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warded from [머니스테이션] 베스트 피드
[주간베스트] 52주 신저가 돌파 종목
https://www.moneystation.net/post/100732
[주간베스트] 52주 신고가 돌파 종목
https://www.moneystation.net/post/100733
https://www.moneystation.net/post/100732
[주간베스트] 52주 신고가 돌파 종목
https://www.moneystation.net/post/100733
www.moneystation.net
머니스테이션(MoneyStation)
@52주_신저가: 📉 52주 신저가 돌파종목(장중, 등락률/시총) 01. $동성제약 (-12.17% / 914억원) 02.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3.39% / 595억원) 03. $엑시큐어하이트론 (+9.68% / 502억원) 04. $오텍 (0% / 396억원) 05. $메디콕스 (-10.55% / 148억원) #52주신저가 #신저가
[시그널랩 리서치] 4/28 (월) 모닝 브리프
https://t.me/siglab
◆ Market
- 다우존스산업: 40,113.50 (+0.05%)
- S&P500: 5,525.21 (+0.74%)
- 나스닥: 17,382.94 (+1.26%)
- S&P500 VIX: 24.84 (-6.16%)
- 달러인덱스: 99.47 (+0.09%)
- WTI선물: 63.02 (+0.37%)
- MSCI 한국 Index Fund: 55.81 (-0.25%)
◆ Comment
- 우리 증시는 차익실현 매물 출회하며 제한적인 약세 예상. 지난주 금요일 미 증시는 강세를 보였지만, 강세 요인들이 상당부분 우리 시장에 반영되었다는 인식이 차익실현 욕구 자극할 가능성 높음.
- 관건은 장중 중국의 반응. 관세 협상 기대감을 높이는 반응이 나올 경우 기대감 자극할 수 있음.
- 지난주 금요일 미 증시는 상승 마감. 관세 갈등 국면이 최악을 지났다는 인식이 대두된 점이 주된 강세 요인으로 작용.
- 트럼프 대통령은 타임지 인터뷰에서 시진핑 주석과 통화했다면서 향후 3~4주 안에 모든 협상안이 발표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언급.
- 유력 외신에서는 중국발 소신통을 인용, 시진핑 주석이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하지 않았다고 보도하며 의구심 나왔고,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을 겨냥해 유의미한 조치를 내놓지 않으면 대중 관세는 내려가지 않을 것이라 재차 압박한 점이 장중 투심을 악화시키기도 함.
- 다만 시장에서는 결국 협상은 진행될 것이란 기대감이 높아졌고, 관세를 무작위로 부과하는 최악의 국면은 지났다는 안도감이 부각하면서 장 막판 재차 상승폭 확대.
- 미국의 경제지표는 대체로 무난하게 발표. 4월 미시간대 기대 인플레이션은 1년 6.5%, 5년 4.4%로 시장 예상(1년 6.7%, 5년 4.4%)을 대체로 하회.
- 4월 미시간대 소비자지수의 경우 기대지수 47.3, 심리지수 52.로 시장 예상(기대지수 47.2, 심리지수 50.8)을 소폭 상회.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https://t.me/siglab
◆ Market
- 다우존스산업: 40,113.50 (+0.05%)
- S&P500: 5,525.21 (+0.74%)
- 나스닥: 17,382.94 (+1.26%)
- S&P500 VIX: 24.84 (-6.16%)
- 달러인덱스: 99.47 (+0.09%)
- WTI선물: 63.02 (+0.37%)
- MSCI 한국 Index Fund: 55.81 (-0.25%)
◆ Comment
- 우리 증시는 차익실현 매물 출회하며 제한적인 약세 예상. 지난주 금요일 미 증시는 강세를 보였지만, 강세 요인들이 상당부분 우리 시장에 반영되었다는 인식이 차익실현 욕구 자극할 가능성 높음.
- 관건은 장중 중국의 반응. 관세 협상 기대감을 높이는 반응이 나올 경우 기대감 자극할 수 있음.
- 지난주 금요일 미 증시는 상승 마감. 관세 갈등 국면이 최악을 지났다는 인식이 대두된 점이 주된 강세 요인으로 작용.
- 트럼프 대통령은 타임지 인터뷰에서 시진핑 주석과 통화했다면서 향후 3~4주 안에 모든 협상안이 발표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언급.
- 유력 외신에서는 중국발 소신통을 인용, 시진핑 주석이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하지 않았다고 보도하며 의구심 나왔고,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을 겨냥해 유의미한 조치를 내놓지 않으면 대중 관세는 내려가지 않을 것이라 재차 압박한 점이 장중 투심을 악화시키기도 함.
- 다만 시장에서는 결국 협상은 진행될 것이란 기대감이 높아졌고, 관세를 무작위로 부과하는 최악의 국면은 지났다는 안도감이 부각하면서 장 막판 재차 상승폭 확대.
- 미국의 경제지표는 대체로 무난하게 발표. 4월 미시간대 기대 인플레이션은 1년 6.5%, 5년 4.4%로 시장 예상(1년 6.7%, 5년 4.4%)을 대체로 하회.
