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그널랩] Signal Lab 리서치
11.1K subscribers
18.2K photos
508 videos
469 files
107K links
📌시그널랩은 증권사/자산운용사와 함께합니다

.투자의 미래를 구독하세요
.투자의 혁신 - visual invest tech
.시그널엔진 글로벌 분석종목 & 리서치 제공
.정부가 지원하는 특허 투자솔루션
.삼성/신한/우리/하이/DB/IBK/BNK증권/한경/KRX 제공

.팀소개: https://naver.me/5wHMEqSk
.솔루션: https://naver.me/FjjdX9Hh
.SNS: moneystation.net/user/siglab
Download Telegram
This media is not supported in your browser
VIEW IN TELEGRAM
📌 SignalLab - 프리미엄 콘텐츠 채널

시그널랩은 '실전성'과 '간결성' 있는 투자를 위한 데이터 분석 기반의 글로벌 금융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콘텐츠] 월 30건+
• 경제지표, 글로벌 매크로 방향성 분석
• 산업/테크 트렌드 및 투자전략 소개
• 특징 섹터/주식/테마 모니터링
• 특허 투자솔루션 분석 주식/ETF 공유

[소개] 시그널랩 - 네이버 프리미엄
https://naver.me/5wHMEqSk

[소개] 시그널랩 프리미엄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iglab_premium

👍 시그널랩은 전직 기관투자자 등 전문 필진이 함께 합니다. 월 커피 한잔 가격으로 무제한 이용하세요!

- SignalLab Research
[속보] 국민의힘,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보로 김문수 선출

$평화산업: 김문수 고향(경북 영천)에 자회사 공장 위치

$평화홀딩스: 경주 김씨 종친, 계열사 평화산업과 함께 언급

$대영포장: 김문수 추진 유니버설 스튜디오 사업지 인근 기업

$한솔홈데코: 전 대표이사 김문수와 경북고 동문

$사조씨푸드: 부회장 김문수와 경북고·서울대 동문

$밸로프: 대표이사 김문수와 서울대 경영학과 동문

(기사삭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2/0001324174
<WSJ> Forget GDP. It’s the Jobs Report That Matters

* GDP보다 중요한 건 고용지표

✔️ GDP 감소의 착시: 1분기 GDP가 연율 기준 -0.3% 하락했지만,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나 재정 긴축, 이민 단속의 영향이 아닌 수입 급증과 재고 반영 지연, 1월 한파 등 일시적 요인 때문.

✔️ 고용과 소비는 견조: 3월 기준 고용 및 소비지표는 여전히 양호하며, 대부분 기업은 아직 관세로 인한 비용을 소비자에게 전가하지 않음.

✔️ 향후 관전 포인트: 4월 고용지표가 정책의 실질적 영향을 보여줄 가능성 있지만, 현재까지는 큰 변동 없이 완만한 고용 흐름 유지 중.

✔️ 요약: GDP 수치만으로 경제를 판단하기 어렵고, 실물경제 상태를 가늠하려면 고용지표가 더 중요함.

https://www.wsj.com/economy/jobs/april-jobs-report-economy-4f765076
Media is too big
VIEW IN TELEGRAM
📌 [공지] 운영 텔레그램 채널 소개

1️⃣ 시그널랩
리서치
👉 https://t.me/siglab

2️⃣ 시그널랩 리서치 프리미엄
👉 https://t.me/siglab_premium

3️⃣ 머니스테이션
소셜 투자 콘텐츠
👉 https://t.me/moneystation_best

• The Choice of a New Generation
• '실전성'과 '간결성' 돈 되는 투자 인사이트
• 무한한 집단지성 투자 아이디어 연결
• 앞서가는 투자자의 '새로운 아이콘'
• '공유'는 채널 운영에 이 됩니다
<WSJ> The Rush to Beat Tariffs Is Distorting the Economy. There’s More to Come

* 관세 시행 전 ‘밀어내기 수출’이 경제 왜곡… 여파는 이제 시작

✔️ 수입 급증이 GDP에 타격: 글로벌 기업들이 트럼프 대통령의 새로운 관세 시행 전에 미국으로 물량을 앞당겨 들여오면서 무역 흐름이 왜곡되고 있음. 1분기 미국 수입은 40% 넘게 급증했고, 이로 인해 GDP가 0.3%포인트 하락.

✔️ 2차 밀어내기 시작: 중국 외 국가에 대한 ‘관세 유예’가 7월 9일 종료될 예정이면서 소매업체·제조업체 중심으로 40%에 달하는 관세를 피하려는 수입이 재차 몰리고 있음.

✔️ 무역적자 사상 최대: 수입 급증으로 3월 미국 무역적자는 1,620억 달러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 독일, 대만, 베트남 등 수출국은 일시적 호황을 누리는 중이나, 이후 글로벌 무역은 2025년에 0.2% 역성장할 가능성 제기.

