짜장면 평균 가격 7천원으로 치솟자...반대로 수요 폭증하는 식품의 정체
"이마트 기준 짜장라면과 짬뽕라면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1%, 26.6% 증가했다. 외식 메뉴 가격 상승 폭만큼 상승했다."
https://www.insight.co.kr/news/464391
"이마트 기준 짜장라면과 짬뽕라면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1%, 26.6% 증가했다. 외식 메뉴 가격 상승 폭만큼 상승했다."
https://www.insight.co.kr/news/464391
인사이트
짜장면 평균 가격 7천원으로 치솟자...반대로 수요 폭증하는 식품의 정체
짜장면 짬뽀 가격의 미친 상승으로 인해 ‘대체제’의 수요가 폭증하고 있다.
[FT] ESG fund outflows hit record as sustainable investing backlash grows
- ESG 펀드, 지속가능 투자 반발 확산 속 기록적 자금 유출
✔️ 미국 중심 자금 유출: 2025년 1분기 동안 글로벌 ESG 펀드에서 86억 달러가 순유출되었으며, 이 중 61억 달러가 미국에서 발생. 미국 내 ESG 및 DEI(다양성, 형평성, 포용성) 정책에 대한 정치적 반발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
✔️ 유럽·아시아 확산: 유럽에서는 2018년 이후 처음으로 ESG 펀드에서 12억 달러 순유출이 발생했으며, 아시아(일본 제외) 지역에서도 9억 1,800만 달러가 이탈하는 등 반발 흐름이 글로벌로 확산되는 양상.
✔️ 펀드 구조 변화: 유럽에서는 335개 ESG 펀드가 관련 명칭을 변경하거나 ESG 언급을 삭제했으며, 미국에서는 20개 ESG 펀드가 폐쇄되어 분기 기준 사상 최대 기록.
✔️ 투자 심리 변화: 모닝스타는 이번 분기 자금 흐름을 단순한 조정이 아닌, ESG 투자 전략 전반에 대한 시장 인식이 구조적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반영한 것으로 평가.
https://on.ft.com/4cRq76v
- ESG 펀드, 지속가능 투자 반발 확산 속 기록적 자금 유출
✔️ 미국 중심 자금 유출: 2025년 1분기 동안 글로벌 ESG 펀드에서 86억 달러가 순유출되었으며, 이 중 61억 달러가 미국에서 발생. 미국 내 ESG 및 DEI(다양성, 형평성, 포용성) 정책에 대한 정치적 반발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
✔️ 유럽·아시아 확산: 유럽에서는 2018년 이후 처음으로 ESG 펀드에서 12억 달러 순유출이 발생했으며, 아시아(일본 제외) 지역에서도 9억 1,800만 달러가 이탈하는 등 반발 흐름이 글로벌로 확산되는 양상.
✔️ 펀드 구조 변화: 유럽에서는 335개 ESG 펀드가 관련 명칭을 변경하거나 ESG 언급을 삭제했으며, 미국에서는 20개 ESG 펀드가 폐쇄되어 분기 기준 사상 최대 기록.
✔️ 투자 심리 변화: 모닝스타는 이번 분기 자금 흐름을 단순한 조정이 아닌, ESG 투자 전략 전반에 대한 시장 인식이 구조적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반영한 것으로 평가.
https://on.ft.com/4cRq76v
Forwarded from [시그널랩] Signal Lab 리서치 (J)
Media is too big
VIEW IN TELEGRAM
📌 [공지] 운영 텔레그램 채널 소개
1️⃣ 시그널랩 리서치
👉 https://t.me/siglab
2️⃣ 시그널랩 리서치 프리미엄
👉 https://t.me/siglab_premium
3️⃣ 머니스테이션 소셜 투자 콘텐츠
👉 https://t.me/moneystation_best
• The Choice of a New Generation
• '실전성'과 '간결성' 돈 되는 투자 인사이트
• 무한한 집단지성 투자 아이디어 연결
• 앞서가는 투자자의 '새로운 아이콘'
• '공유'는 채널 운영에 큰 힘이 됩니다
1️⃣ 시그널랩 리서치
👉 https://t.me/siglab
2️⃣ 시그널랩 리서치 프리미엄
👉 https://t.me/siglab_premium
3️⃣ 머니스테이션 소셜 투자 콘텐츠
👉 https://t.me/moneystation_best
• The Choice of a New Generation
• '실전성'과 '간결성' 돈 되는 투자 인사이트
• 무한한 집단지성 투자 아이디어 연결
• 앞서가는 투자자의 '새로운 아이콘'
• '공유'는 채널 운영에 큰 힘이 됩니다
Forwarded from [머니스테이션] 베스트 피드
[주간베스트] 원자재 수퍼 싸이클 진입?
