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영리법인·거래소, 6월부터 가상자산 팔아 현금화 한다
- 비영리법인, '5년 이상 업력 갖춘 외감법인'으로 한정
- 거래소, 세금납부·인건비 등 충당 목적 거래만 허용…공시의무 부여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50110052258495
- 비영리법인, '5년 이상 업력 갖춘 외감법인'으로 한정
- 거래소, 세금납부·인건비 등 충당 목적 거래만 허용…공시의무 부여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50110052258495
머니투데이
비영리법인·거래소, 6월부터 가상자산 팔아 현금화 한다 - 머니투데이
비영리법인과 가상자산거래소가 다음달부터 현금화를 목적으로 가상자산을 매도할 수 있게 된다. 금융당국이 올초 법인에 가상자산거래소 실명계좌를 단계적으로 허용키로 한 이후 후속조치다. ━비영리법인, '5년 이상 업력 갖춘 외감법인'으로 한정 ━금융위원회는 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4차 가상자산위원회를 열고 '법인의 가상자산시장 참여 로드맵'에 대한 후속조치로 비영...
Forwarded from [ IT는 SK ] (제민 박)
[SK증권 반도체/한동희, 박제민]
META FY1Q25 컨퍼런스 콜
▶️ FY1Q25 주요 코멘트
광고 전환율, 체류 시간, 이용자 수 증가 모두 긍정적
6개월 동안 추천 시스템의 개선을 통해 체류 시간 증가
1) Facebook +7% 2) Instagram +6% 3) Threads +35%
Llama 모델을 Threads의 추천 시스템에 테스트 도입, 효과가 잘 나타나는 중
META AI 전세계 사용자 수 10억명 기록
Advantage+ AI 기반 솔루션 제품군에 지속적 모멘텀 관찰
Advantage+ Creative 제품도 강한 도입세, 생성형 AI 활용 가상 모델 착용 제품 출시
이번 1분기에 GEM(Generative Ads Recommendation Model) 도입 시작, 생성형 AI 활용
Capex 가이던스 중간값 $62.5B 에서 $68B 로 8.8% 상향
Capex의 대부분은 여전히 핵심 비즈니스에 집중될 예정
▶️ FY1Q25 주요 QnA
Q CapEx 지출이 일부 대형 하이퍼스케일러들과 비슷한 수준에 도달 중, 직접적인 엔터프라이즈 매출 없이도 ROI가 성립된다고 보는가?
A 최고 수준 인프라 구축으로 경쟁 우위 확보에 대한 자신감이 큼. 2025년에 도입 예정인 인프라 용량만으로도 회사 내부 각 팀의 컴퓨트 수요를 다 충족시키기에는 부족할 수 있을 정도. 계속해서 이 분야에 대규모 투자를 이어갈 계획
Q CapEx 상단 전망이 상향된 배경이 투자 증가에 기인한 것인가, 비용 증가에 기인한 것인가? 비용 증가의 주요 원인은 어디에 있는가? 최근 보도된 데이터센터 투자 파트너 협업 모색은 어떤 맥락인가?
A CapEx 전망 상향은 투자 증가와 비용 증가 두 가지 요인을 모두 반영한 것. 현재 진행 중인 무역 논의 등으로 인해 이러한 공급망에는 많은 불확실성이 존재. 공급망 최적화 등의 방법을 통해 이를 완화하기 위한 작업을 병행 중. 가이던스는 이러한 노력을 모두 종합적으로 반영한 것.
AWS와 Azure와 같은 파트너들과 Llama 모델을 공동 호스팅하는 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시장에 Llama를 제공하는 데 투자하고 있는 점에 대해 매우 긍정적으로 판단 중
Q 이번 CapEx 가이던스 상향이 향후 Capex의 새로운 기준점인가? 아니면 향후 필요와 기술 발전에 따라 매번 재조정 된다고 보아야하는가?
A 인프라 계획은 AI의 빠른 기술 발전과 내부 수요 변화에 따라 매우 역동적으로 계획되는 영역
Q Llama 후속 버전을 고려할 때, 가장 집중하고 계시고 기대하고 계신 발전 영역은 어떤 것인가?
A LLM 개발 이유는 1) 주도권 확보 2) 인프라와 목표에 맞추어 AI 모델 조정을 하기 위함. Llama 4가 저지연, 음성 위주로 최적화된 모델인 이유. 대형 모델인 Behemoth를 통해 더 효율적인 파생 모델 생성 가능
Q Meta AI 사용 상황과 사용 사례에서 나타나는 소비자 행동은 어떤 것?
A 주요 사용 사례는 정보 탐색과 이해, 분석 부분. 사용자들은 여러 진입 지점(entry point)을 통해 Meta AI를 사용. 현재로서는 WhatsApp, Facebook을 통해 META AI 활용 사례가 가장 흔한 상황. 독립적인 META app에 대한 기대도 큼
Q Meta AI의 현재 사용 사례와 향후 독립형 앱이 이러한 사례를 어떻게 변화시킬 것이라고 보는가? META AI 독립형 앱을 현재 소비자용 AI 앱들과 경쟁에서 어떻게 포지셔닝할 것인가?
