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그널랩] Signal Lab 리서치
11.1K subscribers
18.2K photos
503 videos
467 files
107K links
📌시그널랩은 증권사/자산운용사와 함께합니다

.투자의 미래를 구독하세요
.투자의 혁신 - visual invest tech
.시그널엔진 글로벌 분석종목 & 리서치 제공
.정부가 지원하는 특허 투자솔루션
.삼성/신한/우리/하이/DB/IBK/BNK증권/한경/KRX 제공

.팀소개: https://naver.me/5wHMEqSk
.솔루션: https://naver.me/FjjdX9Hh
.SNS: moneystation.net/user/siglab
Download Telegram
✍️ 한국거래소에서는 1년에 두 번(6월, 12월) KOSPI200 및 KOSDAQ150, KRX300 등 주요 지수에 대해 정기변경을 실시합니다. 아직 거래소에서 지수 편입·편출 종목 리스트를 확정하지 않았지만 증권가를 중심으로 예상 리스트가 나오는 시점인데, 지수구성 방법론이 존재하기 때문에 예상 리스트는 확정 리스트와 큰 오차가 없는 편입니다.

이번 6월 정기변경에는 어떤 종목이 편입·편출 될 것인지, 과거 발표일(확정일)에 편입 예정종목들을 매수하는 전략은 어땠는지 살펴보는 글을 작성하였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글 참고 바랍니다.

[인사이트] KOSPI200, 2025년 6월 정기변경과 투자전략
https://naver.me/F42hOYHC
구글ㆍ페북 등 빅테크 순이익 급증…자동차는 쇼크 "연간 전망도 못 해"

-MSㆍ메타 등 1Q 어닝 서프라이즈
-美 보호무역주의 지속하면 리스크↑
-테슬라 1Q 순이익 전년비 71% 급감
-독일차 “연간 실적 가이던스 불가능”

https://m.etoday.co.kr/view.php?idxno=2467295&trc=m_main_market_news
[상상인증권 리서치센터] 2H25 국내외 채권시장 전망 및 전략: 추경과 관세가 표출하는 신호
투자전략팀장 신얼 02-3779-3184

- 국내 시장금리 하락세 지속 전망. 물가 안정 속 경기 하강 압력 확대에 의한 기준금리 인하 국면에 위치함. 견조한 채권 매매 수요 역시 금리 하락세 지지. 단, 조기 대선 이후 추경 규모 확대와 더불어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불확실성 등은 국내외 채권시장 변동성 자극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

- 2025년도 하반기 국내외 채권시장의 3대 이슈로는 1) 조기 대선 이후 확대될 추경 규모에 의한 국고채 시장 수급 변동성, 2)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정책 추진에 의한 미국발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 진단 및 3) 한미 등 주요국의 기준금리 인하를 좌우할 불확실성에 대한 판단 등을 제시함

- 한국은행 기준금리 '25년말 2.25%, 금번 인하 국면의 최종 금리 인하 레벨은 2.00%로 판단함(Base Scenario). 대내외 정치경제적 불확실성에 의한 금리 인하 횟수와 속도 조절 가능성 내재. 한편, 연준 기준금리 인하는 트럼프 정책 관망 등 속도 조절 필요함에 따라 '25년 2회로 판단

- 1차 추경 및 조기 대선 이후의 추가 추경에 의한 국고채 발행한도, 본 예산 대비 약 30조원 이상 증액. 국고채 공급 증액으로 인한 시장 변동성 확대 불가피

- 2H25 금리 및 스프레드 예상 변동범위: 미 국채 10년 3.70~4.50%, 국고 3년 1.85~2.50%, 국고 10년 2.10~2.90%, 국고 3년/10년 금리 스프레드 10~60bp

* 원문 보고서 링크: https://buly.kr/8pg3hFC

* 상상인증권 리서치센터: https://t.me/ssi_research

* 상상인증권 투자전략팀: https://t.me/ssi_macro

* 해당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하였습니다.
KB Macro - 미국 1Q GDP: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은 낮음

■ 트럼프 효과가 고스란히 반영된 1분기 성장률. 수입 급증에 따른 -0.3% 역성장
■ 역성장의 폭을 완화시켜준 AI 관련 투자 모멘텀. 올해 경기 하방압력 완화 요인
■ 1분기 PCE 물가 상승률 반등에도 연초효과 고려할 필요. 스태그플레이션 우려는 기우

https://bit.ly/4jw8L1n
류진이

KB증권 내부 컴플라이언스 점검을 완료했음. 단순 참고자료로 법적 책임의 근거가 되지 않음
Forwarded from [ IT는 SK ] (제민 박)
[SK증권 해외주식 박제민]