https://www.moneystation.net/post/100779
https://www.moneystation.net/post/100779
www.moneystation.net
머니스테이션(MoneyStation)
@커머더티은둔고수: MUFG: 우리는 원자재 슈퍼사이클의 초입에 있다 #미쓰비시UFJ파이낸셜그룹은 최근 보고서에서, 현재 원자재 시장이 초입 단계의 슈퍼사이클에 진입했다고 진단하고 있음. 이는 공급 제약, 글로벌 수요 회복, 에너지 전환 투자 확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분석. 🔥 향후 #원자재 가격은 장기적으로 구조적 상승 흐름을 이... $BHP $CPER $FCX $GLD $KRBN $RIO $SLV $XLE $한투블룸버그인도네시아대표원자재ETN…
'팀코리아' 16년 만에 해냈다…26조 '체코 원전' 7일 최종계약
- 韓, UAE 이어 16년만에 수출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50174261
- 韓, UAE 이어 16년만에 수출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50174261
한국경제
'팀코리아' 16년 만에 해냈다…26조 '체코 원전' 7일 최종계약
'팀코리아' 16년 만에 해냈다…26조 '체코 원전' 7일 최종계약, 韓, UAE 이어 16년만에 수출
[단독] 美 조선업 부활 법안 양당 공동 발의… “10년 내 250척 목표”
"미국 현지 조선소를 인수해 미국 내 생산 거점을 둔 한화필리조선소(Philly Shipyard)를 비롯한 국내 조선 업계의 수혜가 예상"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902704
"미국 현지 조선소를 인수해 미국 내 생산 거점을 둔 한화필리조선소(Philly Shipyard)를 비롯한 국내 조선 업계의 수혜가 예상"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902704
Naver
[단독] 美 조선업 부활 법안 초당적 발의… 韓 조선업계 수혜 기대
동맹국과 협력 조항...“10년 내 美 국적 선박 250척 확보" 미국 공화당과 민주당이 조선 산업을 대대적으로 재건하기 위한 법안을 30일 공동 발의했다. 지난해 말 118대 의회 종료 직전 공화당 소속 하원의원이
[Economist] Unlike everyone else, Americans and Britons still shun the office
- 미국과 영국, 다른 나라들과 달리 재택근무 지속
✔️ 문화적 차이: 미국·영국·캐나다는 주 1.6~1.9일 재택근무 유지, 프랑스·한국 등 집단주의 문화 국가보다 재택 비중 높음.
✔️ 긍정적 효과: 멘토링 부족·생산성 논란에도 불구하고, 도시 외곽 이주로 주택시장 완화, 사무실 축소 및 주거 전환 확대, 유연 근무로 육아 지원 가능성 제시.
✔️ 생산성과 고립: 미국의 경제 생산성은 여전히 견조하나, 사람 간 교류는 줄어들고 고립감은 커져 사회적 부작용도 동반.
✔️ 전반적 평가: 재택근무는 생활을 효율적으로 만들었지만, 사람들을 더욱 ‘혼자’ 있게 만든다는 점에서 양면성 존재.
https://www.economist.com/finance-and-economics/2025/04/21/unlike-everyone-else-americans-and-britons-still-shun-the-office
- 미국과 영국, 다른 나라들과 달리 재택근무 지속
✔️ 문화적 차이: 미국·영국·캐나다는 주 1.6~1.9일 재택근무 유지, 프랑스·한국 등 집단주의 문화 국가보다 재택 비중 높음.
✔️ 긍정적 효과: 멘토링 부족·생산성 논란에도 불구하고, 도시 외곽 이주로 주택시장 완화, 사무실 축소 및 주거 전환 확대, 유연 근무로 육아 지원 가능성 제시.
✔️ 생산성과 고립: 미국의 경제 생산성은 여전히 견조하나, 사람 간 교류는 줄어들고 고립감은 커져 사회적 부작용도 동반.