A Family of Apps 내에서의 통합을 계속 추진하는 동시에, 독립형 경험 구축에도 주력할 계획. 플랫폼의 지역적 특성상 확장에 한계를 느끼고 독립형 앱을 출시한 부분 존재
Q 2분기 가이던스는 관세로인한 공급 이슈를 반영한 수치인가?
A 불확실성을 반영하여서 가이던스 범위를 넓혀 제시. 2분기 가이던스는 4월에 관측된 트렌드를 반영, 현재까지는 건전한 흐름을 보이는 중
Q 내부적으로 코드 작성을 보조하는 AI 는 어느정도로 수준이 올라왔는가?
A 올해 중반쯤이면 중급 엔지니어 수준의 AI 구현이 현실화되기 시작하고, 내년으로 넘어가면서 점차 확장될 것으로 보는 중. 내년 중반에서 말쯤이 되면, AI 코딩 에이전트가 연구개발(R&D)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게 될 것으로 기대
Q 광고 순위팀을 포함한 여러 팀들이 실행하고 싶어 하는 프로젝트들이 AI 컴퓨팅 용량 부족으로 인해 병목현상이 발생 중이라고 하였다, 올해 또는 내년에 이러한 병목이 어느 정도 완화될 것이라고 보는가?
A 모든 부서에서 역동적으로 수요가 올라오고 있는 상황. 병목이 언제 해결될 것이라고 얘기하기 어려움. Capex 투자를 통해 컴퓨팅을 최대한 더 확보하려고 노력 중
Q IDFA(=ATT, 애플 쿠키 제공 금지. GPU 도입의 계기) 도입 이후 현재 광고 순위 시스템의 개선과 ROI 향상은 어느 정도 진전되었고, 이를 야구 경기로 비유하자면 지금 어느 이닝에 와 있다고 생각하는가?
A 전환율(Conversion Rate)은 전년 대비 여전히 강하게 성장하고 있으며, 실제로 1분기에는 광고 노출수보다 전환수가 더 빠르게 증가. 1분기에 GEM 도입, 과거에 관련 엔진 구조 공개하였음. 과거 투자들이 성과로 나타나고 있으며 앞으로도 광고 순위 및 추천 성능 향상을 위한 투자는 지속할 것
Q WhatsApp 비즈니스 확산과 관련해, 고임금 국가들에서 해당 모델이 확장되기 위해 필요한 AI 역량은 어느 시점에 도달할 것으로 보는가? 이 시기를 앞당기기 위해 META는 어떤 노력 중인가?
A 비즈니스가 원하는 결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AI 에이전트를 커스터마이즈하고 제어할 수 있는 기능 제공. Facebook과 Instagram 광고 내에서 제품 반품 정책이나 구매 관련 질문을 처리할 수 있는 비즈니스 AI도 시험 중. 기술적으로 항상 동일한 AI 에이전트가 그 사람의 과거 대화 및 선호를 기억하면서 응답할 수 있어야하므로 장기 기억 기능 필요
Q META AI를 포함하여 챗봇 시장에 거의 동일한 기능을 하는 어플리케이션이 5~10개 존재. 향후 시장이 Search 처럼 독점 시장 구조가 될 것으로 보는가 아니면 더 분산된 생태계가 될 것으로 보는가? META AI 가 해당 경쟁 시장에서 가지고 있는 우위는 무엇인가?
A 사람들이 서로 다른 목적에 따라 다양한 AI 에이전트를 사용하게 될 것. 기업용 생산성에 최적화된 AI, 개인용 업무 효율화에 최적화된 AI, 엔터테인먼트나 소셜 상호작용에 특화된 AI가 서로 다를 수 있다고 생각. 동일한 용도로 여러 AI를 사용하는 경우는 많지 않겠지만, 목적별로 다른 에이전트를 사용하는 것이 자연스러움. 현재는 대부분의 AI가 개인화되지 않은 형태로 제공되고 있는 상황, 기억 기반 개인화가 이루어질 경우 이가 큰 차별점이 될 것으로 생각. 텍스트뿐 아니라 음성, 이미지, 영상 등 다양한 모달리티를 이해하고 생성할 수 있는 능력도 필수 요소가 될 것
Q 중국 기반 이커머스 리테일러들이 광고 지출을 줄이고 있다는 점 외에, 다른 업종에서 눈에 띄는 약세가 관찰된 것이 있는가?
A 1분기 전반적으로는 대부분 업종에서 견조한 성장세. 게임 업종과 정치 관련 광고에서 약세 나타났으나 작년 높은 기저가 있던 카테고리. 그러나 정치 부문은 META 매출 내 비중이 매우 작은 상황
Q Reality Labs 부문의 분기당 손실이 대체로 40억 달러 내외로 유지되고 있는데, 언제쯤 손실이 축소될 수 있는가?