AMZN; 핵심 사업부 모두 무난한 성과

▶️ 견조한 매출 유지

1Q25 매출 컨센서스 부합, 차분기 가이던스 1% 하회
사업부문별로 AWS가 17% YoY 성장 기록

▶️ AWS, 아직 남은 온프레미스가 많다

AWS 사업부 OPM 39% 기록, SW와 프로세스 최적화 효과
향후 Nova, Trainium 통해 더 강한 이익률 실현 기대 가능
전세계 IT 지출의 85% 이상이 아직 온프레미스
AWS는 높은 점유율과 IaaS 강점으로 특히 인프라 현대화 수혜 강할 전망

▶️ 관세 불확실성을 이겨낼 준비성

아직 수요 감소, 판매 가격 변동 감지되지 않는 상황
가격 변동에도 자체상품(SKU)으로 대응 가능
과거 불경기 기간 동안 오히려 AMazon의 시장 점유율은 증가
지역 허브 투자 지속으로 1Q25 Prime 회원 대상 배송 속도 개선

▶️ URL: https://buly.kr/2UimMwK

* 위 내용은 공개 실적발표 내용으로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속보] ‘해킹 피해’ 위믹스…국내 거래소서 상장 폐지

$위메이드 $위메이드맥스 $위메이드플레이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2/0004032587
'희망가 3000억' 런던베이글 매각, JKL 제치고 이니어스PE 협상 테이블 선점

-11배 밸류 원하는 LBM, 원매자와 시각차
-이니어스PE, 가격 근접했지만 펀딩 변수로
-JKL, 6호 펀드 대기하며 기회 엿보나

https://www.investchosun.com/site/data/html_dir/2025/04/29/2025042980149.html
Forwarded from [미래에셋증권 전략/퀀트 유명간] (명간 유)
[미래에셋증권 전략/퀀트 유명간] 주간 이익동향(5월 2주차)

★ Summary ★

[글로벌] 선진국/신흥국 실적 하향 폭 확대

[한국] 업종/종목 이익모멘텀 차별화 심화. 조선/전력기기/반도체/SW/건강관리↑

■ 글로벌 이익동향(MSCI, 12MF EPS)

* 전세계 EPS 변화율(1M)
: -1.5%(DM: -1.7%, EM: -0.8%)

* 컨센서스 상향 국가(1M)
: 한국(+0.9%)

* 컨센서스 하향 국가(1M)
: 독일(-1.9%), 미국(-1.8%), 중국(-1.2%), 일본(-0.8%), 홍콩(-0.8%)

* 컨센서스 상향 업종(1M, DM+EM)
: 유틸리티(+1.2%, DM)

* 컨센서스 하향 업종(1M, DM+EM)
: 에너지(-6.8%), 경기소비재(-3.1%), 산업재(-1.5%), 헬스케어(-1.3%), 소재(-1.1%)

■ 국내 이익동향 및 밸류에이션

* 2Q25 영업이익 컨센서스 변화
: +1.3%(1W), -1.0%(1M)

* 2025년 영업이익 컨센서스 변화
: +0.4%(1W), -0.1%(1M)

* KOSPI 12M Fwd. PER, 12M Trail. PBR
: 8.8배, 0.86배

■ 국내 업종별 이익동향(25F 영업이익 2W 변화율)

컨센서스 상향 업종(1W): 조선(+14.3%) 디스플레이(+12.5%), 반도체(+1.9%), 소프트웨어(+1.4%), 건강관리(+0.8%), 상사/자본재(+0.6%)

*컨센서스 상향 기업
: HD현대중공업, HD한국조선해양, HD현대미포, 한화오션, LG디스플레이, LX세미콘, 이녹스첨단소재, SK하이닉스, 효성중공업, 크래프톤, 삼성에스디에스, 삼성바이오로직스, 녹십자, 대웅제약, 한미약품, 휴젤, 삼성물산, 한화시스템, 한화, 두산, 이수페타시스, 한화솔루션

컨센서스 하향 업종(1W): 2차전지(-9.2%), 운송(-4.9%), ITHW(-2.9%), 자동차(-2.7%), 에너지(-2.1%), 미디어(-1.1%), 철강(-1.0%)

