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그널랩] Signal Lab 리서치
11.1K subscribers
18.2K photos
508 videos
469 files
107K links
📌시그널랩은 증권사/자산운용사와 함께합니다

.투자의 미래를 구독하세요
.투자의 혁신 - visual invest tech
.시그널엔진 글로벌 분석종목 & 리서치 제공
.정부가 지원하는 특허 투자솔루션
.삼성/신한/우리/하이/DB/IBK/BNK증권/한경/KRX 제공

.팀소개: https://naver.me/5wHMEqSk
.솔루션: https://naver.me/FjjdX9Hh
.SNS: moneystation.net/user/siglab
Download Telegram
✍️ [관련주][속보]트럼프 “외국 영화에 100% 관세 부과”

- 미국 영화 산업이 “매우 빠르게 죽어가고 있다”고 주장
- 다른 나라들의 조직적인 노력으로 발생하는 이 문제는 국가 안보 위협

🔺️[수혜관점]

$쇼박스: 해외 의존도가 낮고 내수 중심의 영화 배급 구조 / 헐리우드 작품 축소 시 상대적 상영 기회 확대

$NEW: 아시아권 및 국내 시장 중심의 배급 전략 / 헐리우드 작품 부재로 극장가 내 콘텐츠 수요 증가 가능

$에이스토리: 국내 중심의 드라마 및 콘텐츠 제작사 / 미국 외 지역 OTT나 유럽·동남아 수출 확대 기회

$키이스트: K-콘텐츠 기획 및 제작 역량 보유 / 헐리우드 콘텐츠 축소에 따라 글로벌 플랫폼 내 한국 드라마 노출 증가 가능성

$롯데컬처웍스: 헐리우드 영화 수입 제한 시 국내 롯데시네마 상영작 중 한국영화 비중 확대 / 국내 극장 매출 개선 및 콘텐츠 수익성 제고 기대

🔻[우려관점]

$CJENM: 북미를 포함한 글로벌 콘텐츠 유통에 적극적인 종합 콘텐츠 기업 / 미국 관세 부과 시 영화 수출 및 합작 콘텐츠 유통 제한 우려

$와이즈버즈: 글로벌 콘텐츠 투자 확장 중 / 미국 내 배급 환경 위축 시 일부 투자회수 또는 협업 차질 가능

넷플릭스 ($NFLX): 한국을 포함한 글로벌 콘텐츠 공급 비중이 높은 OTT 플랫폼 / 외국 콘텐츠 수입에 대한 비용 증가 또는 정책적 제약 발생 가능성

디즈니 ($DIS): 글로벌 콘텐츠 유통사로 미국 보호조치 수혜 가능하지만, 한국 및 아시아 콘텐츠 투자 전략 조정 우려 존재

워너브라더스 ($WBD): 전통 헐리우드 중심의 콘텐츠 스튜디오 보유 / 외국 콘텐츠와의 협업·투자 축소 가능성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49/0000307712
<Economist> Can Shein and Temu survive Trump’s trade war?

* 쉬인·테무, 트럼프 관세 전쟁에 생존 위기

✔️ ‘800달러 예외’ 폐지로 가격 급등: 젠지 세대에 인기를 끌던 중국계 이커머스 션(Shein)과 테무(Temu)가 트럼프 대통령의 對중 무역전쟁 격화로 위협을 받고 있음. 미국은 중국산 800달러 이하 제품에 적용되던 ‘디 미니미스(de minimis)’ 관세 면제를 폐지했고, 이에 따라 이들 플랫폼의 제품 가격은 급등. 일부 테무 제품은 수입 수수료가 상품 가격을 초과함. 우편 발송 제품은 120~200%, 기타 대부분 제품은 145%의 고율 관세 적용.

✔️ 미국 의존도 높은 매출 타격: 미국은 이들 매출의 30~40%를 차지하는 최대 시장이었고, 션은 한때 H&M 등을 제치고 패스트패션 선두로 평가되며 1천억 달러 기업가치를 기록했으며, 티무는 공격적인 광고로 브랜드 인지도를 확보한 상태. 그러나 이번 조치로 인해 기업가치와 성장 전략 모두 압박을 받고 있음.

✔️ 해외 확장도 난관: 양사는 유럽과 아시아로의 확장을 추진하고 있으나, 베트남·인도네시아 등에서의 규제, 보호무역 강화, 생산 이전의 어려움 등으로 실질적 진출이 지연되고 있음. 특히 광둥성에 집중된 중국 내 생산망 의존도가 높아 제조 거점 다변화가 쉽지 않음.

✔️ 진짜 글로벌화 없인 생존 어렵다: 양사는 스스로를 ‘글로벌 기업’ 또는 ‘미국 기업’으로 포장하고 있으나, 공급망은 여전히 중국에 치중되어 있고, 중국 정부도 생산기지 해외 이전에 비협조적. 미국발 관세 압박은 이들에게 실질적인 글로벌화를 강요하고 있으며, 이를 회피할 경우 핵심 시장에서 퇴출될 가능성도 있음.

https://www.economist.com/business/2025/04/30/can-shein-and-temu-survive-trumps-trade-war
인도, 인더스강 물길 막았다… 파키스탄 “핵포함 총력 대응” 경고