A AI 안경이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는 만큼, 그에 따라 더 많은 투자를 감행하는 것이 옳다고 판단. 현재 저희가 집중하는 것은 우선 배포 및 생산을 빠르게 확장하는 것
* 위 내용은 공개 실적발표 내용으로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META FY1Q25 컨퍼런스 콜
▶️ FY1Q25 주요 코멘트
광고 전환율, 체류 시간, 이용자 수 증가 모두 긍정적
6개월 동안 추천 시스템의 개선을 통해 체류 시간 증가
1) Facebook +7% 2) Instagram +6% 3) Threads +35%
Llama 모델을 Threads의 추천 시스템에 테스트 도입, 효과가 잘 나타나는 중
META AI 전세계 사용자 수 10억명 기록
Advantage+ AI 기반 솔루션 제품군에 지속적 모멘텀 관찰
Advantage+ Creative 제품도 강한 도입세, 생성형 AI 활용 가상 모델 착용 제품 출시
이번 1분기에 GEM(Generative Ads Recommendation Model) 도입 시작, 생성형 AI 활용
Capex 가이던스 중간값 $62.5B 에서 $68B 로 8.8% 상향
Capex의 대부분은 여전히 핵심 비즈니스에 집중될 예정
▶️ FY1Q25 주요 QnA
Q CapEx 지출이 일부 대형 하이퍼스케일러들과 비슷한 수준에 도달 중, 직접적인 엔터프라이즈 매출 없이도 ROI가 성립된다고 보는가?
A 최고 수준 인프라 구축으로 경쟁 우위 확보에 대한 자신감이 큼. 2025년에 도입 예정인 인프라 용량만으로도 회사 내부 각 팀의 컴퓨트 수요를 다 충족시키기에는 부족할 수 있을 정도. 계속해서 이 분야에 대규모 투자를 이어갈 계획
Q CapEx 상단 전망이 상향된 배경이 투자 증가에 기인한 것인가, 비용 증가에 기인한 것인가? 비용 증가의 주요 원인은 어디에 있는가? 최근 보도된 데이터센터 투자 파트너 협업 모색은 어떤 맥락인가?
A CapEx 전망 상향은 투자 증가와 비용 증가 두 가지 요인을 모두 반영한 것. 현재 진행 중인 무역 논의 등으로 인해 이러한 공급망에는 많은 불확실성이 존재. 공급망 최적화 등의 방법을 통해 이를 완화하기 위한 작업을 병행 중. 가이던스는 이러한 노력을 모두 종합적으로 반영한 것.
AWS와 Azure와 같은 파트너들과 Llama 모델을 공동 호스팅하는 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시장에 Llama를 제공하는 데 투자하고 있는 점에 대해 매우 긍정적으로 판단 중
Q 이번 CapEx 가이던스 상향이 향후 Capex의 새로운 기준점인가? 아니면 향후 필요와 기술 발전에 따라 매번 재조정 된다고 보아야하는가?
A 인프라 계획은 AI의 빠른 기술 발전과 내부 수요 변화에 따라 매우 역동적으로 계획되는 영역
Q Llama 후속 버전을 고려할 때, 가장 집중하고 계시고 기대하고 계신 발전 영역은 어떤 것인가?
A LLM 개발 이유는 1) 주도권 확보 2) 인프라와 목표에 맞추어 AI 모델 조정을 하기 위함. Llama 4가 저지연, 음성 위주로 최적화된 모델인 이유. 대형 모델인 Behemoth를 통해 더 효율적인 파생 모델 생성 가능
Q Meta AI 사용 상황과 사용 사례에서 나타나는 소비자 행동은 어떤 것?
A 주요 사용 사례는 정보 탐색과 이해, 분석 부분. 사용자들은 여러 진입 지점(entry point)을 통해 Meta AI를 사용. 현재로서는 WhatsApp, Facebook을 통해 META AI 활용 사례가 가장 흔한 상황. 독립적인 META app에 대한 기대도 큼
Q Meta AI의 현재 사용 사례와 향후 독립형 앱이 이러한 사례를 어떻게 변화시킬 것이라고 보는가? META AI 독립형 앱을 현재 소비자용 AI 앱들과 경쟁에서 어떻게 포지셔닝할 것인가?
A Family of Apps 내에서의 통합을 계속 추진하는 동시에, 독립형 경험 구축에도 주력할 계획. 플랫폼의 지역적 특성상 확장에 한계를 느끼고 독립형 앱을 출시한 부분 존재
Q 2분기 가이던스는 관세로인한 공급 이슈를 반영한 수치인가?
A 불확실성을 반영하여서 가이던스 범위를 넓혀 제시. 2분기 가이던스는 4월에 관측된 트렌드를 반영, 현재까지는 건전한 흐름을 보이는 중
Q 내부적으로 코드 작성을 보조하는 AI 는 어느정도로 수준이 올라왔는가?