- 4월 미시간대 소비자지수의 경우 기대지수 47.3, 심리지수 52.로 시장 예상(기대지수 47.2, 심리지수 50.8)을 소폭 상회.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시그널랩 실적속보] DB하이텍 (000990)
2025 1Q 연결 잠정실적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428000032
● 매출액: 2,974억원
- YoY: +13.7%
- QoQ: +4.9%
- 컨센대비: -9.6%
● 영업이익: 525억원
- YoY: +27.8%
- QoQ: +48.6%
- 컨센대비: -16.1%
● 당기순이익: 455억원
- YoY: +3.6%
- QoQ: -9.7%
- 컨센대비: -33.6%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2025 1Q 연결 잠정실적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428000032
● 매출액: 2,974억원
- YoY: +13.7%
- QoQ: +4.9%
- 컨센대비: -9.6%
● 영업이익: 525억원
- YoY: +27.8%
- QoQ: +48.6%
- 컨센대비: -16.1%
● 당기순이익: 455억원
- YoY: +3.6%
- QoQ: -9.7%
- 컨센대비: -33.6%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시그널랩 리서치] 4/28 오늘의 주요 산업 리포트 요약
https://t.me/siglab
[건설] 건설/부동산: 건설사 체력장 (Stress Test 기반 재무 체력 분석)
유진투자증권 리서치센터
ㆍ 위기의 전조
ㆍ 세 가지 위험 요인에 대한 분석
ㆍ Stress Test
[조선] 우리는 인정한다. 한국산 LNG 운반선도, 미국산으로
한국투자증권 강경태,남채민
ㆍ 미국령만 오고 가는 LNG 운반선은 해외 조선소에서 건조 가능
ㆍ 그러나, 존스법 예외 조항으로 발생하는 LNG 운반선 수요는 없을 것
ㆍ 미국 선적이 아닌 국제무역선의 경우, 해외 조선소에서 건조 가능
ㆍ 이제 국제무역선까지 미국에서 건조한 미국 선적 선박으로 운항 강제
[운송인프라] 물류의 성장 잠재력
한국투자증권 최고운,황현정
ㆍ 이익 기반이 안정적인 내수 물류업체들에 주목할 필요
ㆍ Captive 활용 및 전략적 제휴 등 화주와의 관계 강화가 핵심
ㆍ 업체 간 서비스/기술력 차별화는 물류업종 재평가의 시작점
[화장품] Weekly Cosmetics Letter-4월 미국 화장품 수출 감소 원인 분석
메리츠증권 박종대
ㆍ 미국 관세율 10% 현장 점검
ㆍ 1분기 실적 발표 시즌 앞두고
ㆍ 달바글로벌 상장: 상장 가격 2025년 기준 PER 10배 수준 불과
[화장품] 불안한 유럽, K-뷰티의 기회
유안타증권 김후정,이승은,김도엽
ㆍ 완만한 회복세 기대되는 유럽 경제
ㆍ 유럽 소비자의 소비심리는 여전히 위축
ㆍ K-뷰티, 유럽으로 탈관세 수출 지형 전환
ㆍ 수입 감소한 유럽 화장품 시장, K-뷰티만 홀로 성장
[화장품] Charts of the week: 면세 산업 내 화장품 할인율이 축소되는 중
한국투자증권 김명주,전유나
ㆍ 관련 기업: 아모레퍼시픽과 코스맥스, 그리고 호텔신라
[IT서비스] 반도체 가격 상승이 중요
대신증권 박강호
ㆍ 5월, 반도체 중심의 포트폴리오 유지
ㆍ 2025년 1Q 실적은 컨센서스 상회, 다만 2Q 전망은 보수적인 시각
[전자장비와기기] Weekly 이배속 : 실적 회복세 확인
하나증권 김현수,홍지원
ㆍ 데이터 포인트 해석 및 투자 전략 : 2분기 실적 개선 기업 선별 접근
ㆍ Car : 미국, 자율주행차 관련 규제 완화
ㆍ Cell : 러시아, 나트륨 배터리 기술 내재화 집중
[반도체와반도체장비] AI 투자 유지는 흔들림 속의 확신
KB증권 김동원,이의진
ㆍ 구글, 불확실성을 뚫고 나아가는 AI 투자
ㆍ 빅테크 Capex 우려 완화될 전망
ㆍ 반도체 우려 완화 국면 진입할 전망, Top picks: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전기제품] 전기전자 Weekly: 우려대비 양호한 실적 시즌 진행중
하나증권 김록호,김영규
ㆍ 미중 관세 전쟁 완화 분위기에 일제히 반등
ㆍ 관세 완화 분위기 속 실적 가시성 높은 업체들에 주목