✔️ 전반적 평가: 재택근무는 생활을 효율적으로 만들었지만, 사람들을 더욱 ‘혼자’ 있게 만든다는 점에서 양면성 존재.
https://www.economist.com/finance-and-economics/2025/04/21/unlike-everyone-else-americans-and-britons-still-shun-the-office
Forwarded from [머니스테이션] 베스트 피드
[주간베스트] 한국인의 지갑 속 현금
https://www.moneystation.net/post/100753
https://www.moneystation.net/post/100753
www.moneystation.net
머니스테이션(MoneyStation)
@일등자산관리사: 한국인 지갑사정.. 지금은 절반은 줄었을 것 카드/현금 디지털 간편 결제 활성화 + 경제사정 악화 #현금 $삼성카드 #삼성페이 $삼성전자 $KG이니시스 $갤럭시아머니트리 $카카오페이 $카카오뱅크 #간편결제 $TIGER은행 $KODEX은행 $KIWOOM단기자금 #지갑 #한국인 #통계 #설문... $KG이니시스 $KIWOOM단기자금 $KODEX은행 $TIGER은행 $갤럭시아머니트리 $삼성전자…
Forwarded from [시그널랩] Signal Lab 리서치 (J)
Media is too big
VIEW IN TELEGRAM
📌 [공지] 운영 텔레그램 채널 소개
1️⃣ 시그널랩 리서치
👉 https://t.me/siglab
2️⃣ 시그널랩 리서치 프리미엄
👉 https://t.me/siglab_premium
3️⃣ 머니스테이션 소셜 투자 콘텐츠
👉 https://t.me/moneystation_best
• The Choice of a New Generation
• '실전성'과 '간결성' 돈 되는 투자 인사이트
• 무한한 집단지성 투자 아이디어 연결
• 앞서가는 투자자의 '새로운 아이콘'
• '공유'는 채널 운영에 큰 힘이 됩니다
1️⃣ 시그널랩 리서치
👉 https://t.me/siglab
2️⃣ 시그널랩 리서치 프리미엄
👉 https://t.me/siglab_premium
3️⃣ 머니스테이션 소셜 투자 콘텐츠
👉 https://t.me/moneystation_best
• The Choice of a New Generation
• '실전성'과 '간결성' 돈 되는 투자 인사이트
• 무한한 집단지성 투자 아이디어 연결
• 앞서가는 투자자의 '새로운 아이콘'
• '공유'는 채널 운영에 큰 힘이 됩니다
Forwarded from [머니스테이션] 베스트 피드
[주간베스트] 빚더미에 깔린 자영업자, 10년만에 최고치 찍은 카드 연체율 / 관세 탓하려다가 혼난 아마존
https://www.moneystation.net/post/101030
https://www.moneystation.net/post/101030
www.moneystation.net
머니스테이션(MoneyStation)
@고먐미: 빚더미에 깔린 자영업자, 10년만에 최고치 찍은 카드 연체율 / 관세 탓하려다가 혼난 아마존 메인 뉴스 : 아마존이 관세 영향을 가격에 별도 표기하기로 했다가 트럼프에게 혼났다고 합니다. 직접 제프 베조스에게 전화걸어서 한 소리 하셨다는데요. 이야 이거 뭐... 트럼프가 7월 4일을 목표로 대규모 감세안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재정 지출 확대와...
[속보] 4월 수출 전년比 3.7% 증가…3개월 연속 플러스
"최대 수출 품목인 반도체 수출은 117억달러로 지난해보다 17.2% 늘었다. 이는 역대 4월 중 최대 실적"
https://www.mk.co.kr/news/economy/11306330
"최대 수출 품목인 반도체 수출은 117억달러로 지난해보다 17.2% 늘었다. 이는 역대 4월 중 최대 실적"
https://www.mk.co.kr/news/economy/11306330
매일경제
[속보] 4월 수출 전년比 3.7% 증가…3개월 연속 플러스 - 매일경제
한국의 4월 수출이 지난해보다 3% 이상 증가하면서 3개월 연속 플러스 성장을 이어갔다. 주력 상품인 반도체 수출은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반면 미국의 관세 부과 등 영향으로 대미 수출과 자동차 수출은 감소했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4월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수출액은 582억1000만달러로 전년동월대비 3.7% 증가했다. 한국의 수출은 지
[WSJ] Nvidia’s Trump Worries Go Far Beyond China
- 엔비디아, 트럼프의 AI 칩 수출 규제 확대로 글로벌 성장에 타격 우려
✔️ 수출 제한 확대: 트럼프 행정부는 AI 확산(AI-diffusion) 차단을 명분으로 기존 바이든 행정부 규제보다 더 광범위한 칩 수출 제한을 시행. 중국뿐 아니라 동맹국들에도 고성능 AI 칩 및 데이터센터 구축을 제한해 엔비디아의 시장 축소 가능성 제기.