A 올해 중반쯤이면 중급 엔지니어 수준의 AI 구현이 현실화되기 시작하고, 내년으로 넘어가면서 점차 확장될 것으로 보는 중. 내년 중반에서 말쯤이 되면, AI 코딩 에이전트가 연구개발(R&D)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게 될 것으로 기대
Q 광고 순위팀을 포함한 여러 팀들이 실행하고 싶어 하는 프로젝트들이 AI 컴퓨팅 용량 부족으로 인해 병목현상이 발생 중이라고 하였다, 올해 또는 내년에 이러한 병목이 어느 정도 완화될 것이라고 보는가?
A 모든 부서에서 역동적으로 수요가 올라오고 있는 상황. 병목이 언제 해결될 것이라고 얘기하기 어려움. Capex 투자를 통해 컴퓨팅을 최대한 더 확보하려고 노력 중
Q IDFA(=ATT, 애플 쿠키 제공 금지. GPU 도입의 계기) 도입 이후 현재 광고 순위 시스템의 개선과 ROI 향상은 어느 정도 진전되었고, 이를 야구 경기로 비유하자면 지금 어느 이닝에 와 있다고 생각하는가?
A 전환율(Conversion Rate)은 전년 대비 여전히 강하게 성장하고 있으며, 실제로 1분기에는 광고 노출수보다 전환수가 더 빠르게 증가. 1분기에 GEM 도입, 과거에 관련 엔진 구조 공개하였음. 과거 투자들이 성과로 나타나고 있으며 앞으로도 광고 순위 및 추천 성능 향상을 위한 투자는 지속할 것
Q WhatsApp 비즈니스 확산과 관련해, 고임금 국가들에서 해당 모델이 확장되기 위해 필요한 AI 역량은 어느 시점에 도달할 것으로 보는가? 이 시기를 앞당기기 위해 META는 어떤 노력 중인가?
A 비즈니스가 원하는 결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AI 에이전트를 커스터마이즈하고 제어할 수 있는 기능 제공. Facebook과 Instagram 광고 내에서 제품 반품 정책이나 구매 관련 질문을 처리할 수 있는 비즈니스 AI도 시험 중. 기술적으로 항상 동일한 AI 에이전트가 그 사람의 과거 대화 및 선호를 기억하면서 응답할 수 있어야하므로 장기 기억 기능 필요
Q META AI를 포함하여 챗봇 시장에 거의 동일한 기능을 하는 어플리케이션이 5~10개 존재. 향후 시장이 Search 처럼 독점 시장 구조가 될 것으로 보는가 아니면 더 분산된 생태계가 될 것으로 보는가? META AI 가 해당 경쟁 시장에서 가지고 있는 우위는 무엇인가?
A 사람들이 서로 다른 목적에 따라 다양한 AI 에이전트를 사용하게 될 것. 기업용 생산성에 최적화된 AI, 개인용 업무 효율화에 최적화된 AI, 엔터테인먼트나 소셜 상호작용에 특화된 AI가 서로 다를 수 있다고 생각. 동일한 용도로 여러 AI를 사용하는 경우는 많지 않겠지만, 목적별로 다른 에이전트를 사용하는 것이 자연스러움. 현재는 대부분의 AI가 개인화되지 않은 형태로 제공되고 있는 상황, 기억 기반 개인화가 이루어질 경우 이가 큰 차별점이 될 것으로 생각. 텍스트뿐 아니라 음성, 이미지, 영상 등 다양한 모달리티를 이해하고 생성할 수 있는 능력도 필수 요소가 될 것
Q 중국 기반 이커머스 리테일러들이 광고 지출을 줄이고 있다는 점 외에, 다른 업종에서 눈에 띄는 약세가 관찰된 것이 있는가?
A 1분기 전반적으로는 대부분 업종에서 견조한 성장세. 게임 업종과 정치 관련 광고에서 약세 나타났으나 작년 높은 기저가 있던 카테고리. 그러나 정치 부문은 META 매출 내 비중이 매우 작은 상황
Q Reality Labs 부문의 분기당 손실이 대체로 40억 달러 내외로 유지되고 있는데, 언제쯤 손실이 축소될 수 있는가?