ㆍ 삼성전자, 삼성전기, Apple, Murata, TDK 실적 발표. 3월 글로벌 스마트폰 판매량
[게임엔터테인먼트] 도쿄 서브컬처 탐방후기: 서구권 시장에 주목
DS투자증권 최승호,김대성
ㆍ 도쿄 서브컬처 탐방후기: 국내 서브컬쳐 경쟁력 확인
ㆍ 앞으로 HIT RATIO 떨어지겠지만, 국내 주요 서브컬쳐 게임사 영향 제한적
ㆍ 서브컬쳐 산업: 미개척 시장인 서구권 공략이 미래 결정짓는다
https://t.me/siglab
[건설] 건설/부동산: 건설사 체력장 (Stress Test 기반 재무 체력 분석)
유진투자증권 리서치센터
ㆍ 위기의 전조
ㆍ 세 가지 위험 요인에 대한 분석
ㆍ Stress Test
[조선] 우리는 인정한다. 한국산 LNG 운반선도, 미국산으로
한국투자증권 강경태,남채민
ㆍ 미국령만 오고 가는 LNG 운반선은 해외 조선소에서 건조 가능
ㆍ 그러나, 존스법 예외 조항으로 발생하는 LNG 운반선 수요는 없을 것
ㆍ 미국 선적이 아닌 국제무역선의 경우, 해외 조선소에서 건조 가능
ㆍ 이제 국제무역선까지 미국에서 건조한 미국 선적 선박으로 운항 강제
[운송인프라] 물류의 성장 잠재력
한국투자증권 최고운,황현정
ㆍ 이익 기반이 안정적인 내수 물류업체들에 주목할 필요
ㆍ Captive 활용 및 전략적 제휴 등 화주와의 관계 강화가 핵심
ㆍ 업체 간 서비스/기술력 차별화는 물류업종 재평가의 시작점
[화장품] Weekly Cosmetics Letter-4월 미국 화장품 수출 감소 원인 분석
메리츠증권 박종대
ㆍ 미국 관세율 10% 현장 점검
ㆍ 1분기 실적 발표 시즌 앞두고
ㆍ 달바글로벌 상장: 상장 가격 2025년 기준 PER 10배 수준 불과
[화장품] 불안한 유럽, K-뷰티의 기회
유안타증권 김후정,이승은,김도엽
ㆍ 완만한 회복세 기대되는 유럽 경제
ㆍ 유럽 소비자의 소비심리는 여전히 위축
ㆍ K-뷰티, 유럽으로 탈관세 수출 지형 전환
ㆍ 수입 감소한 유럽 화장품 시장, K-뷰티만 홀로 성장
[화장품] Charts of the week: 면세 산업 내 화장품 할인율이 축소되는 중
한국투자증권 김명주,전유나
ㆍ 관련 기업: 아모레퍼시픽과 코스맥스, 그리고 호텔신라
[IT서비스] 반도체 가격 상승이 중요
대신증권 박강호
ㆍ 5월, 반도체 중심의 포트폴리오 유지
ㆍ 2025년 1Q 실적은 컨센서스 상회, 다만 2Q 전망은 보수적인 시각
[전자장비와기기] Weekly 이배속 : 실적 회복세 확인
하나증권 김현수,홍지원
ㆍ 데이터 포인트 해석 및 투자 전략 : 2분기 실적 개선 기업 선별 접근
ㆍ Car : 미국, 자율주행차 관련 규제 완화
ㆍ Cell : 러시아, 나트륨 배터리 기술 내재화 집중
[반도체와반도체장비] AI 투자 유지는 흔들림 속의 확신
KB증권 김동원,이의진
ㆍ 구글, 불확실성을 뚫고 나아가는 AI 투자
ㆍ 빅테크 Capex 우려 완화될 전망
ㆍ 반도체 우려 완화 국면 진입할 전망, Top picks: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전기제품] 전기전자 Weekly: 우려대비 양호한 실적 시즌 진행중
하나증권 김록호,김영규
ㆍ 미중 관세 전쟁 완화 분위기에 일제히 반등
ㆍ 관세 완화 분위기 속 실적 가시성 높은 업체들에 주목
ㆍ 삼성전자, 삼성전기, Apple, Murata, TDK 실적 발표. 3월 글로벌 스마트폰 판매량
[게임엔터테인먼트] 도쿄 서브컬처 탐방후기: 서구권 시장에 주목
DS투자증권 최승호,김대성
ㆍ 도쿄 서브컬처 탐방후기: 국내 서브컬쳐 경쟁력 확인
ㆍ 앞으로 HIT RATIO 떨어지겠지만, 국내 주요 서브컬쳐 게임사 영향 제한적
ㆍ 서브컬쳐 산업: 미개척 시장인 서구권 공략이 미래 결정짓는다
[시그널랩 리서치] 4/28 오늘의 주요 목표주가 상향 및 신규 커버 리포트 요약
https://t.me/siglab
<삼성SDI[006400] 1Q25 Review: 저점을 통과 중>
다올투자증권 유지웅
ㆍ 1Q25 실적 리뷰 및 향후 투자전략
ㆍ 1Q25 매출액 및 영업이익은 각각 3.2조원(YoY -34%), -4,341억원(YoY 적전)을 기록
<삼성SDI[006400] 이젠 정말 반등해야 할 때>
DS투자증권 최태용
ㆍ 1Q25P: 재고조정 막바지 영향으로 컨센서스 하회
ㆍ 2Q25부터 유럽의 반등 시그널이 회복으로 연결되는 것이 관건
ㆍ 제한적 관세 영향과 EV향 46파이 성과 가시화에 주목
<호텔신라[008770] 시내점 경쟁 완화 고무적>
