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그널랩] Signal Lab 리서치
11.1K subscribers
18.2K photos
509 videos
469 files
107K links
📌시그널랩은 증권사/자산운용사와 함께합니다

.투자의 미래를 구독하세요
.투자의 혁신 - visual invest tech
.시그널엔진 글로벌 분석종목 & 리서치 제공
.정부가 지원하는 특허 투자솔루션
.삼성/신한/우리/하이/DB/IBK/BNK증권/한경/KRX 제공

.팀소개: https://naver.me/5wHMEqSk
.솔루션: https://naver.me/FjjdX9Hh
.SNS: moneystation.net/user/siglab
Download Telegram
[시그널랩 리서치] 자사주 매매(직접취득) 모니터링
https://t.me/siglab

5월 7일 기준 자사주 매매 직접취득 기준 체결내역입니다.

● 체결비율 = 누적체결량 / 신고수량

체결비율이 높다는 것은 그만큼 자사주매매가 많이 진행되었다는 의미(체결비율 100% = 자사주 매매 완료)입니다.

평균 거래량 대비 잔여수량은 최근 평균 거래량 대비 현재 남은 자사주 취득예정 물량이 몇 배인지를 의미합니다. 높을 수록 자사주 취득이 완료될 때까지 남은 기간이 길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평균 거래량 대비 신청수량은 최근 거래량 대비 하루 기준 취득 예정 자사주 물량이 몇 배인지를 의미합니다. 신청수량 배수가 높다는 것은 최근 보여주는 거래량에서 자사주가 관여하는 비율이 높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 올해 1분기(1Q25) 업종별 영업이익 전망치를 살펴보면, WICS 중분류 기준 28개 업종 중 11개 업종의 영업이익 전망치가 1개월 전 대비 개선된 모습을 보였습니다. 그중에서도 자본재, 내구소비재와의류, 건강관리장비와서비스, 소프트웨어와서비스, 디스플레이 등 5개 업종은 지난주 대비 2025년 EPS 추정치도 개선된 모습이 확인되었습니다.

※ 업종구분은 WICS 중분류 기준을 활용.
※ WICS(Wise Industry Classification Standard):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분류기준을 에프앤가이드(구 와이즈에프엔)에서 국내 실정에 맞게 재구성한 섹터 분류 기준.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글 참고 바랍니다.

[섹터분석] 실적과 밸류로 본 유망 섹터
https://naver.me/Gxk3oUbH
image_2025-05-07_18-40-24.png
358 KB
[시그널랩 리서치] 1Q25 분기 실적 리뷰

5월 7일(수) 기준 2025년 1분기 잠정실적 발표 현황입니다.
(5월 2일~7일 잠정실적발표 기업 업데이트)

발표기업 시가총액 기준으로는 54.78%, 종목 수 기준으로 10.07% 진행되었습니다.

● 서프라이즈 업종 (12개)
: 디스플레이, 소재, 반도체와반도체장비, 에너지, 제약과생물공학, 자본재, 미디어와엔터테인먼트, 전자와전기제품, 증권, 소프트웨어와서비스, 내구소비재와의류, 상업서비스와공급품

● 어닝 서프라이즈 비율 50% 상회 업종 (7개)
: 상업서비스와공급품, 증권, 소재, 자본재, 미디어와엔터테인먼트, 소프트웨어와서비스, 내구소비재와의류

● 어닝 쇼크 비율 50% 상회 업종 (3개)
: 건강관리장비와서비스, 호텔,레스토랑,레저등, 에너지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 참고 바랍니다

[실적리뷰] 1Q25 실적공시 분석
https://naver.me/FEUDYgld
✍️ <글로벌 이슈 / 시장 컬러>

아시아 통화 합의 기대감과 국내 금융시장 안정
대만달러 강세 용인 가능성 등 아시아 통화 합의 기대감 확산. 유가 하락과 원화 강세는 국내 금융시장과 실물경제에 긍정적. 실업률과 물가를 합한 경제 고통지수도 침체 리스크가 예상보다 낮음을 시사.