A AI 안경이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는 만큼, 그에 따라 더 많은 투자를 감행하는 것이 옳다고 판단. 현재 저희가 집중하는 것은 우선 배포 및 생산을 빠르게 확장하는 것
* 위 내용은 공개 실적발표 내용으로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Telegram
[ IT는 SK ]
최도연, 박형우, 한동희, 이동주, 권민규, 박제민 (SK증권)
Forwarded from [머니스테이션] 베스트 피드
[주간베스트] 생존과 진화의 기로에 선 구글
https://www.moneystation.net/post/100783
https://www.moneystation.net/post/100783
www.moneystation.net
머니스테이션(MoneyStation)
@이과형님: $GOOGL 구글의 최근 매출 비중과 연도별 변화를 보여주는 데이터를 보면 여러 가지 생각이 든다. 구글 검색은, 어떤 질문을 하더라도 항상 답을 찾아줬다. 하지만 지금은 상황이 달라지고 있다. 요약된 응답과 대화를 제공하는 생성형 AI가 등장했기 때문이다. 대답은 더 이상 사람이 아니라 AI가 만든다. 그 중심에는 Gemini가 있다.... $ACE구글밸류체인액티브 $GOOG $GOOGL
AI 추경 1.9조 본회의 의결…AI G3 도약 발판 마련
- AI컴퓨팅 인프라 확충 위해 첨단 GPU 1만장 분 연내 확보
- 글로벌 수준의 AI 모델 개발 프로젝트 추진…2136억 투입
https://www.etoday.co.kr/news/flashnews/flash_view?idxno=2467403
- AI컴퓨팅 인프라 확충 위해 첨단 GPU 1만장 분 연내 확보
- 글로벌 수준의 AI 모델 개발 프로젝트 추진…2136억 투입
https://www.etoday.co.kr/news/flashnews/flash_view?idxno=2467403
이투데이
AI 추경 1.9조 본회의 의결…AI G3 도약 발판 마련
AI컴퓨팅 인프라 확충 위해 첨단 GPU 1만장 분 연내 확보글로벌 수준의 AI 모델 개발 프로젝트 추진…2136억 투입 (사진제공=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학
Forwarded from 유진투자증권 IT 임소정
[유진 IT 임소정] 반도체 소부장 1Q25 Preview: Wrench Throwing MAGA Man
✪회색의 1분기
칩 제조업체들의 공정 전환에 따른 투자와 IT 수요 증가로 올라왔던 기 대감은 미국 트럼프 정부의 관세를 둘러싼 중국과의 논쟁으로 소멸.
관세로 인한 미국과 미국 외 투자 스케줄의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이에 매출 인식 시점이 지연될 것이라는 우려가 장비업체 등을 중심으로 확대된 것으로 판단
하지만 관세 정책 불확실성으로 인해 미리 당겨진 수급 때문에 하반기에는 전반적으로 세트 제품 성장률이 둔화될 가능성 대두
✪기업 분석
원익IPS(Buy, 30,000원), 오로스테크놀로지(Buy, 33,000원), 프로텍(Buy, 35,000원)
자료 링크: https://buly.kr/9BVZdus
감사합니다.
임소정 드림
✪회색의 1분기
칩 제조업체들의 공정 전환에 따른 투자와 IT 수요 증가로 올라왔던 기 대감은 미국 트럼프 정부의 관세를 둘러싼 중국과의 논쟁으로 소멸.
관세로 인한 미국과 미국 외 투자 스케줄의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이에 매출 인식 시점이 지연될 것이라는 우려가 장비업체 등을 중심으로 확대된 것으로 판단
하지만 관세 정책 불확실성으로 인해 미리 당겨진 수급 때문에 하반기에는 전반적으로 세트 제품 성장률이 둔화될 가능성 대두
✪기업 분석
원익IPS(Buy, 30,000원), 오로스테크놀로지(Buy, 33,000원), 프로텍(Buy, 35,000원)
자료 링크: https://buly.kr/9BVZdus
감사합니다.
임소정 드림
Forwarded from [머니스테이션] 베스트 피드
[주간베스트] 인플레 속 역주행한 항목
https://www.moneystation.net/post/101013
https://www.moneystation.net/post/101013
www.moneystation.net
머니스테이션(MoneyStation)
@비행소녀: 미국 항공권 가격은 지난 15년간 전체 물가가 48% 오른 동안 오히려 4% 하락 Southwest CEO는 항공업계가 현재 ‘불황 상태’라고 지적했으며, 주요 항공사들은 올해 실적 전망 철회 항공권은 미국 노동통계국 CPI 항목 중 지난 15년간 가격이 떨어진 것은 드문 사례이지만, 소비자 입장에서는 여행을 보다 저렴하게 즐길 수 있는 기회... $AAL $DAL $LUV $TIGER여행레저 $UAL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티웨이항공…
"中, 美사모펀드 1.4조 매각" 관세전쟁, 금융으로 번진다
"중국투자공사(CIC)가 칼라일그룹, 블랙스톤 등 8개 미국 자산운용사가 관리하는 약 10억달러(약 1조4300억원) 규모 사모펀드 지분의 매수자를 물색하기 시작"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2918
"중국투자공사(CIC)가 칼라일그룹, 블랙스톤 등 8개 미국 자산운용사가 관리하는 약 10억달러(약 1조4300억원) 규모 사모펀드 지분의 매수자를 물색하기 시작"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2918
중앙일보
"中, 美사모펀드 1.4조 매각"…관세전쟁, 금융시장 흔든다
로이터와 블룸버그통신이 1일 보도했다.