신한투자증권 조상훈,김태훈
ㆍ 결국 중국 내수 소비 부양책에 거는 기대
ㆍ 1Q25 Review: 업황 부진에 경쟁 완화로 대응하는 과정
ㆍ Valuation & Risk: 경쟁 완화는 긍정적이나 자체적인 경쟁력 제고 필요
<호텔신라[008770] 시내점 수익성 개선, 면세점 업황 최악 상황 지나…>
대신증권 유정현
ㆍ TR 부문 도매 비중 축소로 시내점 의미 있는 개선
ㆍ 공항 임차료 협상 2-3분기 중 가시화 예상
ㆍ 업계 구조조정 노력으로 면세점 업황 저점 통과, BUY로 투자의견 상향
<와이지엔터테인먼트[122870] 전주곡 이후, 본 무대가 시작된다>
삼성증권 최민하,강영훈
ㆍ 1Q25 실적 Preview
ㆍ 향후 전망
ㆍ BUY 유지
<HDC현대산업개발[294870] 예상보다 더욱 강력했던 자체사업의 힘>
유안타증권 장윤석
ㆍ 1Q25 영업이익, 당사 추정치 및 컨센서스 각각 +7% 상회, 부합
ㆍ 1Q25 실적이 보여주는 앞으로의 방향
ㆍ 기대 이상의 자체사업 수익성 확인, 목표주가 +18% 상향
<HDC현대산업개발[294870] 1Q25 review; 일반건축 적자를 상쇄한 자체사업 수익성>
삼성증권 허재준
ㆍ 1분기 실적, 컨센서스 부합
ㆍ 갈수록 좋아질 수익성
ㆍ 목표주가 14.8% 상향조정
<SK이터닉스[475150] 컨셉에 맞춰지는 사업 환경>
하나증권 유재선,채운샘
ㆍ 목표주가 24,000원으로 상향, 투자의견 매수 유지
ㆍ 1Q25 영업이익 8억원(YoY +103.6%) 컨센서스 하회 전망
ㆍ 앞으로 태양광 사업의 실적 기여도가 높아질 것
https://t.me/siglab
<삼성SDI[006400] 1Q25 Review: 저점을 통과 중>
다올투자증권 유지웅
ㆍ 1Q25 실적 리뷰 및 향후 투자전략
ㆍ 1Q25 매출액 및 영업이익은 각각 3.2조원(YoY -34%), -4,341억원(YoY 적전)을 기록
<삼성SDI[006400] 이젠 정말 반등해야 할 때>
DS투자증권 최태용
ㆍ 1Q25P: 재고조정 막바지 영향으로 컨센서스 하회
ㆍ 2Q25부터 유럽의 반등 시그널이 회복으로 연결되는 것이 관건
ㆍ 제한적 관세 영향과 EV향 46파이 성과 가시화에 주목
<호텔신라[008770] 시내점 경쟁 완화 고무적>
신한투자증권 조상훈,김태훈
ㆍ 결국 중국 내수 소비 부양책에 거는 기대
ㆍ 1Q25 Review: 업황 부진에 경쟁 완화로 대응하는 과정
ㆍ Valuation & Risk: 경쟁 완화는 긍정적이나 자체적인 경쟁력 제고 필요
<호텔신라[008770] 시내점 수익성 개선, 면세점 업황 최악 상황 지나…>
대신증권 유정현
ㆍ TR 부문 도매 비중 축소로 시내점 의미 있는 개선
ㆍ 공항 임차료 협상 2-3분기 중 가시화 예상
ㆍ 업계 구조조정 노력으로 면세점 업황 저점 통과, BUY로 투자의견 상향
<와이지엔터테인먼트[122870] 전주곡 이후, 본 무대가 시작된다>
삼성증권 최민하,강영훈
ㆍ 1Q25 실적 Preview
ㆍ 향후 전망
ㆍ BUY 유지
<HDC현대산업개발[294870] 예상보다 더욱 강력했던 자체사업의 힘>
유안타증권 장윤석
ㆍ 1Q25 영업이익, 당사 추정치 및 컨센서스 각각 +7% 상회, 부합
ㆍ 1Q25 실적이 보여주는 앞으로의 방향
ㆍ 기대 이상의 자체사업 수익성 확인, 목표주가 +18% 상향
<HDC현대산업개발[294870] 1Q25 review; 일반건축 적자를 상쇄한 자체사업 수익성>
삼성증권 허재준
ㆍ 1분기 실적, 컨센서스 부합
ㆍ 갈수록 좋아질 수익성
ㆍ 목표주가 14.8% 상향조정
<SK이터닉스[475150] 컨셉에 맞춰지는 사업 환경>
하나증권 유재선,채운샘
ㆍ 목표주가 24,000원으로 상향, 투자의견 매수 유지
ㆍ 1Q25 영업이익 8억원(YoY +103.6%) 컨센서스 하회 전망
ㆍ 앞으로 태양광 사업의 실적 기여도가 높아질 것
Forwarded from 키움증권 전략/시황 한지영
[4/28, 이슈 점검, 키움 투자전략팀 김유미, 한지영]
"균형 회복(Balance Restoration)"
(요약)
1. 매크로 & 외환 : 체크 포인트 세 가지
① 미국 경기 침체 논란
- 미국 경기는 침체보다 성장 둔화 전망. 1) 트럼프 관세 확실성의 점진적인 해소 기대와 2) 미국 가계의 건전성 개선 및 기초 체력 감안할 때 소비의 급격한 위축 가능성 낮고, 3) 연준의 정책적 대응 기대 (6월과 12월 추가 금리 인하 전망)가 유효하다는 점에 기인
② 달러 약세, 추세 전환인가?