미국 고용 양호하지만 물가·성장 압력은 상존
4월 비농업 고용은 +17.7만 명으로 양호. 그러나 노동수요 감소와 실업률 상승 가능성 존재. 관세 영향으로 1Q GDP는 frontloading에 따른 역성장, 2Q는 내수 부진 우려. 5월 FOMC 앞두고 연준은 물가 상방과 성장 하방 압력에 직면.

강달러 자산 정리, 아시아 외환시장으로 확산
장기 글로벌 투자기관들이 강달러 포지션에서 환헤지 강화 중. 대미 포지션 누적이 컸던 지역의 환율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 기존에 외면했던 자산에 대한 재평가 필요성 부각.

익숙한 게임 선호…크래프톤·Roblox 실적 호조
게임 유저 트렌드는 신작보다 기존 게임 지속 플레이로 이동. PUBG PC 트래픽은 전년대비 +75.4% 증가. Roblox의 DAU는 전분기 대비 +14.7% 증가하며 주가 상승 견인. 콘텐츠 지속성과 플랫폼 파워가 핵심 투자 포인트.

우리금융, 동양생명·ABL생명 편입 승인
금융위, 우리금융의 생보사 2곳 자회사 편입 승인. 내부통제 및 자본관리 계획 이행 실태를 2027년 말까지 정기 보고토록 조건 부여. 금융지주의 사업 다각화 및 보험 부문 강화 전망.

#시그널랩리서치 #미국고용 #통화합의 #게임산업 #우리금융 #달러전략

- SignalLab Research
- https://t.me/siglab
[FT] Ari Emanuel to buy Frieze art fairs from Endeavor

* 아리 엠마뉴엘, 자신이 세운 엔데버로부터 프리즈 아트페어 인수… 2억 달러 규모

✔️ 거래 개요: 할리우드 파워 브로커 아리 엠마뉴엘은 약 2억 달러 규모의 거래를 통해 프리즈(Frieze) 아트페어 및 출판 그룹을 엔데버(Endeavor)로부터 인수하기로 합의.

✔️ 구조적 배경: 엠마뉴엘은 프리즈의 공동 소유자인 동시에, 이번 거래의 매도자인 엔데버의 최고경영자이기도 하며, 이번 인수는 엠마뉴엘 개인 소유의 자회사 IMG로 이관하는 방식으로 진행됨.

✔️ 사업 내용: 프리즈는 런던, 뉴욕, 로스앤젤레스, 서울에서 개최되는 고급 아트페어 브랜드로, 현대미술계에서 높은 위상을 차지하고 있음.

✔️ 전략적 의도: 엠마뉴엘은 이번 인수를 통해 프리즈의 독립성과 문화적 정체성을 더욱 강화하고, 향후 브랜드 성장에 집중할 계획.

✔️ 시장 반응: 예술계에서는 프리즈가 대기업의 엔터테인먼트 그룹에서 독립적인 구조로 전환되는 점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음.

https://on.ft.com/4iEDWX2
삼성전자에 이렇게 많이?…40만명 육박하는 어린이 주주

- 2019년 2만명에서 팬데믹 후 급증
- 2022년 정점…재작년 말부터 정체

"주식 거래에 나이 제한은 없으나, 미성년자는 부모나 법정 대리인의 동의가 있어야 주식 계좌를 개설할 수 있다. 최근 부모가 경제 교육이나 증여 등의 목적으로 자녀에게 주식을 사주는 경우가 많으며, 직접 주식 투자에 뛰어드는 청소년도 늘어나는 분위기"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50532397
KB Macro - 미국: 고용 기초체력 약화 속에도 2Q는 완만한 둔화 전망

■ 미국 4월 고용, 예상치 상회. 정부 부문 급감 vs 운수창고업 증가하며 트럼프 효과 반영
■ DOGE발 연방정부 고용 충격, 우려보다 크지 않을 것
■ 미국 고용시장 펀더멘탈은 약화되고 있음. 향후 고용지표 둔화라는 방향성은 명확
■ 2분기 고용 급격한 냉각 가능성은 낮음. 4월 소비도 양호하게 발표되며 수요 우려 다소 진정될 듯

https://bit.ly/3RU1FaO
류진이

KB증권 내부 컴플라이언스 점검을 완료했음. 단순 참고자료로 법적 책임의 근거가 되지 않음
미 법무부, 구글 검색에 이어 광고기술도 강제 매각 추진

