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그널랩] Signal Lab 리서치
11.1K subscribers
18.2K photos
503 videos
467 files
107K links
📌시그널랩은 증권사/자산운용사와 함께합니다

.투자의 미래를 구독하세요
.투자의 혁신 - visual invest tech
.시그널엔진 글로벌 분석종목 & 리서치 제공
.정부가 지원하는 특허 투자솔루션
.삼성/신한/우리/하이/DB/IBK/BNK증권/한경/KRX 제공

.팀소개: https://naver.me/5wHMEqSk
.솔루션: https://naver.me/FjjdX9Hh
.SNS: moneystation.net/user/siglab
Download Telegram
[시그널랩 리서치] 자사주 매매(직접취득) 모니터링
https://t.me/siglab

4월 29일 기준 자사주 매매 직접취득 기준 체결내역입니다.

● 체결비율 = 누적체결량 / 신고수량

체결비율이 높다는 것은 그만큼 자사주매매가 많이 진행되었다는 의미(체결비율 100% = 자사주 매매 완료)입니다.

평균 거래량 대비 잔여수량은 최근 평균 거래량 대비 현재 남은 자사주 취득예정 물량이 몇 배인지를 의미합니다. 높을 수록 자사주 취득이 완료될 때까지 남은 기간이 길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평균 거래량 대비 신청수량은 최근 거래량 대비 하루 기준 취득 예정 자사주 물량이 몇 배인지를 의미합니다. 신청수량 배수가 높다는 것은 최근 보여주는 거래량에서 자사주가 관여하는 비율이 높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SK온 구하기…'차입금 급증' SK이노, 영구채 발행 착수[시그널]

- 지난해만 9조 늘어 총 31조
- 올 설비투자에 6조 투입 계획
- 자본·채권 섞은 신종증권 유리
- IB와 5000억~1조 수준서 협의

https://www.sedaily.com/NewsView/2GRPKUUYDV
✍️ 최근 우리 증시가 쉬어가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실적 예상치로도 확인되고 있습니다. 12개월 선행 예상 실적 관점에서 KOSPI의 경우 매출액을 제외한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 모두 최근 1개월 사이 대체로 큰 변화가 없는 반면, KOSDAQ의 경우 반등하던 실적 추정치가 최근 2주 사이 반락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글 참고 바랍니다.

[마켓분석] 마켓(코스피, 코스닥) 실적 전망
https://naver.me/5VmXgEN7
✍️ <글로벌 이슈 / 시장 컬러>

글로벌 시장, 상호관세 충격 후 점진적 안정세
트럼프 행정부 내 관세정책 온건파가 주도권을 잡은 정황. 글로벌 증시·채권·외환시장이 일단 안정을 찾는 중. 물류지표와 미-중 갈등 완화 여부가 추가 관건.

한국 수출, 4월 중순 이후 급감…대미 수출 특히 부진
4월 1~10일 한국 수출은 전년동기 대비 +13.6% 증가했으나, 1~20일 누적 기준으로 -5.2% 감소 전환. 특히 대미 수출은 -14.3% 급감. 4월 말 발표 예정인 수출 지표 주목 필요.

공매도 영향, 코스닥에 더 민감…수출주 공매도는 둔화
KOSDAQ 공매도와 수익률 간 상관관계가 더 깊음(-0.6). KOSPI는 수출주 중심 공매도 증가세 둔화 중. 업종별로 디스플레이, 반도체, IT가전 공매도 증가 눈에 띔.

관세 관련 악재 정점 통과…경기 악화 확인이 2분기 과제
관세 뉴스플로 개선 기대되나 중국과의 갈등은 장기화 예상. 기술적 저점 확인, 고점도 멀지 않음. 3분기 말 반등 전망. 국내는 대선 이슈에 따른 변동성 대비 필요.

한국 금리, 현 수준 정당화…추가 강세 재료는 부재
GDP 역성장에도 5월 금통위에서 금리 인하·추경 관련 구체적 언급은 제한적일 듯. 대선 전후 추경 확대 가능성으로 인하 기대가 엇갈릴 전망.

