서 링크: https://bbn.kiwoom.com/rfCI5311

* 컴플라이언스 검필

* 본 정보는 키움증권 리서치센터에서 고객분들에게 발송하는 정보입니다.
Forwarded from SK증권 Research
[SK증권 금융(은행/보험/증권) 설용진]

▶️ 은행(매수(유지)) : 한국이 많이 아파요


- 1Q25 실적은 지배순이익 기준 큰 폭 증가했으나 ELS 배상 기저효과 제외한 실질 이익체력은 전년과 유사한 수준 기록. 경기 성장이 정체된 가운데 관세 이슈 등 대내외 불확실성 높아지는 점 감안했을 때 건전성 관련 이익체력 측면의 부담 지속될 전망
- 최근 건전성 관련 지표 부진한 가운데 저성장 뚜렷해진 매크로 환경 감안 시 내수경기 회복까지는 다소 시간이 필요할 전망. 과거 일본 장기 저성장 국면에 금융기관 부실 다수 발생했던 점 감안하여 건전성 세밀한 관리 필요할 것으로 예상
- 1Q25 CET1비율은 대체로 양호한 개선세. 총 주주환원율 확대 추세 지속될 전망. 다만 주주환원에 기반한 투자 매력 부각되기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주주환원의 절대적인 규모가 지속적으로 확대될 수 있다는 신뢰 필요하다고 판단
- 대손비용 측면의 불확실성이 가장 큰 리스크. 담보/보증으로 실제 손실 우려 제한적이나 담보가치 하락, 보증기관 재무 부담 가중 등 불확실성 고려 필요할 것으로 예상. 사회적 역할 수행에 대한 요구도 가중될 것으로 예상
- 25년 하반기 중 NIM은 완만한 하락, 대출성장은 스트레스 DSR 3단계 도입 등 영향으로 상반기 대비 둔화되는 모습 예상. 실적 핵심이 대손비용이 될 것으로 예상하며 금리 하락에 따른 유가증권 매매평가익이나 CSM상각이익 등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이익 기대 가능한 대형 증권/보험 자회사 보유한 회사 유리하다고 판단. 최근 환율 환경 등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KB금융 및 하나금융지주 Top pick 제시

▶️보고서 원문: https://buly.kr/BIUhamE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우리 증시는 개장 초반 양 시장 상승 출발한 가운데, KOSDAQ을 중심으로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미국의 5월 FOMC가 대체로 시장 예상에 부합한 수준으로 마무리 되면서 불확실성이 사라진 점이 개장 초반 강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섹터별로는 상승 섹터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가운데, 온실가스 등 기후 정책 관련 섹터가 특히 강세를 보이는 점이 특징입니다. 이는 유력한 대선 주자인 이재명 후보가 기후위기대응위원회를 공식 출범하면서 관련하여 정책 기대감이 높아졌기 때문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재명 직속 ‘기후위기대응위’ 출범…“압도적 정권 교체가 탄소중립 방법”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 직속 ‘기후위기대응위원회(기후위)’가 7일 오후 공식 출범했다. 기후위는 “탄소중립 달성과 탈탄소 기후경제로의 전환을 위해선 이 후보로의 압도적 정권 교체가 유일한 방법”이라며 기후위기 관련 대선 공약을 준비해나가겠다고 밝혔다."

https://www.hani.co.kr/arti/politics/assembly/1196261.html
[시그널랩 실적속보] 미래에셋증권 (006800)
2025 1Q 연결 잠정실적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508000065

● 매출액: 6조 526억원
- YoY: -3.6%
- QoQ: +4.4%
- 컨센대비: 정보없음

● 영업이익: 3,462억원
- YoY: +28.0%
- QoQ: +26.6%
- 컨센대비: +15.0%

● 당기순이익: 2,582억원
- YoY: +51.4%
- QoQ: -2.1%
- 컨센대비: +1.3%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구글·애플 사파리 동맹 깨지나…애플 "AI, 검색 엔진 대체할 것”

"그는 "AI 기반 검색엔진이 결국 구글과 같은 기존 검색엔진을 대체할 것"이라며, 앞으로 오픈AI, 퍼플렉시티, 앤트로픽의 AI 서비스를 애플의 사파리 브라우저의 검색 옵션으로 추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지난달 사파리 검색량이 처음으로 감소했다고 언급하며, 이를 사람들이 AI를 사용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https://zdnet.co.kr/view/?no=20250508080429
[시그널랩 리서치] CFD(차액결제거래) 모니터링
https://t.me/siglab

5월 7일 기준 CFD 매수잔고율, 신규매수주식수, 신규매수금액 상위 20개 종목 리스트입니다.

● CFD 매수잔고율 = CFD 매수잔고주식수 / 결제일의 상장주식수

CFD 매수잔고율이 높다는 것은 상장주식수 대비 CFD 매수 물량이 많다는 의미로, CFD 투자자들이 매수 관점에서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시그널랩 실적속보] LG유플러스 (032640)
2025 1Q 개별 잠정실적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508000145

● 매출액: 3조 4,426억원
- YoY: +3.6%
- QoQ: -0.2%
- 컨센대비: +2.2%

● 영업이익: 2,607억원
- YoY: +17.9%
- QoQ: +68.2%
- 컨센대비: +5.5%

● 당기순이익: 1,738억원
- YoY: +28.4%
- QoQ: +946.7%
- 컨센대비: +14.0%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올해 OLED 발광재료 수요 급증…韓⋅中 패널 출하 늘며 전년 대비 28%↑ [소부장디과장]

"시장조사업체 유비리서치는 최근 발간한 '2025 OLED 발광재료 보고서'에서 2024년 OLED 발광재료 사용량이 129톤으로 집계됐다고 8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101톤에서 약 28% 상승한 수치다.

특히 삼성디스플레이는 전체 발광재료 사용량 가운데 가장 높은 비중을 지속해서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삼성디스플레이의 리지드(Rigid) OLED 패널 출하량 증가가 발광재료 사용량 증가를 견인한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https://www.ddaily.co.kr/page/view/2025050810013939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