✔️ 중국 매출 타격: 중국용 H20 칩에 대한 금지 조치와 함께, 새로운 규제로 인해 연간 최대 280억 달러의 매출 손실 우려.
✔️ 단기 대응 여력: 미국 내 강한 수요 덕분에 단기적인 충격은 흡수 가능하나, 장기적으로는 화웨이, 한국·일본·유럽 반도체 업체 등 글로벌 경쟁사에게 시장 점유율을 잠식당할 가능성.
✔️ 정책 협상 압박: 엔비디아는 규제 완화를 위해 로비를 강화 중이며, 미국 내 5천억 달러 규모의 AI 투자 계획도 우호적 정책 환경을 전제로 한다는 메시지를 통해 트럼프 행정부와의 협상력 확보를 시도.
https://www.wsj.com/tech/ai/nvidia-trump-china-tariffs-ai-chips-faa88c16
- 엔비디아, 트럼프의 AI 칩 수출 규제 확대로 글로벌 성장에 타격 우려
✔️ 수출 제한 확대: 트럼프 행정부는 AI 확산(AI-diffusion) 차단을 명분으로 기존 바이든 행정부 규제보다 더 광범위한 칩 수출 제한을 시행. 중국뿐 아니라 동맹국들에도 고성능 AI 칩 및 데이터센터 구축을 제한해 엔비디아의 시장 축소 가능성 제기.
✔️ 중국 매출 타격: 중국용 H20 칩에 대한 금지 조치와 함께, 새로운 규제로 인해 연간 최대 280억 달러의 매출 손실 우려.
✔️ 단기 대응 여력: 미국 내 강한 수요 덕분에 단기적인 충격은 흡수 가능하나, 장기적으로는 화웨이, 한국·일본·유럽 반도체 업체 등 글로벌 경쟁사에게 시장 점유율을 잠식당할 가능성.
✔️ 정책 협상 압박: 엔비디아는 규제 완화를 위해 로비를 강화 중이며, 미국 내 5천억 달러 규모의 AI 투자 계획도 우호적 정책 환경을 전제로 한다는 메시지를 통해 트럼프 행정부와의 협상력 확보를 시도.
https://www.wsj.com/tech/ai/nvidia-trump-china-tariffs-ai-chips-faa88c16
WSJ
Nvidia’s Trump Worries Go Far Beyond China
“AI-diffusion” rules could limit the U.S. chip company’s sales even to friendly countries—and give more opportunity to foreign rivals.
Forwarded from [머니스테이션] 베스트 피드
[주간베스트] 관세전쟁 속 영국경제와 파운드화
https://www.moneystation.net/post/100797
https://www.moneystation.net/post/100797
www.moneystation.net
머니스테이션(MoneyStation)
@신문읽어주는언니: [Financial Times 헤드라인: Uncertainty remains the only certainty for #UK on tariffs] -미국의 일방적인 관세 부과는 일반적으로 달러 강세로 이어져 다른 국가들에는 상대적으로 수출 기회가 줄고 물가가 오르는 효과를 낳을 수 있음 -하지만 이번에는 반대로 달러가 약세를 보이며... #UK #영국 #파운드 #환율
비영리법인·거래소, 6월부터 가상자산 팔아 현금화 한다
- 비영리법인, '5년 이상 업력 갖춘 외감법인'으로 한정
- 거래소, 세금납부·인건비 등 충당 목적 거래만 허용…공시의무 부여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50110052258495
- 비영리법인, '5년 이상 업력 갖춘 외감법인'으로 한정
- 거래소, 세금납부·인건비 등 충당 목적 거래만 허용…공시의무 부여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50110052258495
머니투데이
비영리법인·거래소, 6월부터 가상자산 팔아 현금화 한다 - 머니투데이
비영리법인과 가상자산거래소가 다음달부터 현금화를 목적으로 가상자산을 매도할 수 있게 된다. 금융당국이 올초 법인에 가상자산거래소 실명계좌를 단계적으로 허용키로 한 이후 후속조치다. ━비영리법인, '5년 이상 업력 갖춘 외감법인'으로 한정 ━금융위원회는 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4차 가상자산위원회를 열고 '법인의 가상자산시장 참여 로드맵'에 대한 후속조치로 비영...