[WSJ] Amazon Wants to Be a Satellite-Internet Powerhouse. It Has a Long Way to Go
* 아마존, 위성 인터넷 사업 본격화… 스타링크 추격 위해 3,200기 위성 배치 계획
✔️ 프로젝트 개요: 아마존은 ‘프로젝트 카이퍼(Project Kuiper)’를 통해 저궤도에 총 3,236기의 위성을 발사할 계획이며, 현재까지 27기를 성공적으로 궤도에 올림.
✔️ 서비스 목표: 2025년 말까지 초기 위성 인터넷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며, 미국 FCC 규정에 따라 2026년 7월까지 전체 위성의 절반 이상을 발사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음.
✔️ 기술 구성: 위성에는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위상 배열 안테나, 전기 추진 시스템, 위성 간 레이저 링크 등 첨단 기술이 탑재됨.
✔️ 경쟁 상황: 스페이스X의 스타링크는 이미 8,000기 이상의 위성을 통해 수백만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 중이며, 아마존은 AWS와의 연계를 통해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하려는 전략을 추진.
✔️ 단말기 전략: 아마존은 최대 1Gbps 속도를 지원하는 다양한 소비자용 단말기를 \$400 이하 가격대로 출시할 계획이며, 이는 저소득 지역 접근성 향상을 목표로 함.
https://www.wsj.com/business/telecom/amazon-wants-to-be-a-satellite-internet-powerhouse-it-has-a-long-way-to-go-63554c28?st=m2hCX1&reflink=desktopwebshare_permalink
* 아마존, 위성 인터넷 사업 본격화… 스타링크 추격 위해 3,200기 위성 배치 계획
✔️ 프로젝트 개요: 아마존은 ‘프로젝트 카이퍼(Project Kuiper)’를 통해 저궤도에 총 3,236기의 위성을 발사할 계획이며, 현재까지 27기를 성공적으로 궤도에 올림.
✔️ 서비스 목표: 2025년 말까지 초기 위성 인터넷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며, 미국 FCC 규정에 따라 2026년 7월까지 전체 위성의 절반 이상을 발사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음.
✔️ 기술 구성: 위성에는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위상 배열 안테나, 전기 추진 시스템, 위성 간 레이저 링크 등 첨단 기술이 탑재됨.
✔️ 경쟁 상황: 스페이스X의 스타링크는 이미 8,000기 이상의 위성을 통해 수백만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 중이며, 아마존은 AWS와의 연계를 통해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하려는 전략을 추진.
✔️ 단말기 전략: 아마존은 최대 1Gbps 속도를 지원하는 다양한 소비자용 단말기를 \$400 이하 가격대로 출시할 계획이며, 이는 저소득 지역 접근성 향상을 목표로 함.
https://www.wsj.com/business/telecom/amazon-wants-to-be-a-satellite-internet-powerhouse-it-has-a-long-way-to-go-63554c28?st=m2hCX1&reflink=desktopwebshare_permalink
WSJ
Amazon Wants to Be a Satellite-Internet Powerhouse. It Has a Long Way to Go.
The company sent 27 Kuiper satellites into orbit Monday, but it needs to get thousands more to space to rival SpaceX’s Starlink.
Forwarded from [머니스테이션] 베스트 피드
[주간베스트] 금 vs 은 채굴비용 비교
https://www.moneystation.net/post/100821
https://www.moneystation.net/post/100821
www.moneystation.net
머니스테이션(MoneyStation)
@엄지척: 금 vs 은 채굴비용 비교 에너지 사용량: 금 1톤 채굴에 20,000MWh 필요, 은은 단 250MWh → 80배 차이 탄소배출량: 금은 1톤당 9,000톤 CO₂ 배출, 은은 125톤 → 72배 적음 생산비용: 금 1온스 생산비 $1,388, 은 1온스 생산비 $27 → 51배 저렴 금은 시장 가격은 높지만, 은이 환경 및 경제적 측면에... $ACEKRX금현물 $AG $KODEX골드선물(H) $KODEX은선물(H) $PAAS $SILV…
대선 테마주 60개 종목 분석해보니…절반이 '좀비기업'
"정치 테마주 60개 종목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이 중·소형주였다. 평균 자산총액이 코스피는 4317억원, 코스닥은 994억원으로 시장평균 대비 각각 12%, 49% 수준"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43017332739719
"정치 테마주 60개 종목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이 중·소형주였다. 평균 자산총액이 코스피는 4317억원, 코스닥은 994억원으로 시장평균 대비 각각 12%, 49% 수준"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43017332739719
Forwarded from [시그널랩] 프리미엄 콘텐츠
✍️ 한국거래소에서는 1년에 두 번(6월, 12월) KOSPI200 및 KOSDAQ150, KRX300 등 주요 지수에 대해 정기변경을 실시합니다. 아직 거래소에서 지수 편입·편출 종목 리스트를 확정하지 않았지만 증권가를 중심으로 예상 리스트가 나오는 시점인데, 지수구성 방법론이 존재하기 때문에 예상 리스트는 확정 리스트와 큰 오차가 없는 편입니다.