✔️ 장기적 충격 불가피: 수출 일정 조율, 물류 병목, 재고 한계 등으로 기업들의 경영 전략이 복잡해지고 있으며, 하이네켄 같은 주요 기업도 “재고 확보가 불가능한 품목이 많다”고 우려. 단기 반사이익에도 불구하고, 관세의 장기적 영향은 세계 무역 둔화로 이어질 전망.

https://www.wsj.com/economy/trade/the-rush-to-beat-tariffs-is-distorting-the-economy-it-has-barely-started-5180be1f
Media is too big
VIEW IN TELEGRAM
📌 [공지] 운영 텔레그램 채널 소개

1️⃣ 시그널랩
리서치
👉 https://t.me/siglab

2️⃣ 시그널랩 리서치 프리미엄
👉 https://t.me/siglab_premium

3️⃣ 머니스테이션
소셜 투자 콘텐츠
👉 https://t.me/moneystation_best

• The Choice of a New Generation
• '실전성'과 '간결성' 돈 되는 투자 인사이트
• 무한한 집단지성 투자 아이디어 연결
• 앞서가는 투자자의 '새로운 아이콘'
• '공유'는 채널 운영에 이 됩니다
✍️ [관련주][속보]트럼프 “외국 영화에 100% 관세 부과”

- 미국 영화 산업이 “매우 빠르게 죽어가고 있다”고 주장
- 다른 나라들의 조직적인 노력으로 발생하는 이 문제는 국가 안보 위협

🔺️[수혜관점]

$쇼박스: 해외 의존도가 낮고 내수 중심의 영화 배급 구조 / 헐리우드 작품 축소 시 상대적 상영 기회 확대

$NEW: 아시아권 및 국내 시장 중심의 배급 전략 / 헐리우드 작품 부재로 극장가 내 콘텐츠 수요 증가 가능

$에이스토리: 국내 중심의 드라마 및 콘텐츠 제작사 / 미국 외 지역 OTT나 유럽·동남아 수출 확대 기회

$키이스트: K-콘텐츠 기획 및 제작 역량 보유 / 헐리우드 콘텐츠 축소에 따라 글로벌 플랫폼 내 한국 드라마 노출 증가 가능성

$롯데컬처웍스: 헐리우드 영화 수입 제한 시 국내 롯데시네마 상영작 중 한국영화 비중 확대 / 국내 극장 매출 개선 및 콘텐츠 수익성 제고 기대

🔻[우려관점]

$CJENM: 북미를 포함한 글로벌 콘텐츠 유통에 적극적인 종합 콘텐츠 기업 / 미국 관세 부과 시 영화 수출 및 합작 콘텐츠 유통 제한 우려

$와이즈버즈: 글로벌 콘텐츠 투자 확장 중 / 미국 내 배급 환경 위축 시 일부 투자회수 또는 협업 차질 가능

넷플릭스 ($NFLX): 한국을 포함한 글로벌 콘텐츠 공급 비중이 높은 OTT 플랫폼 / 외국 콘텐츠 수입에 대한 비용 증가 또는 정책적 제약 발생 가능성

디즈니 ($DIS): 글로벌 콘텐츠 유통사로 미국 보호조치 수혜 가능하지만, 한국 및 아시아 콘텐츠 투자 전략 조정 우려 존재

워너브라더스 ($WBD): 전통 헐리우드 중심의 콘텐츠 스튜디오 보유 / 외국 콘텐츠와의 협업·투자 축소 가능성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49/0000307712
<Economist> Can Shein and Temu survive Trump’s trade war?

* 쉬인·테무, 트럼프 관세 전쟁에 생존 위기

✔️ ‘800달러 예외’ 폐지로 가격 급등: 젠지 세대에 인기를 끌던 중국계 이커머스 션(Shein)과 테무(Temu)가 트럼프 대통령의 對중 무역전쟁 격화로 위협을 받고 있음. 미국은 중국산 800달러 이하 제품에 적용되던 ‘디 미니미스(de minimis)’ 관세 면제를 폐지했고, 이에 따라 이들 플랫폼의 제품 가격은 급등. 일부 테무 제품은 수입 수수료가 상품 가격을 초과함. 우편 발송 제품은 120~200%, 기타 대부분 제품은 145%의 고율 관세 적용.

✔️ 미국 의존도 높은 매출 타격: 미국은 이들 매출의 30~40%를 차지하는 최대 시장이었고, 션은 한때 H&M 등을 제치고 패스트패션 선두로 평가되며 1천억 달러 기업가치를 기록했으며, 티무는 공격적인 광고로 브랜드 인지도를 확보한 상태. 그러나 이번 조치로 인해 기업가치와 성장 전략 모두 압박을 받고 있음.

✔️ 해외 확장도 난관: 양사는 유럽과 아시아로의 확장을 추진하고 있으나, 베트남·인도네시아 등에서의 규제, 보호무역 강화, 생산 이전의 어려움 등으로 실질적 진출이 지연되고 있음. 특히 광둥성에 집중된 중국 내 생산망 의존도가 높아 제조 거점 다변화가 쉽지 않음.

✔️ 진짜 글로벌화 없인 생존 어렵다: 양사는 스스로를 ‘글로벌 기업’ 또는 ‘미국 기업’으로 포장하고 있으나, 공급망은 여전히 중국에 치중되어 있고, 중국 정부도 생산기지 해외 이전에 비협조적. 미국발 관세 압박은 이들에게 실질적인 글로벌화를 강요하고 있으며, 이를 회피할 경우 핵심 시장에서 퇴출될 가능성도 있음.

https://www.economist.com/business/2025/04/30/can-shein-and-temu-survive-trumps-trade-w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