- 미 달러, 완만한 U 자형 경로, 달러/원 환율 1,400원 대 움직임 미국 경기의 침체 가능성 낮고, 연준 금리 인하 전망 등을 고려해 2∼3분기 초 달러 약세 예상. 이후 관세 정책 불확실성 완화, 미국 경기 회복 기대 조성되면서 달러 반등 전망
③ 한국 경제 비관론, 향후 전망
- 트럼프 관세 부과, 성장 하방 리스크 증가, 추경 편성 등 정책적 대응 필요, 내수 부양 조치 뒷받침 되어야 경기 비관론 완화. 대선 이후 재정지출 확대 이어질 경우 연간 1.0% 경제성장률 전망
2. 주식 : 관세 불확실성에서 균형 잡는 전략
① 주식시장의 현 위치, 바닥 vs 추가 하방
- 4월 초 상호관세 발 폭락 이후 반등에 나서고 있지만, 여전히 관세 리스크는 금융시장 도처에 상존 중. 이는 추가 하방 혹은 쌍 바닥 형성 불안감을 키우고 있으나, 이미 바닥 확인을 시켜준 신호들은 등장
② 평가 절하 당하고 있는 실적시즌, 생각보다 길은 어둡지 않다
- 실적시즌이 진행 중임에도, 관세로 잠재적인 수요 공백 우려로 인해 실적에 대한 기대치가 크지 않은 상황에 직면. 시나리오 접근법이 필요한 가운데, 현 시점에서는 “관세의 충격 강도 약화 -> 2분기 실적시즌 모멘텀 재확보"를 베이스로 설정
③ 주도주 교체에 대한 시장의 고민
- 국내 증시에서는 조선, 방산이 주도주로서 그 지위를 유지하고 있음. 동시에 이들의 수급 쏠림 현상, 가격 레벨 부담을 느끼는 시기가 출현할 때도 있겠으나, 관세 불확실성이 남아있는 한 기존 비중을 유지해가는 것이 적절
- 분할 매수 관점에서는 관세 리스크로 주가 조정 압력에 빈번하게 노출되어 왔던 반도체, 자동차, 바이오(& 금리 하락 재료 + 인터넷) 업종을 제시.
- 대선과 관련한 정책 트레이딩 관점에서는 내수주(경기 부양), 저 PBR(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정책) 등을 제시
https://www.kiwoom.com/h/invest/research/VMarketSIDetailView?sqno=1176
"균형 회복(Balance Restoration)"
(요약)
1. 매크로 & 외환 : 체크 포인트 세 가지
① 미국 경기 침체 논란
- 미국 경기는 침체보다 성장 둔화 전망. 1) 트럼프 관세 확실성의 점진적인 해소 기대와 2) 미국 가계의 건전성 개선 및 기초 체력 감안할 때 소비의 급격한 위축 가능성 낮고, 3) 연준의 정책적 대응 기대 (6월과 12월 추가 금리 인하 전망)가 유효하다는 점에 기인
② 달러 약세, 추세 전환인가?
- 미 달러, 완만한 U 자형 경로, 달러/원 환율 1,400원 대 움직임 미국 경기의 침체 가능성 낮고, 연준 금리 인하 전망 등을 고려해 2∼3분기 초 달러 약세 예상. 이후 관세 정책 불확실성 완화, 미국 경기 회복 기대 조성되면서 달러 반등 전망
③ 한국 경제 비관론, 향후 전망
- 트럼프 관세 부과, 성장 하방 리스크 증가, 추경 편성 등 정책적 대응 필요, 내수 부양 조치 뒷받침 되어야 경기 비관론 완화. 대선 이후 재정지출 확대 이어질 경우 연간 1.0% 경제성장률 전망
2. 주식 : 관세 불확실성에서 균형 잡는 전략
① 주식시장의 현 위치, 바닥 vs 추가 하방
- 4월 초 상호관세 발 폭락 이후 반등에 나서고 있지만, 여전히 관세 리스크는 금융시장 도처에 상존 중. 이는 추가 하방 혹은 쌍 바닥 형성 불안감을 키우고 있으나, 이미 바닥 확인을 시켜준 신호들은 등장
② 평가 절하 당하고 있는 실적시즌, 생각보다 길은 어둡지 않다
- 실적시즌이 진행 중임에도, 관세로 잠재적인 수요 공백 우려로 인해 실적에 대한 기대치가 크지 않은 상황에 직면. 시나리오 접근법이 필요한 가운데, 현 시점에서는 “관세의 충격 강도 약화 -> 2분기 실적시즌 모멘텀 재확보"를 베이스로 설정
③ 주도주 교체에 대한 시장의 고민
- 국내 증시에서는 조선, 방산이 주도주로서 그 지위를 유지하고 있음. 동시에 이들의 수급 쏠림 현상, 가격 레벨 부담을 느끼는 시기가 출현할 때도 있겠으나, 관세 불확실성이 남아있는 한 기존 비중을 유지해가는 것이 적절
- 분할 매수 관점에서는 관세 리스크로 주가 조정 압력에 빈번하게 노출되어 왔던 반도체, 자동차, 바이오(& 금리 하락 재료 + 인터넷) 업종을 제시.