*컨센서스 하향 기업
: 삼성SDI, 에코프로비엠, 엘앤에프, HMM, 팬오션, CJ대한통운, 대한항공, 제주항공, 진에어, 티웨이항공, 삼성전기, LG이노텍, 대덕전자, 비에이치, 현대차, 기아, 현대모비스, 한온시스템, SNT모티브, SK이노베이션, S-Oil, 하이브, 스튜디오드래곤, 와이지엔터테인먼트, SBS, 콘텐트리중앙, 현대제철, 세아제강, 동국제강

1Q25 실적발표 일정(5/7~5/15)
https://han.gl/y6KUY

*미래에셋증권 전략/퀀트
t.me/eqmirae

편안한 연휴 보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글로벌 이슈 / 시장 컬러>

미국 1분기 GDP 역성장…통화정책 전환 가능성 제기
미국 1분기 성장률 -0.3%로 3년 만에 역성장. 정부지출과 순수출이 성장을 끌어내림에도 민간수요는 견조. 관세 영향 본격화되는 2분기를 앞두고 통화정책 완화 전환 가능성이 확대되고 있음.

4월 한국 수출 증가…IT·바이오 소비재가 견인
4월 수출은 582억달러(+3.7%), 무역수지는 49억달러 흑자. 미국향 수출은 관세 영향으로 감소했지만 반도체(+17%), 의약품(+22%), 화장품(+21%) 등 소비재 중심의 수출은 양호. ASEAN 지역의 AI 인프라 투자로 무선통신기기 수출도 강세.

성장성 프리미엄 주목…KOSDAQ 강세 지속
무역 분쟁 완화와 함께 시장 반등. 특히 KOSDAQ은 대선 이후의 신정부 출범 기대감과 맞물리며 상대적 강세. 중소형 성장주에 대한 프리미엄 재부각.

중국 소비는 ‘신소비’ 사이클 진입 중
전통 소비지표로는 확인 어려운 구조적 전환 진행 중. 서비스 중심(테니스, 캠핑 등)과 특정 품목(쥬얼리, 캐릭터상품, 밀크티 등)에 수요 집중. 통계 반영 시점 이후 소비 회복 속도는 더 빠르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

BOJ, 금리 동결…연내 2차례 인상 기조 유지
BOJ는 기준금리를 0.5%로 동결. 관세 불확실성 반영해 성장률과 물가전망 소폭 하향. 그러나 7월과 10월 추가 인상 전망 유지. 주요 정치·경제 이벤트 이후 정책 결정 예상.

#시그널랩리서치 #미국GDP #한국수출 #KOSDAQ #중국신소비 #BOJ금리

- SignalLab Research
- https://t.me/siglab
[FT] Big investors borrow against private equity holdings amid cash crunch

* 현금 부족에 직면한 대형 기관투자자들, 사모펀드 포트폴리오 담보로 자금 조달 확대

✔️ 유동성 압박 배경: 딜 메이킹 둔화와 IPO 시장 침체로 사모펀드의 분배금이 과거 평균의 절반 수준으로 줄어들면서, 연기금·국부펀드 등 대형 기관 투자자들이 심각한 현금 유동성 부족에 직면.

✔️ NAV 대출 급증: 투자자들은 사모펀드 포트폴리오의 순자산가치(NAV)를 담보로 하는 대출(NAV loans)을 활용해 유동성을 확보 중. 이는 자산을 매각하지 않고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수단으로 각광.

✔️ 대출 구조: NAV 대출은 일반적으로 4\~5년 만기에 약 20% 수준의 담보인정비율(LTV)로 설정되며, 보험사와 사모 신용펀드가 주요 대출자 역할을 수행.

✔️ 시장 참여 확대: 17 Capital, 칼라일(Carlyle), 아레스(Ares Management) 등이 시장을 주도하며, 가족 사무소와 국부펀드로 수요 확산 중.

✔️ 리스크 우려: 다수의 펀드를 교차 담보로 묶는 구조적 특성상 위험도 커질 수 있으며, 일부에서는 이를 ‘고위험 금융공학’으로 평가.

[https://on.ft.com/3YZTCx1](https://on.ft.com/3YZTCx1)
KB금융 "역대 최대 1206만주 자사주 소각"···1조200억원어치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추진에 대한 투자자들의 우려를 불식시키고 시장 안정화를 꾀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지속적으로 자사주 매입·소각을 진행해 주당순이익(EPS)과 주당순자산가치(BPS) 등 수익지표를 개선해나갈 계획"

https://www.goodkyung.com/news/articleView.html?idxno=263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