이번 6월 정기변경에는 어떤 종목이 편입·편출 될 것인지, 과거 발표일(확정일)에 편입 예정종목들을 매수하는 전략은 어땠는지 살펴보는 글을 작성하였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글 참고 바랍니다.
[인사이트] KOSPI200, 2025년 6월 정기변경과 투자전략
https://naver.me/F42hOYHC
이번 6월 정기변경에는 어떤 종목이 편입·편출 될 것인지, 과거 발표일(확정일)에 편입 예정종목들을 매수하는 전략은 어땠는지 살펴보는 글을 작성하였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글 참고 바랍니다.
[인사이트] KOSPI200, 2025년 6월 정기변경과 투자전략
https://naver.me/F42hOYHC
구글ㆍ페북 등 빅테크 순이익 급증…자동차는 쇼크 "연간 전망도 못 해"
-MSㆍ메타 등 1Q 어닝 서프라이즈
-美 보호무역주의 지속하면 리스크↑
-테슬라 1Q 순이익 전년비 71% 급감
-독일차 “연간 실적 가이던스 불가능”
https://m.etoday.co.kr/view.php?idxno=2467295&trc=m_main_market_news
-MSㆍ메타 등 1Q 어닝 서프라이즈
-美 보호무역주의 지속하면 리스크↑
-테슬라 1Q 순이익 전년비 71% 급감
-독일차 “연간 실적 가이던스 불가능”
https://m.etoday.co.kr/view.php?idxno=2467295&trc=m_main_market_news
이투데이
구글ㆍ페북 등 빅테크 순이익 급증…자동차는 쇼크 "연간 전망도 못 해"
MSㆍ메타 등 1Q 어닝 서프라이즈美 보호무역주의 지속하면 리스크↑테슬라 1Q 순이익 전년비 71% 급감독일차 “연간 실적 가이던스 불가능”(그래픽=이투
Forwarded from 상상인증권 투자전략팀 신얼/황준호/김경태/최예찬
[상상인증권 리서치센터] 2H25 국내외 채권시장 전망 및 전략: 추경과 관세가 표출하는 신호
투자전략팀장 신얼 02-3779-3184
- 국내 시장금리 하락세 지속 전망. 물가 안정 속 경기 하강 압력 확대에 의한 기준금리 인하 국면에 위치함. 견조한 채권 매매 수요 역시 금리 하락세 지지. 단, 조기 대선 이후 추경 규모 확대와 더불어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불확실성 등은 국내외 채권시장 변동성 자극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
- 2025년도 하반기 국내외 채권시장의 3대 이슈로는 1) 조기 대선 이후 확대될 추경 규모에 의한 국고채 시장 수급 변동성, 2)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정책 추진에 의한 미국발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 진단 및 3) 한미 등 주요국의 기준금리 인하를 좌우할 불확실성에 대한 판단 등을 제시함
- 한국은행 기준금리 '25년말 2.25%, 금번 인하 국면의 최종 금리 인하 레벨은 2.00%로 판단함(Base Scenario). 대내외 정치경제적 불확실성에 의한 금리 인하 횟수와 속도 조절 가능성 내재. 한편, 연준 기준금리 인하는 트럼프 정책 관망 등 속도 조절 필요함에 따라 '25년 2회로 판단
- 1차 추경 및 조기 대선 이후의 추가 추경에 의한 국고채 발행한도, 본 예산 대비 약 30조원 이상 증액. 국고채 공급 증액으로 인한 시장 변동성 확대 불가피
- 2H25 금리 및 스프레드 예상 변동범위: 미 국채 10년 3.70~4.50%, 국고 3년 1.85~2.50%, 국고 10년 2.10~2.90%, 국고 3년/10년 금리 스프레드 10~60bp
* 원문 보고서 링크: https://buly.kr/8pg3hFC
* 상상인증권 리서치센터: https://t.me/ssi_research
* 상상인증권 투자전략팀: https://t.me/ssi_macro
* 해당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하였습니다.