Forwarded from [ IT는 SK ] (제민 박)
[SK증권 반도체/한동희, 박제민]
META FY1Q25 컨퍼런스 콜
▶️ FY1Q25 주요 코멘트
광고 전환율, 체류 시간, 이용자 수 증가 모두 긍정적
6개월 동안 추천 시스템의 개선을 통해 체류 시간 증가
1) Facebook +7% 2) Instagram +6% 3) Threads +35%
Llama 모델을 Threads의 추천 시스템에 테스트 도입, 효과가 잘 나타나는 중
META AI 전세계 사용자 수 10억명 기록
Advantage+ AI 기반 솔루션 제품군에 지속적 모멘텀 관찰
Advantage+ Creative 제품도 강한 도입세, 생성형 AI 활용 가상 모델 착용 제품 출시
이번 1분기에 GEM(Generative Ads Recommendation Model) 도입 시작, 생성형 AI 활용
Capex 가이던스 중간값 $62.5B 에서 $68B 로 8.8% 상향
Capex의 대부분은 여전히 핵심 비즈니스에 집중될 예정
▶️ FY1Q25 주요 QnA
Q CapEx 지출이 일부 대형 하이퍼스케일러들과 비슷한 수준에 도달 중, 직접적인 엔터프라이즈 매출 없이도 ROI가 성립된다고 보는가?
A 최고 수준 인프라 구축으로 경쟁 우위 확보에 대한 자신감이 큼. 2025년에 도입 예정인 인프라 용량만으로도 회사 내부 각 팀의 컴퓨트 수요를 다 충족시키기에는 부족할 수 있을 정도. 계속해서 이 분야에 대규모 투자를 이어갈 계획
Q CapEx 상단 전망이 상향된 배경이 투자 증가에 기인한 것인가, 비용 증가에 기인한 것인가? 비용 증가의 주요 원인은 어디에 있는가? 최근 보도된 데이터센터 투자 파트너 협업 모색은 어떤 맥락인가?
A CapEx 전망 상향은 투자 증가와 비용 증가 두 가지 요인을 모두 반영한 것. 현재 진행 중인 무역 논의 등으로 인해 이러한 공급망에는 많은 불확실성이 존재. 공급망 최적화 등의 방법을 통해 이를 완화하기 위한 작업을 병행 중. 가이던스는 이러한 노력을 모두 종합적으로 반영한 것.
AWS와 Azure와 같은 파트너들과 Llama 모델을 공동 호스팅하는 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시장에 Llama를 제공하는 데 투자하고 있는 점에 대해 매우 긍정적으로 판단 중
Q 이번 CapEx 가이던스 상향이 향후 Capex의 새로운 기준점인가? 아니면 향후 필요와 기술 발전에 따라 매번 재조정 된다고 보아야하는가?
A 인프라 계획은 AI의 빠른 기술 발전과 내부 수요 변화에 따라 매우 역동적으로 계획되는 영역
Q Llama 후속 버전을 고려할 때, 가장 집중하고 계시고 기대하고 계신 발전 영역은 어떤 것인가?
A LLM 개발 이유는 1) 주도권 확보 2) 인프라와 목표에 맞추어 AI 모델 조정을 하기 위함. Llama 4가 저지연, 음성 위주로 최적화된 모델인 이유. 대형 모델인 Behemoth를 통해 더 효율적인 파생 모델 생성 가능
Q Meta AI 사용 상황과 사용 사례에서 나타나는 소비자 행동은 어떤 것?
A 주요 사용 사례는 정보 탐색과 이해, 분석 부분. 사용자들은 여러 진입 지점(entry point)을 통해 Meta AI를 사용. 현재로서는 WhatsApp, Facebook을 통해 META AI 활용 사례가 가장 흔한 상황. 독립적인 META app에 대한 기대도 큼
Q Meta AI의 현재 사용 사례와 향후 독립형 앱이 이러한 사례를 어떻게 변화시킬 것이라고 보는가? META AI 독립형 앱을 현재 소비자용 AI 앱들과 경쟁에서 어떻게 포지셔닝할 것인가?
A Family of Apps 내에서의 통합을 계속 추진하는 동시에, 독립형 경험 구축에도 주력할 계획. 플랫폼의 지역적 특성상 확장에 한계를 느끼고 독립형 앱을 출시한 부분 존재
Q 2분기 가이던스는 관세로인한 공급 이슈를 반영한 수치인가?
A 불확실성을 반영하여서 가이던스 범위를 넓혀 제시. 2분기 가이던스는 4월에 관측된 트렌드를 반영, 현재까지는 건전한 흐름을 보이는 중
Q 내부적으로 코드 작성을 보조하는 AI 는 어느정도로 수준이 올라왔는가?