#시그널랩리서치 #상호관세 #한국수출 #공매도 #경기전망 #한국금리

- SignalLab Research
- https://t.me/siglab
[WSJ] Consumers Continue to Sour on the Economy

- 4월 미국 소비자심리지수 하락… 무역 긴장과 인플레이션 우려가 심리 악화 주도

✔️ 지수 하락: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는 4월 52.2로 하락해 3월 57.0 대비 8% 감소. 이는 2022년 7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

✔️ 기대 심리 악화: 소비자 기대지수는 47.3으로, 전월 52.6에서 하락하며 경제 성장과 개인 재정 전망에 대한 불안 심화 반영.

✔️ 인플레이션 우려 확대: 1년 후 인플레이션 기대치는 6.5%로 상승해 1981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 장기 기대 인플레이션도 4.4%로 상승.

✔️ 무역 정책 불확실성: 소비자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과 무역 긴장 고조로 인해 경제 전망에 대한 신뢰를 약화시키고 있음.

https://www.wsj.com/economy/consumers/consumer-sentiment-university-michigan-april-2025-008b1b93?st=BvaAHC&reflink=desktopwebshare_permalink
KB Macro - 한국: 미국 재고 비축 수요, 수출 경기 차별화 심화로 이어질 전망

■ 한국 4월 수출, 트럼프 관세 정책에 따라 변동성 극대화
■ 급변하는 관세 정책, 미국 수입업체 혼란 가중
■ 선제적 재고 비축 수요는 상품별로 차별적으로 나타나고 있음
■ 고부가가치 상품 비중 높은 한국 단기적으로는 유리. 하반기 수요 공백은 우려할 만함

https://bit.ly/4lXeFKK
류진이

KB증권 내부 컴플라이언스 점검을 완료했음. 단순 참고자료로 법적 책임의 근거가 되지 않음
[WSJ] Silver Is Rising: The Key Factors Fueling Demand

- 은 가격 상승: 수요를 견인하는 주요 요인

✔️ 산업 수요 급증: 태양광 패널, 전기차, 전력 인프라, 인공지능 등 신재생에너지 및 전기화 부문 확장으로 인해 2024년 글로벌 은 수요는 12억 온스에 달했으며, 산업 수요만 7% 증가.

✔️ 공급 부족: 전 세계적인 은 공급 부족이 지속되면서 가격 상승을 뒷받침하고 있음.

✔️ 불확실성 속 안전자산 역할: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속에서 은이 안전자산으로서의 매력을 다시 부각시키고 있음.

✔️ 대체재 위험: 가격 급등이 제조업체들의 '트리프팅(대체 소재 사용)'을 유도할 가능성도 있어 수요에 대한 장기 전망에는 신중론이 존재.

✔️ 제한된 기관 투자: 아직 기관투자자들의 본격적인 시장 진입은 미미해 추가 상승 여력에 변수로 작용할 수 있음.

✔️ 신규 광산 개발: 멕시코, 호주, 러시아, 페루 등지에서 신규 은광 개발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나, 단기 공급 부족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

https://partners.wsj.com/cme-group/beyond-the-market/silver-is-rising-the-key-factors-fueling-demand/
Media is too big
VIEW IN TELEGRAM
📌 [공지] 운영 텔레그램 채널 소개

1️⃣ 시그널랩
리서치
👉 https://t.me/siglab

2️⃣ 시그널랩 리서치 프리미엄
👉 https://t.me/siglab_premium

3️⃣ 머니스테이션
소셜 투자 콘텐츠
👉 https://t.me/moneystation_best

• The Choice of a New Generation
• '실전성'과 '간결성' 돈 되는 투자 인사이트
• 무한한 집단지성 투자 아이디어 연결
• 앞서가는 투자자의 '새로운 아이콘'
• '공유'는 채널 운영에 이 됩니다
1분기 DLS 미상환 잔액 34조2333억원…전년 대비 11.8% 증가

"기초자산 유형별 발행실적은 금리연계 DLS가 전체 발행금액의 78.2%인 4조 6천108억원, 신용연계 DLS가 11.4%인 6,692억원으로 두 유형이 전체 발행금액의 89.6%인 5조 2천800억원을 차지"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74/00004377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