투자전략팀장 신얼 02-3779-3184
- 국내 시장금리 하락세 지속 전망. 물가 안정 속 경기 하강 압력 확대에 의한 기준금리 인하 국면에 위치함. 견조한 채권 매매 수요 역시 금리 하락세 지지. 단, 조기 대선 이후 추경 규모 확대와 더불어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불확실성 등은 국내외 채권시장 변동성 자극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
- 2025년도 하반기 국내외 채권시장의 3대 이슈로는 1) 조기 대선 이후 확대될 추경 규모에 의한 국고채 시장 수급 변동성, 2)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정책 추진에 의한 미국발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 진단 및 3) 한미 등 주요국의 기준금리 인하를 좌우할 불확실성에 대한 판단 등을 제시함
- 한국은행 기준금리 '25년말 2.25%, 금번 인하 국면의 최종 금리 인하 레벨은 2.00%로 판단함(Base Scenario). 대내외 정치경제적 불확실성에 의한 금리 인하 횟수와 속도 조절 가능성 내재. 한편, 연준 기준금리 인하는 트럼프 정책 관망 등 속도 조절 필요함에 따라 '25년 2회로 판단
- 1차 추경 및 조기 대선 이후의 추가 추경에 의한 국고채 발행한도, 본 예산 대비 약 30조원 이상 증액. 국고채 공급 증액으로 인한 시장 변동성 확대 불가피
- 2H25 금리 및 스프레드 예상 변동범위: 미 국채 10년 3.70~4.50%, 국고 3년 1.85~2.50%, 국고 10년 2.10~2.90%, 국고 3년/10년 금리 스프레드 10~60bp
* 원문 보고서 링크: https://buly.kr/8pg3hFC
* 상상인증권 리서치센터: https://t.me/ssi_research
* 상상인증권 투자전략팀: https://t.me/ssi_macro
* 해당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하였습니다.
Forwarded from [머니스테이션] 베스트 피드
[주간베스트] 3월 유통업체 매출 현황 & 성장 요인은?
https://www.moneystation.net/post/101034
https://www.moneystation.net/post/101034
www.moneystation.net
머니스테이션(MoneyStation)
@저격수: 온라인이 유통 성장 이끌었다 - 전체 매출 +9.2% 증가 (3월 기준) 온라인 매출 +19.0% 급증 → 전체 성장 견인 오프라인 매출 -0.2% 소폭 감소 - 상품별 매출 서비스 기타 +38.0% 식품 +9.5%, 생활가정 +4.0%, 가전문화 +4.7% 패션·아동·해외유명 브랜드는 마이너스 성장 - 채널별 비중 변화 (2024→2025... $BGF리테일 $CJ대한통운 $CPNG $GS리테일 $HANAROe커머스 $롯데쇼핑 #리테일전망…
1분기 온라인 쇼핑 65조 규모 찍었다… 모바일 쇼핑 거래액 50조6680억원대
- 지난해 3월도 22조4163억원으로 3월 한정 역대 최대
https://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694368
- 지난해 3월도 22조4163억원으로 3월 한정 역대 최대
https://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694368
Econovill
1분기 온라인 쇼핑 65조 규모 찍었다… 모바일 쇼핑 거래액 50조6680억원대 - 이코노믹리뷰
3월 온라인 쇼핑액이 22조원을 넘어서며 역대 3월 중 최대치를 기록했다. 1분기 전체 온라인 쇼핑 거래액은 작년보다 2.6% 늘어난 65조4271억원을 기록했고 모바일 쇼핑 거래액은 50조6680억원으로 집계됐다. 통...
KB Macro - 미국 1Q GDP: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은 낮음
■ 트럼프 효과가 고스란히 반영된 1분기 성장률. 수입 급증에 따른 -0.3% 역성장
■ 역성장의 폭을 완화시켜준 AI 관련 투자 모멘텀. 올해 경기 하방압력 완화 요인
■ 1분기 PCE 물가 상승률 반등에도 연초효과 고려할 필요. 스태그플레이션 우려는 기우
▶ https://bit.ly/4jw8L1n
▶ 류진이
KB증권 내부 컴플라이언스 점검을 완료했음. 단순 참고자료로 법적 책임의 근거가 되지 않음
■ 트럼프 효과가 고스란히 반영된 1분기 성장률. 수입 급증에 따른 -0.3% 역성장
■ 역성장의 폭을 완화시켜준 AI 관련 투자 모멘텀. 올해 경기 하방압력 완화 요인
■ 1분기 PCE 물가 상승률 반등에도 연초효과 고려할 필요. 스태그플레이션 우려는 기우
▶ https://bit.ly/4jw8L1n
▶ 류진이
KB증권 내부 컴플라이언스 점검을 완료했음. 단순 참고자료로 법적 책임의 근거가 되지 않음
Forwarded from [머니스테이션] 베스트 피드
[주간베스트] 애플도 관세 영향을 받을까?
https://www.moneystation.net/post/101101
https://www.moneystation.net/post/101101
www.moneystation.net
머니스테이션(MoneyStation)
@갓티브잡수세여: 애플, 트럼프 관세에 9억 달러 비용 증가 생산기지도 인도·베트남으로 이동 애플 CEO 팀쿡은 2025년 2분기 실적 발표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가 현재 수준을 유지한다면 6월까지 약 9억 달러의 손실을 볼 것. 또한, 행정부의 향후 조치에 대해 확신이 없기 때문에 관세가 애플의 실적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질 수 있다고 언급 관세 부담... $AAPL $ACE베트남VN30(합성) $KODEX인도Nifty50 $TIGER인도니프티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