A 올해 중반쯤이면 중급 엔지니어 수준의 AI 구현이 현실화되기 시작하고, 내년으로 넘어가면서 점차 확장될 것으로 보는 중. 내년 중반에서 말쯤이 되면, AI 코딩 에이전트가 연구개발(R&D)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게 될 것으로 기대
Q 광고 순위팀을 포함한 여러 팀들이 실행하고 싶어 하는 프로젝트들이 AI 컴퓨팅 용량 부족으로 인해 병목현상이 발생 중이라고 하였다, 올해 또는 내년에 이러한 병목이 어느 정도 완화될 것이라고 보는가?
A 모든 부서에서 역동적으로 수요가 올라오고 있는 상황. 병목이 언제 해결될 것이라고 얘기하기 어려움. Capex 투자를 통해 컴퓨팅을 최대한 더 확보하려고 노력 중
Q IDFA(=ATT, 애플 쿠키 제공 금지. GPU 도입의 계기) 도입 이후 현재 광고 순위 시스템의 개선과 ROI 향상은 어느 정도 진전되었고, 이를 야구 경기로 비유하자면 지금 어느 이닝에 와 있다고 생각하는가?
A 전환율(Conversion Rate)은 전년 대비 여전히 강하게 성장하고 있으며, 실제로 1분기에는 광고 노출수보다 전환수가 더 빠르게 증가. 1분기에 GEM 도입, 과거에 관련 엔진 구조 공개하였음. 과거 투자들이 성과로 나타나고 있으며 앞으로도 광고 순위 및 추천 성능 향상을 위한 투자는 지속할 것
Q WhatsApp 비즈니스 확산과 관련해, 고임금 국가들에서 해당 모델이 확장되기 위해 필요한 AI 역량은 어느 시점에 도달할 것으로 보는가? 이 시기를 앞당기기 위해 META는 어떤 노력 중인가?
A 비즈니스가 원하는 결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AI 에이전트를 커스터마이즈하고 제어할 수 있는 기능 제공. Facebook과 Instagram 광고 내에서 제품 반품 정책이나 구매 관련 질문을 처리할 수 있는 비즈니스 AI도 시험 중. 기술적으로 항상 동일한 AI 에이전트가 그 사람의 과거 대화 및 선호를 기억하면서 응답할 수 있어야하므로 장기 기억 기능 필요
Q META AI를 포함하여 챗봇 시장에 거의 동일한 기능을 하는 어플리케이션이 5~10개 존재. 향후 시장이 Search 처럼 독점 시장 구조가 될 것으로 보는가 아니면 더 분산된 생태계가 될 것으로 보는가? META AI 가 해당 경쟁 시장에서 가지고 있는 우위는 무엇인가?
A 사람들이 서로 다른 목적에 따라 다양한 AI 에이전트를 사용하게 될 것. 기업용 생산성에 최적화된 AI, 개인용 업무 효율화에 최적화된 AI, 엔터테인먼트나 소셜 상호작용에 특화된 AI가 서로 다를 수 있다고 생각. 동일한 용도로 여러 AI를 사용하는 경우는 많지 않겠지만, 목적별로 다른 에이전트를 사용하는 것이 자연스러움. 현재는 대부분의 AI가 개인화되지 않은 형태로 제공되고 있는 상황, 기억 기반 개인화가 이루어질 경우 이가 큰 차별점이 될 것으로 생각. 텍스트뿐 아니라 음성, 이미지, 영상 등 다양한 모달리티를 이해하고 생성할 수 있는 능력도 필수 요소가 될 것
Q 중국 기반 이커머스 리테일러들이 광고 지출을 줄이고 있다는 점 외에, 다른 업종에서 눈에 띄는 약세가 관찰된 것이 있는가?
A 1분기 전반적으로는 대부분 업종에서 견조한 성장세. 게임 업종과 정치 관련 광고에서 약세 나타났으나 작년 높은 기저가 있던 카테고리. 그러나 정치 부문은 META 매출 내 비중이 매우 작은 상황
Q Reality Labs 부문의 분기당 손실이 대체로 40억 달러 내외로 유지되고 있는데, 언제쯤 손실이 축소될 수 있는가?