- 구글 반발…“전례 없고, 시장 혼란만 초래할 뿐”
- 법원, 양측 입장 검토 후 최종 시정책 결정 계획

"미국 규제 당국이 거대 기업 해체에 나서는 것은 1984년 AT&T, 2000년 마이크로소프트 이후 처음."

https://www.etoday.co.kr/news/view/2467986
<WSJ> Apple Won’t Be Able to Avoid Price Hikes for Long

* 애플, 관세 비용 버티기 한계…가격 인상 불가피

✔️ 관세 부담 누적: 애플은 현재 미국의 대중국 수입 관세를 자사 비용으로 흡수하고 있으나, 아이폰 등 주요 제품의 가격 인상이 가까워졌다는 분석이 나옴. 6월 분기 실적 발표에서 애플은 약 9억 달러의 관세 비용을 계상했는데, 이는 전체 매출원가의 2% 미만이지만 향후 반도체 등 특정 부문에 추가 관세가 부과되면 이 비용은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됨.

✔️ 제조 다변화에도 중국 의존 지속: 애플은 인도·베트남으로 일부 생산을 이전하고 있지만, 고급 제조 공정 대부분은 여전히 중국에 집중되어 있음. 공급망 변화에는 시간이 걸리는 만큼 단기적으로는 중국발 수입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구조.

✔️ 소비자 가격 인상 불가피: 애플은 현재 고급 모델과 저장 용량 옵션 등을 통해 ‘은근한 가격 인상’을 진행하고 있으나, 이동통신사들도 보조금 지급 여력이 줄어들면서 결국 소비자에게 직접 관세 부담이 전가될 가능성이 커짐.

✔️ 시장 반응: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표 이후 애플의 시가총액은 3,500억 달러 이상 증발하며, 투자자들의 우려가 반영되고 있음.

https://www.wsj.com/tech/apple-iphone-price-increases-tariffs-baf07419
Media is too big
VIEW IN TELEGRAM
📌 [공지] 운영 텔레그램 채널 소개

1️⃣ 시그널랩
리서치
👉 https://t.me/siglab

2️⃣ 시그널랩 리서치 프리미엄
👉 https://t.me/siglab_premium

3️⃣ 머니스테이션
소셜 투자 콘텐츠
👉 https://t.me/moneystation_best

• The Choice of a New Generation
• '실전성'과 '간결성' 돈 되는 투자 인사이트
• 무한한 집단지성 투자 아이디어 연결
• 앞서가는 투자자의 '새로운 아이콘'
• '공유'는 채널 운영에 이 됩니다
[속보]금리 동결한 Fed...."높은 실업률과 높은 인플레 위험 둘 다 증가"

-경제성장률 전망치, 0.4%P 낮춰 1.7%로 수정
-물가상승률 전망치는 0.3%P 높여 연 2.8%로 예상
-관세전쟁 불확실성 커졌다 판단
-점도표는 올 연말 기준 50bp 인하 유지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128764
<WSJ> Skechers to Go Private in \$9.4 Billion 3G Deal

* 스케쳐스, 3G 캐피탈에 94억 달러에 인수… 비상장사로 전환 예정

✔️ 거래 개요: 3G Capital은 운동화 브랜드 스케쳐스를 주당 63달러, 총 94억 달러 규모로 인수하기로 합의했으며, 거래 완료 시 스케쳐스는 나스닥에서 상장 폐지될 예정.

✔️ 전략적 배경: 3G는 장기적 성장을 위해 브랜드 효율화를 중시하는 전략을 추진해 왔으며, 스케쳐스를 통해 소비재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할 계획.

✔️ 스케쳐스 반응: 스케쳐스 이사회는 만장일치로 해당 거래를 승인했으며, 거래는 2025년 하반기 내 완료될 것으로 예상.

✔️ 시장 반응: 인수 발표 후 스케쳐스 주가는 약 11% 급등하며 거래가에 근접한 수준으로 상승.

✔️ 향후 계획: 스케쳐스는 비상장 전환 이후에도 현재의 경영진 체제를 유지하며 글로벌 사업 확장과 전자상거래 역량 강화에 집중할 방침.

wsj.com/business/deals/skechers-to-go-private-in-3g-merger-c71de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