- 대선과 관련한 정책 트레이딩 관점에서는 내수주(경기 부양), 저 PBR(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정책) 등을 제시
https://www.kiwoom.com/h/invest/research/VMarketSIDetailView?sqno=1176
Forwarded from DS 경제 김준영
준클리_달러 약세가 만들어낼 변화.pdf
721.5 KB
[DS 경제 김준영] 준클리 04/28(월)
달러 약세가 만들어낼 변화
■ 달러 약세가 지속된다면 미국 주식 수요 둔화 가능성
- 달러 절대가치는 여전히 높지만 정상화 과정 중
- 미국 국채 가격 프리미엄 감소 → 안전자산 지위 약화
- 달러 약세 지속 시 미국 주식 수요 둔화 가능성
- 주요 기관투자자 미국 자산 비중 과다 → 포트폴리오 다각화 필요성 증대
■ 다만 채권 수요는 양호할 것
- 미국 금리 인하 기대감이 커질수록 채권 수요는 견조할 전망
- 글로벌 중앙은행 중심 외국인 채권 수요는 유지될 것
- 트럼프 달러 약세 유도 가능성 → QE 재개 가능성
- 주식 대비 채권 매력 부각 → Great Rotation이 되돌려지는 변곡점을 지나는 중일 수도 (주식 리스크프리미엄 < 0)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https://t.me/DSInvResearch
달러 약세가 만들어낼 변화
■ 달러 약세가 지속된다면 미국 주식 수요 둔화 가능성
- 달러 절대가치는 여전히 높지만 정상화 과정 중
- 미국 국채 가격 프리미엄 감소 → 안전자산 지위 약화
- 달러 약세 지속 시 미국 주식 수요 둔화 가능성
- 주요 기관투자자 미국 자산 비중 과다 → 포트폴리오 다각화 필요성 증대
■ 다만 채권 수요는 양호할 것
- 미국 금리 인하 기대감이 커질수록 채권 수요는 견조할 전망
- 글로벌 중앙은행 중심 외국인 채권 수요는 유지될 것
- 트럼프 달러 약세 유도 가능성 → QE 재개 가능성
- 주식 대비 채권 매력 부각 → Great Rotation이 되돌려지는 변곡점을 지나는 중일 수도 (주식 리스크프리미엄 < 0)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https://t.me/DSInvResearch
Forwarded from [유안타/이안나] 2차전지/신에너지
[유안타 2차전지]
파고들다 III. Sodium-ion battery
I. Sodium-ion 배터리 기본 특성 및 기술 방향
II. Sodium-ion 배터리 기술 개발 현황
III. Sodium-ion 에 대한 생각
CATL, SiB 2세대 발표 → 배터리 패러다임 전환?
• 중국은 신기술이 등장하면 이를 빠르게 양산하고 자국 OEM 기업을 중심으로 제품 적용을 확대하는 전략을 지속해 옴.
반복적인 시행착오를 통해 기술 완성도를 끌어올리는 것. 나트륨이온 배터리 뿐 아니라, 2023년부터 양산에 들어간 반고체 배터리도 같은 맥락
• 반고체 배터리의 경우 실제 전기차 적용 시 에너지 밀도가 기존 LFP 대비 낮은 수준에 머물렀음.
• 이는 중국 기업들의 대량 생산 능력과 기술 개발 속도가 빠르다는 점은 인정되지만, 대량 양산이 곧바로 시장 내 기술 채택 또는 배터리 기술 패러다임
전환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라는 것.
• 현재 전기차 산업에서 배터리 기술의 핵심 방향성은 ‘롱레인지 구현을 위한 가격 경쟁력, 고에너지 밀도, 그리고 안전성 확보’
• 이 세 가지 요건을 동시에 충족하는 기술력 확보가 중요하며, 해당 분야에서의 기술 경쟁은 한·중·일 3국이 유사한 수준에서 전개되고 있음.
• 관련 2차전지 배터리 기술은 ’46시리즈 기술’
• 다만, 빠르게 중국 기업들의 배터리 기술이 올라오고 있는 만큼 46시리즈 기술력도 지속적인 업데이트 필요
자료링크
https://tinyurl.com/2bumu6hb
파고들다 III. Sodium-ion battery
I. Sodium-ion 배터리 기본 특성 및 기술 방향
II. Sodium-ion 배터리 기술 개발 현황
III. Sodium-ion 에 대한 생각
CATL, SiB 2세대 발표 → 배터리 패러다임 전환?
• 중국은 신기술이 등장하면 이를 빠르게 양산하고 자국 OEM 기업을 중심으로 제품 적용을 확대하는 전략을 지속해 옴.
반복적인 시행착오를 통해 기술 완성도를 끌어올리는 것. 나트륨이온 배터리 뿐 아니라, 2023년부터 양산에 들어간 반고체 배터리도 같은 맥락
• 반고체 배터리의 경우 실제 전기차 적용 시 에너지 밀도가 기존 LFP 대비 낮은 수준에 머물렀음.
• 이는 중국 기업들의 대량 생산 능력과 기술 개발 속도가 빠르다는 점은 인정되지만, 대량 양산이 곧바로 시장 내 기술 채택 또는 배터리 기술 패러다임
전환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라는 것.
• 현재 전기차 산업에서 배터리 기술의 핵심 방향성은 ‘롱레인지 구현을 위한 가격 경쟁력, 고에너지 밀도, 그리고 안전성 확보’
• 이 세 가지 요건을 동시에 충족하는 기술력 확보가 중요하며, 해당 분야에서의 기술 경쟁은 한·중·일 3국이 유사한 수준에서 전개되고 있음.