A AI 안경이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는 만큼, 그에 따라 더 많은 투자를 감행하는 것이 옳다고 판단. 현재 저희가 집중하는 것은 우선 배포 및 생산을 빠르게 확장하는 것
* 위 내용은 공개 실적발표 내용으로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META FY1Q25 컨퍼런스 콜
▶️ FY1Q25 주요 코멘트
광고 전환율, 체류 시간, 이용자 수 증가 모두 긍정적
6개월 동안 추천 시스템의 개선을 통해 체류 시간 증가
1) Facebook +7% 2) Instagram +6% 3) Threads +35%
Llama 모델을 Threads의 추천 시스템에 테스트 도입, 효과가 잘 나타나는 중
META AI 전세계 사용자 수 10억명 기록
Advantage+ AI 기반 솔루션 제품군에 지속적 모멘텀 관찰
Advantage+ Creative 제품도 강한 도입세, 생성형 AI 활용 가상 모델 착용 제품 출시
이번 1분기에 GEM(Generative Ads Recommendation Model) 도입 시작, 생성형 AI 활용
Capex 가이던스 중간값 $62.5B 에서 $68B 로 8.8% 상향
Capex의 대부분은 여전히 핵심 비즈니스에 집중될 예정
▶️ FY1Q25 주요 QnA
Q CapEx 지출이 일부 대형 하이퍼스케일러들과 비슷한 수준에 도달 중, 직접적인 엔터프라이즈 매출 없이도 ROI가 성립된다고 보는가?
A 최고 수준 인프라 구축으로 경쟁 우위 확보에 대한 자신감이 큼. 2025년에 도입 예정인 인프라 용량만으로도 회사 내부 각 팀의 컴퓨트 수요를 다 충족시키기에는 부족할 수 있을 정도. 계속해서 이 분야에 대규모 투자를 이어갈 계획
Q CapEx 상단 전망이 상향된 배경이 투자 증가에 기인한 것인가, 비용 증가에 기인한 것인가? 비용 증가의 주요 원인은 어디에 있는가? 최근 보도된 데이터센터 투자 파트너 협업 모색은 어떤 맥락인가?
A CapEx 전망 상향은 투자 증가와 비용 증가 두 가지 요인을 모두 반영한 것. 현재 진행 중인 무역 논의 등으로 인해 이러한 공급망에는 많은 불확실성이 존재. 공급망 최적화 등의 방법을 통해 이를 완화하기 위한 작업을 병행 중. 가이던스는 이러한 노력을 모두 종합적으로 반영한 것.
AWS와 Azure와 같은 파트너들과 Llama 모델을 공동 호스팅하는 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시장에 Llama를 제공하는 데 투자하고 있는 점에 대해 매우 긍정적으로 판단 중
Q 이번 CapEx 가이던스 상향이 향후 Capex의 새로운 기준점인가? 아니면 향후 필요와 기술 발전에 따라 매번 재조정 된다고 보아야하는가?
A 인프라 계획은 AI의 빠른 기술 발전과 내부 수요 변화에 따라 매우 역동적으로 계획되는 영역
Q Llama 후속 버전을 고려할 때, 가장 집중하고 계시고 기대하고 계신 발전 영역은 어떤 것인가?
A LLM 개발 이유는 1) 주도권 확보 2) 인프라와 목표에 맞추어 AI 모델 조정을 하기 위함. Llama 4가 저지연, 음성 위주로 최적화된 모델인 이유. 대형 모델인 Behemoth를 통해 더 효율적인 파생 모델 생성 가능
Q Meta AI 사용 상황과 사용 사례에서 나타나는 소비자 행동은 어떤 것?
A 주요 사용 사례는 정보 탐색과 이해, 분석 부분. 사용자들은 여러 진입 지점(entry point)을 통해 Meta AI를 사용. 현재로서는 WhatsApp, Facebook을 통해 META AI 활용 사례가 가장 흔한 상황. 독립적인 META app에 대한 기대도 큼
Q Meta AI의 현재 사용 사례와 향후 독립형 앱이 이러한 사례를 어떻게 변화시킬 것이라고 보는가? META AI 독립형 앱을 현재 소비자용 AI 앱들과 경쟁에서 어떻게 포지셔닝할 것인가?
A Family of Apps 내에서의 통합을 계속 추진하는 동시에, 독립형 경험 구축에도 주력할 계획. 플랫폼의 지역적 특성상 확장에 한계를 느끼고 독립형 앱을 출시한 부분 존재
Q 2분기 가이던스는 관세로인한 공급 이슈를 반영한 수치인가?
A 불확실성을 반영하여서 가이던스 범위를 넓혀 제시. 2분기 가이던스는 4월에 관측된 트렌드를 반영, 현재까지는 건전한 흐름을 보이는 중
Q 내부적으로 코드 작성을 보조하는 AI 는 어느정도로 수준이 올라왔는가?