- 인더스강에 식수 및 농업 용수를 의존하고 있는 파키스탄 또한 강력히 대응할 뜻을 밝혀 긴장 고조

"앞서 지난달 22일 인도령 카슈미르의 휴양지인 파할감 인근에서 무장 괴한들이 총기를 난사해 최소 26명이 숨지고 17명이 다쳤다. 인도는 파키스탄 정부를 테러 배후로 지목하며 인더스강 물줄기를 끊겠다는 뜻을 줄곧 밝혀 왔다."

https://www.donga.com/news/Inter/article/all/20250505/131545975/1
Media is too big
VIEW IN TELEGRAM
📌 [공지] 운영 텔레그램 채널 소개

1️⃣ 시그널랩
리서치
👉 https://t.me/siglab

2️⃣ 시그널랩 리서치 프리미엄
👉 https://t.me/siglab_premium

3️⃣ 머니스테이션
소셜 투자 콘텐츠
👉 https://t.me/moneystation_best

• The Choice of a New Generation
• '실전성'과 '간결성' 돈 되는 투자 인사이트
• 무한한 집단지성 투자 아이디어 연결
• 앞서가는 투자자의 '새로운 아이콘'
• '공유'는 채널 운영에 이 됩니다
<FT> PwC partners ordered to cut ties with brokerage after internal investigation

* PwC, 내부 조사 후 300명 파트너에 소형 증권사 투자 중단 지시

✔️ 조치 배경: PwC는 내부 감사를 통해 일부 파트너들이 투기성 소형주 거래를 제공하는 소규모 증권사와 관계를 맺고 있었음을 확인하고, 규정 위반 우려로 관계 단절을 명령.

✔️ 적용 대상: 해당 조치는 미국 내 약 300명의 파트너에게 적용되며, 이들 대부분은 사전에 승인을 받지 않은 상태로 관련 계좌를 유지한 것으로 나타남.

✔️ 윤리 규정 위반: PwC의 내부 정책은 직무 이해 충돌 방지를 위해 사전 승인 없는 투자 거래를 제한하고 있으며, 독립성과 객관성을 침해할 수 있는 거래에 대해 강경 대응 방침을 고수.

✔️ 업계 반향: 이번 사안은 글로벌 회계법인의 내부 통제 강화와 파트너 윤리 준수에 대한 압박을 시사하며, 회계업계 전반의 신뢰 회복 필요성이 제기됨.

✔️ PwC 입장: PwC는 고객과의 신뢰 유지를 최우선 가치로 삼고 있으며, 추가적인 윤리 교육과 내부 감시 강화를 약속.

on.ft.com/42L3a05
[속보] '26조' 체코 원전수출 급제동...체코법원, 계약서명 중지명령

-한수원과 7일 최종 계약 서명 예정 하루 전 결정
-"프랑스 EDF 제기 소송 마무리될 때까지 미뤄야"
- 입찰서 패소한 프랑스 입찰자 EDF 제소로
- 체코 CEZ "한수원 선택 옳아,법원 강제시 손배청구"

https://www.pinpoin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41748
Media is too big
VIEW IN TELEGRAM
📌 [공지] 운영 텔레그램 채널 소개

1️⃣ 시그널랩
리서치
👉 https://t.me/siglab

2️⃣ 시그널랩 리서치 프리미엄
👉 https://t.me/siglab_premium

3️⃣ 머니스테이션
소셜 투자 콘텐츠
👉 https://t.me/moneystation_best

• The Choice of a New Generation
• '실전성'과 '간결성' 돈 되는 투자 인사이트
• 무한한 집단지성 투자 아이디어 연결
• 앞서가는 투자자의 '새로운 아이콘'
• '공유'는 채널 운영에 이 됩니다
<WSJ> CVS Beats Wall Street Expectations, Plans to Withdraw From ACA Business

* CVS, 1분기 실적 월가 예상 상회… 내년 오바마케어 사업 철수 계획 발표

✔️ 실적 발표: CVS Health는 1분기 조정 주당순이익이 1.31달러로 월스트리트 예상치인 1.21달러를 상회했으며, 매출도 전년 동기 대비 3.7% 증가한 888억 달러를 기록.

✔️ ACA 사업 철수: CVS는 손실이 커지고 있는 오바마케어(ACA) 건강보험 교환 시장에서 2025년부터 철수하겠다고 밝혔으며, 이는 향후 실적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로 해석됨.

✔️ 손실 요인: ACA 가입자들의 진료비 지출이 예상보다 높았고, 이에 따라 의료비 부담이 증가해 해당 부문에서 보험손실이 지속된 것으로 나타남.

✔️ 주가 반응: 실적 발표 후 CVS 주가는 장중 약 3% 상승하며 긍정적 시장 반응을 보임.

✔️ 향후 전략: CVS는 보험 사업 재편과 약국·의료 서비스 강화에 집중할 계획이며, 비용 구조 개선과 수익성 회복을 주요 목표로 설정.

[https://www.wsj.com/business/earnings/cvs-health-cvs-q1-earnings-report-2025-3f9621e5]
[시그널랩 실적속보] 카카오뱅크 (323410)
2025 1Q 개별 잠정실적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507000012

● 매출액: 7,846억원
- YoY: +9.3%
- QoQ: +5.0%
- 컨센대비: 정보없음

● 영업이익: 1,830억원
- YoY: +23.3%
- QoQ: +59.2%
- 컨센대비: +7.0%

● 당기순이익: 1,374억원
- YoY: +23.6%
- QoQ: +62.7%
- 컨센대비: +7.0%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