• 관련 2차전지 배터리 기술은 ’46시리즈 기술’
• 다만, 빠르게 중국 기업들의 배터리 기술이 올라오고 있는 만큼 46시리즈 기술력도 지속적인 업데이트 필요
자료링크
https://tinyurl.com/2bumu6hb
Forwarded from DS 인터넷/게임 최승호
인터넷_산업리포트_250429.pdf
4 MB
DS투자증권 인터넷/게임 최승호, RA 김대성
[게임산업] 도쿄 서브컬처 탐방후기: 서구권시장에 주목
▶ 도쿄 서브컬처 탐방후기: 국내 서브컬쳐 경쟁력 확인
▶ 앞으로 HIT RATIO 떨어지겠지만, 국내 주요 서브컬쳐 게임사 영향 제한적
▶ 서브컬쳐 산업: 미개척 시장인 서구권 공략이 미래 결정짓는다
▶ 기업분석
시프트업(매수/7만원)_ 나무를 볼지, 숲을 볼지에 따라 달라질 적정주가
넷마블(매수/5.9만원)_ 체질개선 완료, 이제 볼 시점
엔씨소프트(매수/17만원)_ 너무 늦게 땐 걸음마
펄어비스(매수/4.3만원)_ 꿈은 가장 크다, 실현여부는 지켜봐야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DS투자증권 인터넷/게임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ssi_game
[게임산업] 도쿄 서브컬처 탐방후기: 서구권시장에 주목
▶ 도쿄 서브컬처 탐방후기: 국내 서브컬쳐 경쟁력 확인
▶ 앞으로 HIT RATIO 떨어지겠지만, 국내 주요 서브컬쳐 게임사 영향 제한적
▶ 서브컬쳐 산업: 미개척 시장인 서구권 공략이 미래 결정짓는다
▶ 기업분석
시프트업(매수/7만원)_ 나무를 볼지, 숲을 볼지에 따라 달라질 적정주가
넷마블(매수/5.9만원)_ 체질개선 완료, 이제 볼 시점
엔씨소프트(매수/17만원)_ 너무 늦게 땐 걸음마
펄어비스(매수/4.3만원)_ 꿈은 가장 크다, 실현여부는 지켜봐야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DS투자증권 인터넷/게임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ssi_game
Forwarded from 신한 리서치
[신한투자증권 화장품/섬유의복 박현진]
섬유/의복; 내수와 중국에 양다리 찾자
▶️ 개별 종목 찾는 재미는 앞으로도 쭉!
- 최근 대선 앞두고, 내수 소비 부양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트렌드에 의복 소비도 제한적으로 수혜 예상
- 중국 소비 경기가 작년보다 나아지는 듯하다는 업계 코멘트가 있어 내수+중국 소비 수혜주에 대한 베팅도 좋은 아이디어
- 최선호주는 F&F. 미스토홀딩스, 영원무역, 젝시믹스, 감성코퍼레이션 관심
▶️ 브랜드사: 기저효과+내수 부양
- 브랜드사 1Q25 매출은 전년동기대비 5% 이내 (-)성장 추세를 평균적으로 유지. 다만 직전 분기에 비하면 역성장폭 줄여가는 시기
- 보수적인 재고 평가 추세로 1Q25 재고 관련 충당금 반영이 예상치를 넘어가는 기업은 없는 것으로 파악
- 매출 성장 부재로 영업이익도 전년동기대비 평균 5~15% 감소하나 2024년 분기 평균 감소율에 비하면 회복 전망
▶️ OEM사: 미국이 관건
- 1Q25 분기 평균 원/달러환율 1,452원(전년동기대비 +9%)으로 OEM사 전반에 환효과 있을 전망. 환효과 가장 큰 기업은 영원무역 > 화승엔터 = 한세실업 순
- 미국 의복 소매판매 한 자리 성장 보이고 있어 긍정적이지만, 재고액과 재고비율은 재차 높아지고 있어 불확실성도 상존
- 미국 관세 이슈에 베트남 생산 의존도 높은 OEM사에 대한 실적 우려 커진 점도 OEM사 매수하는 데 걸림돌
*원문 링크: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4918
위 내용은 2025년 04월 28일 07시 55분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섬유/의복; 내수와 중국에 양다리 찾자
▶️ 개별 종목 찾는 재미는 앞으로도 쭉!