A 올해 중반쯤이면 중급 엔지니어 수준의 AI 구현이 현실화되기 시작하고, 내년으로 넘어가면서 점차 확장될 것으로 보는 중. 내년 중반에서 말쯤이 되면, AI 코딩 에이전트가 연구개발(R&D)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게 될 것으로 기대
Q 광고 순위팀을 포함한 여러 팀들이 실행하고 싶어 하는 프로젝트들이 AI 컴퓨팅 용량 부족으로 인해 병목현상이 발생 중이라고 하였다, 올해 또는 내년에 이러한 병목이 어느 정도 완화될 것이라고 보는가?
A 모든 부서에서 역동적으로 수요가 올라오고 있는 상황. 병목이 언제 해결될 것이라고 얘기하기 어려움. Capex 투자를 통해 컴퓨팅을 최대한 더 확보하려고 노력 중
Q IDFA(=ATT, 애플 쿠키 제공 금지. GPU 도입의 계기) 도입 이후 현재 광고 순위 시스템의 개선과 ROI 향상은 어느 정도 진전되었고, 이를 야구 경기로 비유하자면 지금 어느 이닝에 와 있다고 생각하는가?
A 전환율(Conversion Rate)은 전년 대비 여전히 강하게 성장하고 있으며, 실제로 1분기에는 광고 노출수보다 전환수가 더 빠르게 증가. 1분기에 GEM 도입, 과거에 관련 엔진 구조 공개하였음. 과거 투자들이 성과로 나타나고 있으며 앞으로도 광고 순위 및 추천 성능 향상을 위한 투자는 지속할 것
Q WhatsApp 비즈니스 확산과 관련해, 고임금 국가들에서 해당 모델이 확장되기 위해 필요한 AI 역량은 어느 시점에 도달할 것으로 보는가? 이 시기를 앞당기기 위해 META는 어떤 노력 중인가?
A 비즈니스가 원하는 결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AI 에이전트를 커스터마이즈하고 제어할 수 있는 기능 제공. Facebook과 Instagram 광고 내에서 제품 반품 정책이나 구매 관련 질문을 처리할 수 있는 비즈니스 AI도 시험 중. 기술적으로 항상 동일한 AI 에이전트가 그 사람의 과거 대화 및 선호를 기억하면서 응답할 수 있어야하므로 장기 기억 기능 필요
Q META AI를 포함하여 챗봇 시장에 거의 동일한 기능을 하는 어플리케이션이 5~10개 존재. 향후 시장이 Search 처럼 독점 시장 구조가 될 것으로 보는가 아니면 더 분산된 생태계가 될 것으로 보는가? META AI 가 해당 경쟁 시장에서 가지고 있는 우위는 무엇인가?
A 사람들이 서로 다른 목적에 따라 다양한 AI 에이전트를 사용하게 될 것. 기업용 생산성에 최적화된 AI, 개인용 업무 효율화에 최적화된 AI, 엔터테인먼트나 소셜 상호작용에 특화된 AI가 서로 다를 수 있다고 생각. 동일한 용도로 여러 AI를 사용하는 경우는 많지 않겠지만, 목적별로 다른 에이전트를 사용하는 것이 자연스러움. 현재는 대부분의 AI가 개인화되지 않은 형태로 제공되고 있는 상황, 기억 기반 개인화가 이루어질 경우 이가 큰 차별점이 될 것으로 생각. 텍스트뿐 아니라 음성, 이미지, 영상 등 다양한 모달리티를 이해하고 생성할 수 있는 능력도 필수 요소가 될 것
Q 중국 기반 이커머스 리테일러들이 광고 지출을 줄이고 있다는 점 외에, 다른 업종에서 눈에 띄는 약세가 관찰된 것이 있는가?
A 1분기 전반적으로는 대부분 업종에서 견조한 성장세. 게임 업종과 정치 관련 광고에서 약세 나타났으나 작년 높은 기저가 있던 카테고리. 그러나 정치 부문은 META 매출 내 비중이 매우 작은 상황
Q Reality Labs 부문의 분기당 손실이 대체로 40억 달러 내외로 유지되고 있는데, 언제쯤 손실이 축소될 수 있는가?
A AI 안경이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는 만큼, 그에 따라 더 많은 투자를 감행하는 것이 옳다고 판단. 현재 저희가 집중하는 것은 우선 배포 및 생산을 빠르게 확장하는 것
* 위 내용은 공개 실적발표 내용으로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Telegram
[ IT는 SK ]
최도연, 박형우, 한동희, 이동주, 권민규, 박제민 (SK증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