- 최근 대선 앞두고, 내수 소비 부양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트렌드에 의복 소비도 제한적으로 수혜 예상
- 중국 소비 경기가 작년보다 나아지는 듯하다는 업계 코멘트가 있어 내수+중국 소비 수혜주에 대한 베팅도 좋은 아이디어
- 최선호주는 F&F. 미스토홀딩스, 영원무역, 젝시믹스, 감성코퍼레이션 관심
▶️ 브랜드사: 기저효과+내수 부양
- 브랜드사 1Q25 매출은 전년동기대비 5% 이내 (-)성장 추세를 평균적으로 유지. 다만 직전 분기에 비하면 역성장폭 줄여가는 시기
- 보수적인 재고 평가 추세로 1Q25 재고 관련 충당금 반영이 예상치를 넘어가는 기업은 없는 것으로 파악
- 매출 성장 부재로 영업이익도 전년동기대비 평균 5~15% 감소하나 2024년 분기 평균 감소율에 비하면 회복 전망
▶️ OEM사: 미국이 관건
- 1Q25 분기 평균 원/달러환율 1,452원(전년동기대비 +9%)으로 OEM사 전반에 환효과 있을 전망. 환효과 가장 큰 기업은 영원무역 > 화승엔터 = 한세실업 순
- 미국 의복 소매판매 한 자리 성장 보이고 있어 긍정적이지만, 재고액과 재고비율은 재차 높아지고 있어 불확실성도 상존
- 미국 관세 이슈에 베트남 생산 의존도 높은 OEM사에 대한 실적 우려 커진 점도 OEM사 매수하는 데 걸림돌
*원문 링크: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4918
위 내용은 2025년 04월 28일 07시 55분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시그널랩 실적속보] SNT에너지 (100840)
2025 1Q 연결 잠정실적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428000059
● 매출액: 1,153억원
- YoY: +87.0%
- QoQ: +20.4%
- 컨센대비: +17.6%
● 영업이익: 129억원
- YoY: +327.9%
- QoQ: +42.5%
- 컨센대비: +61.0%
● 당기순이익: 84억원
- YoY: +0.4%
- QoQ: -58.8%
- 컨센대비: -23.9%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2025 1Q 연결 잠정실적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428000059
● 매출액: 1,153억원
- YoY: +87.0%
- QoQ: +20.4%
- 컨센대비: +17.6%
● 영업이익: 129억원
- YoY: +327.9%
- QoQ: +42.5%
- 컨센대비: +61.0%
● 당기순이익: 84억원
- YoY: +0.4%
- QoQ: -58.8%
- 컨센대비: -23.9%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시그널랩 실적속보] SNT모티브 (064960)
2025 1Q 연결 잠정실적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428000064
● 매출액: 2,262억원
- YoY: +1.9%
- QoQ: -20.9%
- 컨센대비: -3.8%
● 영업이익: 230억원
- YoY: +4.6%
- QoQ: -20.6%
- 컨센대비: -2.7%
● 당기순이익: 213억원
- YoY: -21.0%
- QoQ: -35.9%
- 컨센대비: -6.7%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2025 1Q 연결 잠정실적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428000064
● 매출액: 2,262억원
- YoY: +1.9%
- QoQ: -20.9%
- 컨센대비: -3.8%
● 영업이익: 230억원
- YoY: +4.6%
- QoQ: -20.6%
- 컨센대비: -2.7%
● 당기순이익: 213억원
- YoY: -21.0%
- QoQ: -35.9%
- 컨센대비: -6.7%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시그널랩 실적속보] S-Oil (010950)
2025 1Q 연결 잠정실적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428000077
● 매출액: 8조 9,905억원
- YoY: -3.4%
- QoQ: +0.8%
- 컨센대비: -1.4%
● 영업이익: -215억원
- YoY: 적자전환
- QoQ: 적자전환
- 컨센대비: -134.7%
● 당기순이익: -446억원
- YoY: 적자전환
- QoQ: 적자지속
- 컨센대비: -1,430.1%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2025 1Q 연결 잠정실적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428000077
● 매출액: 8조 9,905억원
- YoY: -3.4%
- QoQ: +0.8%
- 컨센대비: -1.4%
● 영업이익: -215억원
- YoY: 적자전환
- QoQ: 적자전환
- 컨센대비: -134.7%
● 당기순이익: -446억원
- YoY: 적자전환
- QoQ: 적자지속
- 컨센대비: -1,430.1%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우리 증시는 개장 초반 KOSPI 강세, KOSDAQ 약세를 보이고 있으나, 그 폭은 제한적인 모습입니다. 지난주 금요일 미 증시 강세 요인이었던 관세 협상 관련 기대감이 상당부분 우리 증시에 선반영되었다는 인식이 개장 초반 제한적인 움직임으로 연결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섹터별로는 하락 섹터가 다소 많은 가운데, 정보 보안 관련 섹터가 특히 강세를 보이는 점이 특징입니다. 이는 최근 발생한 SK텔레콤 해킹 사태에 따라 관련 섹터의 수혜 기대감이 높아졌기 때문으로 볼 수 있습니다.
섹터별로는 하락 섹터가 다소 많은 가운데, 정보 보안 관련 섹터가 특히 강세를 보이는 점이 특징입니다. 이는 최근 발생한 SK텔레콤 해킹 사태에 따라 관련 섹터의 수혜 기대감이 높아졌기 때문으로 볼 수 있습니다.
우리투자증권, IB 본격 시동…6000억 펀드 조성
- 우리은행과 전략 펀드 내달 출시
- 미래에셋증권 출신 모아
- 회사채 인수·IPO 주관 강화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124761
- 우리은행과 전략 펀드 내달 출시
- 미래에셋증권 출신 모아
- 회사채 인수·IPO 주관 강화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124761
Naver
우리투자증권, IB 본격 시동…6000억 펀드 조성
이 기사는 04월 25일 10:57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종합증권사 라이선스를 획득한 우리투자증권(우투증권)이 기업금융(IB) 강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우투증권은 우리은행과 6000억원 규모의 전략 펀